KR200486077Y1 - 선풍기용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선풍기용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77Y1
KR200486077Y1 KR2020170003170U KR20170003170U KR200486077Y1 KR 200486077 Y1 KR200486077 Y1 KR 200486077Y1 KR 2020170003170 U KR2020170003170 U KR 2020170003170U KR 20170003170 U KR20170003170 U KR 20170003170U KR 200486077 Y1 KR200486077 Y1 KR 200486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afety net
air
filt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민
Original Assignee
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민 filed Critical 한상민
Priority to KR202017000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는, 공기 여과기능을 갖는 직물 또는 종이시트로 제작되어 선풍기 안전망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되는 여과패드와, 상기 여과패드를 상기 안전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는, 선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고, 선풍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사용중 탈거되는 현상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탈이 간편하여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풍기용 에어필터 {Air filter for electric fan}
본 고안은 선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선풍기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착탈이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란 모터를 구동시켜 송풍팬을 회전시킴으로서 바람을 일으켜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더해주거나 실내 공기를 순환하기 위하여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선풍기는 통상적으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둘러싸는 보호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는바, 송풍팬 뒤쪽의 공기가 송풍팬의 앞쪽으로 강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선풍기의 작동으로 불어오는 공기에 의해서 사용자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데, 현재 사용화되어 있는 선풍기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공기 중에 산재해 있는 먼지나 이물질까지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바, 사용자의 호흡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보호망이나 송풍팬에 먼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와 같은 먼지가 일정 수준 이상 적층되면 송풍팬의 바람을 타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각종 위생 문제를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선풍기용 공기 여과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81438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풍기용 공기 여과장치는 보호망의 후면에 안착되어 송풍팬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기능이 있지만, 선풍기의 보호망에 견고히 결합되지 아니하므로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압에 의해 선풍기의 보호망으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20-0281438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선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고, 선풍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착탈이 간편하여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선풍기용 에어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는,
공기 여과기능을 갖는 직물 또는 종이시트로 제작되어 선풍기 안전망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되는 여과패드;
상기 여과패드를 상기 안전망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패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여과패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사이드스트랩과, 상기 사이드스트랩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에 체결되는 스트랩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안전망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된 여과패드를 가로지르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 개의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에 체결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와이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안전망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된 여과패드를 가로지르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과, 상기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의 길이방향 중단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체결스트랩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에 체결되는 체결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다수 개의 통기공을 갖도록 제작되며, 상기 안전망의 전방면 전체 또는 후방면 전체를 덮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상기 안전망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는, 선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고, 선풍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사용중 탈거되는 현상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탈이 간편하여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에 포함되는 여과패드의 평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6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에 포함되는 여과패드의 평면도 및 사용상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선풍기의 송풍팬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도록, 상기 선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킨다는 점에 기능상의 특징이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가 종래의 '선풍기용 공기 여과장치'와 같이 단순히 선풍기에 끼워지는 구조로 장착되면, 선풍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공기압에 의해 선풍기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공기 유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장시간동안 선풍기가 작동하더라도 선풍기로부터 탈거되거나 진동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선풍기에 견고하게 결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공기 여과기능을 갖는 직물 또는 종이시트로 제작되어 선풍기 안전망(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되는 여과패드(110)와, 상기 여과패드(110)를 상기 안전망(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여과패드(110)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면 부직포나 종이필터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여과패드(110)는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 등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여과패드(110)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여과패드(110)가 여과방의 후방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여과패드(110)는 선풍기의 모터장착 부위를 회피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굽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선풍기에 끼워지는 구조로 장착되면, 선풍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공기압에 의해 여과패드(110)가 탈거되거나 떨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패드(110)가 탈거되거나 떨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즉, 여과패드(110)를 전체적으로 선풍기의 안전망(10)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접착제와 같이 상기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고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여과패드(110)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안전망(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패드(1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여과패드(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사이드스트랩(130)과, 상기 사이드스트랩(1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10)에 체결되는 스트랩후크(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후크(132)는 안전망(10)의 일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안전망(10)의 일부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스트랩후크(132)의 구조는 안전망(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만 있다면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어떠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이 사이드프레임(120)과 사이드스트랩(130), 스트랩후크(132)로 구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안착시키고 사이드스트랩(130)이 신장되도록 스트랩후크(132)를 당겨 안전망(10)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스트랩(130)이 여과패드(1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가 제안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기 여과패드(110)는 연성의 시트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스트랩후크(132)를 걸기 위해 사이드스트랩(130)을 잡아당길 때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패드(1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여과패드(110)에 비해 인장강도가 큰 사이드프레임(1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과패드(110)의 외측단이 전체적으로 안전망(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패드(110)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다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가 각각 6개씩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의 개수는 여과패드(110)의 규격 및 사이드스트랩(13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사용자가 스트랩후크(132)를 안전망(10)에 거는 조작만으로 선풍기의 안전망(10)에 결합시키고, 상기 스트랩후크(132)를 푸는 조작만으로 선풍기를 안전망(1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기간이 장시간 지속되어 상기 여과패드(110)가 오염되거나 수명을 다하였을 때에는 상기 여과패드(110)를 탈거하여 세척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랩후크(132)를 걸고 푸는 조작만으로 여과패트를 안전망(10)에 착탈시킬 수 있다면, 선풍기용 에어필터(100)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을 덮도록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후방면에 안착되면 선풍기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던 공기가 송풍팬으로 공급될 때 상기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반면, 상기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을 덮도록 안착되면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사용자로 전달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패드(110)가 선풍기의 모터장착 부위를 회피할 필요가 없으므로, 말굽형상이나 링형상이 아닌 원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과 측방까지 덮을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을 덮도록 안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는 여과패드(110)의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안전망(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20)과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사이드스트랩(130)과 스트랩후크(132)는 여과패드(110)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여과패드(110)를 교체할 때 결합수단까지 폐기해야 한다는 문제점 즉, 결합수단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패드(110)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망(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된 여과패드(110)를 가로지르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 개의 고정와이어(140)와, 상기 고정와이어(14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10)에 체결되는 고정후크(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140)는 여과패드(1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바, 여과패드(110)를 교체하더라도 고정와이어(140)와 고정후크(142)는 재사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여과패드(110)의 각 부위를 안전망(10) 측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와이어(140)가 다수 개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다수 개의 고정와이어(140)가 각각 분리되어 있으면 고정와이어(140) 설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고정와이어(140)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1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와이어(150)는 복수 개의 고정와이어(140)를 일체로 연결시킬수만 있다면 도 8에 도시된 링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와이어(140)가 전체적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경우, 장시간 사용 시 고정와이어(140)가 늘어나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견고하게 압착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즉,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안전망(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된 여과패드(110)를 가로지르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160)과, 상기 체결스트랩(16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와이어(162)와, 상기 탄성와이어(16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10)에 체결되는 체결후크(1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스트랩(160)은 외력에 의해 쉽게 늘어나지 아니하도록 탄성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는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되지 아니한다는 장점 즉, 여과패드(110)를 안전망(10)에 압착시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160)은 길이방향 중단을 관통하는 하나의 힌지축으로 연결되는바, 각각의 체결스트랩(160)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각각의 체결스트랩(160) 사이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패드(110)를 전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 제6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는 일반 가정용 선풍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용 선풍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가 휴대용 선풍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여과패드(110) 및 결합수단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가 휴대용 선풍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가 소형화되므로, 후크를 안전망(10)에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용 에어필터(100)가 휴대용 선풍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결합수단은 안전망(10) 중 여과패드(110)가 안착된 측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안전망(10)에 결합되는 하나의 커버(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70)는 다수 개의 통기공을 갖도록 제작되는바, 안전망(10)에 결합되더라도 선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사용자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전방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170)는 안전망(10)의 전방면 전체를 덮도록 결합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패드(110)가 안전망(10)의 후방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170)는 안전망(10)의 후방면 전체를 덮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커버(170)는 안전망(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만 있다면, 끼워맞춤 방식으로 안전망(10)에 결합되거나 다수 개의 탄성후크(미도시)에 의해 안전망(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170)의 결합구조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커버(170)가 안전망(1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안전망 100 : 선풍기용 에어필터
110 : 여과패드 120 : 사이드프레임
130 : 사이드스트랩 132 : 스트랩후크
140 : 고정와이어 142 : 고정후크
150 : 연결와이어 160 : 체결스트랩
162 : 탄성와이어 164 : 체결후크
170 : 커버

Claims (5)

  1. 공기 여과기능을 갖는 직물 또는 종이시트로 제작되어 선풍기 안전망(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되는 여과패드(110); 상기 여과패드(110)를 상기 안전망(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선풍기용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안전망(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안착된 여과패드(110)를 가로지르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160)과, 상기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160)의 길이방향 중단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체결스트랩(160)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체결스트랩(16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와이어(162)와, 상기 탄성와이어(16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망(10)에 체결되는 체결후크(1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용 에어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3170U 2017-06-19 2017-06-19 선풍기용 에어필터 KR200486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70U KR200486077Y1 (ko) 2017-06-19 2017-06-19 선풍기용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70U KR200486077Y1 (ko) 2017-06-19 2017-06-19 선풍기용 에어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77Y1 true KR200486077Y1 (ko) 2018-03-30

Family

ID=6180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70U KR200486077Y1 (ko) 2017-06-19 2017-06-19 선풍기용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7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828B1 (ko) * 2018-05-30 2018-10-25 정보영 휴대용 선풍기의 공기 정화 장치, 공기 정화장치의 필터 및 필터 제조 방법
KR101961880B1 (ko) * 2018-08-27 2019-03-26 손윤희 가스터빈용 에어필터
KR102035556B1 (ko) 2018-06-07 2019-10-24 (주)밸류온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핸디 선풍기
KR20190127436A (ko)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휴로 공기 정화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선풍기
KR20190130891A (ko)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로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KR20190003111U (ko) 2018-06-09 2019-12-18 이채영 선풍기용 에어필터
KR200492547Y1 (ko) 2019-06-14 2020-11-04 김정숙 선풍기용 공기정화필터
KR102196638B1 (ko) * 2019-08-08 2020-12-30 최윤서 업사이클링을 이용한 휴대용 선풍기
KR20240052353A (ko) 2022-10-14 2024-04-23 양준호 바이러스 차단과 호스를 통해 마스크와의 연결을 위한 손선풍기용 덮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42U (ko) * 1995-07-31 1997-02-21 선풍기의 방진필터
KR200281438Y1 (ko) 2002-04-19 2002-07-13 박영우 선풍기용 공기 여과 장치
KR200291828Y1 (ko) * 2001-07-10 2002-10-11 히로후미 시나가와 선풍기용 필터
JP3097089U (ja) * 2003-04-10 2004-01-15 陳國明 扇風機用エアフィルタ部材
KR20170053423A (ko) *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해솔 개방구의 안전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42U (ko) * 1995-07-31 1997-02-21 선풍기의 방진필터
KR200291828Y1 (ko) * 2001-07-10 2002-10-11 히로후미 시나가와 선풍기용 필터
KR200281438Y1 (ko) 2002-04-19 2002-07-13 박영우 선풍기용 공기 여과 장치
JP3097089U (ja) * 2003-04-10 2004-01-15 陳國明 扇風機用エアフィルタ部材
KR20170053423A (ko) *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해솔 개방구의 안전 커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436A (ko)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휴로 공기 정화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선풍기
KR20190130891A (ko)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로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KR101911828B1 (ko) * 2018-05-30 2018-10-25 정보영 휴대용 선풍기의 공기 정화 장치, 공기 정화장치의 필터 및 필터 제조 방법
KR102035556B1 (ko) 2018-06-07 2019-10-24 (주)밸류온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핸디 선풍기
KR20190003111U (ko) 2018-06-09 2019-12-18 이채영 선풍기용 에어필터
KR101961880B1 (ko) * 2018-08-27 2019-03-26 손윤희 가스터빈용 에어필터
KR200492547Y1 (ko) 2019-06-14 2020-11-04 김정숙 선풍기용 공기정화필터
KR102196638B1 (ko) * 2019-08-08 2020-12-30 최윤서 업사이클링을 이용한 휴대용 선풍기
KR20240052353A (ko) 2022-10-14 2024-04-23 양준호 바이러스 차단과 호스를 통해 마스크와의 연결을 위한 손선풍기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77Y1 (ko) 선풍기용 에어필터
US4781526A (en) Fan and filter combination
KR200487603Y1 (ko) 선풍기용 공기정화기구
US20100000007A1 (en) Hat with a Fan and Filter
KR102035977B1 (ko)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
JP7150607B2 (ja) 電気モータを冷却するための空気フィルタ及び適切な取付支持体
RU2631939C2 (ru) Сушилка для рук
JP2017018887A (ja) 防虫網の清掃装置
KR200465648Y1 (ko) 에어필터
RU2673628C2 (ru) Фильтры сушилки для рук
US20170050496A1 (en) Ventilation unit for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US20030188520A1 (en) Air filter system for a free-standing air blowing fan
KR101823825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선풍기
KR200489754Y1 (ko) 선풍기 안전망
KR101890470B1 (ko)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KR20150058846A (ko) 송풍기용 필터유닛
JPS59217431A (ja) 空気清浄機
JP3219897U (ja) 送風装置用フィルタ
CN220134310U (zh) 一种风扇过滤装置
CN209404609U (zh) 一种吸尘器
JP2008298396A (ja) 通気口用カバー装置
CN113069841A (zh) 防尘装置
JP3690698B2 (ja) 換気扇用フィルタ装置
KR20190001041U (ko) 선풍기용 부설 공기청정필터
KR102363096B1 (ko) 탈곡기용 전동모터의 먼지방지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