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319B1 -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319B1
KR101890319B1 KR1020160175516A KR20160175516A KR101890319B1 KR 101890319 B1 KR101890319 B1 KR 101890319B1 KR 1020160175516 A KR1020160175516 A KR 1020160175516A KR 20160175516 A KR20160175516 A KR 20160175516A KR 101890319 B1 KR101890319 B1 KR 10189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handle
door lock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200A (ko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3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에서 핸들 본체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로서, 상기 핸들 본체의 선단에는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는 힌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힌지 연결부에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힌지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Assembly for handle of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핸들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즉, 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사용자가 프런트 핸들이나 메인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모티스가 작동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락 핸들은 상부 측에 힌지부가 구성되고, 이 힌지부를 기준으로 선회하게 되고,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당겨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에서 케이싱이 당겨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힌지부는 도어락 본체(1)에 힌지 샤프트(2)가 장착되는데, 이 힌지 샤프트(2)에는 평탄면의 커팅 영역(2b)이 형성되고, 이 커팅 영역(2b)에는 한 쌍의 체결공(2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본체(1)에는 힌지 샤프트 안착부(1a)가 형성되고, 이 힌지 샤프트 안착부(1a)에 힌지 사프트(2)가 안착되고 체결공(2a)을 통해 체결볼트(B)가 장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마감 플레이트(3)에는 힌지 브라켓(4)이 볼트(3a)로 체결고정되고, 힌지 브라켓(4)에는 힌지 샤프트(2)가 끼워져 핸들이 힌지 샤프트(2)를 기준으로 인(In) 또는 아웃(Out)스윙(푸쉬-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힌지구조는 힌지 샤프트(2)에 별도의 커팅 영역(2b)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과, 아울러 체결공(2a)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이 필요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불필요한 가공 공정이 요구되어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도 1c와 같이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1)에서 돌출형성된 걸림 포스트(1c)가 마감 플레이트(3)에 고정된 보강 구조물(5)에 의해 스윙이 제한되는 구성이 제공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은 금속으로 사출 성형된 보강 구조물(5)이 걸림 포스트(1c)에 걸리는 구성을 통해 도어락 본체(1)의 핸들의 스윙범위를 제한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보강 구조물(5)을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 점수가 많아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10-1631687호(등록일: 2016년 06월 1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불필요한 가공 공정이나 별도의 고정부품을 배제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개선하면서도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라켓 부재에서 핸들 본체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로서, 상기 핸들 본체의 선단에는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는 힌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힌지 연결부에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힌지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핸들 본체의 상부면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 연결부에 상기 힌지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의 양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에 설치되고, 내측벽이 상기 힌지 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평면상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본체의 평면상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영역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선단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영역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제한 포스트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핸들 본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힌지 연결부에 힌지 샤프트를 삽입하고, 이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브라켓 부재에 연결된 힌지 브라켓에 삽입 연결됨으로써, 별도로 힌지 샤프트를 가공할 필요없이 브라켓 부재와 핸들 본체를 연결하여 제조효율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에 평면상에서 오목하게 고정영역이 일체로 형성되고, 핸들 본체의 제한 포스트가 삽입되어 핸들 본체의 스윙을 제한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별도의 제한 부품(예를 들어 금속 보강부품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효율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힌지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b는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힌지부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c는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스토퍼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측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의 장착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10)에서 핸들 본체(20)가 힌지 샤프트(30)를 매개로 선회(swing)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선회점(힌지점)을 기준으로 핸들 본체(20)가 브라켓 부재(10)에서 눌러지거나 당겨지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브라켓 부재(10)에는 한 쌍의 체결공(11)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1)을 통해 힌지 브라켓(40)이 장착된다. 여기서 힌지 브라켓(40)은 양단에 연결공(41)이 형성된 연결영역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볼트(12)의 체결을 위한 체결영역(4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힌지 브라켓(40)에 볼트(12)를 체결함으로써 힌지 브라켓(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핸들 본체(20)에는 원통형의 힌지 연결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힌지 연결부(21)에는 힌지 샤프트(30)가 삽입되고, 힌지 연결부(21)에 힌지 샤프트(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 샤프트(30)의 양단은 힌지 연결부(21)의 양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힌지 샤프트(30)의 노출된 양단은 힌지 브라켓(40)의 연결공(41)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라켓 부재(10)에서 핸들 본체(20)는 힌지 브라켓(40)에 삽입된 힌지 샤프트(30)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힌지 샤프트(30)에 별도로 가공할 필요없이 힌지 브라켓(40)에 고정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즉 도 4와 같이 힌지 샤프트(30)는 힌지 연결부(21)를 관통하고 양단이 힌지 브라켓(40)의 연결공(41)에 각각 삽입되어, 이 힌지점을 기준으로 브라켓 부재(10)에서 핸들본체(20)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면(예를 들어, 도어의 전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부재(10)에는 힌지 샤프트(30)가 힌지 브라켓(40)에서 좌우로 유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커버(5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장착커버(50)는 내측벽(55; 도 7a 및 도 7b)이 힌지 브라켓(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힌지 브라켓(40)에 삽입된 힌지 샤프트(30)가 좌우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 부재(10)에 장착된 장착 커버(50)는 힌지 브라켓(40)의 양단에 내측벽(55)이 위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힌지 샤프트(30)가 힌지 브라켓(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힌지 샤프트(30)를 힌지 브라켓(4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종래의 볼트나 볼트체결용 천공 등)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 및 생산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힌지 샤프트(30)는 힌지 연결부(21)에 삽입되어 힌지 브라켓(40)의 연결공(41)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장착 커버(50)의 내측벽(55)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10)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영역(15)이 형성되고, 핸들 본체(20)에는 상부로 일정높이 연장형성된 제한 포스트(25)가 형성된다. 이때 제한 포스트(25)는 고정영역(15)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제한 포스트(25)의 선단에는 스토퍼(15a)가 설치되어 제한 포스트(25)에서 브라켓 부재(10)의 고정영역(15)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한 포스트(25)가 핸들 본체(20)의 누름 동작이나 당김 동작시 브라켓 부재(10)의 고정영역(15)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선단에 설치된 스토퍼(15a)에 의해서 빠짐이 방지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핸들 본체(20)가 힌지 브라켓(40)에 연결되고 이 힌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선회되고, 제한 포스트(25)가 브라켓 부재(10)에 형성된 고정영역(15)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제한 포스트(25)의 선단에 형성된 스토퍼(15a)에 의해 스윙범위가 제한된 구성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 본체(20)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힌지 연결부(21)에 힌지 샤프트(30)를 삽입하고, 이 힌지 샤프트(30)의 양단이 힌지 브라켓(40)에 삽입 연결됨으로써, 별도로 힌지 샤프트(40)를 가공할 필요없이 브라켓 부재(10)와 핸들 본체(20)를 연결함으로써 제조효율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 부재(10)에 평면상에서 오목하게 고정영역(15)이 일체로 형성되고, 핸들 본체(20)의 제한 포스트(25)가 삽입되어 핸들 본체(20)의 스윙을 제한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제한 부품(예를 들어 금속 보강 부품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효율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브라켓 부재
11: 체결공
12: 볼트
20: 핸들본체
21: 힌지 연결부
25: 제한 포스트
30: 힌지 샤프트
40: 힌지 브라켓
41: 연결공
42: 체결 영역
50: 장착커버
55: 내측벽

Claims (4)

  1. 브라켓 부재에서 핸들 본체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로서,
    상기 핸들 본체의 선단에는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는 힌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힌지 연결부에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힌지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 부재에는 평면상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본체의 평면상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영역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선단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영역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제한 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핸들 본체의 상부면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 연결부에 상기 힌지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의 양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에 설치되고, 내측벽이 상기 힌지 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4. 삭제
KR1020160175516A 2016-12-21 2016-12-21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KR10189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16A KR101890319B1 (ko) 2016-12-21 2016-12-21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16A KR101890319B1 (ko) 2016-12-21 2016-12-21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00A KR20180072200A (ko) 2018-06-29
KR101890319B1 true KR101890319B1 (ko) 2018-08-22

Family

ID=6278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516A KR101890319B1 (ko) 2016-12-21 2016-12-21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66Y1 (ko) * 1993-08-14 1995-08-04 김성식 고리잠금쇠
KR101631687B1 (ko) *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00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7803B2 (en) Grip handle type door handle apparatus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890319B1 (ko)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연결구조체
KR200444785Y1 (ko) 좌/우 겸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KR20090009954U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200397197Y1 (ko)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US20190376314A1 (en) Door striker for preventing door movement
KR101856179B1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JP4107124B2 (ja) 扉錠の受金具
KR102023105B1 (ko)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KR100526814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KR20230097377A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JP2003328604A (ja) 鎖錠用ハンドル装置
CN102383675B (zh) 用于进入门的防盗装置
KR200480588Y1 (ko) 푸쉬-풀 도어락의 프런트 핸들 스토퍼 구조체
KR102243412B1 (ko) 창호 그립핸들의 사각축 호환구조
JP49533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601588B2 (ja) サブロックを備えたサッシ
KR20100009145U (ko) 좌/우 겸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187067Y1 (ko) 레버록의 레버 조립구조
US4872328A (en) Door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0925335B1 (ko) 원형 모티스를 활용한 디지털도어락
KR20230032585A (ko) 핸들 고정형 도어락용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KR20070105739A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