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08B1 -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08B1
KR101889508B1 KR1020170050218A KR20170050218A KR101889508B1 KR 101889508 B1 KR101889508 B1 KR 101889508B1 KR 1020170050218 A KR1020170050218 A KR 1020170050218A KR 20170050218 A KR20170050218 A KR 20170050218A KR 101889508 B1 KR101889508 B1 KR 10188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module
nozzl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이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희 filed Critical 이도희
Priority to KR102017005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2Apparatus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작업자의 손바닥 일 측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압력이 해제되면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센싱 장갑; 상기 제1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수신받는 제1 수신모듈과, 상기 분사 유닛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분사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단말; 그리트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과,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분사 압력을 제어하는 분사 압력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과 연결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별도의 부사수 없이 직접 블라스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극히 향상되고, 비상 상황 시 블라스팅 장치를 자동 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Bl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자가 부사수의 도움 없이 직접 블라스팅 장치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압력 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위험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센싱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팅 장치는 날카로운 모가 있는 알갱이 형태의 그리트(grit)를 4 내지 6기압의 고압으로 분사하여 철판 등의 이물질이나 녹을 제거하는 블라스팅 작업에 이용되는 것으로, 주로 조선 산업 분야에서 도장 등의 후가공 공정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 개념의 작업에서 적용된다.
블라스팅 작업은 고압으로 분사되는 그리트가 대기 중에 산재하게 되는 환경 특성 상 선체 블록을 밀폐된 공장 내부에 들인 상태로 진행되며, 블라스팅 장치의 노즐만을 상기 선체 블록 내부로 유입시켜 작업자가 직접 노즐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장시간 수행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블라스팅 장치의 전원 제어, 그리트 분사 압력 제어 등의 조작을 위한 제어 패널은 선체 외부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관계로, 상기 제어 패널의 조작은 작업자 외 별도의 부사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작업자와 부사수는 기 약속된 단순한 방식의 신호전달을 통해 의사를 소통하는데, 작업장 내 분진과 소음 등으로 인해 신호전달의 신뢰성조차 확보되지 않아 소통 상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극히 저하된다.
더불어, 작업자가 분진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그리트를 이용한 고압ㅇ고속 블라스팅 작업을 장시간 실시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며, 만약 작업자가 노즐을 놓치게 되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노즐은 고압에 의해 불규칙하게 요동치게 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야기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작업자의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강조하는 선주사의 지속적인 요구로 제조사의 관련 법규 및 처벌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작업자의 안전의식 수준은 제자리에 머무는 등,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의 구상 및 적용이 시급한 상황에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46028호 '블라스팅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블록 내부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블라스팅부; 작업영역의 종류에 따른 작업요소인자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블록 내부를 작업영역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작업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작업영역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작업요소인자와 매칭시켜 구동데이터를 생성하는 구동정보생성부; 및 구동데이터를 전송받아 블라스팅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블라스팅 작업 자동화를 구현하였다. 상술한 특허 기술을 적용하면 작업자 없이 선체 블록 내부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특허 기술의 자동화 시스템의 적용을 위해서는 매우 큰 경제적 손실이 따를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노즐을 제어하며 블라스팅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작업의 완성도도 현저히 떨어져, 현재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선행 특허기술의 원천적 문제를 해결하고 현 실정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토록 한 선행 특허로는, 한국 등록 특허 제 10-1259213호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블라스팅 셀 내부 작업자 상황인지 시스템'이 있다. 상기 특허는 개인별로 휴대 및 착용할 수 있도록 진동 및 온도센서가 내장된 RFID 액티브 테그와 무전기로 구성되어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블라스팅 셀 내로 들어간 개별 작업자의 움직임 여부와 내부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송출함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발생되는 비상호출 정보 및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해 주고, 또 관리자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지시 정보 및 안전을 위한 음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즉시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술한 문제점의 일부를 해소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블라스팅 장치의 제어 패널을 부사수가 수행토록 한 것을 개선하지 못하였고, 또한 통신 거리가 매우 짧은 RFID가 적용된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 통신을 위해 별도의 엑세스 포인트 등을 마련토록 하여 설치 과정의 번거로움, 통신 효율 저하 및 설치 비용 증대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부사수의 도움 없이 직접 블라스팅 장치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의 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위험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센싱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46028호 '블라스팅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한국등록특허 제 10-1259213호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블라스팅 셀 내부 작업자 상황인지 시스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별도의 부사수 없이 직접 블라스팅 장치 제어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분사 노즐을 실수로 놓치거나 작업자가 실신한 경우 등 비상 상황에서의 작업자의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원격 장치를 활용함에 있어서 각 장치 간 신호 간섭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으로, 작업 상황을 외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상 상황 시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시스템은, 작업자의 손바닥 일 측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압력이 해제되면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센싱 장갑; 상기 제1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수신받는 제1 수신모듈과, 상기 분사 유닛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분사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단말;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과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과 연결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분사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와, 상기 센싱 장갑의 압력 센서가 생성한 노즐 홀딩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분사 유닛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비상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분사 유닛을 오프 제어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센싱 장갑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비상 제어부는, 한 쌍의 상기 센싱 장갑의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비상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검지 바닥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원격 제어부를 통한 온오프 제어 이력인 원격 제어 이력과, 상기 비상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 비상 제어 이력을 포함하는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이력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3 송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모듈과, 상기 제3 수신모듈에 대한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 각각의 실시간 수신 여부에 따라 제1 내지 제3 송수신모듈 별 통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목록화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상태 기록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송수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송수신모듈과 상기 제3 송수신모듈은, 각기 서로 다른 방식의 원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송수신모듈은, 지그비 통신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송수신모듈은, 로라 통신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1) 작업자가 별도의 부사수 없이 직접 블라스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극히 향상되고,
2) 작업자가 분사 노즐을 실수로 놓치거나 작업자가 실신한 경우 등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블라스팅 장치를 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3) 각 장치 간 통신방식을 서로 달리 적용하여 전체 통신 효율이 증가되고 신호 간섭 가능성도 미연에 방지됨과 동시에,
4) 작업 상황을 외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통신 상태 이상 또는 작업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추가 대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 상태 기록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센싱 장갑(100)과, 원격 제어 단말(200), 블라스팅 장치(300) 및 모니터링 단말(400)을 포함하여 블라스팅 장치(300)의 원격 조작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 통합 시스템이다.
센싱 장갑(100)은, 작업자가 노즐을 잡고 있는 상태로 정상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 보호를 위하여 착용하는 작업용 장갑의 일 측에 압력 센서(11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압력 센서(110)는 작업자의 손바닥 일 측과 접촉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검지 바닥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분사 노즐(320)을 쥠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것으로, FSR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110)는 압력이 해제되면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노즐을 쥐고 있지 않은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물론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경우에 노즐 홀딩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노즐 홀딩 신호는 후술할 모니터링 단말(400)로 보내져 작업 수행 이력 등의 표시에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센싱 장갑(100)은 작업자의 양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 센싱 장갑(100)에는 각각 상기 압력 센서(11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양 손별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각각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싱 장갑(100)은, 상기 압력 센서(110)에서 생성된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원격 제어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인 제1 송신모듈(120)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 단말(200)은 작업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센싱 장갑(100)과의 이격 거리가 매우 짧은 바, 근거리 저전력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특히 RFID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규격 중 하나인 지그비(Zigbee)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원격 제어 단말(200)은 기본적으로 상기 분사 유닛(31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작업자로부터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조작 패널(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항시 휴대할 수 있는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이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기본적으로 분사 유닛(310)의 그리트 분사를 제어하는 핵심 구성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오프 신호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분사 유닛(310)으로부터 분사되는 그리트의 분사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분사 압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단말(200)은 각기 구분된 복수의 버튼을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작업자로부터 수동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단말(200)은 상기 센싱 장갑(100) 및 블라스팅 장치(300) 각각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제1 수신모듈(210) 및 제2 송신모듈(230)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1 수신모듈(210)은 상기 제1 송신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전송받는 것으로, 상기 제1 송신모듈(120)과 동일한 통신규격이 적용된 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지그비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송신모듈(230)은 복수의 신호들을 상기 블라스팅 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신호는 제1 수신모듈(210)을 통해 전송받은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조작 패널(220)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이 때, 작업자와 블라스팅 장치(300)가 각각 선체 내부 및 선체 외부에 배치되어 양 간 이격 거리가 비교적 크므로, 상기 제1 송수신모듈(120, 210)보다 통신 거리가 긴 원거리 저전력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저전력, 저 전파 간섭, 고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LoRa(Long Range) 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신모듈(230)이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수신모듈(210)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함께 취합하여 상기 블라스팅 장치(300)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센싱 장갑(100)의 제1 송신모듈(120)이 직접 상기 블라스팅 장치(300)와 통신할 필요가 없어 통신 효율이 증가되고 신호 간섭 가능성도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블라스팅 장치(300)는 블라스팅 작업을 위하여 그리트를 분사하는 장치로 상기 센싱 장갑(100) 및 상기 원격 제어 단말(200)에서 발생한 각각의 신호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블라스팅 장치(300)는 기본적으로, 그리트의 분사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분사 유닛(310)과, 상기 분사 유닛(310)과 연결된 노즐로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블라스팅 대상, 즉 철판 등을 향한 그리트의 분사 방향을 가이드하는 분사 노즐(32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유닛(310)은 상기 원격 제어 단말(200)로부터 상술한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받기 위하여 상기 제1 송신모듈(120)과 동일한 통신 규격을 갖는 제2 수신모듈(311)과, 수신받은 복수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312)은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원격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분사 유닛(310)을 제어하는 것으로, 원격 제어부(312a)와 비상 제어부(312b) 및 제어 이력 생성부(312c)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제어부(312a)는 상기 조작 패널(220)을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분사 유닛(31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비상 제어부(312b)는 상기 센싱 장갑(100)의 압력 센서(110)가 생성한 노즐 홀딩 해제 신호가 제1 송수신모듈(120,210) 및 제2 송수신모듈(230,311)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분사 유닛(310)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비상 오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온오프 신호 없이도 상기 분사 유닛(310)을 오프 제어한다.
즉, 상기 원격 제어부(312a)를 통해 작업자가 정상 상태로 블라스팅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상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의사에 의해 입력받은 온오프 신호에 의해 분사 유닛(310)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상기 비상 제어부(312b)는 작업자가 상기 분사 노즐(320)을 실수로 놓치거나 작업자가 실신한 경우 등 각종 비상 상황에 의해 상기 압력 센서(110)가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생성하면 이를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분사 유닛(310)을 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비상 제어부(312b)가 정상적인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 즉 정상적인 작업 진행 상황에서 작업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320)을 쥐고 있는 양 손 중 한 손만을 놓은 상태를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상기 센싱 장갑(100)의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분사 유닛(310)의 구동을 차단시키기 위한 비상 오프 신호를 생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비상 상황에 대한 판단 오류에 의한 작업 효율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이력 생성부(312c)는, 상기 원격 제어부(312a)와 상기 비상 제어부(312b)를 통해 상기 분사 유닛(310)의 작동이 제어된 이력인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 이력 정보는 상기 원격 제어부(312a)를 통한 온오프 제어 이력인 원격 제어 이력과, 상기 비상 제어부(312b)를 통해 제어된 비상 제어 이력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일련의 분사 유닛 제어 과정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단말(40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분사 유닛(310)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에 전송하는 제3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 역시 상기 제3 송신모듈(313)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전송받은 제3 수신모듈(41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3 송수신모듈(313,410)은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해야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송수신모듈(230,311)과의 신호 간섭이 없어야할 것인바, 상기 제2 송수신모듈(230,311)과 서로 다른 방식의 원거리 통신 방식, 그 중에서도 특히 와이파이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은 상기 제3 수신모듈(410)을 통해 수신받은 각종 신호들을 기반으로 각 송수신모듈 간 통신 상태와 현재까지의 작업 상태 및,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자가 확인가능토록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은 통신 상태 확인부(420)와 작업 상태 기록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상태 확인부(420)는, 상기 제3 수신모듈(410)에 대한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 각각의 실시간 수신 여부에 따라 제1 내지 제3 송수신모듈 별 통신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상기 제3 수신모듈(410)로의 상기 제어 이력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송수신모듈(313,410)의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는 상기 제2 송수신모듈(230,311)의 통신상태 판단의 기준이 되며,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통해 상기 제1 송수신모듈(120,210)의 통신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신호 수신 여부에 따른 경우의 수에 의해 특정 송수신모듈의 통신 상태 이상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통신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 상태 기록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 상태 기록부(43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어 이력 정보, 즉 상기 원격 제어 이력과 상기 비상 제어 이력을 수신받아 상기 모니터링 단말(400)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시간별로 목록화하여 작업 상태 DB를 구축하는 것으로, 상기 비상 제어 이력을 통해 실시간으로 비상 제어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 구조 등 빠른 대처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 상태 DB는 차후 블라스팅 작업의 효율 향상 등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센싱 장갑
110: 압력 센서
120: 제1 송신모듈
200: 원격 제어 단말
210: 제1 수신모듈
220: 조작 패널
230: 제2 송신모듈
300: 블라스팅 장치
310: 분사 유닛
311: 제2 수신모듈
312: 제어 모듈
312a: 원격 제어부
312b: 비상 제어부
312c: 제어 이력 생성부
313: 제3 송신모듈
320: 분사 노즐
400: 모니터링 단말
410: 제3 수신모듈
420: 통신 상태 확인부
430: 작업 상태 기록부

Claims (7)

  1. 작업자의 손바닥 일 측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압력이 해제되면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한 쌍의 센싱 장갑;
    작업자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제1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수신받는 제1 수신모듈과, 분사 유닛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작업자로부터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분사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단말;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과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과 연결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상기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분사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와,
    한 쌍의 상기 센싱 장갑으로부터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비상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분사 유닛을 오프 제어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검지 바닥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원격 제어부를 통한 온오프 제어 이력인 원격 제어 이력과, 상기 비상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 비상 제어 이력을 포함하는 제어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이력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3 송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모듈과,
    상기 제3 수신모듈에 대한 상기 노즐 홀딩 해제 신호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 각각의 실시간 수신 여부에 따라 제1 내지 제3 송수신모듈 별 통신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목록화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상태 기록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단말;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송수신모듈과 상기 제3 송수신모듈은,
    각기 서로 다른 방식의 원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모듈은, 지그비 통신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제2 송수신모듈은, 로라 통신방식이 적용되며,
    상기 제3 송수신모듈은, 와이파이 통신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KR1020170050218A 2017-04-19 2017-04-19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KR10188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8A KR101889508B1 (ko) 2017-04-19 2017-04-19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8A KR101889508B1 (ko) 2017-04-19 2017-04-19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508B1 true KR101889508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18A KR101889508B1 (ko) 2017-04-19 2017-04-19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164A (ja) * 1995-08-24 1997-03-04 Maruyama Mfg Co Ltd 動力噴霧機の遠隔制御方法及び動力噴霧機
KR20070070606A (ko) * 2005-12-29 2007-07-04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장갑을 이용한 졸음 운전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5376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캐리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259213B1 (ko) 2008-05-28 2013-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블라스팅 셀 내부 작업자 상황인지 시스템
KR101346028B1 (ko) 2012-03-06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164A (ja) * 1995-08-24 1997-03-04 Maruyama Mfg Co Ltd 動力噴霧機の遠隔制御方法及び動力噴霧機
KR20070070606A (ko) * 2005-12-29 2007-07-04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장갑을 이용한 졸음 운전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9213B1 (ko) 2008-05-28 2013-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블라스팅 셀 내부 작업자 상황인지 시스템
KR20110125376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캐리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346028B1 (ko) 2012-03-06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213B1 (ko)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블라스팅 셀 내부 작업자 상황인지 시스템
JP6682020B2 (ja) 管制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32253B2 (en) Automatic machine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US20190105788A1 (en) Safety system for safeguarding cooperative operation of people, robots and machines
US20180273344A1 (en) Wire bridge monitoring system
JP2007233817A (ja) 教示装置、コントローラ、自動機械システム、およびその無線通信方法
US20130057391A1 (en) Integrated modular active safety system based on active dual-frequency rfid devices
US201903405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s and Personnel In Designated Areas on Offshore Unit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20160112048A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49650A (ko) 장애물 근접거리 계측에 의한 지게차 알람 및 정지 제어 시스템
JP2017082430A (ja) 建設機械の安全管理システム
KR20170101385A (ko)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JP2013242642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KR102133180B1 (ko)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EP3528077B1 (en) System for safeguarding a person from an autonomously operating machine
KR20210043060A (ko) 고소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57324B2 (ja) ロボット警備システム
KR101889508B1 (ko) 블라스팅 장치 제어 시스템
US200501377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industrial robot and a tpu
EP3471922B1 (de) Verfahren zu einer sicherung von zumindest einer be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von einer tragbaren werkzeugmaschine
JP6185711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