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268B1 -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 Google Patents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268B1
KR101889268B1 KR1020160163489A KR20160163489A KR101889268B1 KR 101889268 B1 KR101889268 B1 KR 101889268B1 KR 1020160163489 A KR1020160163489 A KR 1020160163489A KR 20160163489 A KR20160163489 A KR 20160163489A KR 101889268 B1 KR101889268 B1 KR 10188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ductive contact
glov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580A (ko
Inventor
김현락
손민혁
조인희
Original Assignee
김현락
손민혁
조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락, 손민혁, 조인희 filed Critical 김현락
Priority to KR102016016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2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제1 손가락 삽입부 및 제2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피 검사물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제1 전도성 접촉부,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되는 제2 전도성 접촉부, 장갑에 마련되는 전원부, 일단이 제1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선부, 일단이 제2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부; 및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1 전선부 및 제2 전선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 검사물의 단선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GLOVES DEVICE FOR TESTING DISCONN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선 테스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기구 부품 또는 릴레이 등을 통해 상호 접속하여 회로나 회선을 구성하는 전기 장치의 경우, 각 결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터기의 리드 선을 양 손으로 잡고 피 테스트 전기 장치의 각 전선의 양단에 연결하여 단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경우, 다른 작업을 하는 중에 단선 확인을 위해 일일이 테스터기를 가져와 테스트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테스터기를 분실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886호(1999.04.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선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제1 손가락 삽입부 및 제2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 상기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피 검사물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제1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되는 제2 전도성 접촉부; 상기 장갑에 마련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선부; 일단이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부; 및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 검사물의 단선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는, 각각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종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프로브;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일측 손에 착용되는 제1 장갑;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타측 손에 착용되는 제2 장갑; 상기 제1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피 검사물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제1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제2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되는 제2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제1 장갑에 마련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선부; 일단이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부; 및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 검사물의 단선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는, 각각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제2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종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프로브;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전원부의 일 단자를 감싸며 마련되는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전선부의 종단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상기 제2 탈착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전원부의 일 단자와 상기 제2 전선부의 종단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 결합부 각각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제2 전선부에 마련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선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길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1 전선부; 및 일단이 상기 길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전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에 외측으로 작용되는 외압에 따라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외압이 없어지는 경우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가 복원되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갑에 단선 테스터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피 검사물의 단선 테스트를 바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도 단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있으므로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에서, 제1 탈착 결합부와 제2 탈착 결합부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100)는 장갑(102), 제1 전도성 접촉부(104), 제2 전도성 접촉부(106), 제1 전선부(108), 제2 전선부(110), 알람부(112), 및 전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갑(102)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각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102a)를 구비할 수 있다. 손가락 삽입부(102a)는 다섯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 삽입부(102a)는 적어도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삽입부(102a)는 엄지에 대응하여 1개가 마련되고, 검지 또는 중지에 대응하여 1개가 마련될 수 있다. 장갑(102)은 절연 재질(예를 들어, 면 재질 또는 신축성 고무 재질 등)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102a)(예를 들어, 엄지에 대응하는 손가락 삽입부, 이하,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라 지칭될 수 있음)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의 종단부에서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의 외면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접착 부재 등을 통해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의 외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을 이용한 박음질을 통해 제1 손가락 삽입부(102a-1)와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104)는 단선을 테스트하기 위한 피 검사물(예를 들어, 전선 또는 단자 구조물 등)(미도시)의 일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다른 손가락 삽입부(102a)(예를 들어, 검지 또는 중지 등에 대응하는 손가락 삽입부, 이하,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라 지칭될 수 있음)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의 종단부에서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의 외면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접착 부재 등을 통해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의 외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을 이용한 박음질을 통해 제2 손가락 삽입부(102a-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106)는 단선을 테스트하기 위한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선부(108)는 제1 전도성 접촉부(104)와 전원부(1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선부(108)의 일단은 제1 전도성 접촉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선부(108)의 타단은 전원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선부(108)의 타단은 전원부(114)의 플러스(+)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선부(108)는 전선 및 전선을 감싸며 형성되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선부(108)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갑(100)에 매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선부(110)는 제2 전도성 접촉부(106)와 전원부(1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선부(110)의 일단은 제2 전도성 접촉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선부(110)의 타단은 전원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부(110)의 타단은 전원부(114)의 마이너스(-)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선부(110)는 전선 및 전선을 감싸며 형성되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선부(11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갑(100)에 매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알람부(112)는 피 검사물의 단선 여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알람부(112)는 피 검사물이 정상적으로 결선된 경우 동작하고, 피 검사물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동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피 검사물이 정상적으로 결선된 경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100) 및 피 검사물로 인해 전류 폐루프(전원부(114) → 제1 전선부(108)(알람부(112) 포함) → 제1 전도성 접촉부(104) → 피 검사물 → 제2 전도성 접촉부(106) → 제2 전선부(110) → 전원부(114))가 형성되며, 알람부(112)에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부(112)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피 검사물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전류 폐루프가 형성되지 않아, 알람부(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여 알람부(112)가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알람부(112)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 검사물이 정상적으로 결선되어 있으면 발광 소자가 발광하고, 피 검사물에 단선이 발생하였으면 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12)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 검사물이 정상적으로 결선되어 있으면 스피커가 특정 소리를 방출하고, 피 검사물에 단선이 발생하였으면 스피커에서 어떤 소리도 방출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알람부(112)는 제1 전선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선부(108)는 제1-1 전선부(108-1) 및 제1-2 전선부(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전선부(108-1)의 일단은 제1 전도성 접촉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1 전선부(108-1)의 타단은 알람부(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2 전선부(108-2)의 일단은 알람부(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2 전선부(108-2)의 타단은 전원부(1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부(112)는 제2 전선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알람부(112)는 장갑(102)의 외면에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14)는 알람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부(114)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114)는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장갑(102)에는 전원부(114)를 수납하는 전원부 수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 수납부는 장갑(102)의 손등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갑에 단선 테스터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피 검사물의 단선 테스트를 바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도 단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있으므로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100)는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브(116)는 제1 전도성 접촉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프로브(118)는 제2 전도성 접촉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는 각각 제1 전도성 접촉부(104) 및 제2 전도성 접촉부(106)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는 각각 제1 전도성 접촉부(104) 및 제2 전도성 접촉부(106)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는 각각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피 검사물의 단선 테스트 시, 제1 프로브(116)는 피 검사물의 일단부에 접촉되고, 제2 프로브(118)는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를 마련함으로써, 손가락이 들어가기 어려운 협소한 공간의 피 검사물도 용이하게 단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는 각각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피 검사물의 주변 공간 형태에 따라 제1 프로브(116) 및 제2 프로브(118)를 휘어지게 하여 피 검사물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각각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와 대응되는 구성 요소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200)는 제1 장갑(202-1), 제2 장갑(202-2), 제1 전도성 접촉부(204), 제2 전도성 접촉부(206), 제1 전선부(208), 제2 전선부(210), 알람부(212), 전원부(214), 제1 탈착 결합부(216), 및 제2 탈착 결합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갑(202-1)은 사용자의 일측 손(예를 들어, 왼손)에 착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장갑(202-2)은 사용자의 타측 손(예를 들어, 오른손)에 착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전도성 접촉부(204)는 제1 장갑(202-1)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예를 들어, 검지 또는 중지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접촉부(206)는 제2 장갑(202-2)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예를 들어, 검지 또는 중지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선부(208)는 제1 전도성 접촉부(204)와 전원부(2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전선부(208)는 제1 장갑(202-1)에서 제1 전도성 접촉부(204)와 전원부(2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214)는 제1 장갑(202-1)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선부(210)는 제2 전도성 접촉부(206)와 전원부(2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214)가 제1 장갑(202-1)에 마련된 경우, 제2 전선부(210)는 제2 전도성 접촉부(206)와 전원부(2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정 기준 길이(예를 들어, 사용자의 어깨 너비 등)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길이는 사용자가 양 팔을 벌렸을 때 양 팔 간의 거리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알람부(212)는 제1 장갑(202-1)에서 제1 전선부(2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람부(212)는 제2 장갑(202-2)에서 제2 전선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부(214)는 제1 장갑(202-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214)는 제1 장갑(202-1)의 말단부(즉, 제1 장갑(202-1)의 손목부)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부(214)는 제2 장갑(202-2)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장갑(202-1)과 제2 장갑(202-2)을 사용함으로써, 부피가 큰 피 검사물도 용이하게 단선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되며, 제1 전도성 접촉부(204) 및 제2 전도성 접촉부(206)가 각각 접촉하는 부위 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단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탈착 결합부(216)는 전원부(214)의 일측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탈착 결합부(216)는 전원부(214)의 일 단자(214a)(예를 들어, 마이너스 단자)에서 제2 탈착 결합부(218)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에서, 제1 탈착 결합부(216)와 제2 탈착 결합부(218)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부(214)의 일 단자(214a)는 전원부(214)의 본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탈착 결합부(216)는 전원부(214)의 일 단자(214a)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탈착 결합부(216)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탈착 결합부(218)는 제2 전선부(210)의 종단(즉, 제2 전선부(210)의 타단)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탈착 결합부(218)는 제2 전선부(210)의 종단부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탈착 결합부(218)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탈착 결합부(216)와 제2 탈착 결합부(218)가 자기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때, 전원부(214)의 일 단자(214a)와 제2 전선부(210)의 타단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탈착 결합부(216) 및 제2 탈착 결합부(218)를 통해 전원부(214) 및 제2 전선부(21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원부(214)와 제2 전선부(21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뿐더러, 전원부(214)외 제2 전선부(21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장갑(202-1)과 제2 장갑(202-2)이 제2 전선부(210)의 길이 이상으로 벌어지면서 제1 탈착 결합부(216)와 제2 탈착 결합부(218) 간의 자기력을 넘어서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탈착 결합부(216)와 제2 탈착 결합부(218)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제2 전선부(21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와 대응되는 구성 요소는,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200)는 길이 조절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20)는 제2 전선부(21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선부(210)는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전선부(210-1)의 일단은 제2 전도성 접촉부(2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1 전선부(210-1)의 타단은 길이 조절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전선부(210-2)의 일단은 길이 조절부(220)에 연결되고, 제2-2 전선부(210-2)의 타단은 전원부(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2 전선부(210-2)의 타단은 전원부(214)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에서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탈착 결합부(216) 및 제2 탈착 결합부(218)를 통해 전원부(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길이 조절부(220)는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의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부(220)는 사용자가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를 당기는 경우,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따라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가 길이 조절부(22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외력이 없어지는 경우, 다시 제2-1 전선부(210-1) 및 제2-2 전선부(210-2)가 복원되어 길이 조절부(2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2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102 : 장갑
102a : 손가락 삽입부
102a-1 : 제1 손가락 삽입부
102a-2 : 제2 손가락 삽입부
104, 204 : 제1 전도성 접촉부
106, 206 : 제2 전도성 접촉부
108, 208 : 제1 전선부
108-1 : 제1-1 전선부
108-2 : 제1-2 전선부
110, 210 : 제2 전선부
112, 212 : 알람부
114, 214 : 전원부
116 : 제1 프로브
118 : 제2 프로브
202-1 : 제1 장갑
202-2 : 제2 장갑
210-1 : 제2-1 전선부
210-2 : 제2-2 전선부
216 : 제1 탈착 결합부
218 : 제2 탈착 결합부
220 : 길이 조절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일측 손에 착용되는 제1 장갑;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삽입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타측 손에 착용되는 제2 장갑;
    상기 제1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피 검사물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제1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제2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외면에 마련되고, 상기 피 검사물의 타단부에 접촉되는 제2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제1 장갑에 마련되는 전원부;
    일단이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선부;
    일단이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부;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 검사물의 단선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
    상기 전원부의 본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상기 전원부의 일 단자를 감싸며 마련되고,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전선부의 종단에서 상기 제2 전선부의 종단을 감싸며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결합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탈착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상기 제2 탈착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전원부의 일 단자와 상기 제2 전선부의 종단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는,
    각각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제2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의 종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프로브; 및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는,
    상기 제2 전선부에 마련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선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길이 조절부에 연결되는 제2-1 전선부; 및
    일단이 상기 길이 조절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전선부를 포함하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에 외측으로 작용되는 외압에 따라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외압이 없어지는 경우 상기 제2-1 전선부 및 상기 제2-2 전선부가 복원되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되는,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KR1020160163489A 2016-12-02 2016-12-02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KR10188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89A KR101889268B1 (ko) 2016-12-02 2016-12-02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89A KR101889268B1 (ko) 2016-12-02 2016-12-02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80A KR20180063580A (ko) 2018-06-12
KR101889268B1 true KR101889268B1 (ko) 2018-08-17

Family

ID=6262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489A KR101889268B1 (ko) 2016-12-02 2016-12-02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412B1 (ko) * 2019-01-24 2021-07-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특성 측정 장치
KR102248381B1 (ko) * 2020-11-26 2021-05-06 박시형 벨 테스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355Y1 (ko) * 2004-10-13 2004-12-29 황선태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JP2005214941A (ja) * 2004-02-02 2005-08-11 Nec Corp 電気測定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886Y1 (ko) 1993-04-19 1999-04-01 이대원 케이블 단선/단락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941A (ja) * 2004-02-02 2005-08-11 Nec Corp 電気測定具
KR200371355Y1 (ko) * 2004-10-13 2004-12-29 황선태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80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515B2 (en) Device for charging batteries
US20180351393A1 (en) Inductive coupl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US8199947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with magnetic control
KR101889268B1 (ko) 단선 테스터 장갑 장치
CN110558687B (zh) 腕戴设备
US20160381448A1 (en) Earphone assemblies with magnets for anchoring to a user
US11160462B2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device
DK2255546T3 (da) Høreapparat med brugerstyring, tilsvarende fremgangsmåde og anvendelse
CN205106613U (zh) 内设天线的表带和手表
KR102130831B1 (ko)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KR20210008619A (ko) 전자담배용 커버
CN205809559U (zh) 智能手表和可用于智能手表的天线模组
CN211507126U (zh) 便携式录音设备
JP6496939B2 (ja) 載置台、通信装置、アンテナ特性補正部材、及び通信システム
CN210835088U (zh) 一种用于电磁阀的磁场检测装置
KR101817479B1 (ko) 마그네틱 결속형 핀마이크 클립
KR101531598B1 (ko) 멀티 포트를 가지는 전자기기
JP5386843B2 (ja) 給電器、受電器並びに非接触型データ及び電力伝送装置
JP6606371B2 (ja) 端子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WO2019134054A1 (es) Dispositivo detector de tensión eléctrica aplicado a guante de seguridad para detectar la presencia de tensión eléctrica en cables, máquinas o equipos, para disminuir riesgos de accidentes por electrocución
JP2019203880A (ja) 携帯型測定器
CN112919237B (zh) 一种电动绕线器和电动绕线器的控制方法
CN218041737U (zh) 一种具有霍尔开关的骨传导耳机
KR100537544B1 (ko) 평판형 커넥터
CN214843288U (zh) 一种会展中心人员定位监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