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10B1 -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10B1
KR101553610B1 KR1020140041454A KR20140041454A KR101553610B1 KR 101553610 B1 KR101553610 B1 KR 101553610B1 KR 1020140041454 A KR1020140041454 A KR 1020140041454A KR 20140041454 A KR20140041454 A KR 20140041454A KR 101553610 B1 KR101553610 B1 KR 10155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connector
garment
region
wir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수
나주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사가 의류의 외측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양호하게 전송하고, 의류와 함께 잘 휘어지며,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고, 또한, 스냅 단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갖는 스냅 커넥터를 구비하여, 두께가 얇고 디자인이 미려하며, 결합 후 임계치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 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하부 의류와, 제1하부 의류에 위치된 배선과, 제1하부 의류에 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1상부 의류와,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영역; 제2하부 의류와, 제2하부 의류에 위치된 디지털 사와, 제2하부 의류에 디지털 사를 덮도록 위치된 제2상부 의류와, 디지털 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영역; 및, 제1스냅 커넥터 및 제2스냅 커넥터는 상호간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HAVING SNAP CONN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어 그대로 "착용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액세서리처럼 전자기기를 몸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신체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구 개발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미국에서는 이미 40여년전 최초의 웨어러블 컴퓨팅과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디지털 사와 의류 사이의 결합 구조이다. 디지털 사는 외부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할 수 있어야 하고, 의류와 함께 잘 휘어져야 하며, 또한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노이즈나 손실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며, 의류에 기구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고 미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사가 의류의 외측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하고, 의류와 함께 잘 휘어지며, 또한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냅 단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갖는 스냅 커넥터를 구비하여, 두께가 얇고 디자인이 미려하며, 결합 후 임계치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 및 손실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하부 의류와, 상기 제1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1배선과, 상기 제1하부 의류에 상기 제1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1상부 의류와, 상기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영역; 제2하부 의류와, 상기 제2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2배선과, 상기 제2하부 의류에 상기 제2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2상부 의류와, 상기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영역; 및, 상기 제1스냅 커넥터 및 상기 제2스냅 커넥터는 상호간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된다.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증폭 회로 모듈, 블루트스 모듈, 스피커 및 소켓 커넥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및 증폭 회로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방수 봉투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은 디지털 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은 S 또는 W 형태로 휘어진 채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 의류, 제1상부 의류, 제2하부 의류 또는 제2상부 의류는 스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냅 커넥터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제1도전성 몸체와,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중앙에 결합된 고무 탄성부와, 상기 고무 탄성부의 외측으로서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 탄성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협지되는 제2도전성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성 몸체는 상기 제1하부 의류 및 제1상부 의류를 관통하며, 상기 고무 탄성부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제1중앙 영역과, 상기 제1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고무 탄성부가 돌출되어 위치되고 둘레에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결합된 제1하부 영역과, 상기 제1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 영역과 함께 상기 제1하부 의류 또는 상기 제1상부 의류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1상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중앙 영역, 상기 제1하부 영역 및 상기 제1상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1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성 몸체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를 관통하는 원통 형태의 제2중앙 영역과,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영역과,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하부 영역과 함께 상기 제2하부 의류 또는 제2상부 의류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2상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내측 돌기와, 상기 제2상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측면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는 외측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중앙 영역, 상기 제2하부 영역 및 상기 제2상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의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2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외측 돌기는,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갖는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무 탄성부와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내측 돌기는,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절단된 원형 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1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2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2스냅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는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상호간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1하부 의류 및 제1상부 의류의 사이에 구비된 서브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에 구비된 서브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의 사이에는 서브 와이어 스프링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사가 의류의 외측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하고, 의류와 함께 잘 휘어지며, 또한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냅 단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갖는 스냅 커넥터를 구비하여, 두께가 얇고 디자인이 미려하며, 결합 후 임계치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 및 손실없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의류에 접착된 디지털 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다양한 구조의 디지털 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및 와이어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배터리가 USB 또는 충전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제1스냅 커넥터(110)를 갖는 제1영역(11)과, 제2스냅 커넥터(120)를 갖는 제2영역(13)을 포함하고, 제1영역(11)의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영역(13)의 제2스냅 커넥터(120)는 상호간 기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영역(11)은 제1하부 의류(11a)와, 제1하부 의류(11a)에 위치된 제1배선(12)과, 제1하부 의류(11a)에 제1배선(12)을 덮도록 위치된 제1상부 의류(11b)와, 제1배선(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냅 커넥터(110)를 포함한다.(도 4b 참조) 도 1에서 3개의 제1영역(11)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갯수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제2영역(13)은 제2하부 의류(13a)와, 제2하부 의류(13a)에 위치된 제2배선(14)과, 제2하부 의류(13a)에 제2배선(14)을 덮도록 위치된 제2상부 의류(13b)와, 제2배선(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스냅 커넥터(120)를 포함한다.(도 4b 참조) 도 1에서 제2영역(13)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영역(11)의 제1배선(12) 또는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16), 증폭 회로 모듈(17), 블루트스 모듈(미도시), 스피커(18) 또는 소켓 커넥터(17a,19a)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영역(11)의 제1배선(12)에 스피커(18) 및 배터리(16)가 연결되고,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에 전원의 온/오프 및 음량 조절이 가능한 증폭 회로(17)가 소켓 커넥터(17b)를 통하여 제2배선(14)에 연결되고, 또한 연결 코드(19)가 소켓 커넥터(19a)를 통하여 제2배선(14)에 연결됨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개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일례로 소켓 커넥터(19a)가 연결 코드(19a)를 통하여 스마트 폰(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마트 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증폭 회로(17)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18)로 출력되도록 한다. 더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제2영역(13)이 사람의 목 주변 어깨 위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18)가 사람 머리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포츠나 레저 활동 중에도 각종 음악 등을 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제1영역(11) 및/또는 제2영역(13)의 하면에 벨크로 테이프(미도시)가 접착됨으로써, 사람이 착용한 각종 의류에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사용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일례일 뿐이며, 이러한 구조나 용도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16) 및/또는 증폭 회로 모듈(17)은 외부 습기나 물의 유입 방지를 위해 방수 봉투(16b,17b)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6) 등이 물속에 빠진다고 해도,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제1영역(11)의 제1배선(12) 또는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은 디지털 사 또는 그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영역(11)의 제1배선(12)은 통상의 회로패턴 또는 배선 패턴을 포함하고,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은 디지털 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영역(11)의 제1배선(12) 또는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은 대략 S 또는 W 형태로 휘어진 채 위치됨으로써, 제1배선(12) 또는 제2배선(14)이 형성된 제1영역(11) 및/또는 제2영역(13)이 휘어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늘어나는 경우에도 제1배선(12) 또는 제2배선(14)이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영역(11) 즉, 제1하부 의류(11a), 제1상부 의류(11b), 그리고 제2영역(13) 즉, 제2하부 의류(13a) 및/또는 제2상부 의류(13b)는 스판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제1영역(11) 및/또는 제2영역(13)은 쉽게 휘어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사가 의류의 외측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의류(제1영역 및/또는 제2영역)에 장착되어 파워 또는 통신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하고, 의류(제1영역 및/또는 제2영역)와 함께 잘 휘어지며, 또한 의류가 늘어날 경우에도 끊어지지 않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의류에 접착된 디지털 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선(12) 또는 제2배선(14)이 디지털 사일 경우, 이는 제2하부 의류(13a)(또는 제1하부 의류(11a))와 제2상부 의류(13b)(또는 제1상부 의류(11b))의 사이에 접착층(15)이 개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하부 의류(13a)(또는 제1상부 의류(11b))의 두께는 제2상부 의류(13b)(또는 제1하부 의류(11a))의 두께보다 두꺼움으로써, 제2하부 의류(13a)(또는 제1상부 의류(11b))가 디지털 사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제2상부 의류(13b)(또는 제1하부 의류(11a))는 디지털 사를 덮고, 디지털 사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하부 의류(11a)(또는 제2하부 의류(13a))와 제1상부 의류(11b)(또는 제2상부 의류(13b))는 스판을 포함하고, 또한 제1배선(12) 및/또는 제2배선(14)은 대략 S 또는 W 형태로 의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의류가 휘어지거나, 늘어난다고 해도 제1배선(12) 및/또는 제2배선(14)은 끊어지지 않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이용된 다양한 구조의 디지털 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21)는 코어(21a)와, 코어(21a)를 감싸는 피복층(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21a)와 피복층(21b)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21)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22)는 코어(22a)와, 코어(22a)를 감싸는 제1피복층(22b)과, 제1피복층(22b)을 감싸는 제2피복층(22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22a), 제1피복층(22b) 및 제2피복층(22c)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22)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23)는 다수의 코어(23a)와, 이를 감싸는 피복층(2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23a)와 피복층(23b)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23)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24)는 다수의 제1코어(24a)와, 이를 감싸는 제1피복층(24b)과, 제1피복층(24b)을 감사는 제2코어(24c)와, 제2코어(24c)를 감싸는 제2피복층(24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코어층(24a), 제1피복층(24b), 제2코어층(24c) 및 제2피복층(24d)은 서로 다른 금속이며, 일례로 금, 은, 황동, 구리, 알루미늄, 주석, 스테인리스, 철, 구리합금, 은합금, 금합금, 스테인리스합금, 주석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24)는 대략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29676, 10-08405930, 10-0834974, 10-0966842 및 10-0982532에 등록 공고된 디지털 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1)에 형성된 제1배선(12)과 제2영역(13)에 형성된 제2배선(14)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에 각각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11)의 제1배선(12)은 제1도전성 패턴(102)과 디지털 사(102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영역(13)의 제2배선(14)은 제2도전성 패턴(104)과 디지털 사(104a)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도전성 패턴(102)이 제1스냅 커넥터(110)에 연결되고, 디지털 사(102a)가 제1도전성 패턴(1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전성 패턴(104)이 제2스냅 커넥터(120)에 연결되고, 디지털 사(104a)가 제2도전성 패턴(10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는 1라인 스위치 구조와 유사함으로써, 하나의 제1,2스냅 커넥터(110,120)에 의해 1라인의 전력 또는 통신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11)에는 제1스냅 커넥터(110)가 형성되고, 제2영역(13)에는 제2스냅 커넥터(120)가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1영역(11)에 제2스냅 커넥터(120)가 형성되고, 제2영역(13)에 제1스냅 커넥터(1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및 와이어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는 제1영역(11)에 결합된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영역(13)에 결합된 제2스냅 커넥터(120)를 포함하며,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는 상호간 기구적/전기적으로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스냅 커넥터(110)는 제1영역(11)에 구비된 제1배선(12) 중 제1도전성 패턴(102)에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스냅 커넥터(120)는 제2영역(13)에 구비된 제2배선(14)중 제2도전성 패턴(104)에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는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텐레스 스틸 및 그 등가물과 같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배선(12) 중 제1도전성 패턴(102)에는 디지털 사(102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배선(14) 중 제2도전성 패턴(104)에도 디지털 사 또는 또다른 도전성 패턴(10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배선(12)을 이루는 제1도전성 패턴(102) 및 이에 연결된 디지털 사(102a)는 제1하부 의류(11a) 및 제1상부 의류(11b)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2배선(14)을 이루는 제2도전성 패턴(104) 및 이에 연결된 디지털 사(104a)는 제2하부 의류(13a) 및 제2상부 의류(13b)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는 제1영역(11)에 형성된 제1배선(12) 및 제2영역(13)에 형성된 제2배선(14)을 상호간 기구적/전기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술한 스냅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기구적/전기적 접속 또는 분리가 필요한 영역에 적절하게 응용될 수 있다.
제1스냅 커넥터(110)는 제1도전성 몸체(111), 고무 탄성부(118), 와이어 스프링(119)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도전성 몸체(111)는 제1하부 의류(11a) 및 제1상부 의류(11b)를 관통하며, 고무 탄성부(118)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제1중앙 영역(112)과, 제1중앙 영역(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중앙에 고무 탄성부(118)가 돌출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둘레에 와이어 스프링(119)이 결합된 제1하부 영역(113)과, 제1중앙 영역(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하부 영역(113)과 함께 제1상부 의류(11b)가 협지(狹持)되도록 하는 제1상부 영역(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중앙 영역(112), 제1하부 영역(113) 및 제1상부 영역(114)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중앙 영역(112), 제1하부 영역(113) 및 제1상부 영역(114) 중 적어도 하나에 제1하부 의류(11a)와 제1상부 의류(11b) 사이에 형성된 제1배선(12) 중 제1도전성 패턴(102)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하부 영역(113)은 전반적으로 원형 링 형태를 하며, 내측 중앙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C 또는 ⊂ 형태를 하며, 이러한 제1하부 영역(113)의 개방된 영역에 와이어 스프링(119)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하부 영역(113)의 직경은 와이어 스프링(119)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제1하부 영역(113)의 개방된 영역에서 와이어 스프링(119)이 수평 방향으로 약간씩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고무 탄성부(118)는 제1도전성 몸체(111)의 제1중앙 영역(112)에 결합되며, 이는 하부 영역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상부 영역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대략 오뚜기 형태를 한다. 즉, 고무 탄성부(118)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영역이 제1중앙 영역(112)에 결합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부 영역이 제1중앙 영역(112)으로부터 제1하부 영역(113)의 중앙에까지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됨으로써, 하기할 제2스냅 커넥터(120)에 대략 측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무 탄성부(118)는 통상의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프렌고무, 하이파론고무, 아크릴고무, 플루오르고무, 실리콘고무, 일래스토머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고무 탄성부(118)는 일례로 상용 온도가 -90℃ ~ 200℃인 실리콘고무가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래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우레탄계 일래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염화비닐계 일래스토머, PMMA계 일래스토머, 니트릴계 일래스토머, 실리콘계 일래스토머, 부타디엔계 일래스토머, 에틸렌계 일래스토머, 프로필렌계 일래스토머 및 그 등가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특히, 고탄성을 가는 우레탄계 일래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고무 탄성부(118)의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는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가 상호간 결합되고, 임계치보다 작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1스낵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가 상호간 기계적 및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신호 손실없이 파워 또는/및 전기적 신호를 더욱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와이어 스프링(119)도 이러한 기능을 갖지만, 고무 탄성부(118)가 제2스냅 커넥터(120)를 제1스냅 커넥터(110)를 향하는 측부 방향과, 제1스냅 커넥터(110)의 하부 방향으로 동시에 밀어주게 됨으로써, 임계치보다 작은 외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의 상호간 움직임이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스냅 커넥터(110,120)를 지나는 파워 및/또는 전기적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되거나 신호 손실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고무 탄성부(118)가 자성 재료(예를 들면, 네오디움 고무 자석)를 포함하고, 또한 제2스냅 커넥터(120)가 자성 재료에 달라붙는 재료(예를 들면, 철을 포함하는 금속)일 경우,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는 더욱 증가한다.
또한, 상술한 고무 탄성부(118)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전류가 흐르는 금속 또는 비금속)를 포함할 경우, 더욱 많은 도전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또한, 와이어 스프링(119)은 절단된 원형 링 형태를 하며(도 5b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전성 몸체(111) 중 제1하부 영역(113)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 스프링(119)은 하기할 제2스냅 커넥터(120)가 제1스냅 커넥터(110)에 결합되었을 경우, 제2스냅 커넥터(120)에 대해 대략 중앙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와이어 스프링(119)은 스텐레스 스틸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제2스냅 커넥터(120)는 제2도전성 몸체(121)를 포함하며, 이는 제1도전성 몸체(111)에 구비된 고무 탄성부(118)와 와이어 스프링(119) 사이에 협지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2도전성 몸체(121)는 제2하부 의류(13a) 및 제2상부 의류(13b)를 관통하는 원통 형태의 제2중앙 영역(122)과, 제2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영역(123)과, 제2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하부 영역(123)과 함께 제2하부 의류(13a)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2상부 영역(124)을 포함한다.
또한, 제2도전성 몸체(121)는 제2중앙 영역(122)으로부터 연장되어 고무 탄성부(118)의 하면에 접촉하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의 내측 돌기(125)와, 내측 돌기(125)의 외측으로서 제2상부 영역(124)으로부터 연장되어 고무 탄성부(118)의 측면과 와이어 스프링(119)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돌기(12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중앙 영역(122), 제2하부 영역(123), 제2상부 영역(124), 내측 돌기(135) 및 외측 돌기(126)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내측 돌기(125)에 비해 외측 돌기(126)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측 돌기(126)가 고무 탄성부(118)와 와이어 스프링(119) 사이에 용이하게 협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중앙 영역(122), 제2하부 영역(123) 및 제2상부 영역(124)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하부 의류(13a) 및 제2상부 의류(13b)의 사이에 형성된 제2배선(14) 중 제2도전성 패턴(104)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스냅 단추와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디자인이 미려하며, 결합 후 임계치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구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노이즈/손실 없이 파워 또는/및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냅 커넥터를 제공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순차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냅 커넥터(110)가 제2스냅 커넥터(120)쪽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되거나, 또는 제2스냅 커넥터(120)가 제1스냅 커넥터(110)쪽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되거나, 또한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가 상호간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냅 커넥터(120)의 외측 돌기(126)가 제1스냅 커넥터(110)의 제1하부 영역(113)이 갖는 공간에 결합되며, 특히, 외측 돌기(126)가 고무 탄성부(118)와 와이어 스프링(119) 사이의 공간, 틈 또는 갭(gap)으로 끼워진다. 이때, 외측 돌기(126)게 의해 고무 탄성부(118)는 내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또한 와이어 스프링(119)은 외측 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고무 탄성부(118)는 외측 방향을 향하여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와이어 스프링(119)은 내측 방향을 향하여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냅 커넥터(120)의 외측 돌기(126)가 제1스냅 커넥터(110)의 고무 탄성부(118)와 와이어 스프링(119) 사이의 공간, 틈 또는 갭에 협지됨으로써, 외측 돌기(126)는 고무 탄성부(118)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과, 와이어 스프링(119)이 갖는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고무 탄성부(118)와 와이어 스프링(119) 사이에 강하게 고정 및 결합된다. 물론, 이에 따라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는 전기적/기구적으로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더불어, 제2스냅 커넥터(120)의 내측 돌기(125)는, 제1스냅 커넥터(110)의 고무 탄성부(118)에 의한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결국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는 기구적/전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에 임계치보다 작은 힘이 작용한다고 해도,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제2스냅 커넥터(120)가 상호간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제2스냅 커넥터(120)의 사이에 노이즈/손실없이 파워 또는/및 통신 신호가 양호하게 전송된다.
그러나, 제1스냅 커넥터(110) 및/또는 제2스냅 커넥터(120)에 임계치보다 큰 힘이 작용하면, 제1스냅 커넥터(110) 및/또는 제2스냅 커넥터(120)는 상호간 기구적으로 분리됨으로써, 결국 상호간 전기적으로도 분리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는 상술한 스냅 커넥터(110,120)와 유사한 구조/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술한 스냅 커넥터(110,120)는 1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2라인 스위치 구조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는 제1스냅 커넥터(110)의 외측 표면에 제1절연층(208)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와, 제2스냅 커넥터(120A)의 외측 표면에 제2절연층(209)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는 제1절연층(208)에 의해 제1스냅 커넥터(11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는 제2절연층(209)에 의해 제2스냅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물론, 제1스냅 커넥터(110)가 제2스냅 커넥터(120)에 기구적/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가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에 기구적/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는 제1영역(11)에 형성된 서브 제1배선(2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는 제2영역(13)에 형성된 서브 제2배선(2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와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의 사이에 서브 와이어 스프링(219)이 더 개재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에도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를 향하는 영역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개방홈에 절단된 대략 원형 링 형태의 서브 와이어 스프링(219)이 위치된다. 이러한 서브 와이어 스프링(219)은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가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에 결합된 후,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를 내부 중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c는 제1도전성 패턴(102)을 덮는 최상부 의류이고, 미설명 부호 13c는 서브 제2도전성 패턴(204)을 덮는 최상부 의류이다.
또한, 여기서 제1스냅 커넥터(110) 및 서브 제1스냅 커넥터(210)를 총칭하여 제1스냅 커넥터(110A)로 정의하고, 제2스냅 커넥터(120) 및 서브 제2스냅 커넥터(220)를 총칭하여 제2스냅 커넥터(120A)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는 2라인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더욱 많은 전력 경로 또는 통신 경로를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계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된 스냅 커넥터 및 그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1)에 형성된 제1배선(12) 중 제1도전성 패턴(102)과 제2영역(13)에 형성된 제2배선(14) 중 제2도전성 패턴(104)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즉, 제1,2스냅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제1영역(11)에 형성된 제1배선(12) 중 서브 제1도전성 패턴(202)과 제2의류(103)에 형성된 제2배선(14) 중 서브 제2도전성 패턴(204)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커넥터(110A,120A)(즉, 서브 제1,2스냅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11)에는 제1도전성 패턴(102) 및 서브 제1도전성 패턴(202)에 각각 또다른 도전성 패턴(105a,105b)이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영역(13)에는 제2도전성 패턴(104) 및 서브 제2도전성 패턴(204)에 각각 디지털 사(106a,106b)가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스냅 커넥터는 2라인 스위치 구조와 유사함으로써, 하나의 스냅 커넥터에 의해 2라인의 전력 또는 통신 경로가 확보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배터리가 USB 또는 충전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의 충전을 위해, 배터리(16)가 연결된 제1영역(11)이 제2영역(13)으로부터 분리되어, 스냅 커넥터를 갖는 제3영역(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영역(13A)에는 USB 충전기(13B)가 연결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의 충전을 위해, 배터리(16)가 연결된 제1영역(11)이 제2영역(13)으로부터 분리되어, 스냅 커넥터를 갖는 제3영역(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영역(13A)에는 범용 충전기(13C)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냅 커넥터의 구조를 통해서 배터리(16)가 USB 충전기(13B) 또는 범용 충전기(13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6)가 충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1영역 11a; 제1하부 의류
11b; 제1상부 의류 12: 제1배선
13; 제2영역 13a; 제2하부 의류
13b; 제2상부 의류 14; 제2배선
15; 접착층
102; 제1도전성 패턴 104; 제2도전성 패턴
110; 제1스냅 커넥터 111; 제1도전성 몸체
112; 제1중앙 영역 113; 제1하부 영역
114; 제1상부 영역 118; 고무 탄성부
119; 와이어 스프링 120; 제2스냅 커넥터
121; 제2도전성 몸체 122; 제2중앙 영역
123; 제2하부 영역 124; 제2상부 영역
125; 내측 돌기 126; 외측 돌기
202; 서브 제1도전성 패턴 204; 서브 제2도전성 패턴
208; 제1절연층 209; 제2절연층
210; 서브 제1스냅 커넥터 220; 서브 제2스냅 커넥터

Claims (17)

  1. 제1하부 의류와, 상기 제1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1배선과, 상기 제1하부 의류에 상기 제1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1상부 의류와, 상기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영역;
    제2하부 의류와, 상기 제2하부 의류에 위치된 제2배선과, 상기 제2하부 의류에 상기 제2배선을 덮도록 위치된 제2상부 의류와, 상기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스냅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영역; 및,
    상기 제1스냅 커넥터 및 상기 제2스냅 커넥터는 상호간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고,
    상기 제1스냅 커넥터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제1도전성 몸체와,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중앙에 결합된 고무 탄성부와, 상기 고무 탄성부의 외측으로서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 둘레에 결합된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1도전성 몸체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 탄성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협지되는 제2도전성 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증폭 회로 모듈, 블루트스 모듈, 스피커 및 소켓 커넥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증폭 회로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방수 봉투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은 디지털 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제1배선 또는 상기 제2영역의 제2배선은 S 또는 W 형태로 휘어진 채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 의류, 제1상부 의류, 제2하부 의류 또는 제2상부 의류는 스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몸체는
    상기 제1하부 의류 및 제1상부 의류를 관통하며, 상기 고무 탄성부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제1중앙 영역과,
    상기 제1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고무 탄성부가 돌출되어 위치되고 둘레에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결합된 제1하부 영역과,
    상기 제1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하부 영역과 함께 상기 제1하부 의류 또는 상기 제1상부 의류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1상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중앙 영역, 상기 제1하부 영역 및 상기 제1상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1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몸체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를 관통하는 원통 형태의 제2중앙 영역과,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영역과,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하부 영역과 함께 상기 제2하부 의류 또는 제2상부 의류가 협지되도록 하는 제2상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내측 돌기와, 상기 제2상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무 탄성부의 측면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측면 사이에 협지되는 외측 돌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앙 영역, 상기 제2하부 영역 및 상기 제2상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의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제2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외측 돌기는,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이 갖는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무 탄성부와 와이어 스프링 사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내측 돌기는,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고무 탄성부가 갖는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절단된 원형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1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제2스냅 커넥터의 외측 표면에 제2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된 서브 제2스냅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는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상호간 결합 또는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1하부 의류 및 제1상부 의류의 사이에 구비된 서브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는 상기 제2하부 의류 및 제2상부 의류에 구비된 서브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1스냅 커넥터와 상기 서브 제2스냅 커넥터의 사이에는 서브 와이어 스프링이 더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40041454A 2014-04-07 2014-04-07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55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454A KR101553610B1 (ko) 2014-04-07 2014-04-07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454A KR101553610B1 (ko) 2014-04-07 2014-04-07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610B1 true KR101553610B1 (ko) 2015-09-16

Family

ID=5424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454A KR101553610B1 (ko) 2014-04-07 2014-04-07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42B1 (ko) 2015-09-25 2017-05-26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KR101753297B1 (ko) * 2015-11-13 2017-07-03 윤주영 전도성 원사를 이용한 웨어러블 전원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41Y1 (ko) 2005-05-02 2005-07-18 (주)이노비즈 저주파 치료기를 구비한 의복
KR101280237B1 (ko) 2012-02-07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41Y1 (ko) 2005-05-02 2005-07-18 (주)이노비즈 저주파 치료기를 구비한 의복
KR101280237B1 (ko) 2012-02-07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42B1 (ko) 2015-09-25 2017-05-26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KR101753297B1 (ko) * 2015-11-13 2017-07-03 윤주영 전도성 원사를 이용한 웨어러블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842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JP6706766B2 (ja) 音声入出力装置および骨伝導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EP3153057B1 (en) Earbud case with wireless radio shutdown feature
TWI609534B (zh) 提供電性連接之子母扣固定件
US7210939B2 (en) Conductive buttonhole interconnect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7769412B1 (en) Wear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CN106711613B (zh) 一种可穿戴设备
US9408021B2 (en) Bluetooth headset
US10069317B2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742890B2 (en)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CN208489963U (zh) 可穿戴设备及蓝牙音频通信系统
US20130190058A1 (en) Conductive Ear Flange For Extending The Range Of A Sensor In A Communications Device
JP2013143997A (ja) 身体装着装置
KR101553610B1 (ko)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200060373A1 (en) Cap mounted with bone conduction module
US10165101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1103899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control
KR20180039392A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KR101659415B1 (ko) 스마트 기저귀
KR101566370B1 (ko) 스냅 커넥터
US20120314895A1 (en) Sheath to mask electrical conductor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19203A (ko) 위치 이탈 감지용 디지털 의류
CN205029832U (zh) 项链和具有其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