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237B1 -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237B1
KR101280237B1 KR1020120012419A KR20120012419A KR101280237B1 KR 101280237 B1 KR101280237 B1 KR 101280237B1 KR 1020120012419 A KR1020120012419 A KR 1020120012419A KR 20120012419 A KR20120012419 A KR 20120012419A KR 101280237 B1 KR101280237 B1 KR 10128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s
conne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회준
홍선주
이슬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1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냅 버튼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연결선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Snap-Button Connector with Multiple Terminals}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착용가능한 컴퓨팅 시스템(wearable computing system)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전자기기, 센서,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칩이 포함된 전기 모듈이 통합된 의복 제품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의복 제품에는 전기 모듈과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면서도 세탁 등의 상황에 상기 전기 모듈을 의복 제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의류에는 결착 수단으로서 단추, 후크(hook), 벨크로(Velcro) 또는 스냅 버튼(snap-button) 등이 이용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수단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가 개발되어 왔다. 스냅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 연결선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되는 스냅 버튼의 개수도 증가하여 부피와 무게로 인한 이물감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크로 타입의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 벨크로의 특성상 커넥터를 정교하게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피감 및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의복등에 탈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전기적 신호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소형으로 정교하게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08-0071299호 (2008.8.04)
본 발명은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의복등에 탈부착식으로 복수 개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 단자가 형성된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의 정렬이 용이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연결선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전기 모듈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의 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전기 모듈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등에 탈부착식으로 복수 개의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 단자가 형성된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냅 버튼을 통해 복수 개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부피감, 무게감 및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냅 버튼에 추가적인 돌출부 및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연결단자의 정렬이 용이하며, 연결의 안정성 및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테에 부착된 연결선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가 전기 모듈 사이의 연결에 사용된 형태를 예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가 회로 기판과 전기 모듈 사이의 연결에 사용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100a, 100b)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를 구비하는 제1전극(110), 및 제1전극(10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연결단자(121)를 구비하는 제2전극(120)을 포함한다.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은 스냅 버튼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제1전극(100)과 제2전극(120)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1a에서 제2전극(120)에는 제1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전극(110)에는 상기 제1돌출부(130)가 클릭(click)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돌출부(130)와 제1오목부(131)의 결합을 통해 제1전극(110)의 제1연결단자와 제2전극(120)의 대응하는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의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1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의 전달에 이용될 수 있다. 도1a에는 3개의 제1연결단자(111)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나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의 제1연결단자(111)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전극(120)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1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130)와 제1오목부(131)가 결합할 때 제1연결단자(111)와 대응하는 제2연결단자(121)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단자를 제1돌출부(130) 및 제2오목부(131)의 측면에도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제1연결단자(111)와 제2연결단자(121) 사이의 더욱 안정적인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단자(111)의 제1측면 연결단자는 도1a에서 도면부호 111S로 표시되고 제2연결단자(121)의 제2측면 연결단자는 도1a에서 도면부호 121S로 표시된다.
제1전극(110) 및/또는 제2전극(120) 각각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전극(110) 및/또는 제2전극(120)의 몸체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테이프 및 알루미늄 호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 및/또는 제2전극(1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몸체에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절연층은 도1b에 도면부호 160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절연층(16)은 절연성 페이스트, 비닐, 종이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접촉하는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접촉하는 표면 이외에도 반대측 표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111)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연결선(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121)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연결단자(111) 각각에 대해서 연결선(170)을 부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제2연결단자(121) 각각에 대해서도 연결선(170)을 부착하여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가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의 접촉면과 반대 표면에도 연장된 경우에는 연결선(170)은 상기 반대 표면에서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에 부착될 수 있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가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의 접촉면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선(170)은 상기 접촉면에서 제1연결단자(111) 및 제2연결단자(121)에 부착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100a, 100b)에 부착된 연결선(170)의 형태를 예시한다. 예컨대, 연결선(170)은 전도성 접착제, 전도성 테이프 및 납땜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단자(111, 121)에 부착될 수 있다. 도2a 및 도2b에서 연결선 부착부는 도면부호 171로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제1연결단자(111) 각각에 대해서 연결선(170)이 부착되고, 복수의 제2연결단자(121) 각각에 대해서 연결선(170)이 부착되므로 연결단자의 수만큼 연결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러 가닥의 연결선이 존재하므로 이로인한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에 부착된 복수의 연결선(170)을 하나로 모으는 연결선 묶음부(172a, 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전극에 부착된 복수의 연결선(170)은 하나로 모아져 묶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선(170)은 하나로 모아져 테이프로 결속되거나 원통형의 파이프에 의해 하나로 묶일 수 있다. 또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에 부착된 복수의 연결선(170)은 일정 너비를 갖는 천이나 고무줄에 꿰매어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제1돌출부(130)와 제1오목부(110)에 의해 결합될 때, 그 결합 방향이 잘못 정렬되는 경우 서로 대응하지 않는 제1연결단자(111)와 제2연결단자(121)가 연결되어 신호 전달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1돌출부(130) 및 제1오목부(110) 이외에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에 추가의 결합부, 즉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1a의 스냅 버튼형 커넥터(100a)에서는 제1전극(110)에 제2돌출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제2전극(120)에 상기 제2돌출부(140a)에 대응하는 제2오목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도1b의 스냅 버튼형 커넥터(100b)에서는 제2전극(120)에 제2돌출부(140b)가 형성되어 있고 제1전극(110)에 상기 제2돌출부(140b)에 대응하는 제2오목부(150b)가 형성되어 있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스냅 버튼형 커넥터(100a 및 100b)는 단지 실시예일 뿐이며, 제1돌출부(130) 및 제2돌출부(140)는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 중 어느 전극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제1오목부(131)는 제1돌출부(130)가 형성된 전극의 대응 전극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오목부(150)는 제2돌출부(140)가 형성된 전극의 대응 전극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의 돌출부 및 오목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이 결합하는 방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지 않는 제1연결단자(111)와 제2연결단자(121)가 결합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1전극(110)과 제2전극(120)의 결합 방향을 찾을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이성 및 커넥터의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가 전기 모듈 사이의 연결에 사용된 형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연결선(170)이 아니라 전기 모듈(2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3에서 제1전극(110)에는 연결선(170)이 부착되어 있는 반면 제2전극(120)은 전기 모듈(210)에 부착되어 있다.
전기 모듈(210)에는 제2전극(120)의 표면에 형성된 제2연결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 모듈상의 연결 단자(2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의 연결선이 부착될 필요가 없다.
도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120)이 형성된 전기 모듈(210)이 의복 등의 대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0) 각각에 대응하는 제1전극(110)을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전기 모듈(21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10) 사이에는 연결선(17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가 회로 기판(310)과 전기 모듈(210) 사이의 연결에 사용된 형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회로 기판(310)에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은 전기 모듈(2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4에서 제1전극(110)은 전기 모듈(210)에 부착되어 있고 제2전극(120)은 회로 기판(310)에 부착된 것이 예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 모듈(210)을 회로 기판(3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이때, 회로 기판(310)에는 다수개의 제2전극(12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전기 모듈(210)에도 다수개의 제1전극(110)이 부착될 수 있다. 전기 모듈(210)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해서, 회로 기판(310)에는 제2전극(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선(3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4의 좌측 도면에서, 제2전극(120)이 다수 개 부착된 회로 기판(310)으로서 의복이 예시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0) 각각에 대응하는 제1전극(110)을 결합함으로써 전기 모듈(210)이 회로 기판(31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기 모듈(210) 사이가 회로 기판(310)에 형성된 연결선(3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복등에 탈부착식으로 복수 개의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 단자가 형성된 스냅 버튼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냅 버튼을 통해 복수 개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부피감, 무게감 및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냅 버튼에 추가적인 돌출부 및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연결단자의 정렬이 용이하며, 연결의 안정성 및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a, 100b: 스냅 버튼형 커넥터
110: 제1전극, 120: 제2전극
111, 121: 연결단자 111S, 121S: 측면 연결단자
130: 제1돌출부 131: 제1오목부
140a, 140b: 제2돌출부
150a, 150b: 제2오목부
160: 절연층
170: 연결선 171: 연결선 부착부 172a, b: 연결선 묶음부
210: 전기 모듈 220: 전기 모듈상의 연결 단자
310: 회로 기판 320: 회로 기판 상의 연결선

Claims (13)

  1.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연결선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2.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전기 모듈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의 연결단자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3.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1오목부가 형성된 제1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단자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전기 모듈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상기 제2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각각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는 각각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각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몸체에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는 각각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테이프 및 알루미늄 호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테이프 및 알루미늄 호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절연성 페이스트, 비닐, 종이 및 직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에 상기 제2돌출부에 대응하는 제2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선은 하나로 모아져 묶인 형태, 또는 직물 또는 고물줄에 꿰매어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제2연결선은 하나로 모아져 묶인 형태, 또는 직물 또는 고물줄에 꿰매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선은 하나로 모아져 묶인 형태, 또는 직물 또는 고물줄에 꿰매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전도성 접착제, 전도성 테이프 및 납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연결단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오목부가 결합시에 상기 전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버튼형 커넥터.
KR1020120012419A 2012-02-07 2012-02-07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KR10128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19A KR101280237B1 (ko) 2012-02-07 2012-02-07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19A KR101280237B1 (ko) 2012-02-07 2012-02-07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237B1 true KR101280237B1 (ko) 2013-07-05

Family

ID=4899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19A KR101280237B1 (ko) 2012-02-07 2012-02-07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2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10B1 (ko) 2014-04-07 2015-09-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570875B1 (ko) 2014-02-28 2015-12-04 조성일 스마트 의류용 배터리 단추
KR101612921B1 (ko) 2015-01-28 2016-04-26 조성일 스마트 의류용 배터리 단추
KR20170130033A (ko) * 2016-05-18 2017-11-28 한국기계연구원 단추형 전자직물형 소자
US9853386B1 (en) 2016-06-23 2017-12-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ule connection mechanism capable of genderless coupling
KR101892729B1 (ko) 2017-10-26 2018-08-2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전도성 원사용 스냅단추
US10160121B2 (en) 2017-05-17 2018-12-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ule conne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849A (ko) * 2003-06-04 2006-01-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가변 저항 코드 커넥터
KR20070058654A (ko) * 2004-09-28 2007-06-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KR20100033592A (ko) * 2008-09-22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벨크로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849A (ko) * 2003-06-04 2006-01-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가변 저항 코드 커넥터
KR20070058654A (ko) * 2004-09-28 2007-06-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KR20100033592A (ko) * 2008-09-22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벨크로 커넥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75B1 (ko) 2014-02-28 2015-12-04 조성일 스마트 의류용 배터리 단추
KR101553610B1 (ko) 2014-04-07 2015-09-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냅 커넥터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612921B1 (ko) 2015-01-28 2016-04-26 조성일 스마트 의류용 배터리 단추
KR20170130033A (ko) * 2016-05-18 2017-11-28 한국기계연구원 단추형 전자직물형 소자
KR101864244B1 (ko) 2016-05-18 2018-06-05 한국기계연구원 단추형 전자직물형 소자
US9853386B1 (en) 2016-06-23 2017-12-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ule connection mechanism capable of genderless coupling
US10160121B2 (en) 2017-05-17 2018-12-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ule connection system
KR101892729B1 (ko) 2017-10-26 2018-08-2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전도성 원사용 스냅단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237B1 (ko)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US9660369B2 (en) Assembly of cable and connector
TW580783B (en) Connector for high-speed signal transmission and connector for high-speed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US20030064625A1 (en) Multiconductor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signal
CN203277779U (zh) 可弯曲的线缆连接器组合
US8753143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exible circuit cable
US10103505B1 (en) Cable with connectors
US20200119496A1 (en) Connector Assembly
US9166350B2 (en) Hybrid electrical connector
TWM359095U (en) Electrical connector
JP6332222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CN106785592B (zh) 连接器及智能服装
KR101176419B1 (ko)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CN210019330U (zh) 织物模块及使用其的肌电感测模块
US20090298327A1 (en) Connecting module
US11025019B1 (en) Data cable
EP2700741B1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woven article
CN111180970A (zh) 一对多旋转头线缆
CN106410541A (zh) 电连接器组件
US20230420902A1 (en) Sheet type conductive member and connector
KR102167507B1 (ko)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CN204695229U (zh) 分布式可穿戴电子设备
CN214280326U (zh) 一种稳固可靠的端子线
CN206558748U (zh) 环形连接器及智能服装
TWM552683U (zh) 連接線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