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654A -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 Google Patents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654A
KR20070058654A KR1020077009445A KR20077009445A KR20070058654A KR 20070058654 A KR20070058654 A KR 20070058654A KR 1020077009445 A KR1020077009445 A KR 1020077009445A KR 20077009445 A KR20077009445 A KR 20077009445A KR 20070058654 A KR20070058654 A KR 2007005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al
mechanical resistance
connector
resistanc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오지 마르마로폴로스
죠오지 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5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 H01R4/4872Coil spring axially compressed to retain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 배터리는 패션/의류 산업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디자인, 기능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배터리 하우징, 착용가능한 의상, 및 전력 공급 방법을 제안하고, 이들 모두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원은 연료전지, 또는 배터리, 양극, 음극, 하우징, 기계적 저항 발생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하우징에 연결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양극 및 음극에 접촉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배터리, 의상, 커넥터, 전기장치, 저항발생기.

Description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Attachable battery for attachment to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PDA, 랩탑(laptop) 컴퓨터 및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점점 소형화 및 휴대성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강화하기 위한 요구는 소비자 전자제품 시장에서 의상에 부착될 수 있는 착용가능한 전자장치를 향하여 가는 추세로 몰고 있다. 이러한 "착용가능한 전자장치"는 다른 디바이스들(즉 MP3 플레이어에 연결된 헤드폰) 뿐만 아니라 의상 자체의 부분(즉 전도성 섬유 등)을 형성하는 회로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한다. 또한 착용가능한 전자장치는 기계적으로 강한 접속부를 필요로 하는데, 왜냐하면 이 전자장치가 착용자가 이동할 때에도 착용자의 의상에 부착된 채로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즉 휴대용 MP3 플레이어는 걷는 사람(jogger)의 바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착용가능한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종래 전자장치와 연관되지 않는 패션 및 기능성(즉 의상 클로져(closure)로서)의 수준을 요구한다.
현재에는, 종래 배터리(예로서 한 단부에 양극(positive terminal)을 가지고 다른 단부에는 음극(negative terminal)을 갖는 AA크기의 1.5 볼트 AA 알칼리성 원통형 배터리) 또는, NiCd, NiMH 또는 리튬이온 휴대전화기 배터리와 같은 특정 장치를 위해 제작된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용어 "배터리"는 어떤 휴대용 전원으로서 정의한다. 배터리는 통상 휴대용 전자장치의 하우징 안에 내장된다. 이 때문에 종종 휴대용 장치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추가로, 이것은 특히 휴대용 전자장치가 착용가능한 의상에 통합되는 경우에 배터리를 교체하는 일을 성가시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들은 종종 다른 모양의 배터리를 필요로 한다(즉 휴대전화기는 특정 브랜드와 모델 번호의 전화기를 위해 형성된 6 볼트 NiMH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MP3 플레이어는 표준 AA 1.5볼트 원통형 배터리를 가진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의 적절한 전력 수요가 주어지면, 사용자는 항상 교체용 전원을 가지고 다니기가 어렵고 또는 운반중에는 멈추어서 충전을 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의상을 자주 세탁하는 경우에 종래 기술의 배터리를 붙였다가 떼어내는 일이 성가시다. 따라서, 종래 배터리는 패션/의류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적절한 디자인, 기능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서 적어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즉 배터리는 연료전지, 양극, 음극, 하우징, 기계적 저항 발생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하우징에 연결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양극 및 음극에 접촉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스프링, 탄성재료, 공기압장치, 스크루(screw) 또는 쐐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피스톤, 휠, 버튼, 또는 스크루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제1전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1구멍과, 제2전기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은 양극을 수용하고, 상기 제2구멍은 음극을 수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제1가동부를 눌러서 제1구멍내의 전기 도체에 접촉시켜 양극과 전기 접속을 형성하게 하고, 제2가동부를 눌러서 제2구멍내의 제2전기 도체에 접촉시켜 음극과 전기 접속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형성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는 전기전도성 코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가동부를 전기전도성 코드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중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전기전도성 코드가 배터리의 중량을 지지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전기전도성 코드를 따라서 배터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전도성 코드는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전기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적어도 2개의 회로를 형성하도록 기계적 저항 발생기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에 개별적으로 가압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 접속은 착용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의 제1부분은 양극에 접촉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의 제2부분은 음극에 접촉하고, 가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의 제1부분을 눌러 양극에 접촉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의 제2부분을 눌러 음극에 접촉시켜 회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배터리 하우징은: 연료전지 보관실; 양극 지역; 음극 지역;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위한 공간;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구멍에 연결된 가동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양극 및 음극에 접촉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되고, 양극 및 음극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 안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착용가능한 의상은: 전자장치를 위한 접속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 및 전자장치를 위한 접속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연료전지; 양극; 음극; 기계적 저항 발생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코드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구멍에 연결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양극 및 음극에 접촉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코드를 따라서 배터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전도성 커넥터는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 또는 전기전도성 웨빙(webbing)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는 전기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코드 커넥터는 적어도 2개의 회로를 형성하도록 기계적 저항 발생기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에 개별적으로 가압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 접속은 착용가능한 디바이스내에서 직물 상호연결부(fabric interconnect)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전도성 커넥터와 배터리는 착용가능한 의상의 구멍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착용가능한 의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서,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포함한다. 첫째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배터리에 연결되었을 때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전력을 상기 전자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터리를 전기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 배터리는, 연료전지; 양극; 음극; 하우징; 기계적 저항 발생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구멍에 연결된 가동부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드 커넥터가 양극 및 음극에 접촉하여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이 적어도 하나의 구멍 안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히 나타나는 많은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2개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2개의 구멍을 갖는 배터리의 실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선 A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3은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는 다중 회로 위치를 갖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4는 1개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단일 구멍을 갖는 배터리의 실례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서 선 B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선 C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7A는 도 1에서 선 A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탄성재료의 기계적 저 항 발생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7B는 도 1에서 선 A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공기압식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7C는 도 1에서 선 A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스크루 방식의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1에서 선 A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쐐기형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9A는 2개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2개의 구멍과, 전기 커넥터에서 배터리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2개의 휠을 갖는 배터리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에서 선 D의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의 횡단면도.
도 10은 배터리, 전기 커넥터 및 휴대용 전자장치를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의상을 도시한다.
도 1은 전기 커넥터(4, 5)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구멍(2, 3)을 갖는 배터리(1)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4, 5)는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fabric cord), 절연되지 않은 전도성 직물코드, 전기전도성 웨빙(webbing), 또는 착용가능한 전자 응용제품에 적합한 어떤 다른 공지된 재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는 2개의 가동부(6, 7)를 구비하며, 이 가동부는 예를 들어 피스톤이다. 가동부(6, 7)를 화살표(8, 9)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눌러졌을 때, 가동부(6, 7) 내의 홀(도시안됨)이 구멍(3, 2)과 각각 정렬한다. 이것으로 배터 리(1)의 위치를 전기 커넥터(4, 5)를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4, 5)는 예를 들어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 또는 전기전도성 웨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전기 커넥터(4, 5)는 음극 접점 및 양극 접점에 각각 대응하는 세그먼트(segment: 10, 11)를 포함한다. 가동부(6, 7)는 각각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한다. 세그먼트(10, 11)가 각각 구멍(2, 3)과 함께 있도록 배터리(1)가 배치되는 경우에, 회로가 형성되어 배터리(1)로부터 전기 커넥터(4, 5)를 경유하여 전류가 흘러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 선 A에 평행한 평면을 취한 배터리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4, 5)는 가동부(6, 7)의 홀(26, 27)을 통과한다. 기계적 저항 발생기(23)(예로서 스프링)는, 각각의 홀(26, 27)내의 에지(edge)가 전기 커넥터(4, 5)를 가압하도록 가동부(6, 7)에 대해 기계적 힘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 힘은 홀(26, 27)의 에지와 전기 커넥터(4, 5)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배터리(1)가 중력을 극복하게 되고 전기 커넥터(4, 5)가 적어도 배터리(1)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홀(26)내의 에지는 음극(25)을 포함하거나 이 음극을 지탱한다. 홀(27)내의 에지는 양극(24)을 포함하거나 이 양극을 지탱한다. 가동부(6, 7)에 압력이 가해지면 기계적 저항 발생기(23)가 압축된다. 이러한 압축이 양극(24)과 전기 커넥터(5) 사이의 전기 접점을 단절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은 음극(25)과 전기 커넥터(4) 사이의 전기 접점을 단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계적 저항 발생기(23)의 압축은 홀(26, 27)의 에지가 전기 커넥터(4, 5)에 가압됨으로써 발생된 마찰력을 극복하고, 배터리(1)가 전기 커넥터(4, 5)의 길이를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배터리(1)는 전체적으로 전기 커넥터(4, 5)로부터 제거되어 충전장소(도시 안됨)에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보관실(21)은 NiCd, 또는 ZnHg의 전기화학적 전지와 같은 전원을 내장하고 있다. 가동부(6, 7) 및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를 전원에 의해 초래된 열화(degradation)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은 배터리 하우징(20)내에서 구획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은 그들의 내용물을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또한 코팅될 수 있다.
도 3은 배터리(1)가 배치될 수 있는 다중 회로 위치(30, 31, 32)를 갖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4, 5)를 도시한다. 회로 위치(30, 31, 32)는 다른 디바이스들이나 또는 단일 디바이스의 여러 기능에 대응할 수 있어서, 배터리(1)가 예를 들어 회로 위치(30)에 배치될 때 배터리가 휴대전화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 배터리가 회로 위치(31)에 배치될 때 배터리가 휴대용 MP3 플레이어에 전력을 공급할 것이다. 전기 커넥터(4, 5)는 회로 위치(30, 31, 32)에 대해 절연되어 있지 않으며 그 표면에 다수의 전도성 소영역만을 가진다.
도 4는 하나의 전기 커넥터(40)를 수용하는 단일 구멍(42)을 갖는 배터리(43)를 도시한다. 배터리(43)는 예를 들어 스크루와 같은 단일 가동부(41)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40)는 트랙(track: 44)을 포함한다. 트랙(44) 내부에는 양극이 있다. 트랙(44) 외부는 음극을 내장하거나 지지한다. 전도성 세그먼트가 구멍(42)과 함께 있도록 배터리(42)가 위치할 때, 회로가 형성되어 배터리(42)로부터 전기 커넥터(40)를 통해 전류가 흘러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한다. 가동부(41)는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전기 커넥터(40)의 양의 제1부분(50)을 양극에 가압 접촉시키고 전기 커넥터(40)의 제2부분(51)을 음극에 가압 접촉시켜서 회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양의 제1부분(50)과 음의 제2부분(51)은 도 5에서 절연체(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가동부(41)는 전기 커넥터(40)를 따라 배터리(4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선 C에 평행한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43)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40)는 구멍(42)을 통해 배터리 하우징(62)으로 들어간다. 정렬기구(63)가 전기 커넥터(40)를 정렬하여 양의 제1부분(50) 및 음의 제2부분(51)이 양극(64)과 음극(65)에 접촉하도록 한다. 양극(64)은 정렬기구(63)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정렬기구에 의해 지지된다. 음극(65)은 배터리 하우징(62)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배터리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스크루와 같은 기계적 저항 발생기(66)는 정렬기구(63)에 기계적 힘을 적용하거나 또는 해제하도록 가동부(4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힘은 정렬기구(63)와 전기 커넥터(40)와 음극(65)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배터리(43)가 중력을 극복하고 전기 커넥터(40)가 적어도 배터리(43)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기계적 저항 발생기(66)에 의해 정렬기구(63)에 힘이 가해질 때, 이에 의해 전기 커넥터(40)의 양극(64)과 양의 제1부분(50) 사이에, 그리고 전기 커넥터(40)의 음극(65)과 음의 제2부분(51)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만들 수 있다. 기계적 저항 발생기(66)에 의해 발생된 힘이 감소되면 전기 커넥터(40)의 양극(64)과 양의 제1부분(50) 사이에서, 그리고 전기 커넥터(40)의 음극(65)과 음의 제2부분(51)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촉을 단절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저항 발생기(66)에 의해 발생된 힘이 감소되면 배터리(43)가 전기 커넥터(40)의 길이를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도록 만든다. 추가로, 배터리(43)는 전기 커넥터(40)로부터 전체적으로 제거되어 충전장소(도시 안됨)에 배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 보관실(67)은 NiCd, 또는 ZnHg의 전기화학적 전지와 같은 전원을 내장하고 있다. 가동부(41)와 기계적 저항 발생기(66)와 정렬기구(63) 및 전기 커넥터(40)를 전원에 의해 초래된 열화(degradation)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은 배터리 하우징(68)내에서 구획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은 그들의 내용물을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또한 코팅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서 선 A가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취한, 다양한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를 포함하는 배터리(1)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70)는 가동부(6, 7)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도 7B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공기압장치(71)이며 챔버(72)에 포함된 가스를 이용하여 피스톤(73)을 밀어 가동부(6, 7)에 힘을 발생시킨다. 도 7C에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70)는 스크루(74)로 형성되고, 이 스크루를 돌리면 코일(75)에 힘이 가해지며 이 코일이 스크루(74)와 블록(76) 사이에서 가압되며 늘어나서 가동부(6, 7)에 힘을 공급하게 된다.
도 8은 도 1에서 선 A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1)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배터리(1)는 배터리 하우징(20)을 지나서 연장하는 쐐기형 기계적 저항 발생기(80)를 포함한다. 쐐기형 기계적 저항 발생기(80)를 누르면 가동부(6, 7)에 힘을 가하여 벌어지게 할 수 있다. 가동부(6, 7)에 가해지는 이러한 힘은 각각의 홀(26, 27)내의 에지가 전기 커넥터(40)를 가압하도록 만든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 힘은 홀(26, 27)의 에지와 전기 커넥터(4. 5)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배터리(1)가 중력을 극복하며 전기 커넥터(4, 5)가 적어도 배터리(1)의 중량을 지지하게 된다. 쐐기형 기계적 저항 발생기(80)를 위로 잡아당기면 회로가 끊어져 배터리(1)가 전기 커넥터(4, 5)를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전기 커넥터(4, 5)로부터 배터리(1)를 제거하여,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는 2개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2개의 구멍(2, 3)과, 배터리와 전기 커넥터 사이에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며 전기 커넥터(4, 5)에서 배터리(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2개의 휠(90, 91)을 갖는 배터리(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도 9A에서 선 D에 평행한 평면에서 취한 배터리(1)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휠(91)은, 예를 들어 액슬(axle: 92)에 의하여 배터리 하우징(20)에 부착되며, 상기 액슬은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 저항 발생기에 장착될 수 있다. 휠(91)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기계적 저항 발생기(도시 안됨)는 휠(91)의 회전이 배터리(1)가 전기 커넥터(5)를 따라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충분한 힘을 제공한다. 이 경우, 휠(91)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배터리(1)가 전기 커넥터(5)를 따라 강하하도록 만들 것이다. 휠(91)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배터리(1)가 전기 커넥터(5)를 따라 상승하도록 만들 것이다. 추가로, 기계적 저항 발생기는 휠(91)이 전기 커넥터(5)를 눌러 단자(93)에 접촉하도록 만든다. 배터리(1)가 전기 커넥 터(5)에서 전도성 세그먼트(11)를 상승시키거나 강하시킬 때, 기계적 저항 발생기로부터 전기 커넥터(5)에 가해지는 힘은 전도성 세그먼트(11)를 단자(93)에 접촉시켜서 적어도 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추가로, 기계적인 힘은 또한 휠(91)과 전기 커넥터(5) 및 단자(93)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배터리(1)가 중력을 극복하고 전기 커넥터(5)가 적어도 배터리(1)의 중량의 일부분을 지탱할 수 있다. 휠(91)은 또한 배터리(1)가 이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연료전지 보관실(94)은 NiCd, 또는 ZnHg의 전기화학적 전지와 같은 전원을 내장하고 있다. 휠(91)과 그 기계적 저항 발생기를 전원에 의해 초래된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은 배터리 하우징(20)내에서 구획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은 그들의 내용물을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또한 코팅될 수 있다.
도 10은 배터리(1), 전기 커넥터(4, 5) 및 전자장치(111, 11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의상(110)을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4, 5)는 양쪽 다 배터리(1)를 지지할 뿐 아니라, 또한 의상(110)의 칼라(116)의 구멍 폭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전기 커넥터들(4, 5와 같은 것)은 의상(110)과 같은 의상의 어떤 구멍 폭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의상(110)은 전기 커넥터(4, 5)를 전자장치(111, 115)를 위한 접속부에 각각 연결시키는 직물 상호연결부(112, 113)를 포함한다. 직물 상호연결부는 어떤 공지된 직물 상호연결부이다.
전기 커넥터는 도 3과 그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중 회로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서, 다른 회로 위치들은 전자장치(111, 115)를 위한 다른 접 속부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가 예를 들어 제1회로위치에 배치될 때 배터리는 접속부(111)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 배터리가 제2위치에 배치되면 배터리는 접속부(115)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배터리(1)는 가동부를 눌러 전기 커넥터(4, 5)로부터 배터리(1)를 바깥으로 밀어냄으로써 의상(1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덧붙여 배터리(1)는 어떤 형식의 전기장치에도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실시예는 실례를 든 것이며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3)

  1. 연료전지(21);
    양극(24);
    음극(25);
    하우징(20);
    기계적 저항 발생기(23);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26); 및
    하우징(20)에 연결된 가동부(8)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23)가 양극(24) 및 음극(25)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를 눌러 회로를 형성하게 되는 배터리(1).
  2. 제1항에 있어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스프링, 탄성재료, 공기압장치, 스크루 또는 쐐기를 포함하는 배터리(1).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8)는 피스톤, 휠, 버튼, 또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배터리(1).
  4.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1)는 제1전기 커넥터(5)를 수용하기 위한 제1구멍(27)과, 제2전기 도체(4)를 수용하기 위한 제2구멍(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 멍(27)은 양극(24)을 수용하고, 상기 제2구멍(26)은 음극(25)을 수용하는 배터리(1).
  5. 제4항에 있어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제1가동부(7)를 눌러서 제1구멍(27)내의 전기 도체에 접촉시켜 양극(24)과 전기 접속을 형성하게 하고, 제2가동부(8)를 눌러서 제2구멍(26)내의 제2전기 도체에 접촉시켜 음극(25)과 전기 접속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형성하는 배터리(1).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4)는 전기전도성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1).
  7. 제6항에 있어서,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가동부(8)를 전기전도성 코드(4)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중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전기전도성 코드(4)가 배터링(1)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배터리(1).
  8. 제7항에 있어서, 가동부는 전기전도성 코드를 따라서 배터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는 배터리(1).
  9. 제6항에 있어서, 전기전도성 코드는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인 배터리(1).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가 전기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1).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가 적어도 2개의 회로를 형성하도록 기계적 저항 발생기(23)에 의하여 양극(24) 또는 음극(25)에 개별적으로 가압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30, 31)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1).
  12. 제10항에 있어서, 전기장치와 배터리(1) 사이의 전기 접속은 착용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배터리(1).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42)은 양극(64) 및 음극(65)을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0)의 제1부분(50)은 양극(64)에 접촉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0)의 제2부분(51)은 음극(65)에 접촉하고, 가동부(63)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0)의 제1부분(50)을 눌러 양극(64)에 접촉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0)의 제2부분(51)을 눌러 음극(65)에 접촉시켜 회로를 형성하는 배터리(1).
  14. 연료전지 보관실(21);
    양극 지역(24);
    음극 지역(25);
    기계적 저항 발생기(22)를 위한 공간;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26, 27)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하우징(20)에 연결된 가동부(7, 8)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양극(24) 및 음극(25)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 5)를 눌러 회로를 형성하게 되는 배터리 하우징(20).
  15. 전자장치를 위한 접속부(111);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 5); 및
    전자장치를 위한 접속부(1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기전도성 커넥터(4, 5)에 연결될 수 있는 배터리(1)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는,
    연료전지(21);
    양극(24);
    음극(25);
    기계적 저항 발생기(23);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26); 및
    배터리(1)에 연결된 가동부(7, 8)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 5)가 양극(24) 및 음극(25)에 접 촉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되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16. 제15항에 있어서, 배터리(1)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 5)를 따라서 배터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17.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는 절연된 전도성 직물코드 또는 전기전도성 웨빙(webbing)인 착용가능한 의상(110).
  18. 제15항에 있어서, 전자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는 전기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19.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는 적어도 2개의 회로를 형성하도록 기계적 저항 발생기(23)에 의하여 양극(24) 및 음극(25)에 개별적으로 가압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분(30, 31)을 추가로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20. 제15항에 있어서, 전기장치와 배터리(1) 사이의 전기 접속은 착용가능한 의상내에서 직물 상호연결부(112)를 통해 이루어지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21.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와 배터리(1)는 상기 착용가능한 의상(110)의 구멍(116)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22. 제15항에 있어서, 배터리(1)는 착용가능한 의상(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착용가능한 의상(110).
  23.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를 제공하는 단계;
    배터리(1)에 연결되었을 때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기전도성 커넥터(4, 5)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30, 31)를 제공하는 단계;
    전력을 상기 전자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성 커넥터(4, 5)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30, 31)에 배터리(1)를 전기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연료전지(21);
    양극(24);
    음극(25);
    하우징(20);
    기계적 저항 발생기(23);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26, 27);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26, 27)에 연결된 가동부(7, 8)를 포함하고, 기계적 저항 발생기(23)는 양극(24) 및 음극(25)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드 커넥터(4, 5)를 눌러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24) 및 음극(25)이 적어도 하나의 구멍(26, 27) 안에 배치되는 전력 공급 방법.
KR1020077009445A 2004-09-28 2005-09-22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KR20070058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00104P 2004-09-28 2004-09-28
US60/614,001 2004-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654A true KR20070058654A (ko) 2007-06-08

Family

ID=3543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445A KR20070058654A (ko) 2004-09-28 2005-09-22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87035A1 (ko)
EP (1) EP1797618A1 (ko)
JP (1) JP2008515145A (ko)
KR (1) KR20070058654A (ko)
CN (1) CN101027819A (ko)
WO (1) WO2006035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37B1 (ko) * 2012-02-07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20339C (en) * 2009-11-06 2017-09-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ally heated garment
US20130037531A1 (en) 2009-11-06 2013-02-14 Rick Gray Electrically heated garment
USD808616S1 (en) 2014-02-28 2018-01-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ingle control button for an article of clothing
US11033059B2 (en) 2014-11-06 2021-06-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rticle of clothing with control button
USD799161S1 (en) 2015-10-09 2017-10-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arment
USD794281S1 (en) 2015-10-09 2017-08-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arment
US10278297B1 (en) * 2017-10-11 2019-04-3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US11744298B2 (en) 2020-12-04 2023-09-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ally heated garment with pass-through battery pocket
USD1020226S1 (en) 2021-10-21 2024-04-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ontrol button for heated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0031U1 (de) * 1996-06-10 1996-08-01 Gerhard Schuetzinger Labor Sch Befestigungsvorrichtung
GB0004496D0 (en) * 2000-02-26 2000-04-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liding switch
US6350129B1 (en) * 2000-10-11 2002-02-26 The Aerospace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s conductive garment strap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37B1 (ko) * 2012-02-07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스냅 버튼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7819A (zh) 2007-08-29
EP1797618A1 (en) 2007-06-20
JP2008515145A (ja) 2008-05-08
US20070287035A1 (en) 2007-12-13
WO2006035382A1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654A (ko) 전기전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식 배터리
CN112952280B (zh) 电池
US20110171860A1 (en) Earphon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13182B1 (ko) 이차 전지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KR20040014442A (ko) 휴대폰용 백업 밧데리
US8519985B2 (en) Touch screen device
US8277246B2 (en) Battery terminal adapter
US820384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ck-up power supply
US11695183B2 (en) Battery pack
CN211018314U (zh) 一种充电宝
WO2015030353A1 (ko)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조립체
US20060244417A1 (en) Battery
JPH07335274A (ja) 物品の変形検知センサーと、該物品の変形検知センサーを付設した電流路遮断機能付き蓄電池
CN211351795U (zh) 一种输出电压可设置的移动电源主板
KR101800814B1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20030157974A1 (en) Urgent power-supply arrangement using cascaded wireless mobile devices
US20100291809A1 (en) Conduc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0976368Y (zh) 电性导通结构
CN213401589U (zh) 触点结构、电子设备和充电设备
CN211351759U (zh) 一种无线充电且加usb端口双重充电锂电池
CN203194939U (zh) 应用平板充电装置的平台
CN203166559U (zh) 分体式充电系统
KR19990007021A (ko) 어큐뮬레이터와 전원 접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장비
KR20050039986A (ko)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