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986A -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 Google Patents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986A
KR20050039986A KR1020030075087A KR20030075087A KR20050039986A KR 20050039986 A KR20050039986 A KR 20050039986A KR 1020030075087 A KR1020030075087 A KR 1020030075087A KR 20030075087 A KR20030075087 A KR 20030075087A KR 20050039986 A KR20050039986 A KR 2005003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battery
lithium polymer
contact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봉
박길태
Original Assignee
(주)지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우텍 filed Critical (주)지우텍
Priority to KR102003007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9986A/ko
Publication of KR2005003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리튬 폴리머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에서,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접점 접촉장치의 외형을 형성 및 지지하며, 열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 전압측정 단자;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 전류통전 단자; 및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류통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는 피씨비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CONTAC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POINT OF CONTACT FOR LITHIUM POLYMER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에서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 전극편의 크기, 간격 또는 배치 상태에 무관하게 각 전극편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PDA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과 더불어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nickel cadmium battery), 연축전지, 니켈-수소 전지(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금속 리튬 2차 전지, 공기 아연 축전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상기 2차 전지 중 리튬 2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로서,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나 니켈-수소(Ni-MH) 전지에 비해 수명이 약 3배이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급속도로 사용이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는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는 제조 후 전지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성능, 특히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포메이션(formation)과 에이징(ag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포메이션 공정은 전지 조립 후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여 전지를 활성화하는 공정으로서, 포메이션 공정을 통해 카본 부극의 표면에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 필름이 생성된다. SEI 필름은 부도체로서 일단 형성되면 차후 충전시 카본 부극에서 리튬 이온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만을 통과시키는 일종의 이온 터널 역할을 함으로써 리튬 이온을 용해하여 함께 이동하는 분자량이 큰 유기 용매들이 카본 부극에 함께 삽입되어 카본 부극의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리튬 이온이 카본 부극이나 다른 물질과 부반응을 하지 않으므로 리튬 이온의 양을 가역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 용매들이 리튬 이온과 함께 삽입되어 카본 부극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리튬 2차 전지의 충방전이 가역적으로 유지되어 전지 수명이 향상된다.
또한, 에이징 공정은 포메이션이 끝난 전지를 상온에서 일정 기간동안 방치함으로써 SEI 필름의 형성을 안정화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포메이션 공정에서 리튬 2차 전지를 반복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한 충방전 장치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리튬 폴러머 전지 충방전 장치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는 종래의 리튬 폴리머 전지 충방전 장치의 측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튬 폴리머 전지 충방전 장치는 제 1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된 제 1 실린더(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는 상측 이동대(140)와 제 2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된 제 2 실린더(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는 하측 이동대(145)를 구비하며, 상측 이동대와 하측 이동대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측 이동대(140)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토퍼(130)가 장착되며, 하측 이동대(145)에는 리튬 폴리머 전지(150)의 전극편(152)에 접촉하여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접촉장치 (110)가 장착된다.
종래의 접촉장치(110)는, 도 1a 좌측 하단에 도시한 확대도와 같이,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 및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이 고정되어 있으며, +/- 전압측정 극편과 +/- 전류통전 극편은 저면이 회로기판(12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종래의 충방전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충방전하기 위한 다수의 리튬 폴리머 전지(150)들을 홀더에 클램핑시켜 상측 이동대(140)에 장착된 각각의 스토퍼(130)와 하측 이동대(145)에 장착된 각각의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 및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 사이로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측 이동대와 하측 이동대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면, 리튬 폴리머 전지(150)의 전극편(152)이 각 스토퍼(130)와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 및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 사이에 밀착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을 통해 리튬 폴리머 전지(150)의 전극편(152)으로 충전되거나 방전되게 된다. 또한,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은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접촉장치는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과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을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는 선 접촉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시간 변화에 따라 탄성이 약화되어 접촉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과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의 하단부만이 접촉장치(110)에 고정되므로 판 스프링의 지지력이 떨어져 각 극편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과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 중 전극편(152)과 접촉하는 부위에 매끄럽게 연마가 되지 않아 미세한 돌기가 있을 경우에는, 판 스프링의 직진도가 잘 맞지 않아 전극편(152)과의 접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이 허용하는 범위까지 +/- 전압측정 극편(112a, 112b)과 +/- 전류통전 극편(114a, 114b)에 힘을 가하여 스토퍼 (130)까지 밀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전극편(152)의 배열에 따라 +/- 전압측정 극편과 +/- 전류통전 극편가 가해지는 힘에 차이가 생겨, 도 1b 와 같이 꺾이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각 극편(112a, 112b, 114a, 114b)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의 간격 또는 배치에 무관하게 상기 각 전극편과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접촉장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각 전극편과의 +/- 접촉부에 손상이 가거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를 구비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리튬 폴리머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에서,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로서, 다접점 접촉장치의 외형을 형성 및 지지하며, 열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 전압측정 단자;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 전류통전 단자; 및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류통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는 피씨비(PCB)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 전압측정 단자와 - 전압측정 단자가, 하우징 정면의 상부에 각기 좌우로 배치되고, + 전류통전 단자와 - 전류통전 단자가, + 전압측정 단자와 - 전압측정 단자의 하부에 각기 배치되도록 하며,
하우징 중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가 설치되는 영역에 피씨비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홈이 복수로 형성되며,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를 구성하는 각 핀이 각 홈에 삽입 설치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계단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부가 형성되며, 다접점 접촉장치가, 하단부의 저면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되어, 다접점 접촉장치가 충방전 장치에 설치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두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지그; 및 하단부를 상하 관통하여 다접점 접촉장치를 충방전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홈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통해 리튬 폴리머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로서, 소정의 제 1 이동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상측 이동대; 상측 이동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제 2 이동수단에 의해 상측 이동대와 반대방향인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하측 이동대; 상측 이동대의 상면에 장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및 하측 이동대의 상면으로 각 스토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과 접촉하여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는 다접점 접촉장치를 구비하고,
다접점 접촉장치가, 다접점 접촉장치의 외형을 형성 및 지지하며, 열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 전압측정 단자;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 전류통전 단자; 및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류통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는 피씨비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배면도이며, 도 2c 는 좌측면도로서 +/- 전압측정단(222a, 222b)과 +/- 전류통전단(224a, 224b)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210) 하단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접점 접촉장치(200)는 각 장치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는 하우징(210)으로 이루어지는데, 하우징은 하단부가 돌출 형성된 계단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리튬 폴리머 전지의 특성상 열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하우징(210)의 저면으로는 다접점 접촉장치가 충방전 장치의 올바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결정용 지그(218a, 218b)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 하단의 돌출부로는 다접점 접촉장치(200)를 충방전 장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단 돌출부를 관통 형성되며 나사가 삽입되는 고정홈 (216)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210) 정면의 좌측 상단으로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 전압측정 단자(212a)가 구비되며, + 전압측정 단자의 하부로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 전류통전 단자(214a)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210) 정면의 우측 상단으로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는 - 전압측정 단자(212b)와 - 전류통전 단자(214b)가 상하로 구비된다. 각 단자(212a, 212b, 214a, 214b)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a 내지 도 2c 에서는 세개의 핀으로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핀은 하우징의 정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 배면의 피씨비 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접점 접촉장치(200)는 +/- 전압측정 및 +/- 전류통전의 4 단자 방식을 사용하며, 각각의 단자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구성함으로써 리튬 폴리머 전지의 크기에 따른 +/- 전극편 간의 산포나 위치 정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212a, 212b, 214a, 214b)를 구성하는 각각의 핀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다접점 접촉장치(2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극편에 접촉하면서 눌리도록 하며, 다접점 접촉장치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극편과 접촉이 해제될 때에는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하우징(210)의 배면으로는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와 접촉하여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PCB) 기판(220)과, PCB 기판을 통해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전압측정단(222a, 222b) 및 PCB 기판을 통해 +/- 전류측정 단자(214a, 21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류통전단(224a, 224b)이 구비된다. +/- 전압측정단(222a, 222b)은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으며, +/- 전류측정단(224a, 224b)은 +/- 전류측정 단자(214a, 214b)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류측정 단자에 +/-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접점 접촉장치(200)와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접촉장치(200)의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가 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152a, 152b)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충방전 장치의 동작은 상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포메이션 공정에서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리튬 폴리머 전지는 충방전 장치의 홀더에 클램핑되어 이송되어, 충방전 장치의 상측 이동대에 장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각각의 스토퍼(230)와 하측 이동대에 장착되며 각 스토퍼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각각의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 사이에 전극편(152a, 152b)이 위치하도록 하강하여 배치된다. 상측 이동대와 하측 이동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즉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 이동대와 하측 이동대를 동작시키면 스토퍼(230)와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는 서로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152a, 152b)이 이미 스토퍼와 각 단자 사이에 배치된 상태이므로, +/- 전극편은 절연체와 각 단자(212a, 212b, 214a, 214b) 사이에 접촉/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 전압측정단(222a, 222b) 및 +/- 전류측정단(224a, 224b)과 PCB 기판(220)의 전류흐름을 온시키게 되면,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을 통해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152a, 152b)에 전류가 공급되어 충전/방전이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 전극편(152a, 152b)에 접촉한 +/- 전압측정단자(212a, 212b)를 통해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충방전을 완료한 후에는 상측 이동대와 하측 이동대를 상기와 반대방향, 즉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극편과 스토퍼 및 각 단자 간의 밀착상태를 해제한 후, 리튬 폴리머 전지를 위로 올린 후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장치(200)는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가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고 각 핀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 전극편(152a, 152b)에 접촉하는 핀만이 접촉장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눌리면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장치(200)와 스토퍼(230)에 다소 많은 힘이 가해진다 하여도 스프링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지 않는 한 +/- 전압측정 단자(212a, 212b) 및 +/- 전류통전 단자(214a, 214b)에 손상이 가지 않게 되어 고장의 위험이 없게 된다. 또한, 각 단자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구성하므로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극편(152a, 152b)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각 단자와 안정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각 단자의 핀 사이 간격을 보다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핀은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을 통해 PCB 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또한 착탈이 가능하므로, 만일 핀이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해당 핀만을 교체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는 충방전이 수행될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과 각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는,
첫째로, +/- 전압측정 단자 및 +/- 전류통전 단자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구성함으로써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의 크기, 전극편 사이의 간격이나 배치상태에 무관하게 각 단자와 각 전극편을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둘째로, 각 단자를 구성하는 핀 중 하나라도 각 전극편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무방하므로, 각 단자를 전극편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접촉장치와 스토퍼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접촉장치의 손상/고장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셋째로, 각 단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핀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각 전극편에 접촉되는 핀만 눌렸다가 접촉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접촉장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각 단자가 손상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각각의 핀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에 착탈 가능하므로, 만일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핀이 있을 경우 해당 핀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리튬 폴러머 전지 충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다접점 접촉장치 210 : 하우징
212a, 212b : 전압측정 단자 214a, 214b : 전류통전 단자
216 : 나사홈 218 : 위치결정용 지그
220 : 피씨비(PCB) 기판 222a, 222b : 전압측정단
224a, 224b : 전류통전단 230 : 스토퍼

Claims (5)

  1.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에서,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접촉하여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로서,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의 외형을 형성 및 지지하며, 열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 전압측정 단자;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 전류통전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 전압측정 단자 및 상기 +/- 전류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 전류통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는 피씨비(PCB)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 전압측정 단자와 상기 - 전압측정 단자가, 상기 하우징 정면의 상부에 각기 좌우로 배치되고,
    상기 + 전류통전 단자와 상기 - 전류통전 단자가, 상기 + 전압측정 단자와 상기 - 전압측정 단자의 하부에 각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 전압측정 단자 및 상기 +/- 전류통전 단자가 설치되는 영역에 상기 피씨비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홈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 전압측정 단자 및 상기 +/- 전류통전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각 핀이 상기 각 홈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계단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가,
    상기 하단부의 저면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가 상기 충방전 장치에 설치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두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지그; 및
    상기 하단부를 상하 관통하여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를 상기 충방전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5. 리튬 폴리머 전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통해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로서,
    소정의 제 1 이동수단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상측 이동대;
    상기 상측 이동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제 2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측 이동대와 반대방향인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하측 이동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면에 장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및
    상기 하측 이동대의 상면으로 상기 각 스토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상기 +/- 전극편과 접촉하여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로의 전류공급 및 전압측정을 수행하는 다접점 접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가,
    상기 다접점 접촉장치의 외형을 형성 및 지지하며, 열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 전압측정 단자;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내장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 전극편에 각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튬 폴리머 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 전류통전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 전압측정 단자 및 상기 +/- 전류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 전류통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 전압측정 단자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인가받는 피씨비(PCB)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충방전 장치.
KR1020030075087A 2003-10-27 2003-10-27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KR20050039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87A KR20050039986A (ko) 2003-10-27 2003-10-27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87A KR20050039986A (ko) 2003-10-27 2003-10-27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986A true KR20050039986A (ko) 2005-05-03

Family

ID=3724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087A KR20050039986A (ko) 2003-10-27 2003-10-27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99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8726A (zh) * 2017-09-28 2018-03-06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聚合物动力电池化成夹具装置
CN110208699A (zh) * 2019-06-28 2019-09-06 深圳市新威尔电子有限公司 锂电池测试夹具
KR20190132906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겸용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8726A (zh) * 2017-09-28 2018-03-06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聚合物动力电池化成夹具装置
CN107768726B (zh) * 2017-09-28 2024-03-22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聚合物动力电池化成夹具装置
KR20190132906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겸용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N110208699A (zh) * 2019-06-28 2019-09-06 深圳市新威尔电子有限公司 锂电池测试夹具
CN110208699B (zh) * 2019-06-28 2024-02-20 深圳市新威尔电子有限公司 锂电池测试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0857B2 (en) Terminal contacting part included in a jig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jig including the same
KR20110004006A (ko) 전지 충방전용 지그
KR19990063773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688327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테스트용 프로브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KR101468034B1 (ko) 전지 충방전용 핀
KR20170042407A (ko) 확장형 배터리 셀 모듈 조립체
KR20180105481A (ko) 멀티 컨택 포인트를 갖는 배터리 충방전 검사용 프로브
CN114556124A (zh) 用于圆柱形电池单体的振动测试夹具和振动测试装置
KR20130070790A (ko)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1800483B1 (ko) 전지모듈의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모듈의 충방전 장치
JP5941225B2 (ja) 電池充放電用グリッパ組立体
KR102050033B1 (ko) 충방전 단자모듈과 이를 갖춘 전지셀 고온 가압장치
KR20050039986A (ko) 리튬 폴리머 전지의 다접점 접촉장치
KR20060100485A (ko)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KR101685746B1 (ko) 이차전지용 충방전기
KR100858805B1 (ko)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전지 충방전기
KR101447435B1 (ko) 배터리 지그 버스바 및 버스바 표면 처리 방법
KR20160086663A (ko) 원형전지 충방전 지그
KR20160061124A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CN216648518U (zh) 一种电池装置
TWI250680B (en) Holding device for a cell
KR101634847B1 (ko) 충방전 장치의 충방전 전극핀
CN113721125B (zh) 物流装置及测试系统
KR100502335B1 (ko) 전지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