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75B1 -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75B1
KR101888875B1 KR1020160139094A KR20160139094A KR101888875B1 KR 101888875 B1 KR101888875 B1 KR 101888875B1 KR 1020160139094 A KR1020160139094 A KR 1020160139094A KR 20160139094 A KR20160139094 A KR 20160139094A KR 101888875 B1 KR101888875 B1 KR 10188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resin
resin board
cold
manufactu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227A (ko
Inventor
고성권
김승영
윤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3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18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rimming the article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8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means for heating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부직포가 적층되는 복합수지보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예열하는 단계; (c) 예열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d)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성형하고 트리밍하는 단계; (e) 성형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사출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및 (f) 상기 복합수지보드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ar interior par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가 부착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도어트림, 콘솔 등 다양한 내장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 내장재 중 도어트림은 자동차 실내 미관 향상은 물론 승객의 안락하고 쾌적한 운전공간을 마련해주고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며 각종 수납공간, 안전장구, 전자장비 등을 설치하는 공간이다.
도어트림은 수납공간으로서 맵포켓(map pocket)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맵포켓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맵포켓에 물병 등을 보관 시 차량 운행 중 흔들림에 의한 잡음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 고급형 차량의 경우, 맵포켓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종래의 도어트림 맵포켓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방식은 사출 후 후공정으로 사출물 표면에 부직포를 융착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식으로 부직포를 융착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되기 때문에 저가 차량에는 도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맵포켓의 소재와 부직포 간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부착된 부직포에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 제품의 고급감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21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부직포 부착시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은, (a) 부직포가 적층되는 복합수지보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예열하는 단계; (c) 예열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d)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성형하고 트리밍하는 단계; (e) 성형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사출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및 (f) 상기 복합수지보드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d)단계의 수축률이 (f)단계보다 더 크도록 제조된다. 예컨대,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d)단계의 냉간성형과정에서, 8/1000 정도로 수축되고, (f)단계의 일체성형과정에서, 7/1000 정도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PP수지와 목분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8mm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가 부착된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성형한 후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수축률 편차에 의한 변형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트림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도어트림의 맵포켓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맵포켓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트림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방향의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도어트림(10)는,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트림(11)과, 메인트림(11)의 하측에 상방향으로 개방형성되어 소품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맵포켓(13)을 포함한다.
맵포켓(13)의 내측면에는 수납되는 소품이 움직이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맵포켓(13)의 고급감을 향상시키도록 부직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는데, 부직포(미도시)는 부직포 부착부(30)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맵포켓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도어트림의 맵포켓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은, 복합수지보드 예열단계, 복합수지보드 성형단계, 일체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복합수지보드 예열단계(a)는, 부직포가 적층된 복합수지보드(120)을 소정온도로 예열기(201)에 의해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 예열단계를 통해 복합수지보드(120)의 성형성을 향상시켜 이후의 냉간압착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복합수지보드(120)는 그 상측에 부직포(110)가 적층된 상태로 예열된다.
이후, 복합수지보드 성형단계에서 복합수지보드(120)가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복합수지보드 예열단계에서 예열된 복합수지보드(120)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냉간압착금형(210,220)에 인서트된다(b). 다음으로, 상부 냉간압착금형(210) 및 하부 냉간압착금형(220)이 형폐되면 복합수지보드(120)가 냉간압착성형 및 트리밍된다(c).
성형이 완료된 복합수지보드(120)는 다음 단계인 일체성형단계를 거치게 된다.
일체성형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성형된 복합수지보드(120)가 사출금형(310,320)에 인서트된다(d).
다음으로, 제1 사출금형(310) 및 제2 사출금형(320)이 형폐된다(e). 이때, 사출금형(210)내에는 수지사출을 위한 주입공간(340)이 형성된다.
형폐된 사출금형(310,320)사이로 수지주입부(330)를 통해 수지가 사출됨으로써 복합수지보드(120)와 사출수지(130)가 일체성형된다(f).
이후, 사출금형(310,320)이 형개되고, 일체성형된 복합수지보드(120) 및 사출수지(130)가 취출된다(g).
마지막으로, 취출된 복합수지보드(120) 및 사출수지(130)의 성형체가 도어트림의 메인트림(150)에 장착되면 맵포켓(100)이 완성되게 된다(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합수지보드(120)를 냉간압착성형하는 단계의 수축률이 복합수지보드(120)가 사출수지(130)와 일체사출성형될 때의 수축률보다 더 크도록 제조된다. 예컨대, 복합수지보드(120)는, 냉간성형과정에서 8/1000 정도로 수축되고, 일체사출성형단계에서 7/1000 정도로 수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은, 부직포(110)가 적층된 복합수지보드(120)가 냉간성형3과정을 통해 먼저 보다 큰 수축률로 수축시킨 다음, 사출성형과정을 통해 2차적으로 냉간성형과정보다는 작은 수축률로 수축시킴으로써 부직포(110)와 복합수지보드(120)간의 수축률 편차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맵포켓(100)뿐만 아니라 부직포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자동차 내장재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맵포켓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맵포켓(100)은, 사출수지(130)의 상측에 복합수지보드(120)이 적층되고, 복합수지보드(120)의 상측에 부직포(110)가 적층된다.
여기서, 복합수지보드(120)는, 플라스틱 소재와 친환경 소재인 목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데, 일례로, 강성이 우수한 PP수지와 목분수지를 혼합 형성하여 목재의 단점을 보완한 친환경 소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합수지보드(120)는, 재료를 절감하고, 냉간압착시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t)를 0.8mm이내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맵포켓
110: 부직포
120: 복합수지보드
130: 사출수지
210: 상부 냉간압착금형
220: 하부 냉간압착금형
310: 제1 사출금형
320: 제2 사출금형

Claims (7)

  1. (a) 부직포가 적층되는 복합수지보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예열하는 단계;
    (c) 예열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d)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냉간압착성형하고 트리밍하는 단계;
    (e) 성형된 상기 복합수지보드를 사출금형에 인서트하는 단계; 및
    (f) 상기 복합수지보드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수지를 사출하여 일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d)단계의 수축률이 (f)단계보다 더 크도록 제조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상기 (d)단계의 냉간성형과정에서, 8/1000 정도로 수축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상기 (f)단계의 일체성형과정에서, 7/1000 정도로 수축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PP수지와 목분수지로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보드는,
    두께가 0.8mm이내로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은 도어트림 맵포켓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60139094A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KR10188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94A KR101888875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94A KR101888875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27A KR20180045227A (ko) 2018-05-04
KR101888875B1 true KR101888875B1 (ko) 2018-09-20

Family

ID=6220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94A KR101888875B1 (ko) 2016-10-25 2016-10-25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87B1 (ko) * 2019-04-30 2020-06-08 유치열 크래시패드용 시트 접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87B1 (ko) * 2019-04-30 2020-06-08 유치열 크래시패드용 시트 접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27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540B1 (en) Method for overmolding sink marks for an automotive component
US614985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door panels having concealed voids at the junction of integrally molded energy absorbers
US9914490B2 (en) Fram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console for connecting further compon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motor vehicle body
KR20110115541A (ko) 도어 구조물 모듈
JP6120012B2 (ja) 樹脂枠体付き板状体及び樹脂枠体付き板状体の製造方法
US20190255747A1 (en) Trim component for covering an interior space of a mea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rim component
US7753408B2 (en) Composit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KR101888875B1 (ko)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KR101926221B1 (ko) 자동차 인테리어 시트,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US6805828B2 (en) Sunroof sunshade
JP6539406B2 (ja) 車両用樹脂成形品及び車両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20121714A1 (en) Automobile interior components that satisfy impact standar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121718A1 (en) Automobile interior components that satisfy impact standar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776944B2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981939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JP2007069832A (ja) 車両用樹脂製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50411B1 (ko)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9505433A (ja) 助手席エアバッグのハウジング、こ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助手席エアバッグ
US20200207425A1 (en) Closed structural compon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92067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89787B1 (ko)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제조방법
US2002012172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oneycomb structure that is to be affixed to an automobile interior component at a desired location to allow impact standards to be met
KR102079949B1 (ko) 경량의 센터 마운팅부 구조를 갖는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0405489B1 (ko) 다층 어시스트 핸들그립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8716A (ko) 차량용 도어트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