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73B1 -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73B1
KR101888873B1 KR1020160114544A KR20160114544A KR101888873B1 KR 101888873 B1 KR101888873 B1 KR 101888873B1 KR 1020160114544 A KR1020160114544 A KR 1020160114544A KR 20160114544 A KR20160114544 A KR 20160114544A KR 101888873 B1 KR101888873 B1 KR 10188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holder
oi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219A (ko
Inventor
김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티
Priority to KR102016011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5Hydro-mechanical 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별도의 압력원을 사용하지 않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위아래로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소성가공장치에 있어 상기 하형의 베이스에 대한 홀더의 특정방향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으로서, 하형의 베이스에 대해 홀더를 탄성 지지지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의 유압 스프링과, 유압 스프링 수축 시 유압 스프링에서 빠져 나와 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을 임시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임시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유압 스프링에 리턴시키는 에너지 저장부와, 유압 스프링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 중간에 설치되는 압력제어밸브 및 리턴 경로를 통한 오일의 유압 스프링 측 이동만을 허용하도록 에너지저장부와 압력제어밸브 사이에서 리턴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포밍 또는 드로잉과 같은 소성가공 시 유압펌프와 같은 별도의 압력원의 사용 없이도 상형의 승강에 대응하여 홀더가 승강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Non-Powered Hydraulic metallic mold lifting system of plastic working device and Plastic working devic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압펌프와 같은 별도의 압력원이 필요 없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계가공방법 중 포밍(Forming)이나 드로잉(Drawing)과 같은 소성가공법은 판상의 재료를 일정한 틀에 넣고 가압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가공법을 의미한다. 이는 펀치와 패드를 이용하여 재료에 힘을 가해서 소성 변형시켜 성형하는 것으로, 가공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제품을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포밍(Forming)이나 드로잉(Drawing)과 같은 소성가공에 사용되는 기기를 일반적으로 프레스(Press)라 일컫는다. 프레스는 크게,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되며, 상형과 하형 사이에 가공대상 판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형으로 하형을 소정의 힘으로 타격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한 판재가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포밍(Forming)이나 드로잉(Drawing)에 사용되는 종래 일반적인 프레스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스는 크게, 상형(100)과 하형(200)으로 구성된다. 상형(100)은 의도하는 모양에 대응되는 성형면을 갖는 다이(110)와 패드(120)를 포함하며, 하형(200)에는 상형 다이(110)의 성형면과 대응되는 성형면을 갖는 펀치(220)와 펀치를 둘러싸는 홀더(210)가 구비되며, 홀더(210)가 부착되고 상형(100) 승강에 연동하여 베이스(240) 상에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베이스(240)와 상기 홀더(210) 사이의 하형(200)에는 탄성체(300)가 설치된다. 탄성체(300)는 상형(100)이 하형(200)을 타격했을 때 펀치를 제외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와 홀더(210)가 함께 하강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제품 성형 후 하형(200)으로부터 상형(100)이 이격될 때 상기 홀더(210)가 원래의 높이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탄성체(300)로 종래부터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축 코일 스프링은 내구성에 한계가 있다. 즉 타격 횟수에 비례하여 피로도가 누적되고 이에 따라 탄성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사용횟수 누적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강도가 최초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형의 다이가 하형의 홀더를 누르는 힘이 일정치 못해 제품의 형상 정밀도가 떨어지고 결국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코일 스프링을 대신하여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유압 실린더로 스프링을 대체한 기술은, 압력원, 예컨대 유압펌프가 제공하는 고압의 오일의 흐름을 방향제어밸브로 단속하여 유압 실린더의 승강을 제어한다. 때문에 타격 회수 누적에도 행정거리(Stroke)가 변할 가능성이 극히 적고,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도 성형 제품의 품질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유압 실린더를 탄성체로 사용하는 기술은, 유압펌프와 같이 전기를 필요로 하는 별도의 압력원이 사용됨에 따라, 장치 유지에 소요비용이 크고, 전기적인 문제나 콘트롤러의 오작동으로 압력원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제품 성형이 불가능하며, 해당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작업이 중단될 수 밖에 없어 비용적, 시간적 손실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5342(공개일 2014. 06. 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면서도 유압펌프와 같은 별도의 압력원이 필요 없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소성가공장치에 있어 상기 하형의 베이스에 대한 홀더의 특정방향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형에 의한 홀더의 하강에 연동하여 수축되면서 하형과 상형 사이의 피가공 판재가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소성 가공되도록 홀더를 탄성 지지하고, 상형 상승 시 상기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의 유압 스프링;
홀더를 통해 유압 스프링에 작용하는 상형의 하중에 의해 상기 유압 스프링에서 빠져 나와 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을 임시 저장하고, 상형 상승 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임시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상기 유압 스프링에 리턴시키도록 기능하는 에너지 저장부;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스프링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압력 하강을 방지하며, 상기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어 에너지 저장부를 향한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와 압력제어밸브 사이에서 리턴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 경로를 통한 오일의 유압 스프링 측 이동은 허용하고 리턴 경로를 통한 오일의 에너지 저장부 측 이동은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에 적용된 상기 유압 스프링은,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서 실린더 밖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 상단에 상기 홀더의 하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지지면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부는,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의 압유저장탱크와, 상기 압유저장탱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가 압력 가스로 채워진 축압기(Accumulator);로 구성되며, 상기 압유저장탱크의 피스톤 로드와 축압기의 작동 로드가 동축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외력(상형 하강에 따른 가압력) 작용에 의한 유압 스프링 수축 시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에 의해 상기 압유저장탱크의 피스톤 로드가 축압기 방향으로 신장되고 축압기가 압축되어 압력 에너지가 저장되며, 상형 상승에 따른 외력 제거 시 상기 압력 에너지에 의해 축압기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압유저장탱크에 채워져 있던 고압의 오일이 다시 유압 스프링 측에 리턴되어 유압 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또한, 상기 유압 스프링 또는 유압호스에 설치되며, 유압 스프링의 신축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에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디지털 수치로 변환 출력하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스프링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형의 펀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어 쌍을 이루도록 둘 이상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압 스프링의 용량 총합이 에너지 저장부의 압유저장탱크의 용량과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유압 스프링 변위 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의 유압호스에 설치되며, 콘트롤러의 통제를 받아 유압 스프링을 향한 오일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자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는 상형이 완전히 하강된 직후 상기 전자제어밸브에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상형 상승 후 임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전자제어밸브에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이 및 다이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패드를 포함하는 상형;
상기 상형 다이의 일부와 패드에 대응되어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펀치와, 상기 다이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며 상기 펀치를 둘러싸도록 승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하형; 및
상기 베이스와 홀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형 하강 시 함께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상형 상승 시 상기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유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을 갖춘 소성가공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형의 다이가 하형의 홀더를 누르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형의 일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면서도 유압펌프와 같은 별도의 압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장치 유지에 비용소요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인 문제나 콘트롤러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를 우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유압 실린더에 설정 값보다 큰 부하가 걸리거나 사용회수 누적 등으로 사용도중 약간의 누유가 생겨 유압 실린더의 복원력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오일만 추가적으로 보충하면 된다. 때문에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구성이 단순하므로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즉 저비용 고효율의 소성가공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포밍(Forming)이나 드로잉(Drawing)에 사용되는 종래 일반적인 프레스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시스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소성가공장치를 통한 제품 성형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위아래로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소성가공장치에 있어, 상형의 다이가 하형의 홀더를 누르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형의 일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면서도 유압펌프와 같은 별도의 압력원 없이도 지속적인 댐핑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하형의 베이스에 대한 홀더의 특정방향 움직임에 대한 댐핑 기능을 발휘하는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으로서, 외력 작용(상형의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시 유압 스프링에서 배유되는 고압의 오일을 에너지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복원력으로 오일을 유압 스프링에 리턴시켜 유압 스프링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크게, 유압 스프링(30), 에너지 저장부(50), 압력제어밸브(40)로 구성된다. 유압 스프링(30)은 유압 실린더 구조일 수 있으며, 에너지 저장부(50)는 유압 스프링(30) 수축 시 배유되는 고압의 오일을 임시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임시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유압 스프링(30)에 리턴시킨다.
유압 스프링(30)은 상하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상형(10)과 하형(20)으로 구성된 소성가공장치에 있어, 상기 하형(20)을 구성하는 베이스(24)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다. 유압 스프링(30)은 상형(10)에 의한 홀더(21)의 하강에 연동하여 수축되면서 하형(20)과 상형(10) 사이의 피가공 판재(5)가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소성 가공되도록 홀더(21)를 일정한 힘으로 지지한다.
유압 스프링(30)은 또한, 상형(10) 상승에 따른 외력 제거 시 홀더(2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복원력은 유압 스프링(30) 수축 시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고 상기 유압 스프링(30)으로부터 강제 배출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부(50)에 임시 저장되는 오일의 압력에 대한 반력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부(50)에 압력 에너지 형태로 저장되는 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유압 스프링(30)은 바람직하게,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유압 스프링(30)의 피스톤에서 실린더 밖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32) 상단에는 하형(20)의 베이스(24) 상에서 상형(10)의 하강에 따른 타격에 의해 하강되는 홀더(21)의 하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지지면(320)이 형성된다.
지지면(320)에는 상기 상형(10)이 하강되어 하형(20), 바람직하게는 하형(20)의 홀더(21)를 타격했을 때 상기 홀더(21)를 통해 전해지는 외력(타격력)이 입력되며, 지지면(320)에 입력되는 외력으로 피스톤 로드(32)가 실린더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유압 스프링(30)의 유압실 내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순간 압축되고 압력제어밸브(40)를 개방시켜 유압호스를 통해 에너지 저장부(50)로 이동된다.
유압 실린더에 압력제어밸브(40)에 의한 설정된 하중보다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거나 사용회수 누적 등의 이유로 사용도중 약간의 누유가 생길 수 있다. 누유가 발생하면 유압 실린더의 복원 행정거리(Stroke)가 짧아지고 피가공 판재(5)를 누르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유압 실린더나 에너지 저장부(50) 중 적당한 위치에 주입포트(미도시)를 형성시켜 오일을 보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에너지 저장부(50)는 홀더(21)를 통해 유압 스프링(30)에 작용하는 외력(상형(10)이 하형(20)을 타격하는 힘)으로 상기 유압 스프링(30)이 수축될 때 유압 스프링(30)에서 빠져 나와 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을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상형(10) 상승에 따른 외력 제거 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임시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상기 유압 스프링(30)에 리턴시키도록 기능한다.
에너지 저장부(50)는 바람직하게, 외력에 의한 유압 스프링(30) 수축 시 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으로 피스톤 로드(520)가 신장되는 유압 실린더 형태의 압유저장탱크(52)와, 상기 압유저장탱크(52)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압유저장탱크(52)에 작용하는 오일의 압력에 대한 반력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 형태로 저장하는 축압기(Accumulator, 5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압유저장탱크(52)는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일 수 있으며, 축압기(54)는 압유저장탱크(52)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가 압력 가스로 채워진 가스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유저장탱크(52)와 축압기(54)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동축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압유저장탱크(52)의 피스톤 로드(520)와 축압기(54)의 작동 로드(540)가 동축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유저장탱크(52)와 축압기(54)가 병렬구조로 이축(異軸) 배치되고, 중앙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연동링크를 통해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 등 압유저장탱크(52)와 축압기(54)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모든 형태를 연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스프링(30)의 수축으로 유압 스프링(30)에서 강제 배출된 오일에 의해 압유저장탱크(52)의 피스톤 로드(32)가 축압기(54) 방향으로 신장되고 축압기(54)가 압축되어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압력 에너지에 의해 축압기(54)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압유저장탱크(52)에 채워져 있던 고압의 오일이 다시 유압 스프링(30) 측으로 리턴되어 유압 스프링(30)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압력제어밸브(40)는 공급 경로(L1)를 형성하는 유압호스 중간에 설치된다. 압력제어밸브(40)는 상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압 스프링(30)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공급 경로(L1)를 통한 오일의 에너지 저장부(50) 측 이동을 막아 압력 하강을 방지하며, 외력 작용으로 상기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어 에너지 저장부(50)를 향한 오일의 이동을 허용한다.
압력제어밸브(40)는 두 개의 입력과 출력 포트(P1, P2 포트), 그리고 하나의 드레인 포트(T 포트)를 갖는 공지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일 수 있으며, 이때 T 포트에 유압 스프링(30)에서 압유저장탱크(52)를 향하는 오일 공급 경로(L1)를 형성하는 유압호스가 연결되고, P2 포트에 압유저장탱크(52)에서 유압 스프링(30)을 향하는 오일 리턴 경로(L2)를 형성하는 유압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유압 스프링(30)의 내부 압력이 압력제어밸브(40)의 설정압력에 도달되기 전(압력제어밸브(40)가 에너지 저장부(50) 측으로의 오일 이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기 전) 상기 리턴 경로(L2)를 형성하는 유압호스를 통해 오일이 설정압력 이하의 작은 외력에도 에너지 저장부(5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리턴 경로(L2)를 형성하는 상기 유압호스에는 체크밸브(6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체크밸브(60)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50)와 압력제어밸브(40) 사이에서 리턴 경로(L2)를 형성하는 상기 유압호스에 설치되어, 리턴 경로(L2)를 통한 오일의 유압 스프링(30) 측 이동은 허용하고 리턴 경로(L2)를 통한 오일의 에너지 저장부(50) 측 이동은 제한한다. 체크밸브(60)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유압 스프링(30)이나 유압호스에는 압력 게이지(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게이지로는 유압 스프링(30)의 신축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디지털 수치로 변환 출력해 외부에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아날로그형 압력 게이지 역시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시스템 개략도로서, 상기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은 전자제어밸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제어밸브(70)는 압력제어밸브(40)와 체크밸브(60) 사이의 유압호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콘트롤러(80)의 통제를 받아 유압 스프링(30)을 향한 오일의 이동을 단속한다.
전자제어밸브(70)가 적용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콘트롤러(80)는, 상형(10)이 완전히 하강된 직후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전자제어밸브(70)에 출력하며, 상형(10) 상승 후 임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전자제어밸브(70)에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함으로써 상형(10) 다이(11)의 상승과 동시에 하형(20)의 홀더(21)가 상승됨에 따른 피가공 판재(5)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작동 설명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유압 스프링(3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형(20)의 펀치(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어 쌍을 이루도록 둘 이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유압 스프링(30)의 용량 총합이 에너지 저장부(50)의 압유저장탱크(52)의 용량과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유압 스프링(30) 변위 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을 갖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성가공장치는 크게, 상형(10)과 하형(20), 그리고 복수의 유압 스프링(30)을 포함하는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소성가공장치의 구성과 전체적인 작동을 위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형(10)은 다이(11) 및 다이(11)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드(12)를 포함한다. 다이(11)는 승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하형(20)을 가압하거나 하형(20)으로부터 이격되는 직선운동을 하는 승강 베이스(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패드(12)는 상기 다이(11) 중앙의 안내홀을 따라 별도의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다이(11)와는 독립된 직선운동(하형의 펀치(22)를 가압하거나 펀치(22)로부터 이격되는 운동)을 한다.
하형(20)은 상기 상형(10) 다이(11)의 일부와 패드(12)에 대응되도록 베이스(24) 상에 설치되는 펀치(22)와, 상기 다이(11)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며 상기 펀치(22)를 둘러싸도록 승강 플레이트(23) 상에 설치되는 홀더(21)를 구비한다. 상형(10)의 다이(11)에는 의도하는 제품 모양에 대응하여 성형면이 형성되며, 하형(20)의 상기 펀치(22)에는 상기 상형(10) 다이(11)의 성형면과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성형면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형(10)에 다이(11)가 있고 다이(11)에 대응하는 펀치(22)를 하형(20)에 구성시킨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시된 형태와는 반대로 펀치(22)를 상형(10)에 구성하고 하형(20)에 상기 펀치(22)에 대응되는 다이(11)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펀치(22)와 다이(11)의 제품 성형면의 형상 역시 의도하는 제품 형상에 맞춰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형(20)의 상기 베이스(24)와 홀더(21) 사이에는 전술한 유압 스프링(30)이 설치된다. 유압 스프링(30)은 상형(10) 하강 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와 함께 하강되도록 홀더(21)를 탄성지지하고, 상형(10) 상승 시 상기 홀더(2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유압 스프링(30)은 하형(20)을 구성하는 상기 펀치(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어 쌍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홀더(2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성가공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소성가공장치를 통한 제품 성형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제어밸브(70)를 채택한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도 4 참조)가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앞서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상형(10)과 하형(20) 사이에 성형 대상 피가공 판재(5)가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형(10)이 하형(20) 측으로 하강하여 상형(10)의 다이(11)와 패드(12)가 하형(20)의 펀치(22)와 홀더(21)를 소정의 힘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때 하형(20)의 홀더(21)는 상기 상형(10)의 다이(11)와 함께 아래로 이동되며, 따라서 다이(11)와 펀치(22)의 성형면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판재가 소성 변형된다(도 6의 (a)~(d)).
홀더(21)에 작용하는 외력(다이(11)가 홀더(21)를 타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홀더(21)의 하강과 동시에, 홀더(21)를 지지하는 유압 스프링(30)이 수축되고 유압 스프링(30)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순간 압축되고 압력제어밸브(40)를 개방시켜 유압호스를 통해 에너지 저장부(50)로 이동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전자제어밸브(70)는 오일의 에너지 저장부(50) 이동을 허용하는 측에 절환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형(10)이 완전히 하강된 직후 콘트롤러(80)는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전자제어밸브(70)에 출력하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오일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형(10)의 다이(11)가 상승 이동되고,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패드(12)가 상승된다. 이때까지도 전자제어밸브(70)는 오일의 흐름 차단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형(10)이 완전히 상승된 후에도 홀더(21)는 하강된 채로 유지된다(도 6의 (e)~(f)).
이후 상형(10)이 완전히 상승된 다음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어명령이 전자제어밸브(7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차단되어 있던 유로가 개방되고, 오일의 압력에 대한 반력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 형태로 저장하고 있던 에너지 저장부(50)의 복원력에 의해 오일이 다시 유압 스프링(30)으로 이동된다. 결국 유압 스프링(30)과 홀더(21)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도 6의 (g)).
만약 도 6의 (e)와 같이 다이(11)는 상승했으나 패드(12)는 아직까지도 판재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압 스프링(30)이 복원되고 홀더(21)가 상승하게 되면, 피가공 판재(5)에 원치 않는 변형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면의 예시와 같이 패드(12)가 다이(11)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상승되는 경우라면, 전자제어밸브(70)를 통해 오일의 리턴을 지연시키는 홀더(21) 락킹 메커니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상형 11 : 다이
12 : 패드 20 : 하형
21 : 홀더 22 : 펀치
23 : 승강 플레이트 24 : 베이스
30 : 유압 스프링 40 : 압력제어밸브
50 : 에너지 저장부 52 : 압유저장탱크
54 : 축압기 60 : 체크밸브
70 : 전자제어밸브 80 : 콘트롤러
L1 : 공급 경로 L2 : 리턴 경로

Claims (9)

  1. 상하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소성가공장치에 있어 상기 하형의 베이스에 대한 홀더의 특정방향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형에 의한 홀더의 하강에 연동하여 수축되면서 하형과 상형 사이의 피가공 판재가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소성 가공되도록 홀더를 탄성 지지하고, 상형 상승 시 상기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의 유압 스프링;
    홀더를 통해 유압 스프링에 작용하는 상형의 하중에 의해 상기 유압 스프링에서 빠져 나와 유압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을 임시 저장하고, 상형 상승 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임시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상기 유압 스프링에 리턴시키도록 기능하는 에너지 저장부;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스프링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압력 하강을 방지하며, 상기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어 에너지 저장부를 향한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와 압력제어밸브 사이에서 리턴 경로를 형성하는 유압호스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 경로를 통한 오일의 유압 스프링 측 이동은 허용하고 리턴 경로를 통한 오일의 에너지 저장부 측 이동은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의 유압호스에는 유압 스프링을 향한 오일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자제어밸브가 콘트롤러의 통제를 받아 작동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콘트롤러는 상형이 완전히 하강된 직후 상기 전자제어밸브에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상형 상승 후 임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전자제어밸브에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스프링은,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서 실린더 밖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 상단에 상기 홀더의 하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지지면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는,
    내부에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단일의 가변형 유압실이 형성된 단동형 유압 실린더 구조의 압유저장탱크와;
    상기 압유저장탱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가 압력 가스로 채워진 축압기(Accumulator);로 구성되며,
    상기 압유저장탱크의 피스톤 로드와 축압기의 작동 로드가 동축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유압 스프링 수축 시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에 의해 상기 압유저장탱크의 피스톤 로드가 축압기 방향으로 신장되고 축압기가 압축되어 압력 에너지가 저장되며,
    상형 상승에 따른 외력 제거 시 상기 압력 에너지에 의해 축압기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압유저장탱크에 채워져 있던 고압의 오일이 다시 유압 스프링 측에 리턴되어 유압 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스프링 또는 유압호스에 설치되며, 유압 스프링의 신축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에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디지털 수치로 변환 출력하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형의 펀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어 쌍을 이루도록 상기 유압 스프링이 둘 이상 복수로 설치되며,
    각각의 유압 스프링의 용량 총합이 에너지 저장부의 압유저장탱크의 용량과 같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다이 및 다이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패드를 포함하는 상형;
    상기 상형 다이의 일부와 패드에 대응되어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펀치와, 상기 다이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며 상기 펀치를 둘러싸도록 승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하형; 및
    상기 베이스와 홀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형 하강 시 함께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상형 상승 시 상기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유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을 갖춘 소성가공장치.
KR1020160114544A 2016-09-06 2016-09-06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KR10188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44A KR101888873B1 (ko) 2016-09-06 2016-09-06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44A KR101888873B1 (ko) 2016-09-06 2016-09-06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19A KR20180027219A (ko) 2018-03-14
KR101888873B1 true KR101888873B1 (ko) 2018-08-16

Family

ID=6166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44A KR101888873B1 (ko) 2016-09-06 2016-09-06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9350B (zh) * 2018-03-22 2024-02-09 宁波弘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立式模具开合模装置
CN109013913B (zh) * 2018-09-30 2020-04-14 江西省天奇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模具装置
KR102130157B1 (ko) * 2019-01-30 2020-07-03 (주)파워텍 가스스프링 충격방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프레스금형장치
CN117463885B (zh) * 2023-12-22 2024-02-27 无锡科里斯特科技有限公司 一种精冲设备和精冲模具的快速精准对接定位锁止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6152A (ja) * 2011-03-30 2012-10-25 Daihatsu Motor Co Ltd プレス成形金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9701A (ja) * 1984-05-22 1985-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ピストン式ガス圧縮形アキユムレ−タ
JPH1076323A (ja) * 1996-09-02 1998-03-24 Amada Co Ltd 板材プレス加工機械の自動調圧ダイクッション構造
KR101477111B1 (ko) 2012-12-11 2014-12-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벤딩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6152A (ja) * 2011-03-30 2012-10-25 Daihatsu Motor Co Ltd プレス成形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19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873B1 (ko) 소성가공장치의 무동력 유압식 금형 승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성가공장치
CN106807842B (zh) 压力机的滑动缓冲装置
PL180667B1 (pl) Sposób i urzadzenie do prasowania tlocznego wyrobów z tworzyw sztucznych PL PL PL PL PL PL PL
US7059165B2 (en) Hydromechanical clo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lateral extrusion
JPS6238062B2 (ko)
CN105522047A (zh) 一种简易拉伸模具结构
CN204018482U (zh) 一种冲床辅助装置
JP5443121B2 (ja) 液圧プレス
KR101562868B1 (ko) 가압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프레싱장치
JPH11179444A (ja) プリント基板打抜き加工装置
KR20100086368A (ko) 공,유압을 이용한 종이용기 성형장치
KR102033907B1 (ko) 프레스의 완충 장치
JP5313736B2 (ja) 油圧クッションのサージ圧防止装置
JP2013086165A (ja) プレス成形装置
JPH0716795A (ja) 粉末成形プレス
JP2014073525A (ja) 多段プレス装置
RU2291023C2 (ru) Пресс-молот (варианты)
JP2019076917A (ja) 鍛造プレス及びその制御方法
CN214338450U (zh) 一种蜂鸣器盖板整平装置
JPH0444283Y2 (ko)
CN202316890U (zh) 压力机液压垫装置
CN208858859U (zh) 一种机械设备模具的减震装置
KR20170022128A (ko) 가압구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프레싱장치
US2854919A (en) Hydraulic press
EP1863605B1 (en) Shock absorber for movable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