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733B1 -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 Google Patents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733B1
KR101888733B1 KR1020150179118A KR20150179118A KR101888733B1 KR 101888733 B1 KR101888733 B1 KR 101888733B1 KR 1020150179118 A KR1020150179118 A KR 1020150179118A KR 20150179118 A KR20150179118 A KR 20150179118A KR 101888733 B1 KR101888733 B1 KR 10188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haracter
neutral
block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136A (ko
Inventor
홍성은
Original Assignee
홍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은 filed Critical 홍성은
Priority to KR102015017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7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혼자서 언어와 문자를 학습하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에 있어서, 블록 문자를 이용하여 글자를 형성하고 글자에 해당하는 발음을 생성하여 들려줌으로써 혼자서 스스로 언어를 학습기로써, 문자를 형성하는 원리를 반영한 문자조립구들(10,20,30)과, 조립구에 조립하도록 형성한 문자를 새겨넣은 다수의 블록(1, 2)과, 조립되는 블록을 감지하여 해당 문자를 소리 언어로 반복해서 들려주는 PCB부와 PCB부는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전자회로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더하여 LCD화면에 조립된 문자나 그림을 보여주는 표시부(4) 및 선택스위치부(5)로 이루어진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삭제

Description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Multilingual using block letters and speech learning machine}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써, 블록과 음성을 이용하여 교육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기에 관한 기술에 있어서, 대한민국 공개 실1999-003979에 의하면, 블록 문자 조립판 을중심으로 외부 전원단자가 기기의 전원의 켜고 끄는 스위치와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 자음.모음 또는 글자배우기를 선택할 수 있 는 선택 버튼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기기의 중심부에 오목하게 블록 조립구와 이것의 우측과 하단에 서로 직사각형의 모서리가 약간 겹치도록 블록 조립구를 크기와 모서리각도 모양을 달 리하여 설치한 블록 문자 조립부와, 기기에 내설한 합성음발생장치부와, 음성합성기의 셀렉트 스위치와 연결한 접점스위치를 블록 조립구의 바닥에 다수 내설한 접점 스위치부와, 문자 블록 네 면에 고유의 문자를 인쇄하여 각 면에는 스위치와 일치하게 돌기를 서로 다른 특정의 위치에 형성한 문자 블록과, 기기의 외부에 돌출되게 LED 렘프를 다수설치한 렘프부 와, 본체의 덮게 내부에 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로 이루어진 블록과 음성을 이용한 문자 학습기가 제시되어 있고,
또 다른 배경기술로써 공개 특2003-0066839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문자, 숫자 및 그림이나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의 블록에 해당되는 코드 값
을 갖는 다수의 요철에 의해 특정 코드 값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키가 각 표면에 구성된 완구블록과; 상기 완구블록이 조립되도록 된 키입력부와 그 하부에 상기 작동키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스위치접점을 갖는 키매트리스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키의 요철에 의해 상기 스위치접점이 단락된 상태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한 후, 그에 해당되는 음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학습용 완구로 이루어진 것이 제시되어 있다
KR 2003-0066839 KR KR 1999-003979 KR
상기의 기술에 의하면 조립시의 시인성이 부족하고, 블록의 인식센서가 없어 다수의 블록(글자당 2~4개)이나, 2자 이상의 다수의 글자(3자 일 경우 4 X 3=12개의 블록)가 조립될 수 있는데, 불특정한 위치에 자모음 순서나 앞뒤글자의 입력순서에 상관없이 입력되어도 글자를 구성하는 논리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블록 인식수단이 구성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고,
문자조립구들의 구성은, 블록문자의 조립시에 언어를 모르는 상태의 어린이가 문자조립구들에 아무렇게나 조립할려고 할 때도 단어가 될 수 있는 위치의 조립구에만 꽂힐 수 있게 함으로써, 단어가 되지 못하는 곳(즉 자음블록은 초성자리나 종성자리에만 꽃힐 수 있게하고 중성자리인 모음자리)에는 꽃히지 않게 하여 자연스럽게 글자의 조형을 깨닿게 되도록하고 실수하는 시간을 절약하게 하는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고,
중성의 조립구인 가로조립구와 세로조립구의 모서리가 겹쳐있어서 동시에 삽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복모음의 경우 두 군데 동시에 삽착 할 수 있게 하여야 하고,
블록문자에 돌기가 있어서 조립구형상을 사각으로만 할 경우 블록 조립시 부정확하게 꽂혀 다수의 세밀한 스위치의 접점이 불확실하게 되고 흔들거려 오류가 많은 구조를 개선할 과제가 있고,
블록조립구의 구조는 블록이 조립되면 센서가 인식하여 여러종류의 자모음이 조립되어 한글자나 3단어를 형성하여 논리조합을 구성할 수 있게 하고,쉽게 조립하고 쉽게 뺄수 있으면서 흔들리지 않는 정밀한 위치고정을 위한 최소한의 접촉면 구조 및 인식의 정밀성과 블록구조의 특성을 살려 조립구의 구조를 특수하게 구현할 과제가 있고,
한글의 경우,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된 글자와 초성 중성만으로 결합된 글과의 조형에 있어서 과도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조형성이 좋게 구성할 과제가 있고, 또한 문자의 표면 높낮이도 비슷하게 함으로써 인식할 때 시인성을 좋게 개선할 과제가 있고, 각각의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입력시에 각각의 음을 들려주고 렘프로 문자부분만 발광케 조명함으로써 시인성을 좋게하며, 다국어의 경우에도 각 블록 문자부분만 발광조명함으로써 맞는 단어의 조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하며, 한글자 일 때와 다수의 글자일 때의 인식수단이 개발되어야 하며,
한글의 경우 글자의 초성1개와 중성2개와 종성1개가 한글자를 이루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블록으로 할 경우는 높이는 같아지지만 조형성이 떨어지고,선행문헌공개 실1999-003979에 제시된 자모음의 크기를 달리하면, 한 글자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높낮이가 달라 조립글자의 가독성이 불편한 것을 해결할 과제가 있고,
또한 학습효과를 배가하기 위한 효과음과 시각효과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현시대에는 자국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가로배열 문자를 학습할 수 있는 다언어 학습겸용 문자조립구를 형성하여 소프트웨어만 선택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다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여러종의 언어를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 수단을 발명할 과제가 있다.
또한 학습의 진행이 정확한 글자와 틀린글자의 조합시에 즉시 틀린글자(문자가 아님 잘못된 조합)는 즉시 효과음으로 알려줌으로써 실수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하여 맞는 조합글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혼자서도 무의식적인 학습과 빠르고 쉽게 문자를 습득하는 수단을 강구할 과제가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자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교제와, 본체 상판에 문자를 조성하는 구조를 반영한 문자조립구들(10,20,30)을 형성한 것과, 문자조립구에 조립용으로써 문자를 새겨넣은 다수의 블록(1, 2)과, 조립되는 블록을 감지하여 해당 문자를 소리 언어로 반복해서 들려주는 PCB부(47)와 PCB부는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전자회로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더하여 LCD화면에 조립된 문자나 그림을 보여주는 표시부(4) 및 선택스위치부(5)로 이루어진다.
한글 학습용 문자 조립구의 구성은,
각각의 문자 조립구의 구성은 초성조립구(11) 1개, 가로중성조립구(13) 1개와, 세로중성조립구(12) 1개와 종성조립구(15) 1개로 총4개의 조립구로 구성된 글자 한 개용 조립구를 다수 형성하며, 2개의 중성자리에는 가로 모음과 세로 모음의 블록을 삽착 시에 동시에 조립될 수 있도록 서로 겹쳐지지 않게 형성하며,
초성.중성.종성의 블록글자의 조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가 더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하되, 초성블록과 종성블록은 같은 형상이되 방향만 다른 구조로써 가로와 세로와 깊이를 동일하게 하며,
중성 모음조립구는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를 2개로 하되, 세로중성 형상을 90도 눕혀 놓은 형태로 가로중성조립구(13)를 형성한 것이며,
그 형상은 세로와 가로와 깊이와 바닥의 스위치노브 홀(51)의 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를 배치한 것으로 같은 형상이며, 중성에 해당하는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의 조형은 가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를 2:1 이상 되게 하고, 세로 세로중성조립구(12)은 가로와 세로비가 1:2 이상이 되는 것이며, 조합된 한 글자의 외형이 세로로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과,
자음용 조립구는 모음용 보다 깊이가 더 깊고, 모음용 조립구는 얕게하여 조립구 바닥의 단차를 형성한 것과,
각 조립구의 형상에 있어서,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긴변이 닿는_쪽에 더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딛치지 않게 하며,
각 조립구의 측면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6)를 가설한 것과,
케이스(50) 내측에 형성한 전자회로부는 PCB판에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상기의 문자조립구(10,20,30)들 구성과 연동한 전자회로부의 구성 논리에 관한 것으로써,
전자회로부에서의 문자조립구 각각의 문자를 인식 하기 위한 대응 입력값을 표기하면,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에는 대응되는 입력값으로는
초성조립구(11)는 초성(11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가로중성조립구(13)는 가로중성(12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세로중성조립구(12)는 세로중성(13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종성조립구(15)는 종성(140)의 입력값이 들어오게되어
총4개의 문자입력값과 조립구 일측에 설치한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와 연계하여 위치 데이타를 얻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1개의 초성 조립구(11)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조립 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초성(11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초성(110)에 맞는 문자인지를 초성조합비교기(114)에서 판별하여 데이타를 종성조합 비교기(116)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 1개의 세로 중성 조립구(12)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세로중성(12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세로중성(120)에 맞는 문자인지를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판별하고 데이타를 초성 조합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 1개의 가로 중성 조립구(13)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가로중성(13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가로중성(130)에 맞는 문자인지를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판별하여 데이타를 초성 조합 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세로 중성 문자(120)와 가로중성문자(130)를 결합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비교 판별하여 중성 문자 코드값를 부여하고 데이타를 초성조합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받침 없는 문자 조합 수단으로써, 상기의 조립구 중에서 세로중성(120)과 가로중성(130) 2개 간의 코드값(115) 데이타를 바로 옆의 초성조합비교기(114)에 보내어 다시 비교 하여, 받침 없는 문자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제1문자조립구(10) 중에서, 1개의 종성 조립구(15)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종성(14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종성(140)에 맞는 문자인지를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판별하고 데이타를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받침 있는 문자 코드값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써, 상기의 받침 없는 문자 코드값에 해당하는 초성조합비교기(114)의 코드값과 종성(140) 코드값을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판별하여, 받침 있는 문자인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코드값를 부여하고 데타를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이어 받아 단어 구성 여부를 단어결합기(170)에서 코드값을 부여하고,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문자판별기(119)에서 판별하여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118)에서 불러와 스피커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것과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이를 다수 배열하여 제2문자 (150)와 제3문자(160)를 결합하는 단계로써,
상기 제1문자 조립구(10)의 4개 조립구에서 나온 데이타를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고,
제1문자조립구와 동일하게 제2문자 조립구(20)에서 나온 데이타도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고,
제1문자 조립구(10)와 동일하게 제3문자 조립구(30)에서 나온 데이타도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어, 단어결합기(170)에서 결합하여,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문자판별기(119)에서 판별하여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118)에서 불러와 스피커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며,
다국어 학습용 논리회로 구성에 관한 것으로써,
다국어 학습기를 겸할 수 있는 가로배열 문자 조립구를 형성하되 가로로 조립구(17)를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다국어 조립구(17) 일측에는 다국어용 블록 감지스위치(212)를 형성하고, 각 조립구의 형상에 있어서,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긴변이 닿는 쪽에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딪치지 않게 형성하여 기구 구성한 것과;
상기의 기구 구성에 연동하는 전자회로부의 논리회로로써,
상기 다국어 조립구(17)들에 대응되는 입력값을 부여하자면, 좌측 조립구 부터 우측순으로 제1문자(210), 제2문자(220) 제3문자(230) 제4문자(240)순으로 다수로 입력값이 배열되고, 상기 조립구(17)들 중에서 불특정하게 블록이 조립되면 조립된 조립구의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N 되어 블록 조립 위치정보를 전자회로부에 보내는 단계와;
전자회로부에서 상기 조립감지스위치에 의한 블록 조립 위치정보가 ON 상태일 때 바닥의 블록 문자 정보 감지 스위치가 접촉되면서 입력된 고유의 블록문자 정보를 제2비교기(215)와 엔코더에서 받아 이웃하는 문자의 유무를 판별하고 나서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비교기(215)와 엔코더에서 부여된 코드값을 바로 옆 제3비교기(216)와 엔코더에 보내서 이웃하는 문자의 유무를 블록 감지스위치(212)의 정보로 판별하고 나서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의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들을 조립구의 갯 수만큼 병렬로 다수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병렬로 다수 반복하다가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FF 일 때는 해당 비교기에서 상기 코드값을 단어 결합기(270)에 보내어 단어 판별을 하는 단계와;
단어결합기(270)에서 상기 코드값을 결합하여,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단어비교기(219)에서 판별하고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218)에서 불러와 스피커(217)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블록의 구성은 육면체의 4면에 각기 서로 다른 고유의 위치에 돌기와 문자를 형성하고, 두 측면에는 통기홀을 형성하여 잡고 빼고 넣기 용이하게 하고 무게를 적게하며 재료비도 절약하게 한 것이며, 또한 글씨부분은 형광 도료나 씨트지로 형성하고 글씨 외부분은 불투명으로 형성한다.
도 9에 보인 실시 예는 다국어 학습용으로 겸할 수 있는 가로배열 문자조립구를 형성한 것으로써, 가로로 조립구를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조립구 일측에는 상기와 같은 조립감지 스위치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스위치 노브홀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칭 수단을 구성한 것이며,
삭제
각 조립구의 형상에 있어서,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24)는 밀착시키고 긴변이 닿는 쪽에 더 조립구 여유공(22)(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딛치지 않게 하며,
각 조립구의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를 가설하며, 조립구의 바닦에는 스위치 누름판과 조명렘프 홀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치누름판이 하측에서 조립되어 바닥판과 일치하는 높이로 각 홀에 조립되게 형성하여 바닥홀에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되게 형성한 것이며,
바닥의 일측에 조명렘프(LED)를 조립하여 블록에 조사할 수 있게 하며, 스위치누름판의 하부에는 PCB판에 각홀과 스위치누름판 노브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다수 구성하여 선택전환 스위치로 한글과 다국어(영어,일어등)의 학습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은 한글창제 원리에 맞게 조합하며 완성할 수 있는 완벽한 한글 학습기이면서, 또한 좌우로 연이어서 문자구성이 되는 모든 언어의 학습에도 유용한 자기주도 학습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문자에 하부에서 조명을 하여 문자가 발광하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효과음도 발생시켜 항상 학습자를 오감을 자극하고 인지력을 자극시켜 향상시키고, 두뇌에 학습효과를 시각과 청각과 촉각이 동시에 사용하여 블록을 조작하게 하는 어린이의 언어 및 여러 감각을 발달시키는 유용하면서도 스스로터득 할 수 있는 다국적 언어학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고자 할 때도 본 학습기만 있으면 혼자서도 문자와 언어를 동시에 배울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한국인은 다국어를 혼자서 배울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블록조립구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도3의 B-B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도4의 C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닦 단차 특징의 조립구 도 3의 D-D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구 형상 E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영어 조립 실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글학습 논리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국어(영어)학습 논리 순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수단을 이용한 실시하기 위해서 문자를 학습하는데 도구와 음성을 이용하여 문자형성원리를 이해하고 스스로 문자와 언어를 습득하도록 하는 언어학습기에 있어서, 문자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교제와, 문자를 형성하는 원리를 반영한 문자조립구들(10,20,30)과, 문자조립구들에 조립하도록 형성한 문자를 새겨넣은 다수의 블록(1, 2)과, 조립되는 블록을 감지하여 해당 문자를 언어로 반복해서 들려주는 PCB부와 PCB부는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전자회로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더하여 LCD화면에 조립된 문자나 그림을 보여주는 표시부(4) 및 선택스위치부(5)로 이루어진다.
문자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교제와, 문자를 형성하는 원리를 반영한 문자조립구들(10,20,30)과, 문자조립구에 조립하도록 형성한 문자를 새겨넣은 다수의 블록(1, 2)과,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어,조립되는 블록을 감지하고 해당 문자를 언어로 반복해서 들려주는 PCB부(47)는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전자회로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 더하여 LCD화면에 조립된 문자나 그림을 보여주는 표시부(4) 및 선택스위치부(5)로 이루어진다.
초성.중성.종성의 글자의 조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가 더 길게하되, 초성은 종성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 자음을 통일성과 생산성을 개선하고,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들중에 가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를 약 2:1 이상 되게 하고, 세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가 약 1:2 이상이 되게 하며, 조합된 한 글자의 외형이 세로로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초성(11)이 1개, 중성이(가로모음13,세로모음 12) 2개, 종성(15)이 1개의 조립구를 다수(3조 3글자 용)형성하며, 2개의 중성자리에 가로 모음(13)과 세로모음(12)의 블록을 삽착시에는 서로 겹치지 않게(동시에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는 가로모음과 세로모음이 결합하여 복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삭제
삭제
[도 7]의 본 발명의 문자조립구들 형상 E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직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긴변 쪽에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케이스벽에 부딛치지 않게 하며,
각 조립구의 내측 형상과 특징을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도3의 B-B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도4의 C 부분 확대도 를 참조하여,
각 조립구의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6)를 각각 가설하며, 조립구의 바닦에는 스위치 노브홀(51)과 조명렘프 홀(42)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치누름판(44)이 하측에서 조립되어 바닦판과 일치하는 높이로 각 스위치노브 홀(51)에 조립되게 형성하여 바닥 홀에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한 것과, 이때 초성과 종성자리의 높이와 중성자리(모음용)의 바닥높이가 다르므로 스위치누름판의 높낮이도 바닥면에 맞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한 것이며,
바닥의 일측에 조명렘프(LED)(48)를 조립하여 블록에 조사할 수 있게 하며, 스위치누름판(44)의 하부에는 PCB판(47)에 각홀과 스위치누름판(44)노브에 대응하는 스위치(46)를 다수 구성하고 발성회로부를 형성하며,
각 조립구의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6)를 각각 가설하며, 조립구의 바닦에는스위치노브 홀 (51)과 조명렘프 홀(42)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치누름판(44)이 하측에서 조립되어 바닦판과 일치하는 높이로 각 스위치노브 홀(51)에 조립되게 형성하여 바닥 홀에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한 것과, 이때 초성과 종성자리의 높이와 중성자리(모음용)의 바닥높이가 다르므로 스위치누름판의 높낮이도 바닥면에 맞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한 것이며,
바닥의 일측에 조명렘프(LED)(48)를 조립하여 블록에 조사할 수 있게 하며, 스위치누름판(44)의 하부에는 PCB판(47)에 각홀과 스위치누름판(44)노브에 대응하는 스위치(46)를 다수 구성하고 발성회로부를 형성하며,
[도 6]의 본 발명의 바닦 단차 특징의 조립구 도 3의 D-D 종단면도를 참조로,
높이가 다른 블록문자의 조립 후 시각이 닿는 면(56)의 높이를 같게 함으로써 시인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자음용 조립구는 깊이가 더 깊고, 모음용 조립구는 얕게하여 블록의 높이가 다른것이 조립되어서 한 글자를 완성할 때, 최상측의 높이(56)를 같게 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하도록 자음과 모음용 조립구의 바닦깊이는 단차(55)를 형성하며, PCB와 조립판 바닥의 사이에 텍스위치 누름판(44, 44-1)과 LED노브를(여기서는 겸용) 가설하되 초성(자음)과 종성(자음)자리는 PCB와의 간극이 짧아서 낮게 형성하고, 중성(모음)자리는 간극이 넓어 노브의 길이도 길게 체워 형성함으로써 PCB의 텍 스위치는 동일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동시에 각 조립구의 바닥에 형성한 LED조명 가이드를 위한 노브의 높이도 조립구의 바닥과 PCB와의 간극에 맞춰 형성한 것이며,
가로가 더 길게 형성한 육면체의 4면에 각기 서로 다른 고유의 위치에 돌기와 문자를 형성하고,
중성(12,13)글자의 조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가 더 길게 하되,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들은 가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를 약 2:1 이상 되게 하고, 세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가 약 1:2 이상이 되게 하며, 변이 짧은 두 측면에는 통기홀(60)을 형성하여 잡고 빼고 넣기 용이하게 하고 무게를 적게하며 재료비도 절약하게 한 것이며, 또한 글씨부분은 형광 도료나 씨트지로 형성하고 글씨 외부분은 불투명으로 형성한다.
가로세로의 길이 변형이나 투명과 불투명의 변형도 포함한다.
다국어 학습용으로 가로배열 언어의 학습용으로 겸한 것으로써,
[도 9]에 보인 실시 예는 다국어 학습용으로 겸할 수 있는 가로배열 문자조립구를 형성한 것으로써, 가로로 동일한 조립구를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조립구 일측에는 상기와 같은 조립감지 스위치(6)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스위치 노브홀(51)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칭 수단을 구성한 것이며,
각 조립구(17)의 형상에 있어서, 이웃하는 면과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조립구(17) 상하측 변에는 더 여유공간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딛치지 않게 공간을 확보하며,
[도 9]에 보인 실시 예는 다국어 학습용으로 겸할 수 있는 가로배열 문자조립구를 형성한 것으로써, 가로로 동일한 조립구를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조립구 일측에는 상기와 같은 조립감지 스위치(6)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스위치 노브홀(51)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칭 수단을 구성한 것이며,
각 조립구(17)의 형상에 있어서, 이웃하는 면과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24)는 밀착시키고 조립구(17) 상하측 변에는 더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딛치지 않게 공간을 확보하며,
각 조립구의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6)를 가설하며, 조립구의 바닦에는 스위치노브 홀(51)과 조명렘프 홀(42)을 다수 형성하고, 스위치누름판(44)이 하측에서 조립되어 바닥판과 일치하는 높이로 각 홀에 조립되게 형성하여 바닥홀에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되게 형성한 것이며,
바닥의 일측에 조명렘프(LED)(48) 조립하여 블록에 조사할 수 있게 하며, 스위치누름판(44)의 하부에는 PCB판에 각홀과 스위치누름판 노브에 대응하는 스위치(46)를 다수 구성하여 선택전환 스위치(5)로 한글과 다국어(영어,일어등)의 학습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도 10]의 본 발명의 작동 순서도를 참조하여,
교제의 "축구장"을 보고, 또는 임의로 떠올려 무슨 발음인지를 알고자하여, 제1문자 조립구(10)의 초성자리에 블록을 "ㅊ"을 상측으로 하여 조립하게 되면, (조립할 수 있는 자음에 맞는 조립구가 초성(11)과 종성(15)자리밖에 없어서 둘중 하나에 조립할 수밖에 없음.) 블록 감지스위치가 블록을 감지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되고, 블록의 하측 바닥에 "ㅊ"고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가 조립구 바닥의 스위치노브(44)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 노브는 하측으로 내려 눌려(45) 부풀려지고 스위치노브 아래의 PCB에 장착된 텍스위치(46)을 누르게 됨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초성 위치 데이타와 초성중에서 "ㅊ"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을 변환하며 초성비교기(114)에 전달하게되며, 이때 조명과 단순 효과음(띠용~~)이 출력되어 블록의 문자부분만 발광하게 되고, 0.5초 후에 초성비교기(114)에서 다른 문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아직 다른 입력이 없으므로, 곧바로 단어결합기(170)단계로 보내지고 음성저장데이타(118)에서 "ㅊ"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에 해당하는 음성("치옻")을 Decoding하여 출력 하되 카운터에 미리 설정된 3회 반복하고 3회(T=3)가 되면 발성을 종료하는 것이며,
여기서 아직도 블록이 조립되어 있으면 대기상태로 조명이 계속 들어와 있다
가, 중성(120)자리에 "ㅜ"를 조립하게 되면, (조립할 수 있는 모음에 맞는 조립구가 중성(13,12)자리밖에 없어서 둘중 하나에 조립할 수밖에 없음) 블록 감지스위치가 블록을 감지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되고, 블록의 하측 바닥에 "ㅜ"고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가 조립구 바닥의 스위치노브(44)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노브는 하측으로 내려눌려(45) 그 아래 PCB에 장착된 텍스위치(46)을 누르게 됨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중성(120) 위치데이타와 중성중에서 "ㅜ"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을 변환하며 비교기(115)에 전달하게되며, 때 조명과 효과음(띠용~~)이 출력되어 블록의 문자부분만 발광하게 되고, 0.5초 후에 비교기(115)에서 다른 중성(130)문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없으므로 초성중성 결합하여 초성비교기(114)로 보내지면, 상기 "ㅊ"이 대기상태로 감지되므로 초성("ㅊ")과 중성("ㅜ")의 두 값을 결합한 코드값("추")을 부여하게고 ,이 코드값이 다시 종성(140)결합 비교기에 보내지는데 종성값이 없으므로(N) "추" 의 코드값이 단어결합기(170)에 보내져 단어결합을 할것이 없으므로 음성출력부 에 곧바로 보내지고, 음성저장데이타(118)에서 "추"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에 해당하는 음성("치옻")을 Decoding하여 출력 하되 카운터에 미리 설정된 3회, "추" "추" "추" 를 반복하고 3회(T=3)가 되면 발성을 종료하는 것이며,
교제의 "축구장"을 보고, 또는 임의로 떠올려 무슨 발음인지를 알고자하여, 제1문자 조립판(10)의 초성자리에 블록을 "ㅊ"을 상측으로 하여 조립하게 되면, (조립할 수 있는 자음에 맞는 조립구가 초성(11)과 종성(15)자리밖에 없어서 둘중 하나에 조립할 수밖에 없음.) 블록 감지스위치가 블록을 감지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되고, 블록의 하측 바닥에 "ㅊ"고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가 조립구 바닥의 스위치노브(44)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 노브는 하측으로 내려 눌려(45) 부풀려지고 스위치노브 아래의 PCB에 장착된 텍스위치(46)을 누르게 됨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초성 위치 데이타와 초성중에서 "ㅊ"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을 변환하며 초성비교기(114)에 전달하게되며, 이때 조명과 단순 효과음(띠용~~)이 출력되어 블록의 문자부분만 발광하게 되고, 0.5초 후에 초성비교기(114)에서 다른 문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아직 다른 입력이 없으므로, 곧바로 단어결합기(170)단계로 보내지고 음성저장데이타(118)에서 "ㅊ"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에 해당하는 음성("치옻")을 Decoding하여 출력 하되 카운터에 미리 설정된 3회 반복하고 3회(T=3)가 되면 발성을 종료하는 것이며,
여기서 아직도 블록이 조립되어 있으면 대기상태로 조명이 계속 들어와 있다가, 중성(120)자리에 "ㅜ"를 조립하게 되면, (조립할 수 있는 모음에 맞는 조립구가 중성(13,12)자리밖에 없어서 둘중 하나에 조립할 수밖에 없음) 블록 감지스위치가 블록을 감지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되고, 블록의 하측 바닥에 "ㅜ"고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가 조립구 바닥의 스위치노브(44)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노브는 하측으로 내려눌려(45) 그 아래 PCB에 장착된 텍스위치(46)을 누르게 됨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중성(120) 위치데이타와 중성중에서 "ㅜ"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을 변환하며 비교기(115)에 전달하게되며, 때 조명과 효과음(띠용~~)이 출력되어 블록의 문자부분만 발광하게 되고, 0.5초 후에 비교기(115)에서 다른 중성(130)문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없으므로 초성중성 결합하여 초성 비교기(114)로 보내지면, 상기 "ㅊ"이 대기상태로 감지되므로 초성("ㅊ")과 중성("ㅜ")의 두 값을 결합한 코드값("추")을 부여하게고 ,이 코드값이 다시 종성(140)결합 비교기에 보내지는데 종성값이 없으므로(N) "추" 의 코드값이 단어결합기(170)에 보내져 단어결합을 할것이 없으므로 음성출력부 에 곧바로 보내지고, 음성저장데이타(118)에서 "추"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에 해당하는 음성("치옻")을 Decoding하여 출력 하되 카운터에 미리 설정된 3회, "추" "추" "추" 를 반복하고 3회(T=3)가 되면 발성을 종료하는 것이며,
비교기(116)에서는 다른 초성(110)중성(120,130)문자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때 계속 대기중인 "추" 값이 있으므로 초성중성종성 결합 데이타코드 "축" 값을 부여하여 단어결합기(170)로 보내지면, 다른 단어(제2문자(150), 제3문자(160))가 없으므로, 코드값이 음성출력부에 보내지고, 음성저장데이타(118)에서 "축"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에 해당하는 음성("축")을 Decoding하여 출력 하되 카운터에 미리 설정된 3회,"축""축" "축"을 반복하며 3회(반복횟수 설정 T=3)가 되면 발성을 종료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직도 블록이 조립되어 있으면 대기상태로 조명이 계속 들어와 있다가, 종성(140)자리에 "ㄱ"를 조립하게 되면, 블록 감지스위치가 블록을 감지하여 ON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블록의 하측 바닥에 "ㄱ"고유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가 조립구 바닥의 스위치노브(44)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노브는 하측으로 내려눌려(45) 스위치노브 바로 아래 PCB에 장착된 텍스위치(46)을 누르게 됨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종성(140) 위치데이타와 종성 중에서 "ㄱ"고유의 데이타 코드값을 변환하며 비교기(116)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조명과 효과음(띠용~~)이 출력되어 블록의 문자부분만 발광하게 되고,
여기서 문자는 적어도 자음과 모음이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용문자를 뜻하여 단어결합기(170)의 비교기(119)에서 문자가 아닌것(N)은 효과음(폭소~~)만 내보내고 종료한다.
그러므로 폭소음이 나오면 이때는 뭔가 문자가 구성되지 않았음을 인지하고 조립구의 블록들의 조립상태를 점검하여 오류를 스스로 수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문자(150),제3문자(160)도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는데, 타문자 조립구에 입력 값이 대기중이면 단어결합기(170)에서 대기중인 문자와 결합하게 되는데, 제2문자 조립구(150)에서 "ㄱ"가 들어오면 언어와 효과음(오류)이 섞여 "축 폭소~" 가 발성되고, "구"가 들어오면 "축구" 가 발성되며, 계속 블록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인 대기상태에서, 제3문자(160)에
"ㅈ"을 꽂으면 "축구 폭소~" , 다시 "자"를 꽂으면 "축구 폭소~" 계속해서 "장"을 꽃으면 "축구장""축구장""축구장" 이렇게 3회 반복하게 되고 끝나면 정상적인 문자와 언어를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문자(150),제3문자(160)도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는데, 타문자 조립구에 입력 값이 대기중이면 단어결합기(170)에서 대기중인 문자와 결합하게 되는데, 제2문자 조립구(150)에서 "ㄱ"가 들어오면 언어와 효과음(오류)이 섞여 "축 폭소~" 가 발성되고, "구"가 들어오면 "축구" 가 발성되며, 계속 블록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인 대기상태에서, 제3문자(160)에
만약 처음에 잘못하여 첫 글자를 잘못된 글자로 꽂게 되면 계속 1회로 단번으로 오류 효과음 "폭소"만 나오게 되고, "축구장"의 "축"을 제3문자(160)에 조립할 때까지는 "축"이 정상적으로 발성되지만, 두 번째 글자인 "구"를 제2문자조립하게 되면 "구축"이 발성되나 이는 교제의 글자가 아니지만, "구축"이라는 문자와 언어를 창의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꼭 교제의 글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창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되며, 전혀 모르는 어떤 글을 보았다면, 이 모르는 문자를 똑같이 입력해 봄으로써 문자와 발음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처음에 잘못하여 첫 글자를 잘못된 글자로 꽂게 되면 계속 1회로 단번으로 오류 효과음 "폭소"만 나오게 되고, "축구장"의 "축"을 제3문자(160)에 조립할 때까지는 "축"이 정상적으로 발성되지만, 두 번째 글자인 "구"를 제2문자조립하게 되면 "구축"이 발성되나 이는 교제의 글자가 아니지만, "구축"이라는 문자와 언어를 창의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국어의 학습에 있어서도, [도11]다국어 학습 논리 순서도를 참조하여, 일렬로 배열되는 문자는 모두 가능한데,
실시예로 ,먼저 교제에 "WE"라는 단어를 학습하고자 한다면, 문자 조립구(조립판도 동일 의미)중 어느 하나인 2번(220)에 "W"를 조립하면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N 되고 렘프와 효과음이 출력되며, "W"에 해당하는 코드가 부여되면서 비교기(214)에서 "W"입력이 있으므로(Y) 바로 옆의 비교기(215)로 보내지게 되고, 비교기 (215)에서는 옆문자 입력이 있는지를 비교하여 "SW3"가 OFF 상태로 현재는 타문자 입력이 없으므로 "N" 이되어 단어 결합기(270)에 전송되어 저장 데이터(218)에서 " 더블유"를 Decording하여 3번의 반복하여 발성을을 송출한후 종료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블록 감지스위치 SW2(220)가 ON상태에서, 연이어서 문자 "E"를 바로 옆의 3번 조립구(230)에 조립하게 되면, 3번 블록 스위치(SW3)가 ON되고 렘프와 효과음이 발생한 후 코드가 부여되고 코드값이 비교기(215)에서 "W" 문자와 결합한 새로운 코드"WE" 가 부여되며, 이 새로운 코드값이 바로옆의 비교기(216)에 보내져 다른 입력이 있는지 비교하게 되며, 다른 입력("SW4")이 없으므로 "N" 이되어 단어결합기(270)에 전송되고 문자 비교기(219)에서 문자가 맞으면 , 관련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타를 메모리에서 불러와 3번 반복 출력한 다음 종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로 ,먼저 교제에 "WE"라는 단어를 학습하고자 한다면, 문자 조립구(조립판도 동일 의미)중 어느 하나인 2번(220)에 "W"를 조립하면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N 되고 렘프와 효과음이 출력되며, "W"에 해당하는 코드가 부여되면서 비교기(214)에서 "W"입력이 있으므로(Y) 바로 옆의 비교기(215)로 보내지게 되고, 비교기 (215)에서는 옆문자 입력이 있는지를 비교하여 "SW3"가 OFF 상태로 현재는 타문자 입력이 없으므로 "N" 이되어 단어 결합기(270)에 전송되어 저장 데이터(218)에서 " 더블유"를 Decording하여 3번의 반복하여 발성을을 송출한후 종료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블록 감지스위치 SW2(220)가 ON상태에서, 연이어서 문자 "E"를 바로 옆의 3번 조립구(230)에 조립하게 되면, 3번 블록 스위치(SW3)가 ON되고 렘프와 효과음이 발생한 후 코드가 부여되고 코드값이 비교기(215)에서 "W" 문자와 결합한 새로운 코드"WE" 가 부여되며, 이 새로운 코드값이 바로옆의 비교기(216)에 보내져 다른 입력이 있는지 비교하게 되며, 다른 입력("SW4")이 없으므로 "N" 이되어 단어결합기(270)에 전송되고 문자 비교기(219)에서 문자가 맞으면 , 관련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타를 메모리에서 불러와 3번 반복 출력한 다음 종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은 한글창제 원리에 맞게 조합하며 완성할 수 있는 완벽한 한글 학습기이면서, 또한 좌우로 연이어서 문자구성이 되는 모든 언어의 학습에도 유용한 자기주도 학습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문자에 하부에서 조명을 하여 문자가 발광하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효과음도 발생시켜 항상 학습자를 오감을 자극하고 인지력을 자극시켜 향상시키고, 두뇌에 학습효과를 시각과 청각과 촉각이 동시에 사용하여 블록을 조작하게 하는 어린이의 언어 및 여러 감각을 발달시키는 유용한 스스로 할 수 있는 언어학습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1 - 블록 자음 2 - 블록 모음 3 - 문자표시부
4 - 표시창 5 - 선택버튼 6 - 감지 스위치
8 - 스피커 10 - 제1문자 조립구 11 - 초성 조립구
12 - 세로중성 조립구 13 - 가로중성조립구 14 -
15 - 종성 조립구 17 - 다종언어 조립구 20 - 제2문자 조립구
22 - 조립구 여유공 23 - 조립구 밀착면 24 - 조립구 모서리
30 - 제3문자 조립구 31 - 블록 표면( 불투명부) 40 -
42 - 조명부 43 - 블록 돌기 44 - 스위치노브
44-1 - 중성부 스위치노브
45 - 스위치노브 압착부 46 - 텍스위치 47 - PCB
48 - LED 50 - 케이스 51-스위치노브홀 55 - 조립구 바닥 단차
56 - 블록 상판 높이
60 - 블록 측면홀
B_B - 횡단면 C - 횡단면 부분확대 표시
E - 조립구형태 부분확대 표시
110 -초성 120 - 중성 130 - 중성
140 - 종성 150 -제2글자 160 - 제3글자
112 - 초성감지스위치 113 - 조명 렘프 114 - 초성비교기
115 - 모음조합 116 -받침글 조합 117 -스피커
118 - 저장 데이타
210 - 다국어 1번 조립구 220 - 다국어 2번 조립구
230- 다국어 3번 조립구 240 - 다국어 4번 조립구
214 - 1번 비교기 215 - 2번 비교기 217 - 스피커
218 - 메모리(데이타) 219 - 단어비교기 270 -단어결합기

Claims (6)

  1.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에 있어서, 본체 상판에 문자를 형성하는 구조를 반영한 각각의 문자조립구들(10,20,30)과, 각각의 문자조립구에 조립하도록 문자를 새겨넣은 다수의 블록(1, 2)과, 조립되는 블록을 감지하여 해당 문자를 소리 언어로 반복해서 들려주는 전자회로부와 선택스위치부(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회로부는 PCB에 음성데이타 메모리와 전자회로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한글 학습용 문자 조립구의 구성은,
    각각의 문자 조립구의 구성은 초성조립구(11) 1개, 가로중성조립구(13) 1개와, 세로중성조립구(12) 1개와 종성조립구(15) 1개로 총4개의 조립구로 구성된 글자 한 개용 조립구를 다수 형성하며, 2개의 중성자리에는 가로 모음과 세로 모음의 블록을 삽착 시에 동시에 조립될 수 있도록 서로 겹쳐지지 않게 형성하며,
    초성.중성.종성의 블록글자의 조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가 더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하되, 초성블록과 종성블록은 같은 형상이되 방향만 다른 구조로써 가로와 세로와 깊이를 동일하게 하며,
    중성 모음조립구는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를 2개로 하되, 세로중성 형상을 90도 눕혀 놓은 형태로 가로중성조립구(13)를 형성한 것이며,
    그 형상은 세로와 가로와 깊이와 바닥의 스위치노브 홀(51)의 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를 배치한 것으로 같은 형상이며, 중성에 해당하는 세로중성조립구(12)와 가로중성조립구(13)의 조형은 가로 모음은 가로와 세로비를 2:1 이상 되게 하고, 세로중성조립구(12)은 가로와 세로비가 1:2 이상이 되는 것이며, 조합된 한 글자의 외형이 세로로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과,
    자음용 조립구는 모음용 보다 깊이가 더 깊고, 모음용 조립구는 얕게하여 조립구 바닥의 단차를 형성한 것과,
    각 조립구의 형상에 있어서,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긴변이 닿는_쪽에 더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딛치지 않게 하며,
    각 조립구의 측면 일측에는 블록 조립 감지 스위치(6)를 가설한 것과,
    케이스(50) 내측에 형성한 전자회로부는 PCB판에 음성데이타 메모리부와 음성출력부(8)를 포함하며,
    상기의 문자조립구(10,20,30)들 구성과 연동한 전자회로부의 구성 논리에 관한 것으로써,
    전자회로부에서의 문자조립구 각각의 문자를 인식 하기 위한 대응 입력값을 표기하면, 제1문자 조립구(10)에는 대응되는 입력값으로는
    초성조립구(11)는 초성(11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가로중성조립구(13)는 가로중성(12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세로중성조립구(12)는 세로중성(130)의 입력 값이 들어오게되고,
    종성조립구(15)는 종성(140)의 입력값이 들어오게되어
    총4개의 문자입력값과 조립구 일측에 설치한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와 연계하여 위치 데이타를 얻도록 구성한 것과;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1개의 초성 조립구(11)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조립 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초성(11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초성(110)에 맞는 문자인지를 초성조합비교기(114)에서 판별하여 데이타를 종성조합 비교기(116)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 1개의 세로 중성 조립구(12)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세로중성(12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세로중성(120)에 맞는 문자인지를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판별하고 데이타를 초성 조합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제1문자 조립구(10) 중에서 , 1개의 가로 중성 조립구(13)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가로중성(13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가로중성(130)에 맞는 문자인지를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판별하여 데이타를 초성 조합 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세로 중성 문자(120)와 가로중성문자(130)를 결합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중성조합비교기(115)에서 비교 판별하여 중성 문자 코드값를 부여하고 데이타를 초성조합비교기(114)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받침 없는 문자 조합 수단으로써, 상기의 조립구 중에서 세로중성(120)과 가로중성(130) 2개 간의 코드값(115) 데이타를 바로 옆의 초성조합비교기(114)에 보내어 다시 비교 하여, 받침 없는 문자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제1문자조립구(10) 중에서, 1개의 종성 조립구(15) 일측의 블록조립 감지 스위치(6)와 바닥의 텍스위치(46) 이 둘을 연계하여 블록감지스위치가 ON 일 때 코드값를 부여하면서 종성(140)위치 데이타를 인식하여, 종성(140)에 맞는 문자인지를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판별하고 데이타를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받침 있는 문자 코드값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써, 상기의 받침 없는 문자 코드값에 해당하는 초성조합비교기(114)의 코드값과 종성(140) 코드값을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판별하여, 받침 있는 문자인 종성조합비교기(116)에서 코드값를 부여하고 데타를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갖는 것과;
    상기 단어결합기(170)에 보내는 단계를 이어 받아 단어 구성 여부를 단어결합기(170)에서 코드값을 부여하고,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문자판별기(119)에서 판별하여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118)에서 불러와 스피커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제1문자 조립구(10)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이를 다수 배열하여 제2문자 (150)와 제3문자(160)를 결합하는 단계로써,
    제1문자 조립구(10)의 4개 조립구에서 나온 데이타를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고,
    제1문자조립구와 동일하게 제2문자 조립구(20)에서 나온 데이타도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고,
    제1문자 조립구(10)와 동일하게 제3문자 조립구(30)에서 나온 데이타도 단어결합 비교기(170)에 보내어, 단어결합기(170)에서 결합하여,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문자판별기(119)에서 판별하여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118)에서 불러와 스피커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다국어 학습용 논리회로 구성에 관한 것으로써,
    다국어 학습기를 겸할 수 있는 가로배열 문자 조립구를 형성하되 가로로 조립구(17)를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다국어 조립구(17) 일측에는 다국어용 블록 감지스위치(212)를 형성하고, 각 조립구의 형상에 있어서, 사각형의 조립구 모서리(24)는 밀착시키고 긴변이 닿는 쪽에 조립구 여유공(22)을 형성하여 블록의 돌기가 부딪치지 않게 형성하여 기구 구성한 것과;
    상기의 기구 구성에 연동하는 전자회로부의 논리회로로써,
    상기 다국어 조립구(17)들에 대응되는 입력값을 부여하자면, 좌측 조립구 부터 우측순으로 제1문자(210), 제2문자(220) 제3문자(230) 제4문자(240)순으로 다수로 입력값이 배열되고, 상기 조립구(17)들 중에서 불특정하게 블록이 조립되면 조립된 조립구의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N 되어 블록 조립 위치정보를 전자회로부에 보내는 단계와;
    전자회로부에서 상기 조립감지스위치에 의한 블록 조립 위치정보가 ON 상태일 때 바닥의 블록 문자 정보 감지 스위치가 접촉되면서 입력된 고유의 블록문자 정보를 제2비교기(215)와 엔코더에서 받아 이웃하는 문자의 유무를 판별하고 나서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비교기(215)와 엔코더에서 부여된 코드값을 바로 옆 제3비교기(216)와 엔코더에 보내서 이웃하는 문자의 유무를 블록 감지스위치(212)의 정보로 판별하고 나서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의 코드값을 부여하는 단계들을 조립구의 갯 수만큼 병렬로 다수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병렬로 다수 반복하다가 블록 감지스위치(212)가 OFF 일 때는 해당 비교기에서 상기 코드값을 단어 결합기(270)에 보내어 단어 판별을 하는 단계와;
    단어결합기(270)에서 상기 코드값을 결합하여, 해당하는 문자가 있는지 단어비교기(219)에서 판별하고 해당하는 음성을 음성데이타(218)에서 불러와 스피커(217)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발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79118A 2015-12-15 2015-12-15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KR10188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18A KR101888733B1 (ko) 2015-12-15 2015-12-15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18A KR101888733B1 (ko) 2015-12-15 2015-12-15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36A KR20170071136A (ko) 2017-06-23
KR101888733B1 true KR101888733B1 (ko) 2018-09-20

Family

ID=592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118A KR101888733B1 (ko) 2015-12-15 2015-12-15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424B1 (ko) * 2017-09-29 2018-12-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5816B1 (ko) * 2019-03-07 2020-07-21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04B1 (ko) * 2008-07-08 2010-12-16 석금호 한글표시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04B1 (ko) * 2008-07-08 2010-12-16 석금호 한글표시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36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167B1 (en) Interactive book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7366664B2 (en) Interactive book
KR101888733B1 (ko)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JP2019507913A (ja) 教育玩具シミュレータ
KR102497847B1 (ko)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CN202230628U (zh) 交互式电子智能答题机
KR102218012B1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US20100167244A1 (en) Language teaching system of orientation phonetic symbols
CN105917293B (zh) 使用物体与语言元素交互的系统和方法
US6551110B1 (en) Visual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literacy
KR101001704B1 (ko) 한글표시블럭
CN107041159A (zh) 发音助手
KR20060063758A (ko) 게임 기계
McNally Wittgenstein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The Legacy of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KR20200001936U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CN206097533U (zh) 一种方便收纳的电子发声识图产品
JP67108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70178B1 (ko) 사용자 참여형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US20170098391A1 (en) Learning card
KR200260654Y1 (ko) 유아용 문자학습장치
JP2002244539A (ja) 入力装置および学習用電子機器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KR102185561B1 (ko) 점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