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501B1 - 비살상 대인저지 탄 - Google Patents

비살상 대인저지 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501B1
KR101888501B1 KR1020160161284A KR20160161284A KR101888501B1 KR 101888501 B1 KR101888501 B1 KR 101888501B1 KR 1020160161284 A KR1020160161284 A KR 1020160161284A KR 20160161284 A KR20160161284 A KR 20160161284A KR 101888501 B1 KR101888501 B1 KR 10188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dle shaft
handle
spac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499A (ko
Inventor
신재길
박세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6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5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01F7/2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F41B9/009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for riot control, e.g. water cann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96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having means for mixing other agents with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살상 대인저지 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비살상 대인저지 탄(10)의 보호케이스(11) 내부에는 주제(b)와 경화제(h)가 내장되는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은 플레이트(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제(b)와 경화제(h)를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케이스(10)에는 조작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30)는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20)의 중심과 연결되는 핸들축(32)과, 상기 핸들축(32)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축(32)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핸들(36)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20)가 상기 보호케이스(1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파단되는 파단부(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파단부가 파단되면서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주제 및 경화제를 용이하게 혼합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살상 대인저지 탄 {The non-lethal bullet for incapacitation person}
본 발명은 비살상 대인저지 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 혼합 상태로 탄에 내장된 주제와 경화제가 장착 직전에 혼합이 이루어져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상에서 불법어로를 행하거나 해적 행위를 하는 불법 선박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불법 어로의 경우 어민들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며,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하여 어족자원의 고갈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법 선박을 나포하기 위해서는, 경비정에 구비된 갈고리를 불법 선박에 던져 경비정과 불법 선박을 연결함으로써 불법 선박의 이동을 제한하고, 해양 경찰이 불법 선박에 승선한 뒤, 불법 선박 선원들을 제압해야 한다.
이때, 강렬히 저항하는 불법 선박 선원에 의해 경비정이 파손되거나, 해양 경찰이 다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법 선박 선원의 부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쉽게 제압할 수 있도록 경비정에서 불법 선박을 향해 발포할 수 있는 비살상 무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탄이 개시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학 탄(1)은 소정 형상의 외형을 갖춘 젤라틴 재질의 캡슐(2)이 구비되며, 그 캡슐 내부에 양분된 격실(4, 6)에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구비된다.
젤라틴은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으로서, 충격에 의해 터질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막으로 형성된다.
이 젤라틴재 캡슐(2)은 도시하지 않은 총기의 공이 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며, 사람 몸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터지면, 각 격실(4, 6)에 구비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굳어짐으로써, 사람의 행동이 자유롭지 못할 때, 제압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젤라틴재 캡슐(2)은 충격에 의해 터지도록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대인에 발사가 이루어져도 주제 또는 경화제 중 어느 하나만 터짐으로써, 대인 제압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인에 저격 되었을 때,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발사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01-0006318호(공개일자 2001년01월26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 혼합 상태로 탄에 내장된 주제와 경화제가 장착 직전에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에 따르면, 내부에 주제와 경화제가 내장되는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보호케이스; 상기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제내장공간 및 상기 경화제내장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과 연결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핸들이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파단되는 파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케이스와 상기 핸들축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부의 두께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과 상기 보호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상기 핸들축을 커버하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과 상기 보호케이스 사이의 상기 핸들축에는 상기 핸들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전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주제와 경화제가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장착 직전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조작부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단부가 파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단부가 파단되면서 상기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주제 및 경화제를 용이하게 혼합시키므로, 비살상 대인저지 탄이 대인에게 저격 되었을 때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살상 대인저지 탄을 모식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살상 대인저지 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살상 대인저지 탄(10)의 외관 및 골격은 보호케이스(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보호케이스(11)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대인에 저격되었을 때 파손되기 쉽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살상 대인저지 탄(10)은 도시하지 않은 총기의 공이 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며, 사람의 몸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터지면, 혼합된 상기 주제(b)와 경화제(h)가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되어 굳어짐으로써, 사람의 행동이 자유롭지 못할 때, 제압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11)의 내부에는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은 주제(b) 및 경화제(h)가 각각 내장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주제(b) 및 경화제(h)는 혼합 시 접착물 또는 점착물을 생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11)의 일측에는 결합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핸들축(32)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16)의 내주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핸들축(3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제내장공간(12) 및 경화제내장공간(14)은 플레이트(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주제내장공간(12) 및 상기 경화제내장공간(14)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제(b)와 경화제(h)를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는 파단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파단부(22)는 링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20)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파단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부(22)의 두께는 상기 플레이트(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파단부(22)가 용이하게 파단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22)의 가장자리에는 밀착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24)는 상기 파단부(22)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4)는 상기 보호플레이트(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파단부(22)가 상기 플레이트(20)의 이동에 의해 원활하게 파단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10)에는 조작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플레이트(20)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부(30)는 핸들축(32)과 상기 핸들축(32)과 연결되는 핸들(36)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축(32)의 일단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결합공(16)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20)의 중심과 연결된다. 상기 핸들축(32)의 외주면은 상기 결합공(16)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들축(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34)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축(34)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산(34)은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핸들(30)을 돌려 회전시켰을 때, 상기 핸들축(34)이 회전되며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기 플레이트(20)의 파단부(22)가 파단되면서, 상기 주제내장공간(12)과 경화제내장공간(14)이 연통된다. 이와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축(34)과 연결된 플레이트(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주제(b)와 경화제(h)를 더욱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축(32)의 타단에는 상기 핸들(36)이 연결된다. 상기 핸들(36)은 상기 핸들축(3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36)은 상기 핸들축(32)의 외주면에 나사산(3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핸들축(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핸들(36)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축(32)과 상기 플레이트(20) 사이에는 보조지지대(38)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지지대(38)는 상기 핸들축(32)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20)로 전달되는 힘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핸들축(32)과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20)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30)의 핸들(36)과 상기 보호케이스(10)의 사이에 는 탄성부재(S)가 상기 핸들축(32)을 커버하며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핸들(36)과 상기 보호케이스(1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36)을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S)가 압축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누르고 있던 핸들(36)에서 손을 떼면 압축되었던 상기 탄성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축(32)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때 상기 플레이트(20)도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주제(b)와 경화제(h)를 혼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제(b)와 경화제(h)를 혼합하게 되면, 하부로만 이동할 때보다 혼합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핸들(36)을 누르는 작동으로도 혼합할 수 있으므로 혼합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0')는 복수 개가 상기 핸들축(3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주제(b)와 경화제(h)의 혼합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36)과 상기 보호케이스(10) 사이의 상기 핸들축(32)에는 안전캡(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캡(40)은 상기 핸들축(32)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캡(40)은 상기 조작부(30)가 임의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캡(40)의 일측에는 개구부(42)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상기 핸들축(32)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개구부(42)와 반대되는 상기 안전캡(40)의 외면에는 손잡이(4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4)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안전캡(40)을 상기 핸들축(3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비살상 대인저지 탄 11: 보호케이스
12: 주제내장공간 14: 경화제내장공간
16: 결합공 20: 플레이트
22; 파단부 24: 밀착부
30: 조작부 32: 핸들축
36: 핸들 40: 안전캡
42: 개구부 44: 손잡이
b: 주제 h: 경화제

Claims (6)

  1. 내부에 주제와 경화제가 내장되는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보호케이스;
    상기 주제내장공간 및 경화제내장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제내장공간 및 상기 경화제내장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과 연결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핸들이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파단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파단부; 및
    상기 조작부가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과 상기 보호케이스 사이의 상기 핸들축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안전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와 상기 핸들축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의 두께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상기 보호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상기 핸들축을 커버하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상기 핸들축이 삽입되도록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 및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안전캡을 상기 핸들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와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살상 대인저지 탄.
KR1020160161284A 2016-11-30 2016-11-30 비살상 대인저지 탄 KR10188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84A KR101888501B1 (ko) 2016-11-30 2016-11-30 비살상 대인저지 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84A KR101888501B1 (ko) 2016-11-30 2016-11-30 비살상 대인저지 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99A KR20180062499A (ko) 2018-06-11
KR101888501B1 true KR101888501B1 (ko) 2018-08-21

Family

ID=6260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284A KR101888501B1 (ko) 2016-11-30 2016-11-30 비살상 대인저지 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5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548A (en) 1998-02-13 1999-11-16 Option Safety, Llc Non-lethal firearm device
KR100420619B1 (ko) * 2001-10-09 2004-03-02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피그 및 그 제조장치
KR20150001945U (ko) * 2013-11-13 2015-05-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99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221B (zh) 用以清除諸如水雷之武器的武器清除用具,具有諸如此武器清除用具之無人水下載具及用於此目的之方法
US11333466B2 (en) System for protecting ships from torpedoes
US20130186295A1 (en) Diversionary grenade having watertight seal
KR101888501B1 (ko) 비살상 대인저지 탄
US4079687A (en) Torpedo target acquisition
KR101888504B1 (ko) 비살상 화학 탄
KR101882363B1 (ko) 비살상 탄 투척 시스템
KR101905625B1 (ko) 비살상 화학탄두용 총구
RU267282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дводным аппаратом
US6367401B1 (en) Submarine countermeasure launcher with gas capture
KR101904185B1 (ko) 액체형 비살상 화학탄 혼합장치 및 그 방법
CN109229319A (zh) 多功能潜艇自救器
KR101804396B1 (ko) 대인 저지용 비살상 가스식 탄환
KR102001776B1 (ko) 구명조끼용 인플레이터
KR101792717B1 (ko) 비살상 대인 저지 탄
RU2819811C1 (ru) Мобильная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морского района
KR101508667B1 (ko) 잠수함 감압기용 압력 미세 조정 공구
KR101905683B1 (ko) 다용도 살포기
KR101792721B1 (ko) 비살상 탄
RU2599152C1 (ru) Морская сторожевая мина
KR102151483B1 (ko) 파편형 탄체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파편형 탄체의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편형 탄체
KR20150074466A (ko) 식별이 용이한 페인트 탄
KR101792711B1 (ko) 대인저지 탄
US625851A (en) Torpedo attachment for boats
EP3192734B1 (en) Submerging prevention system for ship, and ship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