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471B1 -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471B1
KR101888471B1 KR1020180021912A KR20180021912A KR101888471B1 KR 101888471 B1 KR101888471 B1 KR 101888471B1 KR 1020180021912 A KR1020180021912 A KR 1020180021912A KR 20180021912 A KR20180021912 A KR 20180021912A KR 101888471 B1 KR101888471 B1 KR 10188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besity
composition
treatm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성
이석원
손근영
손완영
손관영
한연희
신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to KR102018002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마황, 숙지황, 의이인, 맥아, 택사, 백복령, 대복피, 맥문동, 유근피, 산조인, 당귀, 천궁, 백출 및 목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Compostions for reducing weight using herb medicine}
본 발명은 체중감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결식 또는 단식을 하지 않고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지방, 고열량 식이의 증가, 비활동적인 생활양식으로 인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과체중 및 비만은 기존의 영양부족, 감염성 질환 등을 대신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과 사망률에 가장 중요한 독립적인 위험 인자 중 하나이다.
비만은 과잉된 지방조직의 축적 상태를 의미하지만 지방 조직의 축적이 늘어남으로써 고혈압, 당뇨병 등의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도 관련이 많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대사장애뿐 아니라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신경학적인 기능저하와 종양발생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에 있어서 체지방 과다는 혈중 고안드로겐 상태의 유도와 여성호르몬의 증가로 인해 초경의 개시, 배란장애, 황체기 결함, 폐경 후 건강도에 영향을 줌으로써 성조숙증, 생리불순, 불임, 다낭성난소증후군 및 여성호르몬 의존성 암 등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식생활의 변화와 유전적인 이유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비정상적인 섭생에 의하여 비만 환자가 증가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다이어트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운동을 통한 체중 감소는 부작용이 없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쁜 현대 생활에서 비만 치료에 충분한 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약물요법은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장기간 복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식이요법을 이용한 비만의 치료는 각종 식품을 주의 깊게 선택하여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인내력을 가지고 행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비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약물요법, 수술요법, 운동요법, 식이요법 및 행동수정요법 등이 범람하고 있고, 한방병의원에서는 처방을 위주로 하는 한약요법, 침치료, 침 전기자극요법 및 약침 치료 등을 통해 전신 비만 뿐만 아니라, 부분 비만 치료를 시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들의 단점 또는 어려움을 고려할 때, 부작용이 없이 비만치료의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으며, 특단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비만 치료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를 주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체중 감량 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부작용이 없는 체중 감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마황, 숙지황, 의이인, 맥아, 택사, 백복령, 대복피, 맥문동, 유근피, 산조인, 당귀, 천궁, 백출 및 목통을 포함한다.
상기 마황은 5~20 중량%, 상기 숙지황은 10 ~ 20 중량%, 상기 이의인은 10 ~ 15중량%, 상기 맥아는 1 ~ 5 중량%, 상기 택사는 1 ~ 5 중량%, 상기 백복령은 5 ~ 10 중량%, 상기 대복피는 5 ~ 10 중량%, 상기 맥문동은 5 ~ 10 중량%, 상기 유근피는 5 ~ 10 중량%, 산조인 1 ~ 10 중량%, 상기 당귀는 10 ~ 15 중량%, 상기 천궁은 5 ~ 10 중량%, 상기 백출은 5 ~ 10 중량% 및 상기 목통은 1 ~ 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성분은 동일한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황을 제외한 각 성분은 동일한 양을 포함하고 상기 마황은 각 성분의 개별 함량 대비 1~ 2배일 수 있다.
상기 숙지황을 제외한 각 성분은 동일한 양을 포함하고 상기 숙지황은 각 성분의 개별 함량 대비 2~3 배일 수 있다.
상기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열수 추출물을 건조시킨 분말 또는 환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중 감량용 조성물에 따르면 한약재를 주원료로 사용하므로 비만 방지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복용이 편리하고, 조성물의 체내 흡수율이 높아 비만 치료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도1은 비만정도에 따른 군간 평균 BMI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은 비만정도에 따른 군간 평균 치료기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체중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체지방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비만정도에 따른 근육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감량용 조성물은 마황, 숙지황, 의이인, 맥아, 택사, 백복령, 대복피, 맥문동, 유근피, 산조인, 당귀, 천궁, 백출 및 목통을 포함한다.
마황은 발한하고 기침을 멎게 하고 부종으로 빼주는 효과가 있으며, 직접적으로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심혈관계에 있어 혈관수축, 혈압상승을 일으키고, 중추신경계에 있어 정신흥분, 각성, 식욕억제 효과가 있고 위장평활근을 이완시켜 소화작용을 억제하여 음식의 소화, 흡수율을 감소시키며, 소장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방해하고, 지방조직의 에너지 소비를 늘려 체지방을 분해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숙지황은 음과 혈을 보해주고 사람의 정을 보충해준다. 또한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보호 효능이 있으며 중축신경계에 작용하여 도파민 합성을 증가시켜주며 글리코겐이 간에서 감소하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숙지황의 부작용 중에 하나가 소화를 방해하여 체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이 비만환자가 복용하는 경우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어 섭취하는 음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의이인은 몸의 부종을 줄여주며, 설사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섭식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식이조절 효능을 가지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호르몬 및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를 억제하여 식욕을 낮추고 공복감을 덜어주며, 당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탄수화물의 분해와 흡수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맥아는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장애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탄수화물에 대한 소화불량에 쓰인다. 소화촉진 작용과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택사는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이뇨작용이 있어 부종을 호전 시킬 수 있으며, 혈중의 콜레스테롤과 요소를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백복령은 비위장을 보하여 소화기능을 정상화시키고 이수기능이 있어 부종을 줄여준다. 또한 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신경과민을 해소하며 잠을 자도록 도와준다. 이는 마황의 작용중 각성효과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조절해준다.
대복피는 기를 내려 가슴과 배가 답답한 것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주고 소변배설을 촉진하여 부종을 줄여준다.
맥문동은 마른기침, 토혈, 객혈 등 호흡기 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안에서 진액의 손상을 막아주고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어, 다이어트시 생길 수 있는 변비 예방을 도와준다.
유근피는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부종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축농증이나 비염, 피부염, 습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조인은 정신을 안정시키고 비위의 기능을 돕는다. 또한 진정, 최면,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마황의 부작용인 가슴 두근거림이나 불면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당귀는 약리학적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작용이 있으며, 피를 원활하게 순환시켜주는 활혈작용도 있으며,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 또한, 대장 운동을 촉진시켜 다이어트 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천궁은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진정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백출은 건위, 소화 작용이 있어 만성소화불량, 장염, 설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뇨 작용이 있으므로 신장염으로 부종이 발생한 경우 또는 임신부의 부종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목통은 혈맥을 순환시키고 소변의 소통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방광의 습열로 인한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으로 복수가 찰 때 심화로 입안에 발진이 날 때 가슴앓이, 소변이 붉을 때, 마비동통에 사용된다.
상기 마황은 5~20 중량%, 상기 숙지황은 10 ~ 20 중량%, 상기 이의인은 10 ~ 15중량%, 상기 맥아는 1 ~ 5 중량%, 상기 택사는 1 ~ 5 중량%, 상기 백복령은 5 ~ 10 중량%, 상기 대복피는 5 ~ 10 중량%, 상기 맥문동은 5 ~ 10 중량%, 상기 유근피는 5 ~ 10 중량%, 산조인 1 ~ 10 중량%, 상기 당귀는 10 ~ 15 중량%, 상기 천궁은 5 ~ 10 중량%, 상기 백출은 5 ~ 10 중량% 및 상기 목통은 1 ~ 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황의 경우 제습치수의 필요에 따라 함량은 20중량%까지 높일 수 있으며, 산조인은 수면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10중량% 끼지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조성물은 동일한 함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제습치수의 필요에 따라 마황은 다른 성분 함량의 1 ~ 2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식사후의 포만감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숙지황을 제외한 각 성분은 동일한 양을 포함하고, 숙지황은 각 성분의 개별 함량 대비 2~3 배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열수추출 또는 환제, 분말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수추출하는 경우, 먼저 한약재를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게 된다. 이 때 혼합되는 약재의 함량은 중량%로 마황은 5~20 중량%, 숙지황은 10 ~ 20 중량%, 이의인은 10 ~ 15중량%, 맥아는 1 ~ 5 중량%, 택사는 1 ~ 5 중량%, 상기 백복령은 5 ~ 10 중량%, 상기 대복피는 5 ~ 10 중량%, 상기 맥문동은 5 ~ 10 중량%, 상기 유근피는 5 ~ 10 중량%, 산조인 1 ~ 10 중량%, 상기 당귀는 10 ~ 15 중량%, 상기 천궁은 5 ~ 10 중량%, 상기 백출은 5 ~ 10 중량% 및 상기 목통은 1 ~ 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은 모두 대한약전 또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 규정하는 한약재를 이용하게 되며, 혼합되는 약재는 통상의 건조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약재 혼합물을 부직포에 담고, 물이 담기 약탕기에 넣어 순환식 무압력 상태에서 약 2시간 동안 약 100℃로 달이고, 달여진 약물을 여과한다. 달이는 과정에서 물의양은 조제 약물의 무계의 1.3배에서 1.5배 정도에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과 추출하고자 하는 약물의 양을 더하여 산출하게 된다. 이 때 탕전시 손실되는 물의 양은 달이는 시간에 의해 정하여지며 약 1000 ml 정도이다.
조제된 약재를 정해진 시간동안 끓여 탕전이 완료되면, 부직포에 담겨있는 약밥을 꺼내고, 약물은 150 메쉬의 필터로 여과시키게 된다. 이후 포장단계로서 포장기로 이송된 약물을 약 100℃의 온도로 끓이면서 약 120 cc용량으로 파우치에 개별 포장하게 된다.
환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약재를 혼합하여 약탕기에 넣어 5시간을 끓은 후, 다시 농축기에 넣어 6시간 정도 농축을 하여 열수추출물 형태의 10배 정도로 농축한다. 농축증유액 2600cc를 혼합하여 반죽기에 넣어 4회 정도 반죽을 반복한다. 반죽에 발효액(이엠발효액)을 넣고 숙성실에 넣어 약 24시간 숙성한다. 숙성 후 단독형 돌롤라에 넣어 반죽을 제면하듯 얇게 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50℃에서 1시간 정도 말린다. 이를 다시 단독형 돌롤라에 넣에 제면하듯 얇게 뽑은 다음 제환기에 넣어 약 4.5mm 정도의 크기로 제환한다. 그 과정에서 90%의 주정알콜을 분무하여 소독과정을 거친다. 제환된 환을 성형기에 넣어 외관을 보기 좋게 성형한후 다시 50℃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건조한다. 최종적으로 환포지에 약 5g씩 포장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감량용 조성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침 및 저주파치료만을 보조요법으로 하여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등의 다양한 지역, 다양한 연령의 비만 및 과체중 여성들의 비만 치료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방 혹은 기성 처방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얻었고, 이 과정에서 비만치료의 시작시기가 치료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유의한 연관이 있다는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만 혹은 과체증을 주소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중감량 조성물을 열수추출물 형태로 처방하고, 환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데이터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⑴ 치료 개시 및 종료시점에 생체 전기저항 측정기기(InBody-770, Biospace, Seoul, Korea)를 통한 Body Mass Index(이하 BMI, ㎏/㎡), 체중(㎏), 체지방량(㎏) 및 근육량(㎏) 등의 정보가 모두 있을 것, ⑵? 비만 치료 처방(성인 1일 용량; Table 1)을 15일 이상 복용했을 것, 이상 두 가지 모두를 만족시키는 환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처방된 체중감량용 조성물의 하루 복용량은 하기 표1과 같다.
조성물 함량(g)
마황 4
숙지황 8
의이인 8
맥아 2
택사 2
백복령 4
대복피 2
맥문동 4
유근피 4
산조인 3
당귀 8
천궁 4
백출 4
목통 2
환자의 신체 계측은 초진 진료 시 신장, 체중 자동측정장치(DS-102, Jenix, Korea)를 통하여 신장과 체중을, 생체전기저항측정기로 BMI, 체중, 체지방량 및 근육량 등을 측정하였고, 치료 기간 중 월 1회 이상, 그리고 치료 종결시점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환자 모두는 상기 체중감량용 조성물의 열수 처리 추출물을 동일하게 복용하였고,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침 치료와 저주파 치료를 시술하였으며, 환자의 상황에 맞는 운동요법이나 식이요법을 스스로 하도록 하되 절식이나 단식은 시행하지 않았다.
환자의 내원 치료는 일주일 2회 이하로 제한하여 저주파 치료의 역할을 제한하였고, 치료 기간은 치료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측정된 BMI,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 등을 환자의 연령(19세 이하, 20-29세, 30-39세, 40세 이상), 치료기간, 비만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비만 치료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 전후의 체중과 BMI 변화를 측정하여 그 유의성을 분석하고, 연령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군에 따른 BMI, 체중감량용 조성물의 투약기간,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에 대한 군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비만도에 따라 과체중군(BMI <25 ㎏/㎡), 비만군(BMI 25, <30 ㎏/㎡) 및 고도비만군(BMI 30 ㎏/㎡) 등으로 분류하여 상기 항목에 대한 군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군별 월별 체중감량의 목표치 설정을 위해 월별 체중 감량치와 BMI 감소치를 산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GraphPad PRISM® 7.00(GraphPad Software, Inc. Californi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필요에 따라 paired 및 unpairedT-test 및 multiplecomparisons ordinary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유의확률이 0.05 미만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에 따라 선정된 230례의 진료기록을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16세에서 59세까지로 평균 31.80세였고, 평균 치료 기간은 22일에서 466일로 평균 105.8일이었다. 치료 시행 직전의 BMI는 21.40 ㎏/㎡에서 40.50 ㎏/㎡으로 평균 28.20 ㎏/㎡이었으며, 체중은 51.70 ㎏에서 139.30 ㎏으로 평균 76.00 ㎏이었다.
(1) BMI 및 체중의 변화
표2는 치료 전후의 BMI 및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표2를 참조하면, 치료 전후의 BMI 및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치료전 치료후 P value
BMI (㎏/㎡) 28.20 ± 0.28 24.05 ± 0.23 p<0.0001
몸무게 (㎏) 76.00 ± 0.89 63.80 ± 0.77 p<0.0001
(2) 체지방량, 근육량의 변화
표 3은 치료 후의 체지방량, 근육량 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표3를 참조하면, 체지방량과 근육량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체지방 감소량(㎏) 근육 감소량(㎏)
치료후 10.44 ± 0.29 1.76 ± 0.13
(3) 연령별 치료 결과 비교
연령군을 10대(F19), 20대(20-29, F<29), 30대(30-39, F<39) 및 40대 이상(F40) 등으로 나누어 체중과 BMI를 치료 전후 군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연령군간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치료 후 평균 BMI 변화, 평균 치료기간, 평균 체중 변화, 평균 체지방량 변화, 평균 근육량 변화 등에 군간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군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4) 비만정도에 따른 치료 결과 비교
비만도에 따라 치료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과체중군(Overweight group, n=47, BMI <25 ㎏/㎡), 비만군(Obesity group, n=96, BMI 25, <30 ㎏/㎡), 그리고 고도비만군(Severe group, n=87, BMI 30 ㎏/㎡)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군간 연령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석을 시행한 결과 비만도에 따른 연령분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평균 BMI 감소, 평균 치료기간, 평균 체중 감소, 평균 체지방 감소, 평균 근육량 증가 등에 대한 군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도1은 비만정도에 따른 군간 평균 BMI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군간 평균 BMI 감소의 경우 과체중군이 3.28 ± 0.15 ㎏/㎡, 비만군이 4.32 ± 0.13 ㎏/㎡ 및 고도비만군이 5.26 ± 0.23 ㎏/㎡ 등으로 세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도 2은 비만정도에 따른 군간 평균 치료기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평균 치료기간 비교에서는 과체중군이 90.00 ± 5.47일, 비만군이 101.30 ± 6.73일 및 고도비만군이 119.30 ± 7.84일 등으로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296), 군간 비교에서는 과체중군과 고도비만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333).
도 3은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체중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평균 체중감소의 비교에서는 과체중군이 8.54 ± 0.39 ㎏, 비만군이 11.41 ± 0.35 ㎏ 및 고도비만군이 15.11 ± 0.63 ㎏ 등으로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군간 비교에서는 모든 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 4는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체지방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평균 체지방 감소의 비교에서는 과체중군이 7.83 ± 0.41 ㎏, 비만군이 9.45 ± 0.31 ㎏ 및 고도비만군이 12.73 ± 0.57 ㎏ 등으로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군간 비교에서는 과체중군과 고도비만군, 비만군과 고도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도 5는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근육 감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평균 근육량 변화의 비교에서는 과체중군이 1.05 ± 0.29 ㎏, 비만군이 1.66 ± 0.20 ㎏ 및 고도비만군이 2.24 ± 0.18 ㎏ 등으로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22), 군간 비교에서는 비만군과 고도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7).
먼저 연구에 포함된 여성 비만환자 230례에 대한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16세에서 59세까지로, 20대와 30대에 가장 많은 환자 분포를 보였다.
처음 치료 개시 전의 평균 BMI는 28.20±0.28 ㎏/㎡로 평균적으로 비만의 범주에 속하기는 하나 한방 치료를 선택한 환자군이 고도비만군이나 비만군이 아닌 과체중군의 비율이 비교적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20대 여성의 다수가 체중조절의 경험이 있고, 실제 BMI 의 중등도와 관계없이 여성의 경우 체중 조절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과체중군, 비만군 및 고도비만군 등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낮은 연령대에서 한방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나 선호도가 떨어진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치료 전후의 BMI 및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 평균 105.80일간 약 12-13 ㎏의 유의한 감량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볼 때 약 12㎏의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는 경우 한약투여의 기간은 평균 12-16주가 합당하고, 내원치료, 약물 wash-out 기간 및 검진 등을 고려하여 치료기간은 16주 단위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정상에서 비만으로의 이행 시 중요한 것은 기초대사량, 활동량 및 영양소섭취량 등의 불균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연령에 따른 체중감량용 조성물 효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10대(F19), 20대(F<29), 30대(F<39) 및 40대 이상(F40) 등의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치료 전 군간 비만도와 체중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군간 평균 BMI 변화, 평균 치료기간, 평균 체중 변화, 평균 체지방 변화, 평균 근육량 변화 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모든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연령의 구분으로는 감량목표와 기간설정의 차이를 둘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각 군의 환자수가 비교적 작아 전체 비만치료 연령별 모집단을 대표할 만큼의 규모 있는 임상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치료효과의 편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치료직전 측정된 비만 정도에 따라 과체중군, 비만군 및 고도비만군 등으로 나누었고, 군간 평균 BMI 변화, 평균 치료기간, 평균 체중 변화, 평균 체지방 변화, 평균 근육량 변화 등에 대한 비교를 실시한 결과 과체중군, 비만군 및 고도비만군 간 평균 BMI는 과체중군이 가장 적게 감소하였고, 비만군에서는 보통, 고도비만군에서는 매우 큰 폭의 감소로 유의한 군간 차이가 나타났다.
평균 치료기간은 예상대로 과체중군이 가장 짧게 목표 감량에 도달하였고, 고도비만군에서 가장 긴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평균 체중변화, 평균 체지방 변화 및 평균 근육량 변화 등의 비교에서도 BMI 변화와 비슷한 양상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마황, 숙지황, 의이인, 맥아, 택사, 백복령, 대복피, 맥문동, 유근피, 산조인, 당귀, 천궁, 백출 및 목통을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황은 5~20 중량%, 상기 숙지황은 10 ~ 20 중량%, 상기 의이인은 10 ~ 15중량%, 상기 맥아는 1 ~ 5 중량%, 상기 택사는 1 ~ 5 중량%, 상기 백복령은 5 ~ 10 중량%, 상기 대복피는 5 ~ 10 중량%, 상기 맥문동은 5 ~ 10 중량%, 상기 유근피는 5 ~ 10 중량%, 산조인 1 ~ 10 중량%, 상기 당귀는 10 ~ 15 중량%, 상기 천궁은 5 ~ 10 중량%, 상기 백출은 5 ~ 10 중량% 및 상기 목통은 1 ~ 5 중량 %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성분을 동일한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황을 제외한 각 성분을 동일한 중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마황을 각 성분의 개별 중량 대비 1~2배의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을 제외한 각 성분을 동일한 중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숙지황을 각 성분의 개별 중량 대비 2~3배의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중감량용 조성물은 열수 추출물을 건조시킨 분말 또는 환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KR1020180021912A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KR10188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12A KR101888471B1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12A KR101888471B1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471B1 true KR101888471B1 (ko) 2018-08-14

Family

ID=6323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12A KR101888471B1 (ko) 2018-02-23 2018-02-23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33B1 (ko) 2019-01-28 2020-03-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KR102121153B1 (ko) *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0660A (ko) * 2020-06-03 2021-12-13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50027506A (ko) * 2003-09-15 2005-03-21 의료법인 길인의료재단 비만치료용 체감의이인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380A (ko) * 2012-05-11 2013-11-20 이상헌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101392715B1 (ko) * 2013-02-28 2014-05-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50027506A (ko) * 2003-09-15 2005-03-21 의료법인 길인의료재단 비만치료용 체감의이인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380A (ko) * 2012-05-11 2013-11-20 이상헌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101392715B1 (ko) * 2013-02-28 2014-05-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33B1 (ko) 2019-01-28 2020-03-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KR102121153B1 (ko) *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0660A (ko) * 2020-06-03 2021-12-13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4877B1 (ko) 2020-06-03 2022-03-16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0654A (zh) 一种用于治疗膝骨关节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8847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CN104162094B (zh) 一种治疗肥胖型多囊卵巢综合征的中药组合物及其药物制剂
CN102319342B (zh) 一种润肠通便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441409A (zh) 用于治疗习惯性便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88475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CN100431593C (zh) 一种治疗脑积水的中药制剂
CN103393797B (zh) 治疗女性痛经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430076A (zh) 一种敷脐减肥散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CN104258359A (zh) 一种用于治疗妊娠反应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的制备方法
KR1018884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체중감량용 조성물
CN103212030B (zh) 一种治疗肝郁型乳腺增生的中药及制备方法
CN100455317C (zh) 治疗2型糖尿病的药物
CN105031505A (zh) 一种治疗良性前列腺增生肥大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191373B (zh) 一种治疗肾虚型乳腺增生的中药及制备方法
CN114558090B (zh) 一种用于治疗良性前列腺增生的药物
CN103720949A (zh) 通便肠清胶囊及制备方法
CN100400083C (zh) 一种治疗寒病的中药制剂
CN112439010B (zh) 一种益气补肾固缩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1040988A (zh) 一种防治女士内分泌失调疾病的中成药
CN105535802A (zh) 一种治疗习惯性流产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940777A (zh) 一种治疗肝旺脾弱型经行泄泻的冲剂及其制备方法
CN110652540A (zh) 一种食积型消渴病的治疗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800487A (zh) 一种用于治疗慢性便秘的中药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