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957B1 -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957B1
KR101887957B1 KR1020120058167A KR20120058167A KR101887957B1 KR 101887957 B1 KR101887957 B1 KR 101887957B1 KR 1020120058167 A KR1020120058167 A KR 1020120058167A KR 20120058167 A KR20120058167 A KR 20120058167A KR 101887957 B1 KR101887957 B1 KR 10188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medium
composition
present
skin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565A (ko
Inventor
홍용덕
노호식
남미희
신송석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5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따르면, 추출된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가 DPPH 활성 억제를 통하여 항산화 효능, MMP-1 생성 억제를 통하여 항노화 효능,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를 통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므로, 주름개선 및 기미, 주근깨 개선, 색소 침착 억제 등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PIMEDIN EXTRACTED FROM GENUS EPIMEDIUM PLANT}
본 발명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피메디움 속 식물 추출물에 포함된 에피메딘에 의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내, 외적 요인에 의해 손상된 피부 내부에서는 세포 재생력 감소, 세포 주변 환경의 변화, 세포 간 네트워크의 약화 등의 현상이 일어나 피부구조가 흩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투명도 저하 및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노화된 피부 속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변화의 원인은 젊은 피부에서는 활성화되어 있던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감소이다. 성장 인자는 피부 속 재생 과정의 첫 번째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피부 속 성장 인자의 감소는 피부 속 다양한 기능 저하를 유발해 결국 피부 속 성분들의 손실과 피부 구조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실제로 피부 속 성장인자가 최대 활성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어린 아기의 피부는 상처가 나도 쉽고 빠르게 회복되며, 상흔도 남지 않는 놀라운 재생능력을 갖고 있다. 상처가 발생했을 때 상처를 복구하기 위해 피부와 혈관 세포가 상처 주변으로 모이도록 하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와 함께 새로운 피부 구조를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 성장 인자라고 볼 수 있다. 이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성장 인자의 종류에는 전체 재생 과정에 참여하는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GF(Epidermal Growth Factor)가 있으며, 세포별 재생 및 활성화 역할을 하는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및 IGF(Insulin-like Growth Factor)와 같은 종류가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며, 이러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하여 세포 내부에 활성 산소 라디칼(ROS: Reactive Oxygen Radical)이 생성되고, 이 활성 산소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MMP-1, MMP-3 및 MMP-9 등)의 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효능이 좋은 원료라고 하더라도 현재의 화장품 원료들은 피부에 작용하는 범위가 제한적이고, 대부분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 억제, 활성산소 제거와 같이 피부에 미치는 효능이 유사하여 보다 새롭고 보다 강력하며 보다 근본적인 주름 개선을 원하는 고객들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에, 최신피부 과학 이론에 기반하여 새로운 피부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차단하거나 늦출 수 있는 원료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화장품 산업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식물성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가지고 있어 항노화 물질의 좋은 검색 대상이 되어왔다.
한편, 에피메디움 속 식물은 성장호르몬 장애 치료, 불임증, 치매, 중풍, 이명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에피메디움 속 식물의 추출물 및 그의 유효 성분에 대한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 연구 및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596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피메디움 속 식물로부터 추출된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에 의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을 발현됨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3643995-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D-글루코스(glucose), L-람노스(rhamnose) 및 D-자일로스(xy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디움 속 식물은 에피메디움 브레비코르눔 막심(Epimedium brevicornum Maxim.), 에피메디움 그란디플로룸 모르(Epimedium grandiflorum Morr.), 에피메디움 코리아눔 나카이(Epimedium koreanum Nakai), 에피메디움 푸베센스 막심(Epimedium pubescens Maxim.), 에피메디움 사기타툼 막심(Epimedium sagittatum Maxim.) 및 에피메디움 우사넨스(Epimedium wushanen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활성 억제를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 생성 억제를 통하여 항노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를 통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피메딘을 포함하는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따르면, 추출된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가 DPPH 활성 억제를 통하여 항산화 효능, MMP-1 생성 억제를 통하여 항노화 효능,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를 통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므로, 주름개선 및 기미, 주근깨 개선, 색소 침착 억제 등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에피메디움 속(Genus Epimedium)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에피메디움 속 식물은 미나리아재비목 매화나무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한국 및 중국 동북부에 서식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고, 삼지구엽초라고도 한다. 에피메디움 속의 식물의 주성분으로는 이카리틴(Icaritin) 배당체인 에피메딘 A (epimedin A), 에피메딘 A1 (epimedin A1), 에피메딘 B (epimedin B), 에피메딘 C (epimedin C), 이카린 (icariin), 이카리사이드 I (icariside I), 이카리사이드 I (icariside I) 및 스피노신 (spinosin) 등이 있다. 약용으로 에피메디움 속 식물을 사용함이 알려져 왔으며, 종래 성장호르몬 장애 치료, 불임증, 치매, 중풍, 이명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에피메디움 속 식물을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미백 등의 피부 관리용도에의 효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피메디움 속 식물은 에피메디움 브레비코르눔 막심(Epimedium brevicornum Maxim.), 에피메디움 그란디플로룸 모르(Epimedium grandiflorum Morr.), 에피메디움 코리아눔 나카이(Epimedium koreanum Nakai), 에피메디움 푸베센스 막심(Epimedium pubescens Maxim.), 에피메디움 사기타툼 막심(Epimedium sagittatum Maxim.) 및 에피메디움 우사넨스(Epimedium wushanen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에피메디움 그란디플로룸 모르(Epimedium grandiflorum Morr.) 또는 에피메디움 코리아눔 나카이(Epimedium koreanum Nakai)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에피메디움 속 식물 추출물 중 특히 에피메딘이 유효성분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는 각각 중량비 0.1~2: 3~10: 1~4, 예를 들어 약 1:6:2.6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3643995-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D-글루코스(glucose), L-람노스(rhamnose) 및 D-자일로스(xy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D-글루코스는 β-D-글루코스(glucos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L-람노스는 α-L-람노스(rhamnos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자일로스는 β-D-자일로스(xylose)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중량%의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이는 0.0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 추출물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과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로 분획하여 에피메딘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피메디움 속 식물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과 교반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및 함수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식물에 약 1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배의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1 내지 5 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식물에 약 1 내지 8 배, 바람직하게는 약 4 배의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한 후, 약 10 내지 20℃에서 1 내지 3일간 침적시킨다. 상기 침적물을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식물 추출물을 수득한다.
그 다음, 상기 추출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로 분획하여 에피메딘을 얻는다.
본 단계에서의 유기 용매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사용된 용매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상기 수득된 식물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수층을 부탄올 등을 사용하여 1 내지 5회 추출한 후, 수득한 유기 용매층을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등의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 등에 녹인 후,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에피메딘 A, B, C 를 수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에피메딘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 효능은 구체적으로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활성 억제를 통하여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은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항노화 효능은 구체적으로 MMP-1 생성 억제, 즉 콜라게네이즈 생성 억제를 통하여 항노화 효능을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미백 효능은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의 주효소인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피메딘의 함유에 의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제조된 에피메딘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형태로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바람직하게는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피메딘 A, B, C 의 제조 및 동정
1-1.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제조
삼지구엽초의 건조된 잎 2㎏에 헥산 6ℓ를 넣고, 상온에서 3회 교반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녹차 잎 1kg 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였다. 이로부터 1-부탄올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에피메딘 A, B, C 를 삼지구엽초 추출물 80g을 수득하였다.
1-2. 에피메딘 A, B, C 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20g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0g 충진)로 정제하였다.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사용하였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비를 10:1에서 2:1까지 농도구배를 높여 분획을 수득하였으며, 이들 분획으로부터 에피메딘 A 450mg, 에피메딘 B 200mg, 에피메딘 C 100mg 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생성물들을 동정한 결과(Varian Gemini 2000 300MHz, Varian사), 하기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 에피메딘 A 의 물리화학적 성상 >
성상 : 연한 미황색의 미세결정
양성(Positive) FAB-MS : 839[M+H]
1H NMR (pyridine-d5,500 MHz) δ:7.14(1H, s), 7.15(2H, d, 9.2, H3',5'), 8.09(2H, d, 9.2, H2',6'), 3.72(3H, s, methoxy), 13.05(1H, s, OH-5), 1.61 & 1.76(ea. 3H, ea. s, isoprenyl Me) ;13C NMR (DMSO-d6) δ: 157.8, 134.8, 178.2, 160.4, 98.2, 161.4, 108.2, 152.9, 105.9, 122.0, 130.4, 114.0, 159.0, 114.0, 130.4, 21.3, 122.0, 130.9, 25.3, 17.3, 100.9, 81.2, 70.3, 71.5, 70.0, 17.7, 105.5, 73.8, 77.1, 69.1, 76.5, 60.3, 100.5, 73.3, 76.5, 60.3, 100.5, 73.3, 76.5, 69.5, 79.0, 60.5, 55.5, ; (λ max, nm) (MeOH):271(13800), 318(8800), 349(7300) ; [α]D = -99.8°(C 0.39, MeOH)
< 에피메딘 B 의 물리화학적 성상 >
성상 : 연한 미황색의 미세결정
양성(Positive) FAB-MS : 809[M+H]
1H NMR (pyridine-d5,90 MHz) δ:1.38(3H, d, 4.3), 1.60, 1.76(ea. 3H, s), 3.71(3H, s), 6.22(1H, br s), 7.14(1H, s), 7.15, 8.10(2H, ea. d, 8.6), 13.15(1H, s); 13C NMR (DMSO-d6) δ: 157.3, 134.8, 178.5, 160.6, 98.5, 161.5, 108.5, 153.1, 105.7, 122.1, 130.5, 114.3, 159.2, 114.3, 130.5, 21.5, 122.3, 131.2, 25.6, 17.9, 101.2, 80.8, 70.6, 71.8, 69.8, 17.5, 105.7, 73.5, 76.3, 70.6, 65.7, 100.7, 73.5, 76.7, 69.8, 77.3, 60.8, 55.6;(λ max, nm) (MeOH):271(18300), 317(11500), 350(10500); [α]20 D = -97.3° (C 1.1,MeOH)
< 에피메딘 C 의 물리화학적 성상 >
성상 : 연한 미황색의 미세결정
양성(Positive) FAB-MS : 823[M+H]
1H NMR (pyridine-d5,90 MHz) δ:1.30(3H, d, 5.0), 1.60, 1.74, 3.70(ea. 3H, s), 6.01, 6.10(ea. 1H, s), 7.09(2H, d, 8.5), 7.10(1H, s), 8.07(2H, d, 8.5), 13.18(1H, s); 13C NMR (DMSO-d6) δ: 157.1, 134.4, 178.1, 160.4, 98.0, 161.3, 108.2, 152.9, 105.4, 122.0, 130.4, 114.0, 159.0, 114.0, 130.4, 21.3, 122.0, 131.0, 26.3, 17.4, 100.4, 75.4, 70.3, 71.8, 70.0, 17.5, 105.1, 70.3, 70.5, 71.2, 70.1, 17.5, 100.6, 73.2, 76.5, 69.5, 77.1, 60.5, 55.4; (λ max, nm) (MeOH):271(14700), 316(9700), 348(8100); [α]20 D = -100.6° (C 0.7,MeOH)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실험 (DPPH test)
유기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기 예들에 의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한 에피메딘 A, B, 및 C 와 대조시료를 각각 10㎕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DPPH 분석 결과(억제 %) (IC50 :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
시료 IC50(μM)
에피메딘 A 6.77
에피메딘 B 6.58
에피메딘 C 6.75
트롤록스 8.66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피메딘 A, B, 및 C 가 트롤록스보다도 오히려 항산화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한 에피메딘 A, B, 및 C 와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물질로 알려진 알부틴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제와 티로신은 Sigma Chemical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은 0.1 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150 마이크로 리터와 8 마이크로 리터의 버섯 티로시나제 (2,100 unit/ml, 0.05 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36 마이크로리터의 1.5 mM 농도의 L-티로신으로 처리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은 37℃에서 2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 시킨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Bio-Rad 3550, Richnmond, CA, U.S.A.)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시료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대조군 -
알부틴 20 ppm 0
알부틴 50 ppm 85
에피메딘 A 20 ppm 62
에피메딘 B 20 ppm 65
에피메딘 C 20 ppm 61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에피메딘 A, B, C 는 그 효과가 알부틴보다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에피메딘 A, B, C 의 농도가 알부틴의 농도보다 낮음을 고려할 때, 에피메딘 A, B, C 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피메딘 A, B, C 는 세포 내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에피메딘 A, B, C 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코지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 정도는 Dooley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주는 C57BL/6 의 피부 색소에서 유래된 Mel-Ab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배양은 10% 소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폴볼-13-아세테이트(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1nM 콜레라 톡신(Cholera Toxin)을 함유한 DMEM 배지의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이루어졌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내고, 24-배양 용기(well plate)에 다시 동일한 수(1x105 cells/well)로 접종한 후 이틀째부터 2일 연속으로 실험 물질들을 포함시킨 배지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로서, 에피메딘 A, B, C 의 5ppm, 10ppm, 25ppm 및 50ppm, 코지산 25ppm, 50ppm 및 100ppm과 DMSO(대조군)을 사용하였다. 5일째 이후 1N-NaOH를 처리하여 세포에 포함된 멜라닌을 녹여 내어 400nm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반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피메딘 A, B, C 의 농도(IC50)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C50(ppm)
대조군 -
에피메딘 A 21
에피메딘 B 26
에피메딘 C 30
코지산 39.36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에피메딘 A, B, C 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효과는 코지산보다도 우수하였다. 특히, 에피메딘 A 가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피메딘 A, B, C 는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MMP-1 (콜라게네이즈) 저해능 평가
시험은 2.5 %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물질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위하였다. 채위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 (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 (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뛴 96-공 평판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위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학식 1]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물질처리세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MMP-1 생성 억제 효능
시료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
대조군(비처리군) 100
에피메딘 A 10 ppm 54
에피메딘 B 10 ppm 60
에피메딘 C 10 ppm 61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피메딘 A, B, C 는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형 제형
실시예 1의 에피메딘 A, B, C (각각 중량비 1:6:2.6)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2] 크림형 제제
실시예 1의 에피메딘 A, B, C(각각 중량비 1:6:2.6)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3] 팩형 제제
실시예 1의 에피메딘 A, B, C(각각 중량비 1:6:2.6)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4] 미용액형 제제
실시예 1의 에피메딘 A, B, C(각각 중량비 1:6:2.6)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Claims (14)

  1.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에피메딘 A, 에피메딘 B 및 에피메딘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43643995-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D-글루코스(glucose), L-람노스(rhamnose) 및 D-자일로스(xy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딘은 에피메디움(Epimedium) 속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메디움 속 식물은 에피메디움 브레비코르눔 막심(Epimedium brevicornum Maxim.), 에피메디움 그란디플로룸 모르(Epimedium grandiflorum Morr.), 에피메디움 코리아눔 나카이(Epimedium koreanum Nakai), 에피메디움 푸베센스 막심(Epimedium pubescens Maxim.), 에피메디움 사기타툼 막심(Epimedium sagittatum Maxim.) 및 에피메디움 우사넨스(Epimedium wushanen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중량%의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항노화용인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 생성 억제를 통한 항노화용인 조성물.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용인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58167A 2012-05-31 2012-05-31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8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67A KR101887957B1 (ko) 2012-05-31 2012-05-31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67A KR101887957B1 (ko) 2012-05-31 2012-05-31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65A KR20130134565A (ko) 2013-12-10
KR101887957B1 true KR101887957B1 (ko) 2018-08-13

Family

ID=4998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167A KR101887957B1 (ko) 2012-05-31 2012-05-31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6660B (zh) * 2021-08-02 2022-10-25 陕西师范大学 朝藿定c防治急性酒精中毒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7B1 (ko) * 2005-11-30 2008-02-15 (주)아모레퍼시픽 이카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960A (ko) 2006-09-19 2008-03-24 (주)아모레퍼시픽 이카리시드 ⅰ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7B1 (ko) * 2005-11-30 2008-02-15 (주)아모레퍼시픽 이카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al Product Sciences. 2008. Vol.14, No.4, pp.233-238.*
약학회지. 2000. 제44권 제5호, pp.455-4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65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MX2013008133A (es) Derivados de monoterpeno de calcona o dihidrocalcona y su uso como agentes despigmentantes.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40012804A (ko) 저분자 황산화당 후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87957B1 (ko) 에피메디움 속 식물에서 추출된 에피메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16267B1 (ko) 천상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94001A (ja) メラノサイト分化誘導促進剤
KR20180027213A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51920A (ja) 美白剤
JP2015093848A (ja) 皮膚化粧料及び頭髪化粧料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101176524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6606B1 (ko) 테트란드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894A (ko)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80061662A (ko) 아네모시드 a3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8162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상엽 추출물의 복합체
KR100891083B1 (ko) 백학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