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186B1 - 스테이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186B1
KR101887186B1 KR1020160131213A KR20160131213A KR101887186B1 KR 101887186 B1 KR101887186 B1 KR 101887186B1 KR 1020160131213 A KR1020160131213 A KR 1020160131213A KR 20160131213 A KR20160131213 A KR 20160131213A KR 101887186 B1 KR101887186 B1 KR 10188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ooth
rib
coil
var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077A (ko
Inventor
다카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7004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요크(12)와, 티스(13)와, 티스(13)의 둘레 방향 단면(13b)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둘레 방향 벽부(28)와, 요크(12)의 측에 있어서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20)와,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의 외측에 있어서, 플랜지(23)로부터 돌출된 리브(24)와, 둘레 방향 벽부(28)와 리브(24)의 외측에 권회된 코일(15)과, 공동(40)의 티스(13)의 선단측을 가로막는 원환 부재(31)를구비하고, 플랜지(23)의 요크(12)의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판벽부(22)는, 공동(40)의 요크(12)측을 가로막고 있으며, 주입 구멍(25)과, 공기 배기 구멍(26)을 구비하고, 리브(24)는, 주입 구멍(25)과 공기 배기 구멍(26)을 접속하는 터닝 유로(50)를 구성하며, 주입 구멍(25)으로부터 터닝 유로(50)에 충전되어 있는 바니시(6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STATOR}
본 발명은, 스테이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51486은, 전동기나 발전기의 로터에 있어서, 적층 형성된 로터 코어의 티스(teeth)에 보빈 작용을 하는 절연 부재를 개재하여 권선(卷線)을 권회(卷回)하고, 이 권선의 외주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밀봉제를 도포하거나, 수지를 권선의 외주에 포팅하거나 함으로써 권선의 형상을 고정한 구조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155369 및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5-318692는, 전동기나 발전기의 스테이터는, 강판을 적층하고, 원통형의 요크와 요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형성하며, 티스에 코일 선재(線材)를 권회하여 코일을 형성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티스에 권회된 코일 선재의 일부는,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양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일 엔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스테이터에서는, 코일 엔드의 외면으로부터 바니시(varnish)를 적하하여 코일 선재의 사이에 함침시켜 코일 선재간 혹은 코일 전체의 형상을 고정함과 함께 절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스테이터에 있어서 수지를 주입하는 금형으로 코일 엔드를 덮고, 코일 엔드를 수지 몰드하여, 코일과 스테이터 코어의 고정과 절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50048).
수지 부재의 외부에 코일 선재를 권회하여 티스에 코일을 구성하는 경우, 네모난 단면 형상의 티스의 외면에 장착하는 절연 부재는 티스의 외면과의 밀착성이 양호해지도록, 티스의 외형 형상을 따른 사각 통 단면의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사각 통 단면의 절연 부재의 외주에 권회된 코일의 단면은 코일 선재의 최소 굽힘 반경 때문에 축 방향으로 긴 장원형(長圓形)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엔드의 내면의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엔드의 외면으로부터 바니시를 적하, 함침시켜도, 이 내부 공간에 바니시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어, 코일 엔드와 절연 부재의 고정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를 주입하는 금형으로 코일 엔드를 덮어 코일 엔드 내부 및 상기의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는 방법은, 금형과 고압의 수지 주입 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로 되는 점에서, 제조 공정이 복잡해져 버려 제조에 시간이 걸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편한 구성으로, 코일과 절연 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스테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크(12); 상기 요크(1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티스(13); 벽(28)과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20) - 상기 벽(28)은 각 티스(13)의 둘레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플랜지(23)는 판벽(22)을 포함하며, 상기 판벽(22)은 상기 요크(12)의 내주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보다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제 1 구멍(25)과 제 2 구멍(26)을 가짐 - ; 상기 티스(13)의 상기 축 방향 단면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판벽(2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리브(24) -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판벽(22)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26)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 1 리브(24)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을 접속하는 유로(50)를 구성함 - ; 상기 벽(28)과 상기 제 1 리브(24)의 외측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15);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티스(13)의 선단측부에 장착되는 원환 부재(31) - 상기 원환 부재(31)는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과 상기 코일(15)의 내면의 사이의 공동(40)에 있어서의 상기 티스 선단측의 개구를 막음 - ; 및 상기 유로(50)에 충전되어 있는 접착체(60)를 구비하고, 상기 판벽(22)은, 상기 공동(40)의 요크측의 개구를 막고,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판벽(22)으로부터 상기 원환 부재(31)를 향해 상기 원환 부재(31)의 바로 앞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연 부재의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空洞) 내에 설치된 터닝(turning) 유로에 충전된 접착체가 절연 부재의 외면 및 코일의 내면에 밀착하여, 코일과 절연 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제 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의 사이에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리브(27)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브(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고, 상기 원환 부재(31)로부터 상기 요크(12)를 향해 상기 판벽(22)의 바로 앞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리브(24)와 상기 제 2 리브(27)가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을 접속하는 상기 유로(5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접착체의 점도가 높은 경우라도 접착체와 절연 부재의 외면 및 코일의 내면을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과 절연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코일과 절연 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를 가지는 모터의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내주측에서 본 티스와 절연 부재의 단면과 요크와 코일을 나타내는 둘레 방향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도 3의 A-A단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 내의 터닝 유로에 바니시의 주입을 개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 내의 터닝 유로에 대한 바니시의 주입을 종료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내주측에서 본 티스와 절연 부재의 단면과 요크와 코일을 나타내는 둘레 방향 전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도 7의 B-B단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 내의 터닝 유로에 바니시의 주입을 개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절연 부재의 축 방향 외면과 코일 내면의 사이의 공동 내의 터닝 유로에 바니시를 절반 정도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내주측에서 본 티스와 절연 부재의 단면과 요크와 코일을 나타내는 둘레 방향 전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를 가지는 모터(1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00)는, 원통형의 케이싱(10)과, 스테이터(11)와, 로터(18)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11)는, 케이싱(10)의 내면에 장착된다. 로터(18)는, 스테이터(11)의 내부에서 회전 중심(17)의 둘레로 회전축(19)과 함께 회전한다. 스테이터(11)는, 스테이터 코어(14)와, 절연 부재(20)와, 복수의 집중 감김 코일(15)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14)는, 원환 형상의 요크(12)와, 복수의 티스(13)와, 복수의 슬롯(16)을 구비한다. 복수의 티스(13)는, 요크(12)의 내주면(12b)으로부터 회전 중심(17)의 방향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슬롯(16)은, 각 티스(1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 부재(20)는, 티스(13)의 외면과 요크(12)의 내주면(12b)을 덮는다. 복수의 집중 감김 코일(15)은, 각 슬롯(16)을 통하여 각 티스(13)의 외면을 덮고 있는 절연 부재(20)의 주위에 권회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14)는 전자(電磁) 강판을 적층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코일(15)의 티스(13)의 선단측의 면에는, 원환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18)는, 외주면(18a)에 영구 자석이 장착되어 있으며, 전력이 스테이터(11)의 코일(15)에 공급되면 코일(15)에는 자력이 발생하고, 이 자력과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로터(18)가 회전하여, 회전 출력이 회전축(19)으로부터 외부로 취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크(12)로부터 돌출된 티스(13)는, 네모난 직사각형 단면이 되도록 전자 강판을 적층한 것이며, 티스(13)의 외면에는 수지제의 절연 부재(20)가 장착되어 있다. 절연 부재(20)는, 통 형상부(21)와, 판 형상의 플랜지(23)를 구비하고 있다. 통 형상부(21)는,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과 티스(13)의 둘레 방향 단면(13b)을 덮는다. 판 형상의 플랜지(23)는, 통 형상부(21)의 요크(12)의 측의 개구연(開口緣)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다. 통 형상부(21)의 축 방향 외면(21a)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24)가 배치되어 있다. 통 형상부(21)의 둘레 방향 벽부(28)와 축 방향 외면(21a) 및 리브(24)의 외측에는 코일(15)이 권회되어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5)의 통 형상부(21)의 둘레 방향 벽부(28)를 따라 슬롯(16)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부분은 둘레 방향 벽부(28)를 따른 직선 형상이며, 코일(15)의 내면은 둘레 방향 벽부(28)에 접하고 있다. 한편, 코일(15)의 통 형상부(21)의 축 방향 외면(21a)보다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코일 엔드(15a)는, 축 방향 외면(21a)으로부터 떨어진 활 형상이 된다. 그리고,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엔드(15a)의 내면과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의 사이에는 축 방향 외면(21a)을 사이에 두고 티스(1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반타원 단면의 공동(40)이 형성되어 있다. 공동(40)은, 티스(13)의 선단측과 요크(12)의 측에 각각 개구를 가지고 있다. 코일(15)의 요크(12)측의 측면은, 절연 부재(20)의 플랜지(23)의 표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공동(40)의 요크(12)측의 개구는 플랜지(23)의 요크(12)의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판벽부(22)에 의해 막혀 있다.
도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부재(31)는, 원환 형상의 띠 판이며, 폭 방향의 단면이 통 형상부(21)의 티스(13)의 선단측의 축 방향 외면(21a)에 장착되고, 외주면(31a)은 코일(15)의 티스(13)의 선단측의 면에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환 부재(31)는, 공동(40)의 티스(13) 선단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또한, 원환 부재(31)는, 내주면(31b)이 티스(13)의 선단보다 로터(18)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통 형상부(21)의 축 방향 외면(21a)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원환 부재(31)가 로터(18)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도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동(40)의 중앙에 배치된 리브(24)는 판벽부(22)로부터 원환 부재(31)를 향해 원환 부재(31)의 바로 앞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있어, U자형의 터닝 유로(50)를 구획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닝 유로(50)는, 리브(24)와 코일(15)의 내면으로 구획되고, 판벽부(22)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원환 부재(31)를 향해 연장되는 폭(W1)의 반경 방향 유로(51)와, 리브(24)의 반경 방향의 선단과 원환 부재(31)의 내면으로 형성되고, 2개의 반경 방향 유로(51)를 접속하는 폭(W2)의 접속 유로(5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W2)은 폭(W1)보다 좁게 되어 있다.
도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벽부(22)에는, 공동(40)에 형성된 일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에 연통하여, 접착체인 바니시(60)를 공동(40) 내에 주입하는 주입 구멍(25)과, 주입 구멍(25)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리브(24)를 넘어 이간되어, 공동(40)에 형성된 타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에 연통하여 공동(4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기 구멍(26)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닝 유로(50)는, 공동(40)을 리브(24)로 구분하여, 주입 구멍(25)과 공기 배기 구멍(26)을 접속하는 U자형의 유로이며, 공기 배기 구멍(26)은 주입 구멍(25)과 터닝 유로(50)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5, 6을 참조하면서, 터닝 유로(50)의 내에 접착체인 중저 점도(5~8(Pa·s))의 바니시(60)를 충전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구멍(25)으로부터 바니시(60)를 일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에 주입하면, 바니시(60)는, 반경 방향 유로(51)의 폭(W1) 가득히 확산되고, 반경 방향 유로(51)를 따라 원환 부재(31)를 향해서 충전되어 간다. 바니시(60)를 주입 구멍(25)으로부터 반경 방향 유로(51)에 주입하면 터닝 유로(50) 내의 공기는, 터닝 유로(50)의 반대측에 배치된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간다. 이 때문에, 터닝 유로(50)의 내에 충전된 바니시(60)의 내에는 기포가 남지 않는다. 바니시(60)를 더욱 주입하면, 바니시(6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유로(51)로부터 접속 유로(52)로 유입된다. 접속 유로(52)의 폭(W2)은 반경 방향 유로(51)의 폭(W1)보다 좁으므로, 바니시(60)가 접속 유로(52)에 가해지면, 접속 유로(52)의 상류측의 일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의 바니시(60)의 압력이 상승되고, 이 압력에 의해 바니시(60)는, 반경 방향 유로(51)의 내면에 밀착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유로(52)로부터 타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에 유입된 바니시(60)는, 타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의 폭(W1) 가득히 확산되어 공기 배기 구멍(26)을 향해 반경 방향 유로(51)를 흘러 간다. 이 때, 타방의 반경 방향 유로(51)의 내의 공기는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바니시(60)가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조금 비어져 나오면, 터닝 유로(50)의 내부에 바니시(60)가 완전히 충전되었다고 판단하여 바니시(60)의 주입을 종료한다. 터닝 유로(50)에 충전된 바니시(60)는 절연 부재(20)의 외면 및 코일(15)의 내면에 밀착되어, 경화하면 코일(15)과 절연 부재(20)를 강고하게 접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는, 절연 부재(20)의 외면과 코일(15)의 내면의 사이의 공동(40)에 바니시(60)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코일(15)과 절연 부재(20)를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는, 터닝 유로(50)의 주입 구멍(25)과 반대측에 배치된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면서 주입 구멍(25)으로부터 터닝 유로(50)의 내에 바니시(60)를 주입해 나가므로, 터닝 유로(50)의 내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바니시(60)를 충전할 수 있고, 바니시(60)와 절연 부재(20)의 외면 및 코일(15)의 내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15)과 절연 부재(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는, 바니시(60)의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의 비어져 나옴을 육안 검사함으로써, 공동(40)의 내에 바니시(60)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사 공정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또한, 공기 배기 구멍(26)은, 로터(18)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어, 비어져 나온 바니시(60)가 로터(18)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비어져 나온 바니시(60)를 트리밍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동(40)의 내에 판벽부(22)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원환 부재(31)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리브(24)와, 2개의 리브(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환 부재(31)로부터 요크(12)를 향해 연장되는 제 2 리브(27)를 구비하고 있다. 즉, 1개의 티스(13)에 대하여 복수의 리브(24)와 적어도 1개 제 2 리브(27)가 설치되어 있다. 일방의 리브(24)와 코일(15)의 내면의 사이의 판벽부(22)에는 주입 구멍(25)이 설치되고, 타방의 리브(24)와 코일(15)의 내면의 사이의 판벽부(22)에는 공기 배기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리브(24)와 제 2 리브(27)에 의하여 공동(40)은 4개의 반경 방향 유로(510)와 3개의 접속 유로(520)가 서펜타인(serpentine) 형상으로 접속된 터닝 유로(500)가 형성되어 있다. 반경 방향 유로(510)의 폭(W3)은, 앞서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의 반경 방향 유로(51)의 폭(W1)의 약 절반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에서는, 접속 유로(520)의 폭(W4)은, 반경 방향 유로(510)의 폭(W3)보다 조금 좁게 되어 있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터닝 유로(500)의 내에 도 5,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니시(60)보다 점도가 높은 중고 점도 (7~10(Pa·s))의 바니시(600)를 충전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바니시(600)를 주입 구멍(25)으로부터 도 5,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폭(W1)의 반경 방향 유로(51)에 주입하면, 바니시(600)는 반경 방향 유로(51)의 폭 가득히 확산되지 않고 반경 방향 유로(51)에 유입되어 간다. 이 때문에, 주입 구멍(25)의 근방에 공동(40)의 내의 공기가 기포가 되어 가둬져 버려, 반경 방향 유로(51)에 기포를 남기지 않고 점도가 높은 바니시(600)를 충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한편, 주입 구멍(25)으로부터 폭이 좁은 반경 방향 유로(510)의 내에 점도가 높은 바니시(600)를 주입한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니시(600)는 반경 방향 유로(510)의 폭 가득히 확산된 상태로 반경 방향 유로(510)에 충전되어 간다. 또한, 반경 방향 유로(510)의 내의 공기는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간다. 이 때문에, 주입 구멍(25)의 근방에 공기가 기포가 되어 가둬지는 일 없이, 반경 방향 유로(510)에 바니시(600)를 충전해 나갈 수 있다.
또한, 바니시(600)의 충전을 계속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니시(600)는, 최초의 접속 유로(520)를 넘어 2번째 반경 방향 유로(510)에 유입되고, 원환 부재(31)로부터 판벽부(22)를 향해 반경 방향 유로(510)를 충전해 온다. 그리고, 판벽부(22) 근방의 2번째 접속 유로(520)에 도달하면, 2번째 접속 유로(520)로부터 3번째 반경 방향 유로(510)로 흘러 간다. 이와 같이, 주입 구멍(25)으로부터 주입된 바니시(600)는, 터닝 유로(500)의 반경 방향 유로(510)와 접속 유로(520)를 번갈아 통과하면서 터닝 유로(500) 전체에 충전되어 간다. 그리고, 바니시(600)가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조금 비어져 나오면, 터닝 유로(500)의 내부에 바니시(600)가 완전히 충전되었다고 판단하여 바니시(600)의 주입을 종료한다. 터닝 유로(500)에 충전된 바니시(600)는 절연 부재(20)의 외면 및 코일(15)의 내면에 밀착되어, 경화하면 코일(15)과 절연 부재(20)를 강고하게 접착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1)는, 터닝 유로(500)의 폭(W3)을 좁게 함으로써, 고착성이 높고 점도가 높은 바니시(600)를 이용한 경우라도 터닝 유로(500)의 내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바니시(600)를 충전해 나갈 수 있어, 바니시(600)와 절연 부재(20)의 외면 및 코일(15)의 내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착성이 높고 점도가 높은 바니시(600)를 이용하여 코일(15)과 절연 부재(20)를 보다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도 9, 10에서는, 바니시(60)보다 점도가 높은 중고 점도(7~10(Pa·s))의 바니시(600)를 충전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했지만, 터닝 유로(500)에 중저 점도(5~8(Pa·s))의 바니시(60)를 주입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기포가 남지 않도록 바니시(6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29)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둘레 방향 전개도이다. 스테이터(29)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절연 부재(20)는,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을 덮지 않고, 둘레 방향 단면(13b)을 덮는 둘레 방향 벽부(28)를 가진다. 리브(24)는,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보다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판벽부(22)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로터(18)측)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원환 부재(31)는, 축 방향 외면(21a)의 티스(13)의 선단측의 단면에 장착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과 코일(15)의 내면에 의해 공동(4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동(40) 내에 있어서 리브(24)는 판벽부(22)로부터 원환 부재(31)를 향해 원환 부재(31)의 바로 앞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U자형의 터닝 유로(50)를 구획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판벽부(22)에는, 공동(40)에 형성된 터닝 유로(50)에 연통하는 주입 구멍(25)과, 주입 구멍(25)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리브(24)를 넘어 이간되어, 터닝 유로(50)에 연통되는 공기 배기 구멍(26)이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바니시(60)를 주입 구멍(25)으로부터 터닝 유로(50)에 주입하면 터닝 유로(50)의 내의 공기는 공기 배기 구멍(26)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바니시(60)를 터닝 유로(50)의 내에 완전히 충전할 수 있다. 즉, 스테이터(29)에서는,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과 코일(15)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공동(40) 내에 바니시(60)를 충전할 수 있어, 티스(13), 코일(15) 및 절연 부재(20)의 둘레 방향 벽부(28)의 단부를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바니시(60)와 티스(13), 코일(15), 절연 부재(20)의 둘레 방향 벽부(28)의 단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티스(13)와 코일(15)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면서, 티스(13), 코일(15) 및 절연 부재(2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절연 부재(20)가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13a)을 전혀 덮지 않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일부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티스(13)와 코일(15)의 전기적 절연성이 유지되는 한에 있어서, 절연 부재(20)의 둘레 방향 벽부(28)가 티스(13)의 둘레 방향 단면(13b)을 완전히 덮지 않고, 적어도 그 일부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앞서 도 7,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형태와 같이, 공동(40)의 내에 판벽부(22)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2개의 리브(24)와, 2개의 리브(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환 부재(31)로부터 요크(12)를 향해 연장되는 제 2 리브(27)를 구비하고, 2개의 리브(24)와 제 2 리브(27)에 의해, 공동(40) 내에 4개의 반경 방향 유로(510)와 3개의 접속 유로(520)가 서펜타인 형상으로 접속된 터닝 유로(500)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2)

  1. 스테이터(1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크(12);
    상기 요크(1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티스(13);
    벽(28)과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20) - 상기 벽(28)은 각 티스(13)의 둘레 방향 단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플랜지(23)는 판벽(22)을 포함하며, 상기 판벽(22)은 상기 요크(12)의 내주면측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보다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제 1 구멍(25)과 제 2 구멍(26)을 가짐 - ;
    상기 티스(13)의 상기 축 방향 단면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판벽(2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리브(24) -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판벽(22)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26)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 1 리브(24)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을 접속하는 유로(50)를 구성함 - ;
    상기 벽(28)과 상기 제 1 리브(24)의 외측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15);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티스(13)의 선단측부에 장착되는 원환 부재(31) - 상기 원환 부재(31)는 상기 티스(13)의 축 방향 단면과 상기 코일(15)의 내면의 사이의 공동(40)에 있어서의 상기 티스 선단측의 개구를 막음 - ; 및
    상기 유로(50)에 충전되어 있는 접착체(60)를 구비하고,
    상기 판벽(22)은, 상기 공동(40)의 요크측의 개구를 막고,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판벽(22)으로부터 상기 원환 부재(31)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브(24)와 상기 원환 부재(31)는 이간되어 있는 스테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제 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24)는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의 사이에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리브(27)는 상기 복수의 제 1 리브(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고, 상기 원환 부재(31)로부터 상기 요크(12)를 향해 상기 판벽(22)의 바로 앞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리브(24)와 상기 제 2 리브(27)가 상기 제 1 구멍(25)과 상기 제 2 구멍(26)을 접속하는 상기 유로(50)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KR1020160131213A 2015-10-20 2016-10-11 스테이터 KR101887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6494A JP6304192B2 (ja) 2015-10-20 2015-10-20 ステータ
JPJP-P-2015-206494 2015-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77A KR20170046077A (ko) 2017-04-28
KR101887186B1 true KR101887186B1 (ko) 2018-08-09

Family

ID=5712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13A KR101887186B1 (ko) 2015-10-20 2016-10-11 스테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11529B2 (ko)
EP (1) EP3160017B1 (ko)
JP (1) JP6304192B2 (ko)
KR (1) KR101887186B1 (ko)
CN (1) CN106602771B (ko)
BR (1) BR102016023923B1 (ko)
CA (1) CA2945172C (ko)
MY (1) MY175028A (ko)
RU (1) RU263665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3062B2 (ja) * 2016-07-05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
CN107465278A (zh) * 2017-08-21 2017-12-12 伊泽瑞尔(大连)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定子结构
KR102080033B1 (ko) * 2018-12-21 202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N111628591A (zh) * 2019-02-28 2020-09-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定子、定子组件、以及电能与机械能的转换器
JP6916857B2 (ja) * 2019-11-19 2021-08-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回転電機、回転電機用固定子及び回転電機用ボビン
US20210159762A1 (en) * 2019-11-27 2021-05-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ator for use in an electric motor
DE102020100618A1 (de) * 2020-01-14 2021-07-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tor für einen Elektromo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861A (ja) 2003-06-16 2005-01-13 Honda Motor Co Ltd ステータ
JP2010141965A (ja) 2008-12-09 2010-06-24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回転電機、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5762638B2 (ja) 2012-08-03 2015-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5306U (ko) * 1975-06-05 1976-12-10
JPS52165210U (ko) * 1976-06-09 1977-12-14
JPH04128060U (ja) * 1991-05-07 1992-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機子巻線
WO1993006646A1 (de) * 1991-09-13 1993-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Imprägnierbare anordnung aus einem trägerkörper und wicklungselementen
JP2002051486A (ja) 2000-07-31 2002-02-15 Tamagawa Seiki Co Ltd モータ鉄芯構造
RU2236740C2 (ru) * 2002-07-15 2004-09-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иловые машины - ЗТЛ, ЛМЗ, Электросила, Энергомашэкспорт" Статор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JP2005318692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ワニス処理装置およびワニス処理方法
ITBO20070576A1 (it) * 2007-08-07 2009-02-08 Spal Automotive Srl Macchina elettrica.
JP5151309B2 (ja) 2007-08-14 2013-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4730367B2 (ja) * 2007-08-21 2011-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分割固定子製造方法
JP4301334B2 (ja) * 2007-10-19 2009-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4404145B2 (ja) * 2008-01-16 2010-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分割固定子製造方法
JP4670942B2 (ja) * 2008-11-21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0124657A (ja) * 2008-11-21 2010-06-03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
JP5267091B2 (ja) * 2008-12-08 2013-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5353366B2 (ja) 2009-03-27 2013-1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5493440B2 (ja) * 2009-04-15 2014-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の固定子の冷却方法
KR20130118955A (ko) * 2011-02-25 2013-10-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의 스테이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66314A (ja) * 2011-09-19 2013-04-11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5789570B2 (ja) * 2012-07-03 2015-10-0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ステータ
JP6142561B2 (ja) 2013-02-12 2017-06-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コイルへのワニスの含浸方法及び含浸装置並びにステータコイル
US10063118B2 (en) * 2013-04-08 2018-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5846224B2 (ja) * 2014-01-22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
JP6070603B2 (ja) * 2014-03-04 2017-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6539997B2 (ja) * 2014-11-25 2019-07-10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US20160241093A1 (en) * 2015-02-13 2016-08-1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Lubricant channel on a stator winding sup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861A (ja) 2003-06-16 2005-01-13 Honda Motor Co Ltd ステータ
JP2010141965A (ja) 2008-12-09 2010-06-24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回転電機、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5762638B2 (ja) 2012-08-03 2015-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028A (en) 2020-06-03
CN106602771B (zh) 2019-02-19
US20170110916A1 (en) 2017-04-20
EP3160017B1 (en) 2018-06-27
CA2945172A1 (en) 2017-04-20
JP6304192B2 (ja) 2018-04-04
EP3160017A1 (en) 2017-04-26
BR102016023923B1 (pt) 2022-11-08
BR102016023923A2 (pt) 2017-05-23
CN106602771A (zh) 2017-04-26
US10411529B2 (en) 2019-09-10
KR20170046077A (ko) 2017-04-28
CA2945172C (en) 2017-11-21
RU2636659C1 (ru) 2017-11-27
JP2017079539A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186B1 (ko) 스테이터
JP4715280B2 (ja) 永久磁石埋め込み型モータ、ポンプ装置、及び永久磁石埋め込み型モータの製造方法
US10199891B2 (en) Rotor having end plates and molding flash
US1112820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2643516B1 (ko)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계
JP6749982B2 (ja) モーター固定子構造体及び固定子ユニット
JP5267091B2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US11043860B2 (en) Rotor, motor, and rotor manufacturing method
CN109565206B (zh) 旋转电机
US20160211719A1 (en) Rotor for brushless motor
TW201325028A (zh) 電動機之定子及永久磁石式旋轉電機
KR20120004969A (ko) 전기 기계
US20150091404A1 (en)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agnetizing apparatus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04112856A (ja) 回転電機の冷却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6673062B2 (ja) ステータ
JP2017079536A (ja) ステータ
JP6562702B2 (ja) ポンプとポンプの製造方法
CN112840540A (zh) 旋转电机的定子的制造方法和旋转电机
JP6360709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JP5311877B2 (ja) ステータのコイル及び回転機器のステータコア
CN220775504U (zh) 一种便于生产的盘式电机定子及应用该定子的盘式电机、离心泵
WO2017203570A1 (ja) Ipmモータのロータ、ipmモータ、及びipmモータのロータの製造方法
WO2023007706A1 (ja) ロータ、モータ、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2011147246A (ja) 電動機
JP2016181966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