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059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059B1
KR101887059B1 KR1020110137994A KR20110137994A KR101887059B1 KR 101887059 B1 KR101887059 B1 KR 101887059B1 KR 1020110137994 A KR1020110137994 A KR 1020110137994A KR 20110137994 A KR20110137994 A KR 20110137994A KR 101887059 B1 KR101887059 B1 KR 10188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ed
specific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792A (ko
Inventor
김대언
정진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059B1/ko
Priority to US13/659,820 priority patent/US8818460B2/en
Priority to EP12007401.8A priority patent/EP2608500B1/en
Priority to CN201210458911.XA priority patent/CN103179266B/zh
Publication of KR2013007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무선 통신 모듈; 제2 무선 통신 모듈;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무선 통신부를 자동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애플사의 IOS 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OS가 등장함에 따라, 핸드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전화통화를 주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라 불리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도 부지기수로 생산되고 있다.
다만,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에서는 음성 통화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예컨대,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는 운영자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수신된 지도 데이터 상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동으로 당해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 모듈의 On/Off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고, 나아가, 사용자는 매번 소정 모듈의 On/Off를 확인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불편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소정 모듈은 사용자가 Off 설정하지 않는 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정 모듈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소정 모듈이 On 상태여서 지속적으로 전류를 소모하게 되어 이동 단말기의 전원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달리,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무선 통신부를 자동 활성화 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무선 통신부를 자동 비활성화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제2 무선 통신 모듈;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상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무선 통신부를 자동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되면 무선 통신부를 자동 비활성화 하여,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소속된 폴더를 대상으로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6a 내지 도 6c는 외부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들.
도 7a 및 도 7b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8은 동일한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들이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화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PC),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 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HS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제2 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무선 통신부(110)를 구성하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제2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서로 다른 하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종 메뉴 화면을 제공한다.
메모리(160)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각종 제어값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것을 뜻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흐름도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자동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S301). 사용자는 개별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소속된 그룹을 대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 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아이콘(401~404)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사용자는 아이콘(401~404)을 터치함으로써, 소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임의의 아이콘을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메뉴(41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팝업 메뉴(410)를 통해 제공되는 '삭제' 버튼(412)을 통해 사용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수 있고, '설정' 버튼(414)을 통해,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도 자동으로 활성화 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버튼(414)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4c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c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c의 예시도에서, 3G/4G 항목은 이동통신 모듈(112), Wi-Fi 항목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 GPS 항목은 위치정보 모듈(115), NFC 항목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3G/4G, Wi-Fi, GPS, NFC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된 것이고, 각 무선 통신 모듈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도 4c에 나열된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항목들 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할 무선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기초로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값이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두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소속된 그룹을 대상으로 제어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소속된 폴더를 대상으로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에서 '길찾기'라고 명명된 폴더의 아이콘(502)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찾기'라고 명명된 폴더에 소속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의 예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504)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5c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c와 같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기초로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값을 폴더(또는 당해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와 연계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어부(18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기초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외부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무선 통신 모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트레이(tray)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스템 트레이에 표시된 각 무선 통신 모듈의 아이콘(601~604)를 기초로, 각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의 예시에서, 3G/4G 아이콘(604)은 이동통신 모듈(112)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고, Wi-Fi 아이콘(601)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NFC 아이콘(602)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고, GPS 아이콘(603)은 위치정보 모듈(115)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에서, 사용자는 GPS 아이콘(603)의 색상을 통해 위치정보 모듈(115)이 활성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스템 트레이에 구비된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팝업 메뉴(610)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 메뉴(610)를 통해 제공되는 'On/Off' 버튼(612)을 통해 위치정보 모듈(115)의 활성화 여부를 수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설정' 버튼(514)을 통해 위치정보 모듈(115)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버튼(614)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도 6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c와 같이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위치정보 모듈(115)을 자동으로 활성화 할 어플리케이션(또는 폴더)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경우 위치정보 모듈(115)이 자동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값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c의 예에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위치정보 모듈(115)이 자동으로 활성화 될 수 있는 제어값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위치정보 모듈(115)을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상술된 내용은 위치정보 모듈(115)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4)과 관련된 제어값 생성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는 제어값을 생성화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6의 일부를 변형하거나,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용이하게 착안해낼 수 있는 방법들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제어값에 기초하여 아이콘 등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S302). 사용자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a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상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 모듈 별로, 서로 다른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112)의 경우, 3G/4G 인디케이터(712),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경우 와이파이 인디케이터(714),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경우 NFC 인디케이터(716), 위치정보 모듈(115)의 경우 GPS 인디케이터(718)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는 와이파이 인디케이터(614)와 GPS 인디케이터(618)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무선 인터넷 모듈(113)과 위치정보 모듈(115)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는 3G/4G 인디케이터(612)와 NFC 인디케이터(616)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통신 모듈(112)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b는 폴더의 제목표시줄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표시줄에는 해당 폴더의 명칭('길찾기') 및 해당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 개수('5')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80)는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9에 예시된 제목표시줄의 와이파이 인디케이터 및 GPS 인디케이터를 통해, 당해 폴더세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위치정보 모듈(115)이 활성화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이름, 모양 및 위치은 발명의 손쉬운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는 숫자, 문자, 색채, 도형, 그림, 기호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생김새 및 위치와 상관없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인디케이터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한하여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홈 스크린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으로써, 사용자는 제공되는 홈 스크린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는 등 이동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303), 제어값에 기반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304). 제어부(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특정 그룹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들이 활성화된 경우에도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폴더 단위로 관리하는 경우, 특정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와 무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별도의 외부 입력이 있기 전까지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이동통신 모듈(112)이라고 가정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도 외부로부터 음성 호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모듈(112)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2)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관계없이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과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동시에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2) 및 무선 인터넷 모듈(1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인터넷 접속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112,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상태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무선 인터넷 모듈(113,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180)는 먼저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예컨대, 이동 단말기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Access Point)가 부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대부분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에게 종량제 형태로 과금되는 반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대부분 ISP에 대해 정액제 형태로 과금되므로,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통신 비용이 부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각각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이동통신 모듈(112)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S305),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6).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면(S307),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8). 제어부(180)는 외부 입력에 기반하여,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S309),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0).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그룹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폴더 단위로 관리하는 경우, 특정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당해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와 무관하게 활성화 상태(또는 비활성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그룹의 예시로 폴더를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더라도, 특정 그룹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에 한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동일한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들이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의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한 폴더에 소속된 어플리케이션이더라 하더라도, 제어부(180)는 경계선(802)의 상단에 위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해서, 곧바로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와 함께,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더 판단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도록 더욱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시간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제1 시간대와 다른 제2 시간대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활성화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시간대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까지로 설정되고, 제2 시간대가 제1 시간대 이외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이 제1 시간대 및 제2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에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지역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고, 제1 지역과 다른 제2 지역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제1 지역내 위치하는지 판단한 뒤, 제1 지역내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동 단말기가 제2 지역내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 하지 않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는 위치정보 모듈(115)을 통해 획득한 것이거나,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기지국 삼각측량 방식(Cell Tower Triangulation)으로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115) 또는 이동통신 모듈(112)은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구성하고,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에 관계없이 활성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인터넷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와 인접한 AP(Access Point)가 위치하여야 하는데, 학생, 회사원과 같이 생활 패턴이 규칙적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 AP에 위치할 수 있는 시간대 및 장소가 매일 유사한 패턴을 갖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AP가 주변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활성화 되어도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활성화하는데 소모되는 파워를 절약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역이 국내이고, 제2 지역이 해외인 경우, 해외 이동통신 망 사용에 따른 과다 요금이 과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해외에 위치하여, 로밍(roaming)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ISP 에 대해 과다 요금이 과금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이동통신 모듈(112)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지역을 해외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이 국내에서만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간 및/또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시간 및/또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60)로 저장하여, 추후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시간 및 제2 지역은 각각 제1 시간 및 제1 지역을 제외한 모든 시간 및 지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모듈(112,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가능한 AP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AP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AP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인터넷 모듈(113,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도록 더욱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AP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함께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가 부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활성화 하지 않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다시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S302)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은 S302 단계를 생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S302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아이콘 등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인디케이터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들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무선 통신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9)

  1. 제1 무선 통신 모듈;
    제2 무선 통신 모듈;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 중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을 나타내는 제어값을 저장한 메모리; 및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저장된 제어값에 의해 지정된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에서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변경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며, 상기 특정 어플린케이션이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상기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다시 변경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정상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대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제1 시간대와 다른 제2 시간대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지역에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제1 지역과 다른 제2 지역에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 중 서로 다른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각각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 양자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아이콘에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것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특정 그룹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그룹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그룹의 해당 아이콘 또는 해당 폴더에 상기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것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137994A 2011-12-20 2011-12-2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94A KR101887059B1 (ko) 2011-12-20 2011-12-2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659,820 US8818460B2 (en) 2011-12-20 2012-10-2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2007401.8A EP2608500B1 (en) 2011-12-20 2012-10-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210458911.XA CN103179266B (zh) 2011-12-20 2012-11-14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94A KR101887059B1 (ko) 2011-12-20 2011-12-2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92A KR20130070792A (ko) 2013-06-28
KR101887059B1 true KR101887059B1 (ko) 2018-08-10

Family

ID=4722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94A KR101887059B1 (ko) 2011-12-20 2011-12-2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8460B2 (ko)
EP (1) EP2608500B1 (ko)
KR (1) KR101887059B1 (ko)
CN (1) CN103179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3466A1 (en) * 2009-07-10 2011-01-13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 method
JP6119431B2 (ja) * 2013-05-31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50019795A (ko) *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69643B1 (en) * 2013-11-04 2014-07-01 Mourad Ben Ayed Method for identifying a remote device
US20150235052A1 (en) * 2014-02-17 2015-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users privacy
US9544714B2 (en) * 2014-05-30 2017-01-10 Apple Inc. Companion application for activity cooperation
US10455384B2 (en) 2014-07-10 2019-10-22 The Boeing Company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vailable communication channels
KR102225945B1 (ko) * 2014-07-16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009113B1 (en) 2014-10-21 2015-04-14 Escapemusic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st-specified dynamic albums
US10140365B2 (en) * 2014-10-21 2018-11-27 Escapex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play and download of artist specific client applications via user-provided playlists
US10764528B2 (en) * 2016-01-2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73967A (ja) * 2016-03-22 2017-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902405B1 (en) * 2016-05-11 2021-01-26 Wells Fargo Bank, N.A. Transient mobile wallets
US9925467B2 (en) 2016-07-14 2018-03-27 Yoshinori Matsumoto Mobile terminal with call function or texting function, or a function as a game terminal, game program and game method executed by mobile terminal
KR102475230B1 (ko) 2016-08-18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6376022B (zh) * 2016-09-12 2017-10-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US10419998B2 (en) * 2016-11-14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an advanced receiver based on cell information,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or a device display status
WO2020000445A1 (zh) * 2018-06-29 2020-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浏览应用文件夹的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457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responsive to power state
US20080247344A1 (en) * 2007-04-05 2008-10-09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Over Cellular Networks to Reduce the Wi-Fi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9415B2 (en) * 2004-11-24 2010-08-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usage information
KR100785064B1 (ko) * 2006-11-09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동작환경 설정과 실행 방법 및장치
CN101364878B (zh) * 2007-08-10 2011-01-26 海华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监控网络连接端口的方法及系统
EP2190245A1 (en) * 2008-11-20 2010-05-26 Koninklijke KPN N.V. A mobile phone comprising operating means
KR101535437B1 (ko) * 2009-01-15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244219B2 (en) * 2009-10-05 2012-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profile tones
CN102103209A (zh) 2009-12-17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Gps自动省电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457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responsive to power state
US20080247344A1 (en) * 2007-04-05 2008-10-09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Over Cellular Networks to Reduce the Wi-Fi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8460B2 (en) 2014-08-26
US20130157722A1 (en) 2013-06-20
CN103179266A (zh) 2013-06-26
CN103179266B (zh) 2016-12-21
EP2608500A1 (en) 2013-06-26
EP2608500B1 (en) 2019-06-26
KR20130070792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05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68098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497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8998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8777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01979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5970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1197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903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60154537A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0009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1726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그룹화 방법
KR201400469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19024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201248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56540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긴급 방송 제어 방법
KR201300782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152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44643A (ko) 터치 지속 시간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KR10168815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KR20140127559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99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249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30064421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578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