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02B1 -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02B1
KR101886402B1 KR1020180014947A KR20180014947A KR101886402B1 KR 101886402 B1 KR101886402 B1 KR 101886402B1 KR 1020180014947 A KR1020180014947 A KR 1020180014947A KR 20180014947 A KR20180014947 A KR 20180014947A KR 101886402 B1 KR101886402 B1 KR 10188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ed
frame
dri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18001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61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parallel work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72Tub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한 길이의 원형 또는 다각의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드릴을 구비하되, 상기 드릴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여 파이프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드릴을 이동시키지 않고, 파이프를 드릴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을 이동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파이프를 드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 개의 드릴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드릴과 인접한 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Perforated divice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한 길이의 원형 또는 다각의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드릴을 구비하되, 상기 드릴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여 파이프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드릴을 이동시키지 않고, 파이프를 드릴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나 계단 및 인도 등에 설치되는 통상의 난간대는 소정의 높이로 수평이나 경사지게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지지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나간대는 사고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이프는 난간대 외에도 각종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의 뼈대로도 사용되고, 책상 또는 의자 등과 같이 가구의 뼈대로도 사용되며, 각종 구조물의 뼈대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파이프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뼈대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기 위해 일정 크기의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데,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드릴머신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자가 파이프에 직접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 먼저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파이프에 천공될 구멍의 위치를 표시한 후 상기 드릴머신을 이용하여 직접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불어 상기 드릴머신으로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할 시 상기 파이프가 유동될 우려가 다분하여 상기 파이프에 정밀하게 구멍을 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종래의 방법은 상기 드릴머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상기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24771호에 프레임과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고정부와 상기 파이프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파이프를 천공하는 드릴날과 상기 드릴날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실린더부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상에서 좌우이동하는 드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천공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드릴부가 실린더에 의해 프레임상에서 좌우이동하여 파이프고정부에 고정된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에 입력된 거리만큼 구멍이 천공되어 정밀한 이격거리만큼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나, 상기 드릴부가 이동하는 시간에 의해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드릴날이 파이프로 이동하여 파이프에 구멍이 천공되기 때문에 파이프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정밀하게 구멍이 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8051호에 기체에 레버와 축을 연동되게 설치하여 레버에 의하여 축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축에 고정된 공구지지대에 에어에 의하여 드릴이 회전되는 수개의 에어공구를 고정하여 에어공급관에 설치한 밸브관과 에어공급호수로 연결하며, 지주에 고정된 테이블에는 파이프고정대를 고정하여 파이프에 작은구멍을 매우 양호히 뚫을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천공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또 다른 종래기술은 다수의 구멍을 한번의 공정에 의해 천공할 수 있으나,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고정대의 구조가 미미하여 구멍의 천공시 파이프가 유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에 의해 드릴이 파이프로 이동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들은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드릴날 또는 드릴이 파이프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이프에 구멍이 천공되나, 드릴날 또는 드릴이 파이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됨으로써 미세한 진동이 발생되는 드릴날 또는 드릴이 파이프와 접촉시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정확한 위치에서 미세하게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2477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0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종래의 천공장치는 드릴날 또는 드릴이 회전하며 파이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에 따른 미세한 진동에 의해 구멍이 정밀하게 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작업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부가 드릴로 이동됨으로써, 정밀하게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드릴을 설치하여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천공함으로써,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릴과 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파이프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작업부와 베이스프레임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드릴이 구비되는 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수직프레임과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상부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로드에 후방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전방말단에 고정결합되되, 양측이 제1수직프레임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업부는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대응되는 제1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업부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후방지지부재와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전방말단이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전방말단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부에 파이프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안착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지그 중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에 위치하는 안착지그는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업부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에 내입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랙기어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본체는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레일홈에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전방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관통결합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전방말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회전로드의 후방말단에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재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프레임의 레일홈에 말단이 밀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제1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몸체는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를 구비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는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을 이동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파이프를 드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파이프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 개의 드릴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드릴과 인접한 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릴장치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헌 드릴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B"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부분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릴장치의 레일부재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본 발명은 파이프(10)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한 길이의 원형 또는 다각의 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에 다수의 구멍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드릴(330)을 구비하되, 드릴(330)과 드릴(33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파이프(10)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 및 지지된 파이프(10)를 드릴(330)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10)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베이스프레임(100)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파이프(10)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작업부(200);와 베이스프레임(100)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작업부(2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드릴(330)이 구비되는 천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수직프레임(110);과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3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31)의 전면 상부에 상부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134);와 상기 제2실린더(134)의 로드에 후방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재(135);와 상기 링크부재(135)의 전방말단에 고정결합되되, 양측이 제1수직프레임(110)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36); 및 상기 회전축(136)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피니언기어(1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업부(200)는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137)와 대응되는 제1랙기어(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업부(200)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후방지지부재(221);와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전방말단이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말단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부에 파이프(10)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 중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에 위치하는 안착지그(222)는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업부(200)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223);과 상기 가이드홀(223)에 내입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공부(3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전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랙기어(142);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4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본체(310)는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결합되는 레일부재(312);와 전방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관통결합되는 회전로드(314);와 상기 회전로드(314)의 전방말단에 결합되는 핸들(316); 및 상기 회전로드(314)의 후방말단에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3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재(312)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말단이 밀착되는 고정나사(312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제1수직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봉(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몸체(310)는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가이드봉(144)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311a)를 구비하는 후방프레임(3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프레임(100)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파이프(10)를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작업부(200)와 상기 작업부(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파이프(10)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부(300)가 설치되고, 특히 상기 작업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134)를 이용하여 작업부(200)에 안착고정된 파이프(10)를 드릴(330)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전방 양측에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측에 직교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지지부(미표시)를 구비하는 제1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양측에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지지부(미표시)를 구비하는 제2수직프레임(120)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전방에 양측이 결합되는 제2지지부(미표시)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내측면 하부 즉,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이후에 설명될 회전축(136)이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이후에 설명될 작업부(200)의 상부패널(220)의 하부 후방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120)은 제2지지부의 상부에 이후에 설명될 작업부(200)의 상부패널의 하부 전방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전방에서 작업자가 파이프(10)의 안착 및 이후에 설명될 천공부(300)의 간격조절 등의 작업을 위해 제1수직프레임(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30)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작업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수직프레임(100)의 후방에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31)의 전면 상부에 상부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134)와 상기 제2실린더(134)의 로드에 후방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재(135)와 상기 링크부재(135)의 전방말단에 고정결합되되, 양측이 제1수직프레임(110)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36) 및 상기 회전축(136)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피니언기어(1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본체프레임(130)은 상기 제2실린더(134)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제3수직프레임(131)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내측면 후방이 제3수직프레임(131)의 양측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길이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33)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31)의 양측 상부에 상부 내측면 후방이 결합되고, 하부가 지지프레임(133)에 결합되되, 기울기를 가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4수직프레임(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134)는 상부가 상기 제4수직프레임(132)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미표시)에 의해 결합되고, 로드의 말단이 링크부재(135)의 후방말단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의 본체프레임(130)은 상기 제2실린더(134)를 작동시켜 회전축(136)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136)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피니언기어(137)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137)와 대응되어 맞물리는 제1랙기어(212)를 구비하는 작업부(200)의 하부몸체(210)가 상기 제1피니언기어(137)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작업부(200)가 상하로 이동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작업부(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된 파이프(10)는 상부에 구비된 천공부(300)의 드릴(330)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작업부(200)의 상하 이동은 작업자가 파이프(10)를 작업부(200)에 안착시켜 고정시킨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천공부(300)의 드릴(33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작업자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로드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상부가 제4수직프레임(13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링크부재(135)의 후방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축(136)은 상기 링크부재(135)의 전방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135)의 후방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고, 고정결합된 복수 개의 1제피니언기어(137)가 함께 회전되고, 맞물려 있는 작업부(200)의 하부몸체(210)의 제1랙기어(21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천공부(30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 즉, 제1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0)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봉(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상부면에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랙기어(142)와 전면에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4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146)에 이후에 설명될 천공부(300)의 이동본체(310)의 후면에 구비된 레일부재(312)가 결합되고, 상기 제2랙기어(142)는 상기 이동본체(310)에 구비되는 제2피니언기어(318)와 맞물려 상기 이동본체(310)가 안정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44)은 상기 이동몸체(310)가 더욱어 안정적으로 지지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몸체(310)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후방프레임(311)의 안착부재(311a)가 안착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작업부(200)는
앞서 설명된 베이스프레임(100)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파이프(10)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본체프레임(130)에 구비된 제2실린더(134)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상부에 안착된 파이프(1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상부면이 천공부(300)의 드릴(330)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안착되는 상부패널(220)과 상기 상부패널(220)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결합되는 하부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의 길이를 가지 때문에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지지몸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상기 하부몸체(210)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작업부(200)는 안착 및 고정된 파이프(1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피니언기어(137)와 대응되는 제1랙기어(2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랙기어(212)는 작업부(200) 즉, 상기 하부몸체(210)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피니언기어(137)와 대응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2실린더(1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1피니언기어(137)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10)가 상하로 이동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부(200)의 상부패널(220)은 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후방지지부재(221)와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전방말단이 상기 후방지지부재(@21)의 전방말단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부에 파이프(10)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 중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에 위치한 안착지그(222)는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부(200)의 상부패널(220)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223)과 상기 가이드홀(223)에 내입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작업부(200)는 상기 고정돌기(224)를 전후방 즉, 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패널(220)의 하부에 고정되고, 로드(미표시)의 말단이 상기 고정돌기(224)의 하부 후방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2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방지지부재(221)는 상기 제1실린더(225)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224)가 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안착지그(222)의 상부에 안착된 파이프(10)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파이프(10)가 고정되도록 상기 파이프(10)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후방지지부재(221)는 상기 파이프(10)가 고정돌기(224)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파이프(10)의 후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에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에 따라 파이프(10)의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탄성력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부재(221)는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후 고정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장공형태의 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에 결합나사(미표시)를 이용하여 상부패널(220)에 고정됨으로써,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파이프(10)에 구멍이 원활하게 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파이프(10)에 형성되는 구멍의 위치에 따라서도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파이프(10)의 원하는 위치에 구멍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안착지그(222)는 상부면에 파이프(1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말단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부패널(2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10)가 상부패널(2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안착지그(222)는 파이프(10)의 상부면에 구멍을 천공할 때, 하부면까지 구멍을 천공할 경우 드릴(330)이 작업부(200)의 상부패널(220)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패널(220)과 드릴(33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안착지그(222)는 상부면이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고정돌기(224)에 의해 안착된 파이프(10)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가압됨으로써,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안착지그(2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 중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도 1에서는 일측말단)에 위치하는 안착지그(222)에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측방지지돌기(222a)는 안착된 파이프(1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이프(10)에 천공되는 구멍의 가장 끝단에 형성되는 구멍이 파이프(10)의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과 이격되는 거리의 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홀(223)은 상기 상부패널(220)의 전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돌기(224)가 안정적으로 전후방 즉, 후방지지부재(221)방향으로 고정돌기(224)가 이동되어 파이프(10)를 고정하거나, 후방지지부재(221)의 반대방향으로 고정돌기(224)가 이동되어 파이프(1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224)는 하부가 하부몸체(210)의 상부면에 안착되되, 상기 가이드홀(223)에 내입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린더(225)의 작동에 따라 안착지그(222)에 안착된 파이프(10)를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하고, 후방지지부재(221)와 같이 파이프(10)가 접촉되는 후면에 파이프(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후방지지부재(221)와는 다르게 파이프(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닌 고정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탄성부재보다 탄성력이 큰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천공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작업부(2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드릴(33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프레임(140)에 구동모터(32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드릴(330)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파이프(10)에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과 구멍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천공부(300)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드릴(33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20)와 드릴(330)이 사이드프레임(1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전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본체(310)는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결합되는 레일부재(312)와, 전방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관통결합되는 회전로드(314)와 상기 회전로드(314)의 전방말단에 결합되는 핸들(316) 및 상기 회전로드(316)의 후방말단에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3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일부재(31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홈(146)에 내입되는 이동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본체(310)가 안정적으로 이동되기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3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말단이 밀착되는 고정나사(3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나사(312a)에 의해 이동본체(310)가 가이드프레임(140)에 고정되어 파이프(10)에 구멍 천공시 안정적으로 드릴(3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로드(314)는 이동본체(310)의 전방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결합되고, 전방말단에 핸들(316)이 결합되며, 후방말단에 제2피니언기어(318)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핸들(316)을 회전시켜 상기 제2피니언기어(318)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랙기어(142)에 맞물려 상기 이동본체(31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이동본체(310)는 파이프(10)에 천공되는 구멍의 간격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핸들(136)을 회전시켜 하나 이상의 이동본체(310)의 간격을 조절한 후 상기 고정나사(312a)를 통해 상기 이동본체(310)를 고정시키게 되고, 이후 작업자는 파이프(10)가 안착된 작업부(20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릴(330)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310)는 안정적인 좌우 이동을 위해 앞서 설명된 가이드프레임(140)의 가이드봉(144)에 안착되는 안착부재(311a)를 구비한 후방프레임(3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후방프레임(311)은 상기 이동몸체(310)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가이드봉(144)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311a)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몸체(31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이동본체(310)는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드릴몸체(332)와 상기 드릴몸체(33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릴(330)과 상기 후방프레임(311)의 후방말단에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후방결합부(미표시) 및 상기 후방결합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드릴몸체(332)는 상기 드릴(330)과 연결되어 상기 드릴(330)을 회전시키는 드릴회전축(미표시)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동본체(310)는 상기 구동모터(320)와 상기 드릴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을 상기 드릴회전축에 전달하는 구동체인(3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드릴(330)은 각각의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을 구동체인(322)을 통해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천공부(300)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이동본체(3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드릴(330)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드릴(3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드릴몸체(332)는 하부에 구비되는 레이저표시기(미표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레이저표시기는 안착지그(222)에 안착된 파이프(10)의 상부면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드릴(330)에 의해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이때, 파이프(10)에 천공되는 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때, 상기 레이저표시기가 드릴몸체(33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와 안착지그(222)의 측방지지돌기(222a)의 측면과의 거리에 따라 오차가 보정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파이프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제1수직프레임 131 : 제3수직프레임
134 : 제2실린더 135 : 링크부재
136 : 회전축 137 : 제1피니언기어
140 : 가이드프레임 142 : 제2랙이거
146 : 레일홈 200 : 작업부
212 : 제1랙기어 221 : 후방지지부재
222 : 안착지그 222a : 측방지지돌기
223 : 가이드홀 224 : 고정돌기
300 : 천공부 310 : 이동본체
312 : 레일부재 312a : 고정나사
34 : 회전로드 316 : 핸들
318 : 제2피니언기어 320 : 구동모터
330 : 드릴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100)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파이프(10)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작업부(200);와
    베이스프레임(100)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작업부(2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드릴(330)이 구비되는 천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수직프레임(110);과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3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제3수직프레임(131)의 전면 상부에 상부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실린더(134);와
    상기 제2실린더(134)의 로드에 후방말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재(135);와
    상기 링크부재(135)의 전방말단에 고정결합되되, 양측이 제1수직프레임(110)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36); 및
    상기 회전축(136)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피니언기어(1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업부(200)는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137)와 대응되는 제1랙기어(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00)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후방지지부재(221);와
    상부에 고정결합되되, 전방말단이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말단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부에 파이프(10)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지그(222) 중 일측말단 또는 타측말단에 위한 안착지그(222)는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00)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지지부재(221)의 전방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223);과
    상기 가이드홀(223)에 내입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공부(3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전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랙기어(142);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14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본체(310)는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결합되는 레일부재(312);와
    전방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관통결합되는 회전로드(314);와
    상기 회전로드(314)의 전방말단에 결합되는 핸들(316); 및
    상기 회전로드(314)의 후방말단에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3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312)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프레임(140)의 레일홈(146)에 말단이 밀착되는 고정나사(31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KR1020180014947A 2018-02-07 2018-02-07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KR10188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47A KR101886402B1 (ko) 2018-02-07 2018-02-07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47A KR101886402B1 (ko) 2018-02-07 2018-02-07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402B1 true KR101886402B1 (ko) 2018-08-07

Family

ID=6325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47A KR101886402B1 (ko) 2018-02-07 2018-02-07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4672A (zh) * 2019-02-01 2019-04-12 江苏百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排钻机
CN109746476A (zh) * 2019-02-27 2019-05-14 中建五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椭圆形风管制造装置
CN109968450A (zh) * 2019-04-12 2019-07-05 株洲宏大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分子管材外圆批量智能钻孔设备
KR102016142B1 (ko) 2019-02-20 2019-08-29 지앤에스산업 주식회사 천공 및 융착 병렬 작업형 플라스틱관 성형장치
CN114769645A (zh) * 2022-06-18 2022-07-22 启东市神龙工业配套有限公司 一种加工五金配件的高效钻孔工艺
CN116475456A (zh) * 2023-05-08 2023-07-25 兴化市广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管件镗孔设备
KR20230160151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포에스시스템 파이프 홀 드릴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770A (ja) * 2005-08-08 2007-02-22 Honda Motor Co Ltd 工作機械
KR100885501B1 (ko) * 2007-06-11 2009-02-26 전용진 창호프레임용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770A (ja) * 2005-08-08 2007-02-22 Honda Motor Co Ltd 工作機械
KR100885501B1 (ko) * 2007-06-11 2009-02-26 전용진 창호프레임용 천공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4672A (zh) * 2019-02-01 2019-04-12 江苏百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排钻机
CN109604672B (zh) * 2019-02-01 2024-04-30 江苏百海环保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排钻机
KR102016142B1 (ko) 2019-02-20 2019-08-29 지앤에스산업 주식회사 천공 및 융착 병렬 작업형 플라스틱관 성형장치
CN109746476A (zh) * 2019-02-27 2019-05-14 中建五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椭圆形风管制造装置
CN109968450A (zh) * 2019-04-12 2019-07-05 株洲宏大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分子管材外圆批量智能钻孔设备
KR20230160151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포에스시스템 파이프 홀 드릴링 장치
CN114769645A (zh) * 2022-06-18 2022-07-22 启东市神龙工业配套有限公司 一种加工五金配件的高效钻孔工艺
CN116475456A (zh) * 2023-05-08 2023-07-25 兴化市广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管件镗孔设备
CN116475456B (zh) * 2023-05-08 2023-10-17 兴化市广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管件镗孔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402B1 (ko) 파이프 다공 드릴장치
US20180290217A1 (en) Pocket Hole Jig with Automatic Adjustment
US4842453A (en) Guide apparatus for drilling oblique holes
JP5207497B2 (ja) 調節可能なポケットホール装置
CN206702261U (zh) 摩托车方向把多规格孔系一次精准钻削加工装置
US20190054547A1 (en) Jig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holes in a workpiece in a guided manner and a method of use of the same
US5609444A (en) Drilling device with an extension arm
KR100435331B1 (ko) 밀링 머신용 지그
US20020094248A1 (en) Drilling attachment for a drill press
US3230797A (en) Apparatus for drilling dowel-holes and the like
KR20060094588A (ko) 천공기
US5562136A (en) Free floating router guide
CN203887961U (zh) 多功能钻床
CN107398577B (zh) 一种位置可调的打孔机
US10639754B2 (en) Tapered template guided system for a router
KR20180125203A (ko) 수직거치형 패널재단기
US10799995B1 (en) Piling guide tool
KR20190004186A (ko) 파이프 천공 및 노즐설치용 장치
KR101896402B1 (ko) 산업용 프레임 천공장치
KR200424350Y1 (ko) 탁상 드릴머신
CN107378069B (zh) 一种打孔机
JPH06344304A (ja) 留切ボーラー
CN220261501U (zh) 一种打孔定位器
CN217223883U (zh) 一种用于角度切割的锯弓装置
CN109203095A (zh) 一种可防止板材产生左右和前后位移的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