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331B1 - 밀링 머신용 지그 - Google Patents

밀링 머신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331B1
KR100435331B1 KR10-2001-0049068A KR20010049068A KR100435331B1 KR 100435331 B1 KR100435331 B1 KR 100435331B1 KR 20010049068 A KR20010049068 A KR 20010049068A KR 100435331 B1 KR100435331 B1 KR 10043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ie
rotation
milling machin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027A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3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 머신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밀링 머신의 베드 상에 장착되는 지그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회전 각도와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형태로도 공작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밀링 머신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드상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및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다이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다이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공작물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회전 다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링 머신용 지그{Jig for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밀링 머신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상하 높이 및 상하 회전 그리고 좌우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밀링 머신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 머신은 원형 절삭 공구(밀링 커터)를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을 이송시켜 절삭하는 공구이다.
상기 밀링 머신은 통상적으로 공작물을 밀링 머신 위의 베드(bed)에 올려 놓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삭 공구를 회전시켜 밀링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작물은 베드를 일정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밀링 머신은 보통 베드 위에 공작물을 올려 놓고 작업을 하게 되나 크기가 작거나 반경 형태의 홈을 제작하는 등 특별한 경우에는 지그를 베드에 고정시키고 나서 상기 공작물을 이 지그에 장착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그는 한가지 제품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 공작물을 지그에 고정시키게 되면 베드가 밀링 머신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하 이동이나 좌우 이동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2) 한가지 공작물에 대해서 여러번에 걸쳐 밀링 가공을 가하는 경우 각 밀링 가공에 맞는 지그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새로제작된 지그에 공작물을 다시 리셋시켜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밀링 머신의 베드 상에 장착되는 지그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회전 각도와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형태로도 공작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밀링 머신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수직 지지대
12 : 가이드 구멍 13 : 구멍
20 : 이송다이 21 : 회전축
22 : 슬라이더 23 : 각도 조절 수단
24 : 기어 25 : 기어부
26 : 회전대 27 : 래치
30 : 회전 다이 31 : 고정구멍
32 : 회전 조절 장치 33 : 회전대
34 : 조절 손잡이 35 : 래치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드상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및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다이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다이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공작물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회전 다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용 구멍이 관통성형된 가이드구멍을 갖는 수직 지지대가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다이는 양측면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이 회전축을 지지해 주는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어 회전 각도를 조절해 주는 각도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슬라이더에 지지된 회전축과 치합되어 회전하도록 이 슬라이더에 장착된 기어부와, 상기 가이드 구멍의 구멍을 통해 기어부에 탈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대와, 이 회전대의 회전으로 잠금/해제되도록 기어부의 바깥쪽에 구성된 래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다이는 상면에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다이의 상면에 좌우측 회전 각도를 조절해 주는 회전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조절 장치는 상단이 회전 다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이송 다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대와, 일단이 상기 회전 다이의 측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대에 베벨 기어로 치합된 조절 손잡이와, 이 조절 손잡이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미도시된 공작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밀링 머신에 장착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그는 밀링 머신의 베드(bed)에 장착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고 특히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 다이(20)와, 공작물(100)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 다이(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다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 형상의 부재로 미도시된 밀링머신의 베드 상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10)에는 상면에 이송 다이(20)의 상하 높이 조절 및 상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 지지대(11)가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 지지대(11)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가이드 구멍(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등간격으로 위치 고정용 구멍(13)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드 상에 고정설치되며,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11)를 통해 이송 다이(20)를 지지해 주게 된다.
상기 이송 다이(20)는 베이스(10)보다 크기가 작은 판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그 길이 중간 위치에 오도록 동일선상에 형성되고 끝단부에 기어(24)가 구비된 한쌍의 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다.특히, 상기 회전축(21)은 가이드 구멍(12)의 절개된 면을 통해 이 가이드 구멍(12)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2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즉, 상기 회전축(21)은 그 끝이 슬라이더(22)의 전면에 지지되고, 이렇게 지지되는 끝을 지지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때의 회전축(21)의 끝 바로 안쪽으로 장착되는 기어(24)는 후술하는 슬라이더(22)의 기어부(25)에 치합되어 맞물려 돌아갈 수 있게 된다.따라서, 이렇게 설치되는 회전축(21)은 슬라이더(22)에 구성되는 각도 조절 수단(23)에 의해 회전 위치 및 상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23)은 회전축(21)의 기어(24)에 치합되는 기어부(25)와, 상기 기어부(25)의 중심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대(26)로 구성되어 있다.이러한 기어부(25)와 회전대(26)는 슬라이더(22)를 이용하여 지지된다.즉, 슬라이더(22)의 후면쪽에서 회전대(26)가 관통되면 그 끝부분에 기어부(25)가 일체 결합되며, 손잡이로 사용되는 회전대(26)를 돌리면 기어부(25)의 회전도 가능하게 된다.특히, 상기 기어부(25)와 치합되어 있는 기어(24)에는 슬라이더(22)에 장착된 래치(27)가 걸려져 있으며, 이때의 래치(27)는 회전대(26)의 조작시 일방향으로만 회전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23)은 손잡이인 회전대(2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기어부(25)의 회전으로 여기에 치합된 기어(24), 즉 이송 다이(20)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대(2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한 다음 상기 이송 다이(20)를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다음에 다시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를 상하로 움직여서 회전대(26)를 기어부(25)에 치합시켜 사용함에 따라 상기 이송 다이(2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다이(3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면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공작물(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다이(20)의 상면에 구성된 회전 조절 장치(3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 조절 장치(32)는 이송 다이(20)의 상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 이송 다이(20)의 상부로 돌출된 단부에는 상기 회전 다이(30)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대(33)와, 일단이 상기 이송 다이(2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대(33)에 베벨 기어로 치합된 조절 손잡이(34)와, 상기 이송 다이(20)의 측면에 장착되어 조절 손잡이(3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해 주는 래치(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 조절 장치(32)는 상기 래치(35)의 잠금을 해제하고 조절 손잡이(34)를 회전시킴에 따라 베벨 기어로 치합된회전대(33), 즉 상기 회전 다이(30)를 원하는 위치만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이(30)는 이송 다이(20)의 상하 높이 및 상하 회전 각도 그리고 회전 조절 장치(32)의 좌우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작물이 장착되는 회전 다이가 좌우로 회전하고 이송다이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 뿐만 아니라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공작물의 가공 방향에 따라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공작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하나의 지그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공작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베드상에 장착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용 구멍이 관통성형된 가이드구멍을 갖는 수직 지지대가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및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회전축을 지지해주는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어 회전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이송 다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다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공작물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면에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다이의 상면에 좌우측 회전 각도를 조절해주는 회전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다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머신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 장치는 상단이 회전 다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이송 다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대와, 일단이 상기 회전 다이의 측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대에 베벨 기어로 치합된 조절 손잡이와, 이 조절 손잡이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래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머신용 지그.
KR10-2001-0049068A 2001-08-14 2001-08-14 밀링 머신용 지그 KR10043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68A KR100435331B1 (ko) 2001-08-14 2001-08-14 밀링 머신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68A KR100435331B1 (ko) 2001-08-14 2001-08-14 밀링 머신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27A KR20030015027A (ko) 2003-02-20
KR100435331B1 true KR100435331B1 (ko) 2004-06-10

Family

ID=2771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68A KR100435331B1 (ko) 2001-08-14 2001-08-14 밀링 머신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3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53B1 (ko) 2010-09-13 2011-04-15 주식회사 코메트 드릴링 머신용 지그
KR101351852B1 (ko) 2007-09-05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환도나이프 점검장치
CN105773181A (zh) * 2016-03-31 2016-07-20 苏州亚思科精密数控有限公司 一种小型钻床用可调角度的工作台
KR101650333B1 (ko) 2016-03-17 2016-09-06 박영우 고정지그를 이용한 l블럭 밀링가공 방법
KR102135385B1 (ko) 2020-03-31 2020-07-17 신현조 각도변형이 가능한 지그가 포함된 가공장치
KR20200113765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KR20220065583A (ko) * 2020-11-13 2022-05-20 김민서 가죽제품제조용 송곳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13B1 (ko) * 2006-12-29 2007-12-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핑거형 버켓의 테논 리벳팅을 위한 지지용 블록 지그
KR100781757B1 (ko) 2007-02-08 2007-12-04 대창단조 주식회사 마스터 링크의 가공방법
KR100806317B1 (ko) * 2007-11-12 2008-02-25 (주)거명정공 파이프 베벨링장치
KR101426883B1 (ko) * 2014-04-24 2014-08-06 황현복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CN107900729B (zh) * 2017-12-08 2023-10-13 山东豪迈机械制造有限公司 工程机械壳体加工定位夹紧装置
CN110421374A (zh) * 2019-09-02 2019-11-08 杨明亮 一种方便使用的模具工件切割用夹具
CN114497754B (zh) * 2022-01-19 2023-10-10 连云港申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极耳卷绕型锂离子电池极耳位置精确定位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127A (en) * 1974-07-01 1976-12-21 Ramon Romeu Universal milling machine
KR910016435A (ko) * 1990-03-13 1991-11-05 김용원 테이블의 경사,승강 및 전후 조절장치
JPH0663810A (ja) * 1992-08-14 1994-03-08 Nippon Fureneru Kk 金型の溝形成方法
KR19980038206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회전가능한 작업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127A (en) * 1974-07-01 1976-12-21 Ramon Romeu Universal milling machine
KR910016435A (ko) * 1990-03-13 1991-11-05 김용원 테이블의 경사,승강 및 전후 조절장치
JPH0663810A (ja) * 1992-08-14 1994-03-08 Nippon Fureneru Kk 金型の溝形成方法
KR19980038206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회전가능한 작업선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52B1 (ko) 2007-09-05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환도나이프 점검장치
KR101029553B1 (ko) 2010-09-13 2011-04-15 주식회사 코메트 드릴링 머신용 지그
KR101650333B1 (ko) 2016-03-17 2016-09-06 박영우 고정지그를 이용한 l블럭 밀링가공 방법
CN105773181A (zh) * 2016-03-31 2016-07-20 苏州亚思科精密数控有限公司 一种小型钻床用可调角度的工作台
KR20200113765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KR102230970B1 (ko) * 2019-03-26 2021-03-23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KR102135385B1 (ko) 2020-03-31 2020-07-17 신현조 각도변형이 가능한 지그가 포함된 가공장치
KR20220065583A (ko) * 2020-11-13 2022-05-20 김민서 가죽제품제조용 송곳조립체
KR102423620B1 (ko) * 2020-11-13 2022-07-20 김민서 가죽제품제조용 송곳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27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331B1 (ko) 밀링 머신용 지그
JPH0711921Y2 (ja) 作業台の刃物位置設定装置
US5611378A (en) Tilting router table
US5222283A (en) Machine tool
US4305439A (en) Woodworking fixture
KR200463185Y1 (ko) 금속 절단기
US20020094248A1 (en) Drilling attachment for a drill press
US4913206A (en) Router guide assembly
KR100768940B1 (ko) 열교환기용 시트 플레이트 가공을 위한 드릴링 머신
CA2141470A1 (en) Drilling device with an extension arm
US4741370A (en) Router tool
JPH10296703A (ja) 薄片溝フライス工具
CN107336300B (zh) 一种开榫机
US5345984A (en) Pin router apparatus
CN109968421B (zh) 一种室内建筑装修装置
US6016854A (en) Woodworking apparatus for making curved components
US3570368A (en) Duplicating apparatus
JPS59152016A (ja) 旋盤のねじ切りアタツチメント
JPH07266310A (ja) 木造建築材のほぞ加工装置
US5658104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CO2 powered dragster
CN219093726U (zh) 一种金属件打孔装置
JPH0538881Y2 (ko)
CN112388403B (zh) 一种数控磨床开齿机
US3785245A (en) Multi-curve generator
KR100238693B1 (ko) 샤시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