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883B1 -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883B1
KR101426883B1 KR1020140049218A KR20140049218A KR101426883B1 KR 101426883 B1 KR101426883 B1 KR 101426883B1 KR 1020140049218 A KR1020140049218 A KR 1020140049218A KR 20140049218 A KR20140049218 A KR 20140049218A KR 101426883 B1 KR101426883 B1 KR 10142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d
base
brake plate
ver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복
김재민
Original Assignee
황현복
김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복, 김재민 filed Critical 황현복
Priority to KR102014004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의 외주면에 브레이크판을 구비하는 수직축 회전블록과, 가공 대상 모재가 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테이블과,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외측면 중 상기 브레이크판이 구비되는 지점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판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판의 하측 중 상기 고정패드와 대응되는 지점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위치되는 승강패드를 구비하는 제동블록과, 상기 승강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승강패드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작동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 중 상기 작동블록의 내부공간이 위치된 지점에 형성된 유체포트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가 상기 작동블록에 의해 밀려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판이 상기 승강패드와 고정패드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Apparatus for holding material for multi axis position}
본 발명은 다축 가공 방식으로 모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전후각도 및 회전각을 변경시켜가면서 모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재의 각 방향 각도를 즉각적이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재를 다축 가공하기 위해서는, 모재가 안착되는 안착테이블을 수평방향 회전축 및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야 하며, 안착테이블을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종래의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모재가 안착된 안착테이블이 기어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착테이블의 경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렵고, 안착테이블을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기어의 백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안착테이블이 약간이라도 흔들리게 되며, 이에 따라 모재 가공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밀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테이블이 매우 미세하게 흔들린다 하더라도 제품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재를 가공하는 동안에는 상기 모재에 매우 큰 힘이 인가되는데, 종래의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안착테이블 고정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는 힘이 매우 큰 경우에는 모재 및 안착테이블이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11-011999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재가 안착된 안착테이블을 수평방향 회전축 및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되, 상기 안착테이블을 약간의 유격도 없도록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재에 큰 힘이 인가되더라도 안착테이블이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안착테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의 외주면에는 회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판을 구비하는 수직축 회전블록; 가공 대상 모재가 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외측면 중 상기 브레이크판이 구비되는 지점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판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판의 하측 중 상기 고정패드와 대응되는 지점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위치되는 승강패드를 구비하는 제동블록; 상기 승강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승강패드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작동블록; 및 상기 베이스블록 중 상기 작동블록의 내부공간이 위치된 지점에 형성된 유체포트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패드가 상기 작동블록에 의해 밀려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판이 상기 승강패드와 고정패드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판과 상기 고정패드와 상기 승강패드와 상기 작동블록은,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블록은, 상호 이격된 동심원 패턴으로 배열되며 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측과 상기 외측지지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는, 기준치 이상의 복원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승강부보다 얇게 제작된 탄성편에 의해 상기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연결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연결되는 부위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의 외측단 양측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수평축 회전블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를 이용하면, 모재가 안착된 안착테이블을 수평방향 회전축 및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안착테이블을 약간의 유격도 없도록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모재에 큰 힘이 인가되더라도 안착테이블이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안착테이블을 보다 강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작동블록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수직축 회전블록과 제동블록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가공 대상 모재를 여러 방향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즉, 다축 가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가공 대상 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가면서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모재가 안착되는 테이블을 보다 강력한 힘으로 보다 즉각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제동유닛이 추가로 구비되는바, 정밀하고 안정적인 다축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일정 두께를 갖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블록(100)과, 상기 베이스블록(1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되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의 외주면에는 회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도 4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판(210)을 구비하는 수직축 회전블록(200)과, 가공 대상 모재가 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테이블(220)과,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외측면 중 상기 브레이크판(210)이 구비되는 지점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블록(100)에 고정 결합되며 브레이크판(210)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고정패드(310)가 구비되고 브레이크판(210)의 하측 중 고정패드(310)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승강 가능한 구조의 승강패드(320)를 구비하는 제동블록(300)과, 상기 승강패드(3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블록(100)의 상면에 안착되되 승강패드(320)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작동블록(400)과, 상기 작동블록(400)의 내부공간으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작동블록(400)의 가운데 부위를 상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승강패드(320)가 브레이크판(210) 저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미도시)과,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축 회전블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록(100) 중 작동블록(400)의 내부공간이 위치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통공 구조의 유체포트(110)가 형성되는바, 상기 유체공급유닛은 상기 유체포트(110)를 통해 고압의 유체를 작동블록(400)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작동블록(400) 내부공간으로 고압의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작동블록(400)의 상면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팽창되면서 승강패드(320)를 상향으로 밀게 되고, 승강패드(320)가 상승되면 수직축 회전블록(200)에 고정결합된 브레이크판(210)이 고정패드(310)와 승강패드(320)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200) 및 안착테이블(220)은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 포트를 통해 고압의 작동유체를 공급시키는 유체공급유닛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다양한 구조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수평축 회전블록(500)이 회전될 때 상기 베이스블록(100) 및 이에 결합된 수직축 회전블록(200)과 안착테이블(220)까지 모두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고, 수직축 회전블록(200)이 회전될 때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200) 상면에 고정 결합된 안착테이블(220)까지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작업자는 수평축 회전블록(500)과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안착테이블(220)에 안착된 모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재를 다축가공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수직축 회전블록(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직축 회전모터(202)와, 수평축 회전블록(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축 회전모터(51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수직축 회전모터(202)와 수평축 회전모터(510)는 구동샤프트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200)과 수평축 회전블록(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장치는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축 회전블록(2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축 회전블록(500)을 회전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장치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판(210)이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면, 고정패드(310)와 승강패드(320) 사이에서 브레이크판(210)이 압착되어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동력이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어느 일측에만 발생되므로,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회전이 정지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200)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비틀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판(210)은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외주면 전체에 균등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판(210)이 링 형상으로 제작되면, 브레이크판(210)을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패드(310) 및 승강패드(320) 역시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승강패드(3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블록(400)도 승강패드(320)의 저면 각 부위를 고르게 상향 가압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작동블록(40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수직축 회전블록(200)과 제동블록(300)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작동블록(400)은 베이스블록(100)에 형성된 유체포트(110)(고압의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유입구)의 상측 입구를 덮도록 베이스블록(100) 상면에 결합되되, 유체포트(110)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유체가 내부에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포트(110)의 상측 입구와 대응되는 부위는 베이스블록(100)의 상면과 이격되고, 내부에 채워진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가장자리 부위는 베이스블록(100)에 밀착된다. 즉, 상기 작동블록(400)을 각 부위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동심원 패턴으로 배열되며 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측지지부(432) 및 외측지지부(434)와,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내측지지부(432)의 상측과 상기 외측지지부(434)의 상측을 연결하는 승강부(410)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블록(400)이 구성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0)의 유체포트(110)를 통해 승강부(410)의 하측 공간(더 명확하게는 승강부(410)의 저면과 베이스블록(1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많은 양의 유체가 고압으로 주입되었을 때, 승강부(410)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유압은 승강부(410)를 외측방향 즉, 상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승강부(410)는 승강패드(320)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크판(210)이 고정패드(310)와 승강패드(320) 사이에서 압착 고정된다. 브레이크판(210)이 승강패드(32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패드(310) 측으로 압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브레이크판(210)이 일체로 결합된 수직축 회전블록(200) 역시 완벽하게 고정되는바, 안착테이블(220)에 안착된 모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안착테이블(220)에 안착된 모재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수직축 회전블록(200)을 회전시키기 이전에 브레이크판(21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승강부(410)의 하측공간에 채워져 있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승강부(410)의 하측공간에 채워져 있던 유체가 배출되면 승강부(410)를 상향으로 가압하던 힘이 사라지므로, 상기 승강부(410)는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승강패드(320) 역시 하강되어 브레이크판(210)으로부터 이격되는바,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제동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는, 베이스블록(100)의 상면과 승강부(4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됨에 따라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회전을 정지 및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데, 베이스블록(100)의 상면과 승강부(410)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있던 유체가 배출되었을 때 승강부(410)가 원상태로 보다 빠르게 복귀되기 위해서는 두께가 얇은 강판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승강부(410)를 포함한 내측지지부(432)와 외측지지부(434) 사이 전체가 얇은 강판으로 제작되면, 작동블록(400)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승강부(410)가 승강패드(320)를 상향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부(410)가 찢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410)는 승강패드(320)를 상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찢어지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두께로 제작되되, 승강부(410)와 내측지지부(432)의 연결부위 및 승강부(410)와 외측지지부(434)의 연결부위는 기준치 이상의 복원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410)보다 얇은 강판 즉, 탄성편(420)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승강부(410)의 양측(도 5에서는 좌우측)이 탄성편(420)에 의해 내측지지부(432) 및 외측지지부(43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작동블록(400)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승강부(410)가 보다 쉽게 상승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블록(400) 내측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었을 때 상기 승강부(410)가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수직축 회전블록(20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블록(400) 중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승강패드(320)만이 승강패드(320)를 가압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탄성편(420)은 승강패드(320)와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작동블록(400)이 승강패드(3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는 높아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420)은 승강부(410)와 연결된 지점과 지지부(432, 434)와 연결된 지점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면 유압에 의해 승강부(410)가 상승될 때 상기 탄성편(420)에는 인장응력이 인가되므로, 승강부(410)의 상승 및 원위치가 수회에 걸쳐 반복되었을 때 상기 탄성편(420)의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축 가공용 모재 가공장치는 승강부(410)의 승강이 수회에 걸쳐 반복되더라도 탄성편(42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10)와 연결되는 부위가 지지부(432, 434)와 연결되는 부위보다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420)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유압에 의해 승강부(410)가 상승될 때 탄성편(420)에는 인장응력 대신 압축응력이 인가되는데, 일반적으로 강재는 압축응력이 반복되는 경우에 비해 인장응력이 반복되는 경우 더욱 쉽게 변형되는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편(420)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변형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승강패드(320)는 브레이크판(2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패드(310)에 가압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아니하고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패드(32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별도의 가이드레일(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고, 베이스블록(100)에 고정되는 작동블록(400) 상면(더 명확하게는 승강부(41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승강패드(320)는 승강부(410)의 가압이 인가될 때 사전에 설정된 어느 일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성요소 간의 고정결합이 별도의 체결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체결나사 이외의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제조시점부터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블록 110 : 유체포트
200 : 수직축 회전블록 202 : 수직축 회전모터
210 : 브레이크판 220 : 안착테이블
300 : 제동블록 310 : 고정패드
320 : 승강패드 400 : 작동블록
410 : 승강부 420 : 탄성편
432 : 내측지지부 434 : 외측지지부
500 : 수평축 회전블록 510 : 수평축 회전모터

Claims (6)

  1.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의 외주면에는 회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판을 구비하는 수직축 회전블록; 가공 대상 모재가 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외측면 중 상기 브레이크판이 구비되는 지점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판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판의 하측 중 상기 고정패드와 대응되는 지점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위치되는 승강패드를 구비하는 제동블록; 상기 승강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승강패드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작동블록; 및
    상기 베이스블록 중 상기 작동블록의 내부공간이 위치된 지점에 형성된 유체포트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패드가 상기 작동블록에 의해 밀려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판이 상기 승강패드와 고정패드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레이크판과 상기 고정패드와 상기 승강패드와 상기 작동블록은, 상기 수직축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록은, 상호 이격된 동심원 패턴으로 배열되며 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상기 내측지지부의 상측과 상기 외측지지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기준치 이상의 복원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승강부보다 얇게 제작된 탄성편에 의해 상기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내측지지부 및 외측지지부와 연결되는 부위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의 외측단 양측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수평축 회전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고정장치.
KR1020140049218A 2014-04-24 2014-04-24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KR10142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18A KR101426883B1 (ko) 2014-04-24 2014-04-24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18A KR101426883B1 (ko) 2014-04-24 2014-04-24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883B1 true KR101426883B1 (ko) 2014-08-06

Family

ID=5174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18A KR101426883B1 (ko) 2014-04-24 2014-04-24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8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215B1 (ko) * 2014-11-10 2016-02-29 서병길 제동부가 구성된 2축 인덱스밀 테이블
KR101862980B1 (ko) * 2017-01-25 2018-05-3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도브테일 가공 지그
CN109227189A (zh) * 2018-09-17 2019-01-18 广德亚太汽车智能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刹车盘加工用固定架
KR101950980B1 (ko) * 2018-09-20 2019-02-21 터보파워텍(주) 가스터빈용 베인 가공용 지그장치
CN110274601A (zh) * 2019-06-05 2019-09-24 上海易点时空网络有限公司 通过行车轨迹获取违章地点经纬度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27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밀링 머신용 지그
KR200312265Y1 (ko) * 2003-01-23 2003-05-13 강성수 인덱스 드라이브 유닛
KR20050098209A (ko) * 2004-04-06 2005-10-11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인덱스 클램프 장치
US20080047120A1 (en) 2006-08-24 2008-02-28 Hardinge, Inc. Rotary table with frameless m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27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밀링 머신용 지그
KR200312265Y1 (ko) * 2003-01-23 2003-05-13 강성수 인덱스 드라이브 유닛
KR20050098209A (ko) * 2004-04-06 2005-10-11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인덱스 클램프 장치
US20080047120A1 (en) 2006-08-24 2008-02-28 Hardinge, Inc. Rotary table with frameless mo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215B1 (ko) * 2014-11-10 2016-02-29 서병길 제동부가 구성된 2축 인덱스밀 테이블
KR101862980B1 (ko) * 2017-01-25 2018-05-3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도브테일 가공 지그
CN109227189A (zh) * 2018-09-17 2019-01-18 广德亚太汽车智能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刹车盘加工用固定架
KR101950980B1 (ko) * 2018-09-20 2019-02-21 터보파워텍(주) 가스터빈용 베인 가공용 지그장치
CN110274601A (zh) * 2019-06-05 2019-09-24 上海易点时空网络有限公司 通过行车轨迹获取违章地点经纬度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883B1 (ko) 다축 포지션 모재 고정장치
KR101641153B1 (ko) 부품 제조용 부싱 압입장치
KR20170062514A (ko) O링 부착 장치 및 방법
JP2006192469A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CN102729030A (zh) 轴承压装装置
KR102058754B1 (ko) 세정 장치
TW201838083A (zh) 基板保持裝置及基板洗淨裝置
CN104108034A (zh) 水平型工件固定装置
KR101916256B1 (ko) 용접소재 지지장치
JP2013224873A (ja) 材料試験機
JP2019503872A (ja) ディテントレバーアセンブリー自動化生産装置
KR20110068630A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기판 절단 가공 장치
JP2011016186A (ja) 電極の研磨装置およびその自動システム
KR101684672B1 (ko) 소재의 테두리부 포밍 성형장치 및 포밍 성형 방법
JP2010023222A (ja) 支持装置
JP2016068178A (ja) 圧入装置
KR101100734B1 (ko) 스프링 너트 장착용 홈 가공장치
CN105945591A (zh) 工件端面装夹工具
JP2011189426A (ja) バルブコッター嵌込方法
KR101626790B1 (ko) 주방용기 고정용 지그장치
CN209911143U (zh) 压印测试设备
KR20160099230A (ko) 프레스용 피어싱 다이세트
KR101741716B1 (ko) 그리드 커플링의 그리드 절곡장치
KR20160016090A (ko) 용접건의 팁 탈거장치
JP2018099714A (ja) パネルベ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