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900B1 - 축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축 정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900B1 KR101884900B1 KR1020170005861A KR20170005861A KR101884900B1 KR 101884900 B1 KR101884900 B1 KR 101884900B1 KR 1020170005861 A KR1020170005861 A KR 1020170005861A KR 20170005861 A KR20170005861 A KR 20170005861A KR 101884900 B1 KR101884900 B1 KR 101884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rotation axis
- sensing
- shaft
-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21/2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alignment of a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allowing adjustment of the parts about the ax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 하며, 축이 서로 이탈되었을 때 축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축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축 정렬장치는,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연결되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두 축이 서로 이탈되었을 때 축의 재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축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은 구동축에서 종동축으로 전달되어 필요한 곳으로 보내지게 되고, 동력전달과 기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 축간의 정렬이 이루어져야 한다. 축의 양 끝의 맞닿는 부분이 일치하지 않거나, 구동축 또는 종동축이 외측부 또는 내측부로 쏠린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될 경우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고,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품 손상 방지 및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축 정렬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축의 상/하 및 좌/우를 조정하고 조정 후에 재 측정이 필요 할 경우 다시 조정해야 하는 등 축을 정렬하는 재 작업을 시행하기에 많은 시간이 비용이 소비되며, 작업공수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축의 이탈된 정도와 위치를 확인하여 축을 자동으로 재배열하여 공수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축의 재배열을 정확하게 하는 등 작업을 용이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두 축이 서로 이탈되었을 때 축의 재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축 정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축 정렬장치는,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연결되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커버부에 가하는 압력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플랜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상기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기준값 이상 편차가 발생하면 축 정렬 상태를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이격되어 고정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정렬상태가 불량이라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축 정렬장치는, 구동체와 피구동체의 회전축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축의 배열을 설정한 뒤, 축이 서로 이탈되더라도 축의 재배열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축의 이탈된 정도와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축을 재배열하여,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축의 정확한 정렬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축의 탈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부품 손상이 감소함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 정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 정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 정렬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 정렬장치(1)는 구동체와 피구동체의 회전축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축의 배열을 설정한 뒤 축이 이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축의 재배열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 정렬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축 정렬장치(1)는 제1 회전축(11)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10)와 상기 제1 플랜지(10)와 연결되며 제2 회전축(21)의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20)를 덮는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10)와 상기 제2 플랜지(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40), 상기 제1 회전축(11)과 상기 제2 회전축(21)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50); 및 상기 감지부(4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회전축(11)과 상기 제2 회전축(21)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11) 및 제2 회전축(21)은 구동체와 피구동체에 연결되는 회전축으로 본 명세서 상에서는 모터와 펌프에 연결되는 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회전축(11)의 일단부는 제2 회전축(2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제2 회전축(21)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될 수 있다. 제2 회전축(21)의 일단부는 제1 회전축(11)과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는 펌프와 연결되어, 제1 회전축(1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하는 종동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회전축(11)의 일단부와 제2 회전축(21)의 일단부는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의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위치에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는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두 축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의 외측에 커버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를 덮으며,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의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프레임(31)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바닥면에 형성되어 지지대로 커버부(30)를 고정시키며, 제1 회전축(11) 및 제2 회전축(21)과 이격되어 판형상의 형태나 뼈대로 형성되는 형태 등 커버부(30)를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의 내측에는 감지부(40)가 형성되며, 내측에 제1 플랜지(10) 및 제2 플랜지(20)와 이격된 감지부(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부(30)는 감지부(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두 회전축의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접촉하고 있는 두 회전축의 중심선이 이탈되었을 때 축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커버부(30)의 내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제1 플랜지(10) 및 제2 플랜지(2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였을 때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 중 적어도 하나가 커버부(30)에 가하는 압력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상에서 감지부(40)는 복수 개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제1 회전축(11) 또는 제2 회전축(21)을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부(40)는 제2 플랜지(20) 및 제2 플랜지(20)와 이격되어 커버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는 커버부(30) 내측면에 쌍을 이루어,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축 정렬장치(1)는 감지부(40)에서 감지하는 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감지부(4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감지부(40)에서 감지하는 전압값과 기준 설정 전압값의 편차가 기준설정편차 이상 발생 할 경우 축의 정렬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축의 재정렬을 실시할 수 있다. 감지부(40)로부터 받은 감지신호의 전압값이 불량으로 판단 될 경우, 제1 회전축(11) 또는 제2 회전축(21)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이 틀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축의 재정렬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축 정렬은 구동부(50)에서 실시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축을 정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 상에서 구동부(50)는 유공압 구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50)는 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한 제어부(6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제1 회전축(11) 또는 제2 회전축(12)을 3축으로 이동시켜 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는 제어부(60)에서 두 죽이 어긋난 것을 판단하면, 축의 재정렬을 실시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축을 틀어진 위치에 따라 이동시키는 상하/좌우의 위치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플랜지부와 감지부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도 2는 도 1의 축 정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전축(11) 및 제2 회전축(21)의 일단에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있다.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의 외측에는 커버부(30)가 이격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0)의 내측에는 감지부(40)가 고정되어 있으며, 감지부(40)는 제1 플랜지(10) 또는 제2 플랜지(20)와 이격되어 커버부(3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감지부(40)는 복수 개가 제1 플랜지(10) 또는 제2 플랜지(20)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과 이격되어 회전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두 플랜지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1 플랜지(10)와 제2 플랜지(20) 중 적어도 하나가 커버부(30)에 가하는 압력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감지부(40)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감지부(40)는 복수 개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플랜지부와 감지부의 작동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터에 연결된 제1 회전축(11)과 제1 플랜지(10)가 회전을 하고, 제1 플랜지(10)와 결합된 제2 플랜지(20)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회전축(21)이 같이 회전을 할 수 있다. 축이 정상적으로 배열되었을 때는 제1 플랜지(10)부와 제2 플랜지(20)부가 감지부(40)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이 때 감지부(40)로부터 산출된 전압값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 기준 값으로 설정한 뒤 복수 개의 감지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기준 값 이상의 편차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1 회전축(11) 또는 제2 회전축(21) 중 적어도 하나 틀어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0)부 또는 제2 플랜지(20)부가 틀어지게 된 경우 복수 개의 압전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에서 기준값 이상의 전압값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제어부(60)에서 입력받은 전압값이 기준 전압값 이상으로 나타나면,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에 가하는 압력이 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부(30)의 내측에 배치되어있는 감지부(4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커버부(30)에 가해지는 압력은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전압이 기준 값 이상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부(60)에서 축의 정렬 상태를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 축의 정렬 상태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불량으로 판단되는 감지부(40)의 위치를 인식하여 구동부(50)에서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21)을 유공압을 이용하여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60)는 감지부(40)로부터 축의 상태를 감지신호로 입력받아 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하고, 구동부(50)는 제어부(60)로부터 판단된 축의 상태에 따라 축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60)에서 측정하는 전압값이 기준 값 이상이 되면, 구동부(50)에서 축을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 축의 이탈을 바로 판단하고 축 정렬을 실시함에 따라, 축 이탈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펌프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이 이탈되었을 때 기준 값으로 자동으로 맞출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축 정렬장치 10: 제1 플랜지
11: 제1 회전축 20: 제2 플랜지
21: 제2 회전축 30: 커버부
31: 프레임 40: 감지부
50: 구동부 60: 제어부
11: 제1 회전축 20: 제2 플랜지
21: 제2 회전축 30: 커버부
31: 프레임 40: 감지부
50: 구동부 60: 제어부
Claims (7)
- 제1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연결되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커버부에 가하는 압력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제공받는 축 정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플랜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는 축 정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상기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기준값 이상 편차가 발생하면 축 정렬 상태를 불량으로 판단하는 축 정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이격되어 고정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축 정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정렬상태가 불량이라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정렬시키는 축 정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61A KR101884900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 정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61A KR101884900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 정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517A KR20180083517A (ko) | 2018-07-23 |
KR101884900B1 true KR101884900B1 (ko) | 2018-08-02 |
Family
ID=6310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861A KR101884900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 정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9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4535B1 (de) * | 2021-01-15 | 2022-07-15 | Avl List Gmbh | Verfahren zur Korrektur einer Fehlausrichtung wenigstens eines Wellenstrangs |
EP4083571A1 (de) * | 2021-04-26 | 2022-11-02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und signalisierung einer fehlausrichtung einer ersten welle zu einer zweiten wel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6672A (en) * | 1997-06-27 | 1999-04-27 | Harris; G. Danny | Precision shaft alignment system |
KR100614079B1 (ko) * | 1999-03-13 | 2006-08-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커플링 설치시 사용되는 회전축 정렬기구 및 그 사용방법 |
KR20150060235A (ko) | 2013-11-26 | 2015-06-0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풍력터빈의 자동 축정렬 보정장치 |
-
2017
- 2017-01-13 KR KR1020170005861A patent/KR101884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517A (ko) | 201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1333B2 (ja) | 剛性が変更可能な可撓継手 | |
KR101884900B1 (ko) | 축 정렬장치 | |
US8596950B2 (en) | Transfer robot | |
JP5353500B2 (ja) | ロボット | |
US9102065B2 (en) | Industrial robot with actuators extending in a primary hand enclosure | |
KR101205311B1 (ko) | 에널러스기어 진원도 교정장치 | |
US10953554B2 (en) | Articulated robot arm | |
CN104148741A (zh) | 用于加工齿轮的方法和自动机器 | |
KR102314361B1 (ko) | 기판 반송용 로봇 | |
EP3677455B1 (en) | Vehicle wheel service apparatus | |
US11945120B2 (en) | Robot control device,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KR101835199B1 (ko) | 기판 반송용 로봇 | |
CN103508372A (zh) | 工作台升降装置 | |
JP4661555B2 (ja) | エンジンアッシの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バランス測定方法 | |
MXPA04001613A (es) | Edificio y sistema de aparcamiento. | |
US10450014B2 (en) | Trave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4822558B2 (ja) | パラレルメカニズムの原点復帰方法 | |
US10906600B2 (en) | Traveling apparatus | |
JP5468646B2 (ja) | テーブルリフト装置 | |
JP2019104099A (ja) |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ハンドの制御方法 | |
US11964357B2 (en) | Conditione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apparatus | |
KR101999267B1 (ko) | 축방향력의 측정이 가능한 나사 구동장치 | |
US4870845A (en) | Working apparatus for crankshaft | |
US9796225B2 (en) | Method of preparing a tire for mounting | |
US6880820B2 (en) | Conveyor roller device for depositing sheets on a st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