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888B1 - 턴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턴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888B1
KR101884888B1 KR1020160121919A KR20160121919A KR101884888B1 KR 101884888 B1 KR101884888 B1 KR 101884888B1 KR 1020160121919 A KR1020160121919 A KR 1020160121919A KR 20160121919 A KR20160121919 A KR 20160121919A KR 101884888 B1 KR101884888 B1 KR 10188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lock structure
insertion hole
turnove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09A (ko
Inventor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8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B27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턴오버를 위한 보조 와이어가 필요하지 않아 크레인 한 대로 간섭 없이 턴오버가 가능한 턴오버 장치가 제공된다. 턴오버 장치는,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삽입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하면에 삽입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받침부, 받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기둥부, 및 기둥부에 힌지결합되며 블록구조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파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턴오버 장치{Hinge device}
본 발명은 블록구조물의 턴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턴오버를 위한 보조 와이어가 필요하지 않아 크레인 한 대로 와이어의 간섭 없이 턴오버가 가능한 턴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선이나 여객선 등 대부분의 선박은 수십 미터의 높이를 넘는 대형 구조물 형태이다. 따라서 선박 건조의 채산성을 위해 대형 선박의 선체 또는 해상구조물은 수십 또는 수백개의 블록으로 구획하고 분할하여 개개의 블록들을 도크 또는 야드 상에서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조립하여 선박을 완성하게 된다.
분할된 개개의 블록들은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져 운반되고 탑재된다. 또한, 선박의 블록들은 용접의 용이성과, 각종 내장 시설물의 부설을 위해 상하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작업을 거친 블록들은, 조립이 완료되면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턴오버되어 도크에 탑재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시설물의 부설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턴오버 작업을 통해 블록의 정렬과 조립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턴오버 방식은 기본적으로 크레인이 네 대가 필요하며, 최소한 두 대의 크레인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장비에 비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각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가 서로 간섭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 한 대를 이용하는 공법이 대한민국 특허 제 10-021510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부 트롤리와 하부 트롤리를 이용하여 결과적으로는 보조 와이어로 작용하는 와이어를 필요로 하는 구조로 여전히 블록구조물과 와이어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5109호, (1999. 05. 2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턴오버를 위한 보조 와이어가 필요하지 않아 크레인 한 대로 간섭 없이 턴오버가 가능한 턴오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턴오버 장치는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삽입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하면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힌지결합되며 블록구조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파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파지유닛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회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완전히 겹쳐지는 회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복수 개가 상기 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턴오버 장치는, 턴오버를 위한 보조 와이어가 필요하지 않아 크레인 한 대로 와이어의 간섭 없이 턴오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결합하여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한 파지유닛을 포함하여 기존 작업 공간에서 용이하게 턴오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1)는 와이어의 간섭 없이 파지유닛(100)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턴오버가 가능한 구조이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턴오버 장치(1)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1)는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삽입홀(20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0),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안착되며 하면에 삽입홀(20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40)가 형성된 받침부(30), 받침부(30)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기둥부(20), 기둥부(20)에 힌지결합되며 블록구조물(B)을 파지하는 파지부(10)를 포함하는 파지유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1)는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삽입홀(20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0)를 가져, 받침부(30)의 고정돌기(4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지지플레이트(200)는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구조의 삽입홀(201)을 포함하며, 삽입홀(201)은 움푹 패여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플레이트(200)가 완전히 관통되어 삽입홀(20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200)는 작업장 바닥면 전반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삽입홀(201)은 만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지지플레이트(200)를 완전히 관통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삽입홀(201)을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200)는 작업장 내에서 별도의 구조물로 바닥면 전반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설물로서 지지플레이트(200)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작업장의 바닥면에 삽입홀(201)을 직접 타공하여 지지플레이트(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의해 턴오버 장치(1)의 고정과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는 파지유닛(100)의 받침부(30)에 형성된 고정돌기(40)가 삽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돌기(40)는 회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대칭이라 함은, 특정한 평면상의 도형이 일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회전 이전의 도형 형상과 완전히 겹쳐지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40)가 회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파지유닛(100)을 회전시켰을 때, 회전 후의 고정돌기(40)의 형상이 회전 이전의 고정돌기(40)의 형상과 완전히 겹쳐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고정돌기(40)는 이러한 회전대칭 형상으로 받침부(30) 하면의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어, 360도 이외의 회전이 일어나더라도 방해 받지 않고 지지플레이트(2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고정돌기(4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고정돌기(40)는 받침부(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완전히 겹쳐지는 회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40)는 회전대칭으로 배열되어, 파지유닛(100)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경우, 파지유닛(100)을 포함한 블록구조물(B)의 방향은 반대로 바뀌게 되나 고정돌기(40)의 배열은 여전히 유지된다.
이러한 회전대칭 형상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0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홀(201) 어디에나 수평방향 회전각에 맞춰 파지유닛(100)을 회전시켜 삽입, 고정이 가능하며, 고정돌기(4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됨에 따라 파지유닛(100)이 지지플레이트(200) 상에서 밀리거나 쓰러지는 것 또한 방지된다.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40)는 회전대칭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어, 여러 상황에 호환 가능한 파지유닛(100)을 포함하는 턴오버 장치(1)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받침부(3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둥부(20)는 내부에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다단계 신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길이방향 신장에 의해, 턴오버 장치(1)를 작업 조건에 맞는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둥부(20)의 일 측에는 파지부(10)가 힌지결합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는 일직선상에서 홈(12)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11)를 포함한다. 이동부(11)는 파지부(1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조절나사(13)를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나사(13)는 파지부(10) 내부의 기어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나사(1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이동부(11)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부(11)는, 파지부(10)에 형성된 홈(12, 도 1 참조)을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된다. 이러한 조절나사(13)의 조작을 통해, 파지하고자 하는 블록구조물(B)의 폭에 맞춰 이동부(11)를 이동시켜 파지부(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블록구조물(B)이 파지된 파지부(10)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기둥부(20)와 힌지결합 하여,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힌지축(14)의 회전에 따라 파지부(10)의 좌/우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블록구조물(B)을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용이하게 좌우 방향을 바꾸어 턴오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블록구조물(B)은 선체를 구획하여 분할된 선체의 일부로, 일정 무게 이상의 중량을 갖는다. 블록구조물(B)이 파지부(10)에 파지되면 전체적인 턴오버 장치(1)의 무게중심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파지부(10)의 좌우 회전이 일어나면 파지유닛(100)의 평형이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고정돌기(40)는 복수 개가 파지부(10)의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200)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힌지축(14)을 중심축으로 하여 양측에 배치된 고정돌기(4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고정돌기(40) 구조에 의해, 무거운 블록구조물(B)이 힌지축(14)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파지유닛(100)은 블록구조물(B)의 무게를 좌/우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평형 중심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블록구조물(B)은 그 형태가 판상일 수도 있고, 선체의 저면을 구성하는 경우 일부 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 즉, 파지할 수 있는 블록구조물(B)은 평행한 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곡면을 가지는 블록구조물(B)이라 할지라도, 곡면의 끝단부의 판상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턴오버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파지유닛(100)은 작업장 내에 시공되거나 부설된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안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0)가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안착되면, 상부 작업이 완료되어 하부 작업을 위해 턴오버 되어야 하는 블록구조물(B)을 파지부(10)를 이용하여 파지하게 된다.
턴오버 장치(1, 도 1 참조)에 의해 일단부가 파지된 블록구조물(B)은 타단부에 연결된 크레인 호이스트(H, Hoist) 장치의 와이어가 결속되어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시작한다. 이 때, 호이스트(H)의 와이어가 감기며 블록구조물(B)이 들어올려지면, 블록구조물(B)의 이동에 따라 파지부(10)도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하게 된다.
이 때, 받침부(30)에 형성된 고정돌기(40)가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삽입되어 있어, 파지부(10)가 회전하며 기둥부(20)를 비롯한 파지유닛(100) 전체에 블록구조물(B)의 회전하는 힘이 전달되더라도, 파지유닛(100)이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40)가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대칭으로 배열됨에 따라 힘의 분산 또한 용이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구조물(B)은 크레인에 의해 완전히 들어올려져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되고, 와이어가 감기며 기립상태를 유지한 채로 공중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유닛(100)이 공중에서 필요한 만큼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호이스트(H)의 수평방향 180도 회전에 의해 파지유닛(100)이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고, 파지부(10)의 좌우 방향이 바뀌며 파지부(10)가 파지하고 있는 블록구조물(B)의 좌우 방향도 함께 바뀐다. 블록구조물(B)의 좌우 방향이 바뀐 상태에서 와이어가 하강하여 받침부(30)의 고정돌기(40)가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삽입되며 재안착된다.
지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파지유닛(100)은 힌지축(14)의 회전에 의해 파지부(10)가 블록구조물(B)이 하강하는 방향을 따라 서서히 회전 이동하고, 이 과정 또한, 받침부(30) 하면의 고정돌기(40)가 지지플레이트(200)의 삽입홀(201)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이므로, 블록구조물(B)의 흔들림이나 쓰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구조물(B)은 상하 방향이 뒤바뀐 상태로 도크(D)에 안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작업 공간과 동일한 작업 공간에서 블록구조물(B)의 상하만 뒤바뀐 상태로 재안착되므로, 블록구조물(B)을 턴오버 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더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턴오버를 진행하여 블록구조물(B)의 상하 작업 변환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턴오버 장치(1, 도 1 참조)는 크레인에 연결된 하나의 호이스트(H) 와이어만으로 충분히 턴오버가 가능하며, 힌지축(14)을 포함하는 파지부(10)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턴오버를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턴오버 장치 100: 파지유닛
10: 파지부 11: 이동부
12: 홈 13: 조절나사
14: 힌지축 20: 기둥부
30: 받침부 40: 고정돌기
200: 지지플레이트 201: 삽입홀
B: 블록구조물 H: 호이스트 와이어
D: 도크

Claims (5)

  1.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삽입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하면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힌지결합되며 블록구조물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블록구조물을 압착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는, 수평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완전히 겹쳐지는 회전대칭으로 배열되되, 상기 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블록구조물을 파지한 상태로 공중으로 들어올려져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턴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파지유닛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회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턴오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턴오버 장치.
KR1020160121919A 2016-09-23 2016-09-23 턴오버 장치 KR10188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19A KR101884888B1 (ko) 2016-09-23 2016-09-23 턴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19A KR101884888B1 (ko) 2016-09-23 2016-09-23 턴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09A KR20180032809A (ko) 2018-04-02
KR101884888B1 true KR101884888B1 (ko) 2018-08-02

Family

ID=6197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19A KR101884888B1 (ko) 2016-09-23 2016-09-23 턴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0057B (zh) * 2019-07-10 2021-05-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片状分段的吊装方法
CN112960077A (zh) * 2021-03-31 2021-06-15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船体建造升降调节支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534A (ja) 2003-09-11 2005-03-31 Kohei Yoneda パレット交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337A (ja) * 1993-05-21 1994-11-29 Hitachi Ltd ダブル反転装置
KR100215109B1 (ko) 1997-07-04 1999-08-16 추호석 힌지 턴오버 공법
KR100997381B1 (ko) * 2008-12-02 2010-1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 턴오버 장치 및 방법
KR20120003642A (ko) * 2010-07-05 201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턴오버 장치
KR20150060071A (ko) * 2013-11-25 2015-06-0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삽입형 핀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534A (ja) 2003-09-11 2005-03-31 Kohei Yoneda パレット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09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9749A1 (en) Application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orientating a load
KR101884888B1 (ko) 턴오버 장치
US20130247310A1 (en) Gangway for Embarking and Disembarking Passengers
JP3215594U (ja) 吊荷姿勢制御装置
EP2155596B1 (en) Apparatus for the engagement of intermodal units
KR101411592B1 (ko) 선체 지지용 반목장치
JPH0977364A (ja) ケーブル巻枠ドラム支持装置
JP2017201101A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の据え付け方法
JP7102236B2 (ja) 姿勢切替装置
JP2007031128A (ja) 長尺材の吊持移送方法
KR20150002894U (ko) 케이블 풀림기
JP2018163041A (ja) 荷重試験用の構造体および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644523B1 (ko) 타워 크레인
CN104638580A (zh) 一种电缆头制作支架
JP7251146B2 (ja) 吊り具、吊り具システム及び吊り具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200482195Y1 (ko) 블록 로더 장치
JP2015173753A (ja) 補助手すり
JP2006063684A (ja) 杭打ち船及び杭の打設方法
JP6607224B2 (ja) 起伏装置
KR20150004041U (ko) 흔들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EP3434577A1 (en) Launch and recovery system
KR20140032722A (ko) 후크 블록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JPH07144873A (ja) セグメントの転倒方法及びその装置
CN204349353U (zh) 一种电缆头制作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