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829B1 -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829B1
KR101883829B1 KR1020160080715A KR20160080715A KR101883829B1 KR 101883829 B1 KR101883829 B1 KR 101883829B1 KR 1020160080715 A KR1020160080715 A KR 1020160080715A KR 20160080715 A KR20160080715 A KR 20160080715A KR 101883829 B1 KR101883829 B1 KR 10188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mold
gap
cavit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11A (ko
Inventor
유영수
Original Assignee
유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수 filed Critical 유영수
Priority to KR102016008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8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5Moulds with adjustable size of th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과정 및 발포성형물의 공정 중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두 프레임 사이에 잔존해있는 수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화상, 습진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FOAM ARTICLE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OAM ARTICLE}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라 함) 소재, 혹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함) 소재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EPP 또는 EPS 등과 같은 발포성수지성형물은 포장용기, 자동차 범퍼 등과 같이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부(1), 이동베이스부(2)로 나누어 형성되고, 고정베이스부(1)는 고정프레임(3), 캐비티플레이트(5), 캐비티몰드(7)로 이루어지고, 물(14)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12)이 내부에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동베이스부(2)는 이동프레임(4), 코어플레이트, 코어몰드베이스(8), 코어몰드(9)로 이루어지고, 이동베이스부(2) 또한 물(14)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12)이 내부에 형성되어있다.
발포성수지성형물의 제조과정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고정베이스부(1)와 이동베이스부(2)는 발포물(13)을 넣는 과정에서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하여, 발포물(13)을 피딩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킨 후, 발포물(13)을 투입한다(도1). 발포물(13)의 투입이 완료되면, 이동베이스부(2)를 고정베이스부(1)쪽으로 이동을 시켜서 가압을 시킨다. 그 후 스팀으로 열을 가하여 발포물(13)을 성형시킨다(도2). 성형이 완료되면, 고온의 금형물을 식히고,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분사노즐(12)를 이용하여 물(14)을 내부(각각의 몰드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투입한다(도3). 그 후, 온도가 낮아지면, 내부의 물은 드레인기 등을 이용해서 외부로 빼내고, 이동베이스부(2)를 이동시키고, 이젝터(11)를 이용하여 발포성수지성형물을 분리시킨다(도4).
분리된 발포성수지성형물은 아래로 떨어지고, 사람이 수작업으로 성형물을 이동 및 정리한다. 즉 작업자는 금형장치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발포성형물 즉, 스트로폼 포장용기 등이 제조된다.
이러한 내용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35833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 아니다.
종래 발포성수지성형물을 제조하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금형 장치는 복수의 구성물, 즉 프레임, 플레이트, 몰드베이스, 몰드 등을 결합해서 제조하게 된다. 각각을 이격없이 결합을 하더라도, 구성물이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한 이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런 이격을 통해서 상기 내부(16)에만 존재해야 하는 물이 플레이트와 프레임 사이의 이격을 통해서 공극(15)에 흘러 들어가게 된다. 특히 물은 고온으로 인해 수증기 형태로 존재하고, 미세한 기압차 때문에 더 쉽게 이격을 통해서 공극(15)으로 들어가게 된다.
내부(16)에 존재하는 물의 제거는 수초간의 드레인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극(15)에 존재하는 물은 내부(16)로 다시 빨아들일 수가 없다.
공극(15)에 존재하는 물은 고정베이스부(1)와 이동베이스부(2)가 분리될 때, 기압차로 인해서, 분리와 동시에 퍼지게 된다. 물(14)로 인해서 금형장치의 내부온도가 내려갔다고 하더라도, 공극(15)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는 여전히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고, 흩어지는 물은 작업자에게 튈 경우 화상을 입을 수가 있고, 주위 장비로 튈 경우에는 장비가 녹이 슬어서 노후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발포성형을 하는 금형장치는 이동프레임, 코어플레이트, 코어몰드를 포함하며, 고정베이스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베이스부; 고정프레임, 캐비티플레이트, 캐비티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베이스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베이스부; 이동프레임 및 코어플레이트와 코어몰드 사이에 형성된 제1 내부, 제1내부에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 고정프레임 및 캐비티플레이트와 캐비티몰드 사이에 형성된 제2 내부, 제2 내부에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 상기 코어몰드와 상기 캐비티몰드 사이에 성형물 형성을 위한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공간에 수지발포물을 삽입 또는 충진하는 인젝터 또는 피더; 상기 이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결합하였을 경우,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캐비티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상기 이동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공극과 상기 제1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홀부;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공극과 상기 제2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배수홀부로 구성이 된다.
삭제
또한, 상기 공극에 존재하는 상기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사용된 액체가 상기 배수홀부를 통해서, 공극에서 제1 내부와 제2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과정 및 발포성형물의 공정 중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두 프레임 사이에 잔존해있는 수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화상, 습진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비산된 수분에 의해서, 주위 장비들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거된 수분때문에, 발포성형물의 불량률도 감소하게 된다.
도 1 발포성형물을 제작을 위해서 수지발포물을 삽입 또는 충진하는 과정
도 2 삽입 또는 충진된 수지발포물을 가압하고, 가열하여 성형하는 과정
도 3 가열된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과정
도 4 성형된 발포성형물을 분리하는 과정
도 5 내지 도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5 내지 도 18을 보면, 고정베이스부(101)의 캐비티플레이트(105)와 이동베이스부(102)의 코어플레이트(106) 사이부터 각각의 플레이트와 프레임사이까지에 금형장치의 구조적 및 재료적인 문제로 인해서 공극(110)이 존재하게 한다. 공극은 캐비티플레이트(105)와 코어플레이트(106)사이의 공극인 제1공극(110-1), 캐비티플레이트(105)와 고정프레임(103)을 결합하였을 경우 생기는 약3~5mm의 제2공극(110-2), 코어플레이트(106)과 이동프레임(104)를 결합하였을 경우 생기는 약3~5mm의 제3공극(110-3)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프레임(103, 104)의 하부(116)에는 제1/2 내부(111, 112)에 들어 있는 액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드레인홀(117)이 형성이 된다. 각각의 프레임(103, 104)의 하부는 드레인홀(117) 방향으로 경사가 지어져, 물이 잘 배수되도록 형성한다. 경사의 존재여부 및 각도는 제작되는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서 최적화시킬 수 있다.
고정프레임(103)에는 제2 배수홀부(114)를 형성시키고, 이동프레임(104)에는 제1 배수홀부(113)을 형성시킨다. 각각의 배수홀부는 제3/2공극과 제1/2내부(111, 112)를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2 배수홀부은 복수개의 배수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배수홀는 이동베이스부(102)가 움직이는 축방향을 X방향으로 정의하였을 경우, Z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Y축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상기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Y축 아래방향에만 위치하게 할 수 있다. Z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수홀은 체결홀(115)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극(110)에 존재하는 액체(물)를 효과적으로 빼기 위해서, 각각의 배수홀부의 높이는 제2/3공극의 높이를 고려하여 빠른 시간에 공극(110)안에 존재하는 액체(물)를 빠른 시간에 뺄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배수홀부(113, 114)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도 있고, 각각의 배수홀부(113, 114) 내부에 액체(물)이 드레인홀(117)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만들 수 있다.
효과적인 배수를 위해서, 각각의 프레임(103, 104) 하부(116)의 경사의 시작을 배수홀부(113, 114) 끝단과 맞닿게할 수 있고, 금형의 형상을 고려해서, 안맞닿게 할 수 있다. 안맞닿아도 드레인 과정에서 생기는 기압차로 인해서, 공극(110)에 존재하는 물은 잘 배수가 된다.(도면 12, 13 참조)
각각의 프레임(103, 104)은 드레인홀(117)을 바라보고, 경사가 지어져 있고, 그 경사는 프레임(103, 104)의 격벽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레임(103, 104)의 제작 특성상, 하부(116)의 평평한 면 또는 턱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개수는 각각의 프레임의 형상 및 무게에 따라 결정되고, 도 8, 10에 개시된 것 처럼 z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복수의 배수홀은 금형장치의 형상에 따라 최적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공극(110)에 물을 얼마나 빠른 시간에 뺄 수 있느냐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다.
상기 제1/2 배수홀부(113, 114)를 형성하고 금형장치를 결합하는 과정은 도면에 개시하였다.
제1/2 배수홀부(113, 114)는 대응하는 플레이트(106, 105)를 결합할 경우, 공극(110)이 보이고, 공극 사이로 제1/2 배수홀부(113, 114)가 보이도록 제작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발포성형물을 제조하는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1 배수홀부를 포함하는 이동프레임, 코어플레이트, 코어몰드를 포함하며, 고정베이스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베이스부를 제2 배수홀부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캐비티플레이트, 캐비티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베이스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베이스부 방향으로 이동을 시킨다. 이동을 시킬 때,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이동베이스부를 정지하고, 인젝터 또는 피더를 이용하여 수지발포물을 삽입 또는 충진한다. 그 후 이동베이스부를 이동하여, 수지발포물을 가열하여, 발포성형물을 성형한다.
가열된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추고, 온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사용된 액체가 공극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 금형장치 내에 있는 액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공극에 존재하는 액체, 제1/2 배수홀부(113, 114)를 통해서 금형장치 외부로 빼내고, 이동베이스부를 고정베이스부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성형된 발포성형물을 몰드로부터 분리하여 발포성형물을 제조하게 된다.
1 고정베이스부
2 이동베이스부
3 고정프레임
4 이동프레임
5 캐비티플레이트
6 코어플레이트
7 캐비티몰드
8 코어몰드베이스
9 코어몰드
10 피더
11 이젝터
12 분사노즐
13 발포제
14 물
15 공극
16 내부
101 고정베이스부
102 이동베이스부
103 고정프레임
104 이동프레임
105 캐비티플레이트
106 코어플레이트
107 캐비티몰드
109 코어몰드
110 공극
111 제1내부
112 제2내부
113 제1 배수홀부
114 제2 배수홀부

Claims (5)

  1. 발포성형을 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고정프레임, 캐비티플레이트, 캐비티몰드를 포함하며, 이동베이스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베이스부, 여기서, 고정프레임, 캐비티플레이트 및 캐비티몰드는 제2 내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2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2 드레인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의 제거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는 상기 제2 드레인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짐;
    이동프레임, 코어플레이트, 코어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베이스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베이스부, 여기서, 이동프레임, 코어플레이트 및 코어몰드는 제1 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1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1 드레인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부에 들어있는 액체의 제거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부는 상기 제1 드레인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짐;
    상기 제1 내부에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
    상기 제2 내부에 몰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
    상기 코어몰드와 상이 캐비티몰드 사이에 성형물 형성을 위한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공간에 수지발포물을 삽입 또는 충진하는 인젝터 또는 피더;
    상기 이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결합하였을 경우,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캐비티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상기 이동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공극과 상기 제1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홀부;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공극과 상기 제2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배수홀부을 포함하며,
    상기 공극으로 흘러든 액체를 상기 제1 드레인홀로 배출하는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배수홀부는 상기 제1 드레인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 배수홀부의 일측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부의 경사의 시작점과 맞닿으며,
    상기 공극으로 흘러든 액체를 상기 제2 드레인홀로 배출하는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배수홀부는 상기 제2 드레인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2 배수홀부의 일측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의 경사의 시작점과 맞닿으며,
    상기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사용된 액체 중 상기 공극에 존재하는 액체가 상기 배수홀부를 거쳐 공극에서 제1 내부 또는 제2 내부로 이동하여, 드레인홀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을 하는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홀부 또는 제2 배수홀부는,
    복수개의 배수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을 하는 금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0715A 2016-06-28 2016-06-28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KR10188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15A KR101883829B1 (ko) 2016-06-28 2016-06-28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15A KR101883829B1 (ko) 2016-06-28 2016-06-28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1A KR20180001811A (ko) 2018-01-05
KR101883829B1 true KR101883829B1 (ko) 2018-08-01

Family

ID=6100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715A KR101883829B1 (ko) 2016-06-28 2016-06-28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4888B1 (de) 1999-02-21 2002-09-04 Gefinex Polymerschäum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ormteilautomat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schaumprodukten aus beads
KR101171935B1 (ko) * 2012-01-11 2012-08-08 (주)엠코리아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358336B1 (ko) 2013-12-12 2014-02-06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4888B1 (de) 1999-02-21 2002-09-04 Gefinex Polymerschäum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ormteilautomat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schaumprodukten aus beads
KR101171935B1 (ko) * 2012-01-11 2012-08-08 (주)엠코리아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358336B1 (ko) 2013-12-12 2014-02-06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1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25B1 (ko) 사출 런너 자동분리시스템
KR101915147B1 (ko)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KR101860907B1 (ko)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KR101883829B1 (ko) 발포성형물 금형 장치 및 금형 장치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KR101637393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101378139B1 (ko) 발포수지성형장치
CA11288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oulded-chocolate articles
KR100945845B1 (ko)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US20050129921A1 (en) Molded article with foam-encased reinforcing member
KR101613188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방법
KR20100041087A (ko) Eva제품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2089961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146258B1 (ko)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방법
KR100568130B1 (ko) 중공튜브를 이용한 발포성형용 거푸집
KR101593082B1 (ko) 발포수지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KR101278133B1 (ko) 이종배율 발포 성형장치 및 방법
JP2004262131A (ja) 発泡成形用モールド及び発泡成形方法
KR101398397B1 (ko) 냉각배관과 지지대가 일체로 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용 프레임
KR102396702B1 (ko) 하이 사이클 성형장치
JPH05237952A (ja) 合成樹脂の発泡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発泡成形法
US20230382023A1 (en) Expanded Foam Product Molding Process and Molded Products Using Same
JP6756958B1 (ja) 射出成型装置及び方法
KR20160033669A (ko) 고강도 표피층이 형성된 압축발포 성형물 및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68651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