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768B1 - 리플럭스 샘플러 - Google Patents

리플럭스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768B1
KR101883768B1 KR1020180010684A KR20180010684A KR101883768B1 KR 101883768 B1 KR101883768 B1 KR 101883768B1 KR 1020180010684 A KR1020180010684 A KR 1020180010684A KR 20180010684 A KR20180010684 A KR 20180010684A KR 101883768 B1 KR101883768 B1 KR 10188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pipe
temperature
cooling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호
Original Assignee
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호 filed Critical 강명호
Priority to KR102018001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액상 물질의 시료를 분석 가능한 가스 시료로 변환시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리플럭스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시료가 액상인 경우, 추출된 액상 시료를 히팅파이프와 냉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곧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상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기의 분석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리플럭스 샘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리플럭스 샘플러{DYNAMIC REFLUX SAMPLING PREOBE}
본 발명은 리플럭스 샘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액상 물질의 시료를 분석 가능한 가스 시료로 변환시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리플럭스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의 주성분은 증류에 의해 분리가능한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이들의 끓는점을 이용하여 원유에서 나프타, 등유, 경유 등을 분리하게 되고, 이 중에서 나프타 등은 석유화학공업의 기초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제조원이 되며, 이러한 기초원료들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합성고무, 접착제 등의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된다.
위와 같이 석유를 화학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제품(예, 플라스틱 제품)까지 제조하는 여러 단계의 공정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하여 각 공정별로 기상 또는 액상의 시료를 추출하여 현재 시료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있다.
상기 시료를 추출 및 분석하기 위하여, 기상 또는 액상원료(예, 가스 또는 원유)이 흐르는 라인에 장착된 샘플 프로브를 이용하여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시료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킴과 함께 일정 압력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분석기에서 시료를 분석하는 단계 등 여러 단계 등이 소요된다.
이를 위해, 석유 화학 제품(예를 들어, 나프탈렌 등)을 제조하는 공정 중, 샘플 프로브를 이용하여 시료를 추출하는 바, 시료는 각 공정별로 분석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액상 또는 기상 상태로 추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액상의 시료를 샘플 프로브를 이용하여 추출하더라도, 분석기에서 분석하는 항목 중 시료가 기상 상태에서 분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액상의 시료를 기상 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시료가 액상인 경우, 액상의 시료를 기상으로 만들어주어야 분석기의 분석이 가능하므로, 추출된 액상 시료를 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샘플 추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15842호(2007.0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된 액상 시료를 곧바로 기상(가스) 상태의 시료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석기에서 기상 상태의 시료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 리플럭스 샘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시료추출용 플랜지;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액상 시료를 고온의 스팀으로 가열하여 기상으로 변환시키는 히팅파이프; 상기 히팅파이프 내에 스팀 출입을 위하여 히팅파이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스팀주입구 및 스팀배출구; 상기 히팅파이프의 상면부에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어, 기상으로 변환된 시료를 냉각시켜 시료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파이프; 상기 냉각파이프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시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를 주입하는 냉각공기 주입수단; 상기 냉각파이프의 최상단부에 연결되어 분석기를 향하는 기상 시료를 배출시키는 시료배출구; 상기 커넥터 및 냉각파이프의 최상단부에 장착되어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스팀 공급량 및 냉각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럭스 샘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팅파이프의 하단부에는 히팅파이프를 세정하기 위한 보조 스팀주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주입수단은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공급하는 볼텍스 냉각관으로 채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시료가 액상인 경우, 액상의 시료를 기상으로 만들어주어야 분석기의 분석이 가능한 경우를 충족시키고자, 추출된 액상 시료를 히팅파이프와 냉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곧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킬 수 있다.
둘째, 액상 시료를 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킴에 따라, 기상 시료만을 분석하는 분석기의 분석 동작이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플럭스 샘플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럭스 샘플러에 스팀 및 냉각공기 배관 등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시료가 액상인 경우, 액상의 시료를 기상으로 만들어주어야 분석기의 분석이 가능한 경우를 감안하여, 추출된 액상 시료를 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플럭스 샘플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플럭스 샘플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럭스 샘플러에 스팀 및 냉각공기 배관 등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시료추출용 플랜지를 지시한다.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10)는 석유 화학 정제 공정 또는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여러 공정 중 액상의 원료가 흐르는 파이프 관(미도시됨)에 체결되어 시료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10)의 입구에 별도의 밸브(미도시됨)를 장착하여, 시료 추출시에만 밸브를 열어주고, 시료 미추출시에는 밸브를 닫아주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10)의 상단부에는 시료추출용 플랜지(10)를 통하여 추출된 액상 시료를 고온의 스팀으로 가열하여 기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소정 길이의 히팅파이프(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히팅파이프(20) 내의 액상 시료를 가열하는 스팀을 히팅파이프(20) 내에 공급하기 위하여 히팅파이프(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스팀주입구(22) 및 스팀배출구(24)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팀주입구(22)에는 스팀공급장치가 연결된다.
이에,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스팀주입구(22)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면, 스팀이 스팀주입구(22)를 통해 히팅파이프(20) 내로 흐르는 동시에 액상 시료를 가열하여 기상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 후, 스팀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팅파이프(20)의 상면부에는 커넥터(32) 등을 매개로 냉각파이프(30)가 연결되는 바, 이 냉각파이프(30)는 히팅파이프(20)에서 기상으로 변환된 시료를 받아들여서 시료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히팅파이프(20)에서 액상 시료가 기상으로 변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변환된 기상 시료에는 수분이 여전히 존재하여 분석기에서 기상 시료를 분석할 때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냉각파이프(30)에서 히팅파이프(20)으로부터 유입되는 기상 시료를 냉각시켜 기상 시료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분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파이프(30)의 일측부에는 냉각파이프(30) 내에 시료 냉각용 냉각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공기 주입수단(40)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공기 주입수단(40)은 볼텍스 냉각관으로 채택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볼텍스 냉각관은 압축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도록 한 일종의 공지된 냉각 장치로서, 압축공기를 냉온기 분리관에서 고속 회전되도록 유도함과 더불어 이러한 고속 회전의 소용돌이 현상에 의한 에너지 분리현상에 의해 고온의 온기와 저온의 냉기로 분리되도록 한 후, 이를 통해 얻어진 냉기는 냉각 대상체로 공급하는 동시에 고온의 온기는 배출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텍스 냉각관으로 채택된 냉각공기 주입수단(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위와 같은 볼텍스 냉각관의 작동 원리에 의거 냉기가 냉각파이프(30) 내로 주입됨으로써, 히팅파이프(20)으로부터 유입되는 기상 시료를 냉각시켜 기상 시료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며 히팅파이프(20)의 바닥쪽을 향하여 낙하하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팅파이프(20)에서 액상의 시료가 가열되어 1차적으로 기상 시료로 변환된 후, 상기 냉각파이프(30)에서 2차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기상 시료는 상기 냉각파이프(30)의 상단 일측부에 연결된 시료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어 소정의 분석기(미도시됨)로 분석 가능하게 공급된다.
이때,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시료가 액상인 경우, 액상의 시료를 기상으로 만들어주어야 분석기의 분석 작동이 가능한 경우를 감안할 때, 위와 같이 액상 시료를 바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켜 분석기에 공급함으로써, 분석기는 기상 시료를 통하여 소정의 분석항목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32) 및 냉각파이프(30)의 최상단부에는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6)가 장착되어, 현재 기상으로 전환된 시료의 온도 및 최종 배출되는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기(5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기(50)는 온도센서(36)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스팀 공급량 및 냉각공기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팀공급수단 및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각종 밸브류(52)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기상으로 전환된 시료의 온도가 매우 높으면 제어기(50)에서 스팀공급수단과 연결된 밸브류(52)의 개도를 더 닫아주는 제어를 하여 스팀 공급량을 줄여주거나, 시료의 온도가 기상으로 전환되지 않을 정도로 낮으면 스팀공급수단과 연결된 밸브류(52)의 개도를 더 열어주는 제어를 하여 스팀 공급량을 늘려주게 된다.
또는, 현재 냉각파이프(30) 내에서 배출되는 기상 시료의 온도가 매우 낮으면 제어기(50)에서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밸브류(52)의 개도를 더 닫아주는 제어를 하여 냉각공기 공급량을 줄여주거나, 시료의 온도가 응축되지 않을 정도로 높으면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밸브류(52)의 개도를 더 열어주는 제어를 하여 냉각공기 공급량을 늘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 히팅파이프(20)의 내부에는 액상의 시료가 유입되고, 응축수가 모이게 되는 바, 시료를 미추출하는 일정 시점에서 히팅파이프(20)의 내부를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팅파이프(20)의 하단부에는 히팅파이프(20)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보조 스팀주입구(26)가 더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고압의 스팀을 히팅파이프(20)의 내부로 공급하여 스팀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히팅파이프(20)의 내부가 추후의 시료 추출작업을 위하여 깨끗한 상태로 세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리플럭스 샘플러를 이용한 시료 추출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10)를 석유 화학 정제 공정 또는 석유 화학 제품을 제조하는 여러 공정 중 액상의 원료가 흐르는 파이프 관(미도시됨)에 체결시킨 다음, 시료추출용 플랜지(10)의 입구에 장착된 밸브를 열어주고, 적정량의 액상 시료가 추출되면 밸브를 다시 닫아준다.
이에, 상기 파이프 관으로부터 액상의 시료가 시료추출용 플랜지(10)를 통하여 히팅파이프(2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스팀주입구(22)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면, 스팀이 스팀주입구(22)를 통해 히팅파이프(20) 내로 흐르는 동시에 액상 시료를 가열하여 기상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 후, 스팀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히팅파이프(20)에서 기상으로 전환된 시료는 냉각파이프(30)로 흐르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볼텍스 냉각관으로 채택된 냉각공기 주입수단(40)에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와 같은 볼텍스 냉각관의 작동 원리에 의거 냉기가 냉각파이프(30) 내로 주입됨으로써, 히팅파이프(20)로부터 유입된 기상 시료가 냉각되는 동시에 기상 시료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며 히팅파이프(20)의 바닥쪽으로 낙하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수분이 제거된 기상 시료는 상기 냉각파이프(30)의 상단 일측부에 연결된 시료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어 소정의 분석기(미도시됨)로 분석 가능하게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팅파이프(20)에서 액상 시료를 1차적으로 기상 시료로 변환시키고, 또한 기상으로 변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변환된 기상 시료에는 수분이 여전히 존재하여 분석기에서 기상 시료를 분석할 때 방해 요인이 되므로 상기 냉각파이프(30)에서 2차적으로 기상 시료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분리해 줌으로써, 완전한 기상 상태의 시료를 분석기에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석기는 기상 시료를 통하여 소정의 분석항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온도센서(36)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36)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온도센서(36)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36)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0.1 몰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히팅파이프(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재의 히팅파이프(20)에는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표면 도포재료는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구성된다.
토일트리아졸, 벤즈이미자졸 및 트리옥틸아민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료추출용 플랜지(10)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 50중량%,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citronellol, linalool, cital 등을 들 수 있으며 방부, 진경, 진정작용 등을 하여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오일은 항산화작용을 하며 건조하거나 노화된 피부에 좋으며 세포 재생, 살균,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시료추출용 플랜지(10)에 코팅되므로 작업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기(50)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제어기(5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제어기(50)의 케이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제어기(5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기(5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기(50)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제어기(5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시료추출용 플랜지
20 : 히팅파이프
22 : 스팀주입구
24 : 스팀배출구
26 : 보조 스팀주입구
30 : 냉각파이프
32 : 커넥터
34 : 시료배출구
36 : 온도센서
40 : 냉각공기 주입수단
50 : 제어기
52 : 밸브류

Claims (3)

  1. 액상이 흐르는 파이프 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시료추출용 플랜지(10);
    상기 시료추출용 플랜지(1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액상 시료를 고온의 스팀으로 가열하여 기상으로 변환시키는 히팅파이프(20);
    상기 히팅파이프(20) 내에 스팀 출입을 위하여 히팅파이프(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스팀주입구(22) 및 스팀배출구(24);
    상기 히팅파이프(20)의 상면부에 커넥터(32)를 매개로 연결되어, 기상으로 변환된 시료를 냉각시켜 시료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파이프(30);
    상기 냉각파이프(30)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시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를 주입하는 냉각공기 주입수단(40);
    상기 냉각파이프(30)의 상단 일측부에 연결되어 분석기를 향하는 기상 시료를 배출시키는 시료배출구(34);
    상기 커넥터(32) 및 냉각파이프(30)의 최상단부에 장착되어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6); 및
    상기 온도센서(36)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스팀 공급량 및 냉각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파이프(20)의 하단부에는 히팅파이프(20)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보조 스팀주입구(26)가 더 형성되며;
    상기 냉각공기 주입수단(40)은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공급하는 볼텍스 냉각관으로 채택되고;
    온도센서(36)의 외부면에는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으며;
    히팅파이프(20)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은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고;
    시료추출용 플랜지(10)에는 기능성 오일이 포함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되, 상기 방향제 물질 및 상기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 50중량%,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50중량%로 이루어지며;
    제어기(50)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되, 상기 변색부는,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제어기(5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색부 위에는 상기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럭스 샘플러.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0684A 2018-01-29 2018-01-29 리플럭스 샘플러 KR10188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84A KR101883768B1 (ko) 2018-01-29 2018-01-29 리플럭스 샘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84A KR101883768B1 (ko) 2018-01-29 2018-01-29 리플럭스 샘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768B1 true KR101883768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84A KR101883768B1 (ko) 2018-01-29 2018-01-29 리플럭스 샘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85B1 (ko) 2021-08-24 2022-06-27 주식회사 알에스코리아 휴대용 가스 전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842A (ko) 2006-02-11 2007-02-06 타스엔지니어링(주) 선박 연료파이프를 통한 시료채취용 샘플러
KR20110120379A (ko) * 2010-04-29 2011-11-04 이명진 무전원 가스 전처리 장치
KR101250249B1 (ko) * 2011-10-24 2013-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채취 장치
KR20160139615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감압휘발/응축회수형 열적거동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842A (ko) 2006-02-11 2007-02-06 타스엔지니어링(주) 선박 연료파이프를 통한 시료채취용 샘플러
KR20110120379A (ko) * 2010-04-29 2011-11-04 이명진 무전원 가스 전처리 장치
KR101250249B1 (ko) * 2011-10-24 2013-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채취 장치
KR20160139615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감압휘발/응축회수형 열적거동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85B1 (ko) 2021-08-24 2022-06-27 주식회사 알에스코리아 휴대용 가스 전처리 장치
KR20230029505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알에스코리아 분리 가능한 배수통을 포함하는 가스 전처리 장치
KR20230029504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알에스코리아 이격된 위치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휴대용 가스 전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768B1 (ko) 리플럭스 샘플러
Mendes et al. Solubility of β-carote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ethane
CN102445411B (zh) 一种模拟连续蒸馏工业装置的设备腐蚀试验装置
CN201440118U (zh) 一种新型焦炉煤气采样及处理装置
CN102636595A (zh) 与气相色谱联用的连续气体管内固相微萃取装置
Skylogianni et al.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dew points of six natural gases
Neligan Hydrocarbons in the Los Angeles Atmosphere: A Comparison Between the Hydrocarbons in Automobile Exhaust and Those Found in the Los Angeles Atmosphere
CA2624590A1 (en) Compositional analysis of separated vapor and liquid phases using a gas chromatograph
US8726747B2 (en) Sampling vessel for fluidized solids
CN106645520A (zh) 水中挥发性有机物在线监测的前处理装置及方法
Osada et al. Estimation of the degree of hydrogen bonding between quinoline and water by ultraviolet–visible absorbance spectroscopy in sub-and supercritical water
CN109270226A (zh) 一种可控条件的有机液体挥发与处理装置
CN201242511Y (zh) 储罐多级取样装置
Sa et al. Hydrate management in deadlegs: Effect of driving force on hydrate deposition
CN209606162U (zh) 便携式裂解气取样装置
CN102095829A (zh) 一种用于测定固体化学品对金属腐蚀性的模拟实验设备
FI8255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romatografisk separation.
KR101960697B1 (ko) 유기물 및 영양염류 측정을 위한 전처리 산화 장치
CN208426680U (zh) 一种润滑油蒸馏检验装置
JP6843988B2 (ja) 排気測定装置用凝縮水排出システム
CN219915507U (zh) 色谱辅助进样装置
CN105623706B (zh) 原油连续蒸馏脱水方法
US2340026A (en) Fractionator control
Coupe et al. Variation in benzole composition during the carbonising cycle of a coke oven
TW201237393A (en) Automatically measuring color changes in a st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