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472B1 - 가스벤트 - Google Patents

가스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472B1
KR101883472B1 KR1020160093303A KR20160093303A KR101883472B1 KR 101883472 B1 KR101883472 B1 KR 101883472B1 KR 1020160093303 A KR1020160093303 A KR 1020160093303A KR 20160093303 A KR20160093303 A KR 20160093303A KR 101883472 B1 KR101883472 B1 KR 10188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e
gas
gas vent
ga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728A (ko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백암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암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백암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09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4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벤트에 관한 것으로, 코어결합홀(16)이 형성되고,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블록(12)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제2 블록(13)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10); 상기 코어결합홀(16)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록(12)에 삽입되는 제1 코어(22)와 상기 제1 코어(2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2 블록(13)에 삽입되는 제2 코어(26)로 이루어지는 코어부(20); 및 상기 블록부(10)와 상기 코어부(20) 사이에 틈 형태로 형성되는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상기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코어(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스배출구(32)와, 상기 제2 블록(13)과 상기 제2 코어(2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구(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스배출구(32)는, 상기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코어(22) 사이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가스배출구(32) 사이는 분할된다.
이에 따라, 블록부와 코어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고, 가스가 배출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잇어 원활한 가스배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스벤트 {GAS VENT}
본 발명은 가스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부와 코어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가스가 배출되되, 단턱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정확한 결합이 가능하여 원활한 가스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스벤트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가열에 의해 녹은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 속으로 사출시켜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만드는 가공방법이다. 압출성형과 함께 열가소성수지의 성형법 중 하나이며 열경화성수지에서도 압축성형에 비해 생산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출성형은, 성형재료가 사출성형기의 가열 실린더 속에서 스크류의 회전으로 균일한 용융체가 되어 스크류의 앞쪽 끝부분에 축적된다. 그리고 높은 압력으로 상기 용융체를 금형 속에 충전시킨 뒤 냉각시킴으로써 용융체가 굳어져 완성된다.
사출성형은 용융체를 금형 내부에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을 경우 성형물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데, 금형에 가스벤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가스벤트는 ‘특허문헌 1’과 같이 금형에 설치되고, 내부에 틈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벤트는 가스를 배출하는 통로가 좁아 가스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가스벤트는 코어의 길이가 블록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코어가 블록에 조립되기 위해서는 핀 형태의 결착수단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러한 결착수단이 가스가 배출되는 틈새를 막아 가스 배출 속도를 늦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KR 10-2012-0029360 A1 (2012. 03. 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부와 코어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단턱이 형성되어 블록부와 코어부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가스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는 사출금형에 설치되어 사출금형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사출금형용 가스벤트에 있어서, 코어결합홀이 형성되고,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제2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 상기 코어결합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록에 삽입되는 제1 코어와 상기 제1 코어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2 블록에 삽입되는 제2 코어로 이루어지는 코어부; 및 상기 블록부와 상기 코어부 사이에 틈 형태로 형성되는 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스배출구와,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2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스배출구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코어 사이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가스배출구 사이는 분할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는 블록부와 코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고, 가스가 배출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잇어 원활한 가스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스벤트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및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는 코어결합홀(16)이 형성되고, 제1 블록(12)과 제1 블록(12)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제2 블록(13)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10); 코어결합홀(16)에 끼움 결합되고, 제1 블록(12)에 삽입되는 제1 코어(22)와 제1 코어(22)로부터 이어져 제2 블록(13)에 삽입되는 제2 코어(26)로 이루어지는 코어부(20); 및 블록부(10)와 코어부(20) 사이에 틈 형태로 형성되는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가 설치되는 부분인 사출금형(100)은 고온의 원재가 내부에 채워짐으로써 사출금형(100)의 형태에 맞는 사출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출금형(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200)가 설치되는 가스벤트삽입홈(110)과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통과홀(120)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부(10)는 사출금형(10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블록부(10)는 제1 블록(12)과, 제1 블록(12)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제2 블록(13)으로 이루어진다.
제1 블록(12)은 블록부(10) 중 사출금형(100) 내부에 인접한 부분이다.
제2 블록(13)은 제1 블록(12)과 일체로 연결되고, 사출금형(100)의 외부와 인접한 부분이다.
코어결합홀(16)은 블록부(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코어부(20)가 삽입된다. 코어결합홀(16)은 블록부(10)의 형상과 같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코어부(20)의 크기에 대응된다.
한편, 제1 블록(12)의 코어결합홀(16)과 제2 블록(13)의 코어결합홀(16)은 폭에 차이가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2)의 코어결합홀(16)의 폭이 제2 블록(13)의 코어결합홀(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좁아지는 제2 블록(13)의 내측면, 즉 제1 블록(12) 및 제2 블록(13)의 경계에는 단턱(14)이 형성된다. 또한, 단턱(1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선 형태로 연통홈(15)이 형성되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코어부(20)는 블록부(10)의 코어결합홀(16)에 끼움 결합되어 코어결합홀(16) 내부를 메우되, 후술할 가스배출부(30)를 제외한 공간을 메우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코어부(20)는 제1 블록(12)에 삽입되는 제1 코어(22)와, 제1 코어(22)로부터 이어져 제2 블록(13)에 삽입되는 제2 코어(26)로 이루어진다.
제1 코어(22)는 코어부(20) 중 사출금형(100) 내부에 인접한 부분이다. 제1 코어(22)는 폭이 후술할 제2 코어(26)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 블록(12)에 삽입된다.
단턱(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어(22) 중 제2 코어(26)와의 경계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23)은 코어부(20)가 블록부(10)에 삽입됐을 시 제1 블록(12) 및 제2 블록(13)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14)과 맞닿음으로써 코어부(20)가 블록부(10)에 걸려 결합된다.
돌출블록(24)은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코어(22)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코어(2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블록(24)은 코어부(20)가 블록부(10)에 결합됐을 시 제1 코어(22)와 제1 블록(12) 사이에 공간{후술할 제1 가스배출구(32)}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돌출블록(24)은 블록부(10)의 제1 블록(12)에 억지끼움되어 코어부(20)가 블록부(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코어(26)는 코어부(20) 중 사출금형(100) 외부에 인접한 부분이다. 제2 코어(26)는 폭이 제1 코어(2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 블록(13)에 삽입된다. 제2 코어(26)는 폭이 제2 블록(13)의 코어결합홀(16)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2 코어(26)와 제2 블록(13) 사이에 공간{후술할 제2 가스배출구(34)}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스배출부(30)는 블록부(10)와 코어부(20) 사이에 틈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스배출부(30)는 제1 블록(12)과 제1 코어(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스배출구(32)와, 제2 블록(13)과 제2 코어(2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구(34)로 이루어진다.
제1 가스배출구(32)는 제1 블록(12)과 제1 코어(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1 코어(22)의 돌출블록(24)으로 인해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스배출구(32)는 제1 블록(12)과 제1 코어(22)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다.
제2 가스배출구(34)는 제2 블록(13)과 제2 코어(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1 가스배출구(32)와는 달리 제1 블록(12)과 제1 코어(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을 띈다.
그리고 제1 가스배출구(32)와 제2 가스배출구(34)는 연속되도록 이어지는데, 이는 제2 블록(13)의 단턱(14)에 형성된 연통홈(15)으로 인해 가능하다. 즉, 연통홈(15)이 없을 경우, 제1 가스배출구(32)에서 제2 가스배출구(34)로 이어지는 부분이 제2 블록(13)의 단턱(14)과 제1 코어(22)의 단턱(23)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차단되는데, 제2 블록(13)의 단턱(14)에 연통홈(15)이 형성됨으로써 제1 가스배출구(32)와 제2 가스배출구(34)가 연통된다. 또한, 제1 코어(22)의 단턱(23)이나 돌출블록(24)에 연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및 도 9는 도 7의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는 위에서 설명한 원기둥 형태 외에도, 다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실시예로서 대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블록부(10)와 코어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블록부(10)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결합홀(16) 역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가스배출구(32)는 완전한 육면체 형상으로 다수 개가 블록부(10)와 코어부(20)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2 가스배출구(34)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의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벤트(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금형(100)의 가스벤트삽입홈(110)에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블록부(10) 및 코어부(20)가 위치한 사출금형(100)쪽 면은 내부이고, 가스통과홀(120)이 형성된쪽 면은 외부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출금형(100)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면, 다수 개의 제1 가스배출구(32)를 통해 가스가 유입된 뒤 제2 가스배출구(34)에서 모여서 최종적으로 가스통과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블록부(10)와 코어부(20)에 형성된 단턱(14, 23)으로 인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코어부(20)가 블록부(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사출금형(100)의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코어부(20)와 블록부(10)를 연결하는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출금형(100) 내부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블록부 12: 제1 블록
13: 제2 블록 14: 단턱
15: 연통홈 16: 코어결합홀
20: 코어부 22: 제1 코어
23: 단턱 24: 돌출블록
26: 제2 코어 30: 가스배출부
32: 제1 가스배출구 34: 제2 가스배출구
100: 사출금형 110: 가스벤트삽입홈
120: 가스통과홀 200: 가스벤트

Claims (5)

  1. 사출금형(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사출금형용 가스벤트에 있어서,
    코어결합홀(16)이 형성되고,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블록(12)으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제2 블록(13)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10); 상기 코어결합홀(16)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록(12)에 삽입되는 제1 코어(22)와 상기 제1 코어(2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2 블록(13)에 삽입되는 제2 코어(26)로 이루어지는 코어부(20); 상기 블록부(10)와 상기 코어부(20) 사이에 틈 형태로 형성되는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상기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코어(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스배출구(32)와, 상기 제2 블록(13)과 상기 제2 코어(2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스배출구(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스배출구(32)는 상기 제1 블록(12)과 상기 제1 코어(22) 사이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가스배출구(32) 사이는 분할되며,
    상기 제1 코어(22)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돌출블록(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12) 및 상기 제2 블록(13)의 경계에는 단턱(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어(22) 및 상기 제2 코어(26)의 경계에는 상기 제1 블록(12) 및 상기 제2 블록(13)의 경계에 형성된 상기 단턱(14)과 맞닿는 단턱(23)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20)가 상기 블록부(10)에 걸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12)과 인접한 부분의 상기 제2 블록(13)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통홈(15)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배출구(32)와 상기 제2 가스배출구(34)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벤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0)와 상기 코어부(2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0)와 상기 코어부(20)는 다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벤트.
KR1020160093303A 2016-07-22 2016-07-22 가스벤트 KR10188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03A KR101883472B1 (ko) 2016-07-22 2016-07-22 가스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03A KR101883472B1 (ko) 2016-07-22 2016-07-22 가스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28A KR20180010728A (ko) 2018-01-31
KR101883472B1 true KR101883472B1 (ko) 2018-08-24

Family

ID=6108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03A KR101883472B1 (ko) 2016-07-22 2016-07-22 가스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668A (ja) 1998-07-06 2000-01-18 Canon Inc 射出成形用金型
JP2006069174A (ja) * 2004-09-06 2006-03-16 Juken Fine Tool: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用金型
KR100823335B1 (ko) 2006-10-13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
KR101243239B1 (ko) 2010-09-16 2013-03-13 이숙자 삽입식 가스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668A (ja) 1998-07-06 2000-01-18 Canon Inc 射出成形用金型
JP2006069174A (ja) * 2004-09-06 2006-03-16 Juken Fine Tool: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用金型
KR100823335B1 (ko) 2006-10-13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
KR101243239B1 (ko) 2010-09-16 2013-03-13 이숙자 삽입식 가스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28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403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line, tool mould for such a method, and line
CN103906615B (zh) 注塑模具装置
US11904331B2 (en) Dispenser container
JP5076198B2 (ja) 樹脂成形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10532501B2 (en) Resin filling device and resin filling method for magnet embedded core
CN101774259B (zh) 成型模具
KR101883472B1 (ko) 가스벤트
CN108621366B (zh) 一体成型方法和一体成型装置
CN102858513A (zh) 注塑成型设备
KR101835717B1 (ko) 가스벤트
CN104144776B (zh) 用于制造塑料壳体的方法
KR102498779B1 (ko) 강도 강화를 위한 프레임 인서트 진공주형 공법
US11285646B2 (en) Method for molding a closure and gasket combination
KR101310057B1 (ko) 성형품의 바닥 구조 교체 성형이 가능한 사출금형
CN109562549B (zh) 用于形成模制部件的模具和方法
KR101173896B1 (ko)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아웃렛박스 및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아웃렛박스의 제조방법
JP2008044119A (ja) マグネット付き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型
KR101986645B1 (ko) 트랜스퍼 몰드의 압축코어장치
US20130327781A1 (en) Housing with gradually varying thickness
KR101989786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용 노즐의 가스밴트
JP7219122B2 (ja) 樹脂製歯車および歯車の多層成形方法
KR101623572B1 (ko) 복합금형
JP4279896B1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885307B1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에 나선돌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와그 성형방법 및 그 성형방법으로 제조된 디스펜싱 밸브클로우져
KR100581388B1 (ko) 사출성형용 밀폐형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