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445B1 -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445B1
KR101883445B1 KR1020160174627A KR20160174627A KR101883445B1 KR 101883445 B1 KR101883445 B1 KR 101883445B1 KR 1020160174627 A KR1020160174627 A KR 1020160174627A KR 20160174627 A KR20160174627 A KR 20160174627A KR 101883445 B1 KR101883445 B1 KR 10188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signaling
signaling channel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698A (ko
Inventor
차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4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시그널링 서버장치는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통신부;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에서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가 교환되도록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중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처리부는, 제 1 피어 및 제 2 피어가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제 1 피어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 1 피어로부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제 2 피어의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를 유지한 채 시그널링 채널에 제 1 피어를 재입장시킨다. 따라서, 활성 네트워크 전환 또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피어 간의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킨다.

Description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SIGNALING SERVER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그널링(signaling) 서버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2P(Peer to Peer)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웹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의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을 통해서 실시간 통신(Real Time Communication: RT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나 플러그인(plug-in)의 설치를 유도하여야만 하였다.
그런데, 실시간 통신을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한 후 설치 및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이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환성의 문제로 인하여 오류가 발생될 수 있었다.
최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단말기의 OS(Operating System)와는 무관하게 웹 브라우저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시간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고안되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러한 기술을 WebRTC라고 칭하고 있다.
한편, WebRTC에서 복수의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하여 시그널링 서버장치는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며, 피어들은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하여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교환 및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후보(candidate) 교환을 포함하는 P2P 세션 수립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던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중에서 제 1 피어가 IP 주소 변경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시그널링 서버장치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던 웹소켓(Websoket)이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인터페이스가 단절되고, 제 1 피어가 시그널링 채널에서 퇴장하였음이 제 2 피어에게 알려지면 제 2 피어 또한 시그널링 채널에서 퇴장하여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이 종료된다.
여기서, 제 1 피어가 접속되어 있던 활성 네트워크가 전환(예컨대, 근거리통신망(WiFi 등)과 데이터통신망(LTE 등) 간의 전환)되거나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된 경우에, P2P 연결이 종료된 후에 웹 서비스를 위한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세션을 다시 수립하여야 하는데, 시그널링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시그널링 채널에 모든 피어가 입장한 후에 P2P 세션을 다시 수립하기까지 모든 절차를 다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되며 장시간 동안 실시간 통신 서비스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3963, 공개일자 2015년 10월 08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활성 네트워크 전환 또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피어 간의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는,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피어와 상기 제 2 피어 사이에서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가 교환되도록 상기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중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피어 및 상기 제 2 피어가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피어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 1 피어로부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상기 제 1 피어를 재입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 1 피어 및 상기 제 2 피어가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피어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 1 피어로부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상기 제 1 피어를 재입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활성 네트워크 전환 또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피어 간의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를 위해,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어 P2P 세션을 재수립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 2 피어의 시그널링 채널의 입장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시그널링 채널의 생성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그널링 채널을 다시 생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이미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가 시그널링 채널에 재입장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그리고, P2P 세션을 재수립할 때에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교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P2P 세션 재수립 절차가 간소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세션이 단절된 후 다시 연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실시간 통신 서비스가 단절되는 시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WebRTC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에서 채널 생성 요청, 채널 참여 요청 및 채널 입장 요청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에서 채널 재입장 요청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를 포함하는 WebRTC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WebRTC 서비스 시스템은 제 1 피어(10), 제 2 피어(20), STUN/TUR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서버장치(30) 및 시그널링 서버장치(100)를 포함한다.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WebRTC 클라이언트로서, WebRTC 서비스를 사용하여 다른 피어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P2P 파일 공유 등의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WebRTC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WebRTC 프로토콜로 구현된 장치로서,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STUN/TURN 서버장치(30) 및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개의 피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시그널링 서버장치(100) 및 하나의 STUN/TURN 서버(30)와 연결되는 피어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호간의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를 교환한 후에 상호간의 P2P 세션을 수립하여 P2P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채널 생성 요청, 채널 참여 요청, 채널 입장 요청, 채널 재입장 요청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 IP 변경 파라미터 및 시그널링 채널의 채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한다. 또,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P2P 세션을 재수립할 때에 시그널링 서버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피어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대방 피어와의 P2P 세션 재수립을 위한 정보를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교환한다.
STUN/TURN 서버(30)는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에게 P2P 통신을 위한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후보(candidate)를 제공한다.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각자 상대방과의 P2P 연결에 필요한 ICE 후보를 STUN/TURN 서버(30)에게 요청할 수 있고, STUN/TURN 서버(30)는 요청에 따라 제 1 피어(10)과 제 2 피어(20) 사이의 최적 경로를 찾아서 응답한다. 한편, ICE 후보는 공용 IP 정보, 사설 네트워크 IP 정보 등과 같이 각각의 피어를 식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의미한다.
시그널링 서버장치(100)는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그널링 서버장치(100)는 통신부(110), 처리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며,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에서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가 교환되도록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중계한다. 이러한 처리부(120)는 제 1 피어(10) 또는 제 2 피어(20)에 의한 채널 생성 요청, 채널 참여 요청, 채널 입장 요청, 채널 재입장 요청 등을 처리한다. 특히, 처리부(120)는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가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제 1 피어(10)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 1 피어(10)로부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제 2 피어(20)가 입장해 있는 시그널링 채널에 제 1 피어(10)가 재입장되게 한다. 여기서, 처리부(120)는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제 1 피어(10)로부터 수신되면 시그널링 채널에 이미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20)에게 제 1 피어(10)의 네트워크 정보 변경 상태를 알려주고, 제 1 피어(10)로부터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재입장이 요청되면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의 피어 식별정보를 제 1 피어(10)에게 반환하며, 시그널링 채널의 재입장이 요청된 제 1 피어(10)의 피어 식별정보를 제 2 피어(20)에게 전송한다. 한편, 처리부(12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 1 피어(10) 또는 제 2 피어(20)에 의한 채널 생성 요청, 채널 참여 요청, 채널 입장 요청, 채널 재입장 요청 등에 대한 처리부(120)의 처리 결과에 따라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가 갱신된다. 여기서, 저장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120)와는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고, 처리부(120)의 내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내장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서 제 1 피어(10) 또는 제 2 피어(20)에 의한 채널 생성 요청, 채널 참여 요청 및 채널 입장 요청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1 피어(10)에 의해 채널 생성이 요청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WebRTC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간 통신 서비스의 절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 1 피어(10)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시그널링 채널을 생성해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1). 그러면, 채널 생성 요청 메시지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제공되고,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제 1 피어(10)의 요청에 따라 시그널링 채널을 생성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S203), 생성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부(110)를 통해 제 1 피어(10)에게 반환한다(S205). 여기서, 제 1 피어(10)에게 전달되는 채널에 대한 정보에는 채널 식별정보 및 채널 설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시그널링 채널은 보안 등을 위해 접근 제어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채널 및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증 정보가 해당 채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피어(10)의 사용자는 별도의 통신 라인 등을 통해 제 2 피어(20)의 사용자와 연락을 취하여 단계 S205에서 전달받은 채널 식별정보를 알려준다.
이후, 제 2 피어(20)의 사용자는 제 1 피어(10)의 사용자가 알려준 채널 식별정보를 제 2 피어(20)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서 채널 참여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 2 피어(20)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단계 S203에서 생성된 시그널링 채널에 참여시켜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7). 여기서, 채널 생성 요청 메시지에는 단계 S205에서 제 1 피어(10)에게 전달된 채널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 2 피어(20)에서 송신된 채널 생성 요청 메시지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제공되고,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단계 S203에서 생성된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 2 피어(20)에게 통신부(110)를 통해 반환한다(S209). 여기서, 제 2 피어(20)에게 전달되는 채널에 대한 정보에는 단계 S205에서 제 1 피어(10)에게 전달된 채널 설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안 등을 위해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접근 제어를 할 경우에 채널 및 게이트웨이에 대한 인증 정보가 해당 채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피어(10)는 단계 S205에서 전달받은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시켜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 입장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하며, 채널 입장 요청 메시지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전달된다(S211).
그러면,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단계 S203에서 생성한 시그널링 채널에 제 1 피어(10)를 입장시키고,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시그널링 채널 정보에 제 1 피어(10)가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되었음이 나타나도록 갱신하며(S213), 시그널링 채널 내에서 제 1 피어(10)를 식별하기 위한 피어 식별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1 피어(10)에게 반환한다(S215).
또한, 제 2 피어(20)는 단계 S209에서 전달받은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시켜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 입장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하며, 채널 입장 요청 메시지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전달된다(S217).
그러면,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단계 S203에서 생성한 시그널링 채널에 제 2 피어(20)를 입장시키고, 단계 S213에서 갱신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시그널링 채널 정보를 제 2 피어(20)가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되었음이 나타나도록 갱신하며(S219), 시그널링 채널 내에서 제 2 피어(20)를 식별하기 위한 피어 식별정보와 해당 시그널링 채널에 이미 입장해 있는 제 1 피어(10)의 피어 식별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2 피어(20)에게 반환한다(S221).
아울러,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시그널링 채널에 제 2 피어(20)가 입장하였음을 알려주기 위하여 제 2 피어(20)의 피어 식별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1 피어(10)에게 전송한다(S223).
이후,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는 상호간의 P2P 연결을 위한 P2P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 교환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 의해 중계된다.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 교환 절차를 살펴보면, 제 2 피어(20)는 SDP 제안(offer)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225), 시그널링 서버(100)는 SDP 제안 응답 메시지를 제 1 피어(10)에게 전송하며(S227), 제 1 피어(10)는 SDP 답변(answer)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229), 시그널링 서버(100)는 SDP 답변 응답 메시지를 제 2 피어(20)에게 전송한다(S231). 이러한 단계 S225 내지 단계 S231의 SDP 교환 절차를 통해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의 가용 미디어 정보가 교환된다. 예컨대, 가용 미디어 정보에는 화면 해상도, 영상 코덱, 음성 코덱 등과 같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전 파악이 필요한 오디오 정보 및 비디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피어(20)는 ICE 후보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233), 시그널링 서버(100)는 ICE 후보 응답 메시지를 제 1 피어(10)에게 전송한다(S235). 마찬가지로, 제 1 피어(10)는 ICE 후보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237), 시그널링 서버(100)는 ICE 후보 메시지를 제 2 피어(20)에게 전송한다(S239). 여기서,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각자 상대방과의 P2P 연결에 필요한 ICE 후보를 STUN/TURN 서버(30)에게 요청할 수 있고, STUN/TURN 서버(30)는 요청에 따라 제 1 피어(10)과 제 2 피어(20) 사이의 최적 경로를 찾아서 응답할 수 있다.
이로써, 단계 S225 내지 단계 S239에 의해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의 사이에 P2P 세션이 수립되고, 이후,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에서 P2P 통신이 이루어진다(S24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서 제 1 피어(10) 또는 제 2 피어(20)에 의한 채널 재입장 요청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1 피어(10)에 의해 채널 재입장이 요청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에서 P2P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 1 피어가 접속되어 있던 활성 네트워크가 전환(예컨대, 근거리통신망(WiFi 등)과 데이터통신망(LTE 등) 간의 전환)되거나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하여 제 1 피어(10)가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S301). 여기서, 제 1 피어(10)의 네트워크 정보 중에서 IP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라면 IP 기반의 통신 방식인 P2P 통신이 단절되며, 제 1 피어(10)와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웹소켓이나 HTTP 등의 인터페이스가 단절된다(S303).
여기서, 종래에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가 제 1 피어(10)의 시그널링 채널 퇴장 상태를 제 2 피어(20)에게 곧바로 알려주고, 제 2 피어(20) 또한 시그널링 채널에서 퇴장하여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의 P2P 연결이 종료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그널링 서버장치(100)는 제 1 피어(10)가 시그널링 채널에서 퇴장하였음을 제 2 피어(20)에게 곧바로 알려주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 1 피어(10)로부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305).
단계 S301에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된 후, 제 1 피어(10)는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하며(S307),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제공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에는 제 1 피어(10)가 단계 S301 전에 입장해 있던 시그널링 채널의 채널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피어(10)는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 IP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도록 기 약속된 IP 변경 파라미터를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시그널링 채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피어(10)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도록 시그널링 채널 정보를 갱신하며(S309), 갱신된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1 피어(10)에게 반환(S311)함과 아울러 제 1 피어(10)의 네트워크 정보 변경 상태를 제 2 피어(20)에게 알려준다(S313). 여기서,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단계 S307의 알림 메시지에 IP 변경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복수의 시그널링 채널 중에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채널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20)에게 제 1 피어(10)의 IP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피어(10)는 단계 S311에서 전달받은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채널에 다시 입장시켜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 재입장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게 전송하며, 채널 재입장 요청 메시지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입력된다(S315).
그러면,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단계 S301 전에 제 1 피어(10)가 입장해 있던 시그널링 채널에 제 1 피어(10)를 다시 입장시키고,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시그널링 채널 정보에 의거하여 제 1 피어(10)의 피어 식별정보와 해당 시그널링 채널에 이미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20)의 피어 식별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1 피어(10)에게 반환한다(S317).
아울러,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의 처리부(120)는 시그널링 채널에 제 1 피어(10)가 다시 입장하였음을 알려주기 위해 제 1 피어(10)의 피어 식별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 2 피어(20)에게 전송하며, 제 2 피어(20)는 P2P 세션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여야 할 대상인 제 1 피어(10)를 인식하게 된다(S319).
이로써, 단계 S301에서 제 1 피어(10)가 시그널링 채널에서 퇴장한 후, 단계 S319에서 제 1 피어(10)가 퇴장하였던 시그널링 채널에 재입장하는 절차가 완료된다.
이러한 단계 S305 내지 단계 S319의 채널 재입장 절차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제 2 피어(20)의 시그널링 채널의 입장 상태가 유지되어 시그널링 채널의 생성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시그널링 채널을 다시 생성할 필요가 없고, 이미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20)가 시그널링 채널에 재입장할 필요가 없다.
이후,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는 상호간의 P2P 연결을 위한 P2P 세션을 다시 수립하기 위한 정보 교환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시그널링 서버장치(100)에 의해 중계된다.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일반적인 정보 교환 절차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S225 내지 단계 S231의 SDP 교환 절차 및 단계 S233 내지 단계 S239의 ICE 후보 요청 및 응답 절차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에 최초 P2P 세션을 수립할 때에 SDP 교환 절차가 수행되었기에 P2P 세션을 다시 수립할 때에는 SDP 교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P2P 세션 재수립을 위한 정보 교환 절차를 살펴보면, 제 1 피어(10)는 ICE 후보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321), 시그널링 서버(100)는 ICE 후보 응답 메시지를 제 2 피어(20)에게 전송한다(S323). 마찬가지로, 제 2 피어(20)는 ICE 후보 요청 메시지를 시그널링 서버(100)에게 전송하고(S325), 시그널링 서버(100)는 ICE 후보 메시지를 제 1 피어(10)에게 전송한다(S327). 여기서, 제 1 피어(10) 및 제 2 피어(20)는 각자 상대방과의 P2P 연결에 필요한 ICE 후보를 STUN/TURN 서버(30)에게 요청할 수 있고, STUN/TURN 서버(30)는 요청에 따라 제 1 피어(10)과 제 2 피어(20) 사이의 최적 경로를 찾아서 응답할 수 있다.
이로써, 단계 S321 내지 단계 S327에 의해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의 사이에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고, 이후,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에서 P2P 통신이 다시 이루어진다(S329).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네트워크 전환 또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피어 간의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를 위해,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피어(10)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어 P2P 세션을 재수립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 2 피어(20)의 시그널링 채널의 입장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시그널링 채널의 생성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시그널링 채널을 다시 생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미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는 제 2 피어(20)가 시그널링 채널에 재입장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P2P 세션을 재수립할 때에 SDP 교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P2P 세션 재수립 절차가 간소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피어(10)와 제 2 피어(20) 사이의 P2P가 단절된 후 다시 연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실시간 통신 서비스가 단절되는 시간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WebRTC 서비스에 의한 P2P 통신 중 활성 네트워크 전환 또는 네트워크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피어 간의 P2P 세션이 다시 수립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어들에게 WebRTC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 : 제 1 피어 20 : 제 2 피어
30 : STUN/TURN 서버장치
100 : 시그널링 서버장치 110 : 통신부
120 : 처리부 130 : 저장부

Claims (5)

  1.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1 피어와 상기 제 2 피어 사이에서 P2P 세션 수립을 위한 정보가 교환되도록 상기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중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피어 및 상기 제 2 피어가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피어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 1 피어로부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이미 입장해 있는 상기 제 2 피어에게 상기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정보 변경 상태를 알려줘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상기 제 1 피어를 재입장시키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피어로부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재입장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 1 피어 및 상기 제 2 피어의 피어 식별정보를 상기 제 1 피어에게 반환하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상기 재입장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 1 피어의 피어 식별정보를 상기 제 2 피어에게 전송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제 1 피어의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는 IP 변경 파라미터 및 상기 시그널링 채널의 채널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IP 변경 파라미터가 확인되면 상기 채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해 있는 상기 제 2 피어에게 상기 제 1 피어의 IP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어는, 상기 시그널링 서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피어의 피어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피어와의 P2P 세션 재수립을 위한 정보를 상기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상기 시그널링 서버장치에게 전송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피어와 상기 제 2 피어 사이에서 상기 P2P 세션 재수립을 위한 정보가 교환되도록 상기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중계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
  5. 제 1 피어와 제 2 피어 사이의 P2P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채널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피어 및 상기 제 2 피어가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입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피어와 연결되어 있던 인터페이스가 단절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가 단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 1 피어로부터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이미 입장해 있는 상기 제 2 피어에게 상기 제 1 피어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변경 상태를 알려줘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상기 제 2 피어의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의 입장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시그널링 채널에 상기 제 1 피어를 재입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서버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60174627A 2016-12-20 2016-12-20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8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27A KR101883445B1 (ko) 2016-12-20 2016-12-20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627A KR101883445B1 (ko) 2016-12-20 2016-12-20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98A KR20180071698A (ko) 2018-06-28
KR101883445B1 true KR101883445B1 (ko) 2018-08-30

Family

ID=6278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627A KR101883445B1 (ko) 2016-12-20 2016-12-20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66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케이티 WebRTC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18B1 (ko) * 2019-03-18 2022-12-29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TURN 서버를 할당하는 방법, WebRTC 서버 및 WebRTC 시스템
CN112073423A (zh) * 2020-09-15 2020-12-11 杭州二更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WebRTC进行浏览器推流的方法及系统
CN112804213B (zh) * 2020-12-31 2023-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断线重连方法及装置、系统、可读介质和电子设备
CN112738644B (zh) * 2021-04-01 2021-07-09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WebRTC的视频流传输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6274A (ja) * 2014-10-24 2016-05-19 Kddi株式会社 端末間通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端末間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621B2 (en) * 2009-01-13 2011-06-14 Microsoft Corporation—One Microsoft Way Policy service system architecture for sessions created using STUN
US9668166B2 (en) 2013-02-05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for web client based ses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6274A (ja) * 2014-10-24 2016-05-19 Kddi株式会社 端末間通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端末間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66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케이티 WebRTC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712B1 (ko) * 2019-10-15 2022-02-09 주식회사 케이티 WebRTC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98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445B1 (ko) 시그널링 서버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10698B1 (ko) 단말기 상호 연결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150036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involving a legacy device
CN104935488A (zh) 面向服务的架构中的隧道代理
JP6082156B1 (ja) 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通知装置、通信制御装置、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300143B (zh) 业务切换处理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10341519B2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5530683A (zh) 网络连接方法和装置
CN110177128B (zh) 数据传输系统及其建立vpn连接的方法、终端、vpn代理
US20190028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s Layer to Enable Full Participation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That Uses Multiple Message Types
KR20180075374A (ko) Nfc 연결을 이용한 스크린 미러링 및 캐스팅 방법과 시스템
US20140304419A1 (en) System and terminal for p2p connection in mobile environment and method for p2p connection using the same
JP6452323B2 (ja) 通信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088632B1 (ja) 音声映像通信システム、サーバ、仮想クライアント、音声映像通信方法、および音声映像通信プログラム
EP3197101B1 (en) Connection method, connec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CN103944926B (zh) 远程桌面会话切换方法、客户端及网关
JP2016072684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483593B (zh) 双向透明代理方法及系统
US9226223B2 (en) Network connection system of network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llowing a terminal device to access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behind a router without a NAT loopback function
CN116250222A (zh) 一种业务连续性事件的通知方法及装置
JP6067322B2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CN116762326A (zh) 实现多边缘应用
KR102361712B1 (ko) WebRTC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3507750A (zh) 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120029017A (ko)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