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017A -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017A
KR20120029017A KR1020100090557A KR20100090557A KR20120029017A KR 20120029017 A KR20120029017 A KR 20120029017A KR 1020100090557 A KR1020100090557 A KR 1020100090557A KR 20100090557 A KR20100090557 A KR 20100090557A KR 20120029017 A KR20120029017 A KR 2012002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information
sessio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683B1 (ko
Inventor
유초롱
심재찬
문화신
김화숙
김상권
조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83B1/ko
Priority to US12/964,134 priority patent/US20120066292A1/en
Publication of KR2012002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단말에서 특정 서비스 또는 전체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간 또는 네트워크간 서비스 이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 서비스 및 세션 정보의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서비스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 내에 다수의 서비스를 실행 중인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체 서비스를 선택하여 다른 단말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하고자 할 때, 이동 대상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동 대상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전체 세션을 옮길 것인지 일부 세션을 다수의 단말로 분할하여 옮길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mobility}
본 발명은 서비스 이동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둘 이상의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단말에서 특정 서비스 또는 전체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간 또는 네트워크간 서비스 이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 서비스 및 세션 정보의 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서비스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션의 이동(Session Mobility)이란 현재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을 진행하는 중에 액세스 네트워크나 디바이스의 변경이 발생하면 진행 중인 세션을 대상 네트워크나 단말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세션이 이동될 때 세션의 단절이 발생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가 중단 없이 제공되는 것을 서비스의 연속성(Service Continuity)이라고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8에서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연속성 중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연속성 보장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졌고, 3GPP Release-9에서는 단말 간의 연속성 보장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3GPP Release-10에서는 단말 간 연속성 보장을 위한 확장 기능에 대하여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연속성에 대한 표준화 문서들은 세션을 중심으로 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간 또는 단말 간에 세션이 이동되는 제어 절차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표준화 문서들에는 세션 이동 제어 절차 이전의 서비스 레벨이 이동 제어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서비스가 존재하고 각각의 서비스는 다양한 다수의 세션을 보유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서비스 이동을 실행할 때 다수의 서비스 중 어떤 서비스를 이동해야 할지에 대한 판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특정 서비스 전체의 세션을 모두 이동할지 아니면 일부 세션으로 분리하여 이동할지에 대한 판단은 이동 대상 서비스를 선택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표준화 문서들에서 정의하고 있는 세션 이동에 대한 기술을 확장하여, 서비스 관점에서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정보, 단말 정보, 그리고 각 단말에서 수행 중인 다수의 서비스 정보와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 정보 등을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가입자 정보, 단말 정보, 그리고 각 단말에서 수행 중인 다수의 서비스 정보와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 정보 등의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대상인 서비스가 다수인 환경에서 서비스 별 이동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 서비스 내에서 세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계별 이동 제어 절차를 제안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이동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위한 서비스 및 세션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방법을 정의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이동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된 기능과 방법을 활용한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단말의 정보와 가용여부를 획득하는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 관리부; 가입자의 가용 서비스,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별로 가용 서비스와의 매핑 정보, 현재 실행 중인 단말과 서비스의 매핑 정보, 각 서비스 별 보유 세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코어와 연동하여 선택된 세션에 대한 세션 이동 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세션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코어에 위치한 가입자 정보부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는 가입자 정보 획득 블록 및 상기 획득한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단말 목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 관리부는,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단말의 정보와 가용여부를 획득하는 단말 정보 획득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부는, 해당 가입자의 가용 서비스 목록,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가입자의 단말 별로 가용 서비스와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 실행 중인 단말-서비스 목록, 현재 실행 중인 단말과 서비스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 실행 중인 단말-서비스 목록, 각 서비스 별 보유 세션 정보를 매핑하는 서비스-세션 목록, 상기 각 목록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서비스/단말 정보 관리 블록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세션정보 관리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단말 목록은, 현재 단말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용 서비스 목록은, 서비스 가입 시 제약조건에 따라 실행 여부가 제어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현재 실행이 가능한 서비스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 여부 필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서비스 목록은, 단말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및 현 서비스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가 포함된 테이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세션 목록은, 서비스 식별자와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의 개수 및 상기 세션의 개수만큼 동적으로 생성된 세션 정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에서 가용한 서비스 목록; 상기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상기 단말에서 가용한 서비스 별 세션 정보를 획득하는 세션 정보 획득 블록; 상기 서비스 및 세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의 정보를 획득하는이동 대상 단말 정보 획득 블록; 상기 단말의 이동 대상 서비스/세션/단말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이동 대상 서비스/세션/단말 정보 제공 블록; 및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이동 제어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 대상 서비스를 이동하는 서비스 이동 연동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통해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 정보, 실행 가능한 서비스 정보, 현재 가용한 단말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정보, 서비스 별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대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서비스의 세션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서비스 및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세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단말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 및 세션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 내에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을 업데이트하여 최신 정보를 보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대상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로부터 서비스 전체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전체 서비스가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서비스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서비스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대상 서비스 목록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세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 내의 세션 전체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전체 세션이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세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 내의 세션 일부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대상 세션 목록에서 상기 선택된 일부 세션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일부 세션이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세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션 이동 수행 과정은, 각각의 세션 이동 시에 세션 내에 보유한 미디어 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 능력을 고려하여 이동 대상 단말 정보가 동적으로 재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 내에 다수의 서비스들이 실행 중인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여 다른 단말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하고자 할 때, 이동 대상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대상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전체 세션을 옮길 것인지 일부 세션을 다수의 단말들로 분할하여 옮길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와 선택된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여 실제 서비스 이동 및 서비스 내의 세션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일 서비스뿐 아니라 다수의 서비스가 실행 중인 단말 환경에서 각 서비스 별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내의 세션 별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별 이동 제어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동하거나 세션을 이동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이동 대상 세션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이동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에 따른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단말 목록의 테이블 구조도,
도 4는 가입자 별로 가입하여 실행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비스 목록의 테이블 구조도,
도 5는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 별로 단말 내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는 단말-서비스 목록의 테이블 구조도,
도 6은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 정보를 나타낸 서비스-세션 정보부의 테이블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에 따라 단말 내에 다수의 서비스들이 존재하는 경우의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수의 서비스 중 하나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이동하기 위한 절차도.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이동 대상의 서비스가 다수인 경우를 가정했을 때 서비스 별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하고, 이동 서비스 내에서 서비스 내 세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계별 이동 제어 절차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가입자(사용자) 단말 측과 서비스 이동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 측에 사용자, 단말, 서비스 및 세션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의 정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이동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및 세션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방법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에 따른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이 다수일 때 세션과 서비스가 분리되어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A(200a)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수의 서비스들은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코어(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B(200b) 및 사용자 단말C(200c)로 이동되는데, 이때 각각의 서비스 내의 세션이 전체 또는 일부만 이동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비스들을 가지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 서비스를 이동할 경우 이동 대상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체 서비스가 이동될 수 있고,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도 전체 또는 일부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기에서 상술할 서비스 별 이동과 세션 별 이동을 모두 고려한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측의 서비스 이동 모듈(101)과 사용자 단말(200) 측의 서비스 이동 관련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서버(100) 측의 서비스 이동 모듈(101)은 가입자 정보 관리부(110),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관리부(120), 서비스 정보 관리부(130) 및 세션 이동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부(110)는 네트워크 코어(300)에 위치한 가입자 정보부(31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는 가입자 정보 획득 블록(111)과 획득한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단말 목록(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 정보 획득 블록(111)은 단말이 현재 가용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단말이 선택된 이동 대상 서비스의 이동 가능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가용상태 정보를 입력한다.
단말이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지 점검하는 부분은 네트워크 코어(300)의 가입자 단말 정보와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통해 서비스 이동 가능 단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는 상기 가용상태 정보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단말 목록(113)은 추후 각 가입자의 실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과 단말과의 매핑에 활용된다.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 관리부(120)는 가입자 정보 획득을 통해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단말의 정보와 가용여부를 획득하기 위한 단말 정보 획득 블록(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부(130)는 해당 가입자의 가용 서비스 목록(131),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132), 가입자의 단말 별로 가용 서비스와의 매핑 정보를 저장한 단말-서비스 목록(133), 현재 실행 중인 단말과 서비스의 매핑 정보를 저장한 현재 실행 중인 단말-서비스 목록(134), 각 서비스 별 보유 세션 정보를 매핑한 서비스-세션 목록(135), 각 목록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단말 정보 관리 블록(136)과 세션정보 관리 블록(137)으로 구성된다.
실제 단말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와 세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코어(300)를 통해 서비스 설정 단계의 정보를 획득하여 각 데이터 목록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세션 이동부(140)는 실제 선택한 세션에 대해 이동 제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네트워크 코어(300)와 연동하여 선택된 세션에 대한 세션 이동 제어 절차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 측은 서비스 목록(210),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220), 서비스 세션 정보 획득 블록(230), 이동 대상 단말 정보 획득 블록(240), 이동 대상 서비스/세션/단말 정보 제공 블록(250) 및 서비스 이동 연동 블록(260)으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사용되는 새로운 목록들의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은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가입자-단말 목록 테이블의 구조로서, 현재 단말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가 추가된 구조를 가진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가입 단말의 경우 Register/Unregister 와 같은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가입자 별로 가입하여 실행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비스 목록 테이블 구조로서, 서비스 가입 시 제약조건에 따라 실행 여부가 제어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현재 실행이 가능한 서비스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 여부 필드가 추가된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 별로 단말 내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단말-서비스 목록)을 구성하기 위해 단말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및 현 서비스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가 포함된 테이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 정보를 나타낸 서비스-세션 목록의 테이블 구조로서, 서비스 식별자와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의 개수, 그리고 세션의 개수만큼 동적으로 생성된 세션 정보(Data Structure구조)로 구성된다. 세션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세션의 미디어 종류, 발신 세션 정보, 착신 세션 정보, 미디어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 내의 서비스 목록(210)과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220)은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서비스 세션 정보 획득 블록(230)은 서비스-세션 정보부(135)의 테이블로부터 해당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에 따른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단말 내의 다수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의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는 서버(1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100)는 단말 내에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을 업데이트하여 최신 정보를 얻어온다(P701). 이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 대상 서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P703), 전체 서비스를 이동할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동할지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한다(P705).
상기 선택과정(P705)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전체 이동을 선택하면, 전체 서비스가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P707),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할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P709), 해당 정보를 통해 서비스 이동을 수행한다(P711).
반면에, 상기 선택과정(P705)에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이동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 대상 서비스 목록에서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고(P713),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세션 정보를 획득한 후(P715), 서비스 내의 세션 이동을 일부만 할 것인 것 전체로 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한다(P717). 상기 선택과정(P717)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내의 세션을 전체로 이동할 수도 있고, 특정 세션을 선택하여 이동할 단말로 세션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과정(P717)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내의 세션 전체 이동을 선택하면, 전체 세션이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P719),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할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P721), 해당 정보를 통해 세션 이동을 수행한다(P723).
반면에, 상기 선택과정(P717)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내의 일부 세션만을 이동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 대상 서비스 내의 세션 목록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해당 세션을 선택하고(P727), 선택된 해당 세션이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확인한 후(P729),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할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P731), 해당 정보를 통해 서비스 이동을 수행한다(P73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서비스와 세션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를 반복 수행하여 다수의 서비스와 세션에 대한 이동 제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세션 이동 시에 세션 내에 보유한 미디어 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 능력을 고려하여 이동 대상 단말 정보가 동적으로 재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수의 서비스 중 하나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이동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다수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A의 단말 1(201)에서 서비스 1을 단말 10(205)으로 이동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 1(201)은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이동 대상 단말 정보와 이동 대상 서비스 정보를 획득한다(S801). 그리고 단말 1(201)은 상기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대상 서비스의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한다(도 7의 P701 내지 P705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서비스 1을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1(201)은 서비스 1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한다(S803). 단말 1(201)로부터 서비스 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단말 1(20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 1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단말 1(201)로 전송한다(S805). 이에 따라, 단말 1(201)은 수신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1을 이동할 단말을 선택하도록 한다(도 7의 P713 내지 P719 참조).
사용자가 이동 대상 단말로 단말 10(205)을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1(201)은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1을 이동할 이동 대상 단말인 단말 10(205)의 정보를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달한다(S807).
단말 1(201)로부터 서비스 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단말 1(20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 1에 해당하는 세션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 10(205)으로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청한다(S809). 이어서,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단말 10(205)으로부터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세션 설정 요청 응답을 수신함으로써(S811),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단말 10(205) 간에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세션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S813).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단말 10(205) 간에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세션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 1(201)에서 단말 10(205)으로 서비스 1이 보유한 모든 세션의 이동 작업이 수행되면,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단말 1(201)간에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세션 해지 요청(S815) 및 응답(S817)에 의하여 서비스 1 및 서비스 1이 보유한 모든 세션의 이동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단말 간 서비스 및 세션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이동 대상의 서비스가 다수이므로 서비스 별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하고, 이동 서비스 내에서 서비스 내 세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단계별 이동 제어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측과 서비스 이동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 측에 가입자, 단말, 서비스와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의 정의가 요구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이동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및 세션 정보 관리 절차를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단말 내에 다수의 서비스를 실행 중인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여 다른 단말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하고자 할 때, 이동 대상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이동 대상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전체 세션을 옮길 것인지 일부 세션을 다수의 단말로 분할하여 옮길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달하여 실제 서비스 이동 및 서비스 내의 세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단일 서비스 뿐 아니라 다수의 서비스가 실행 중인 단말 환경에서 각 서비스 별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서비스 내의 세션 별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별 이동 제어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동하거나 세션을 이동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이동 대상 세션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멀티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단말의 정보와 가용여부를 획득하는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 관리부;
    가입자의 가용 서비스,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별로 가용 서비스와의 매핑 정보, 현재 실행 중인 단말과 서비스의 매핑 정보, 각 서비스 별 보유 세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코어와 연동하여 선택된 세션에 대한 세션 이동 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세션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코어에 위치한 가입자 정보부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획득하는 가입자 정보 획득 블록; 및
    상기 획득한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단말 목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정보 관리부는,
    상기 획득된 가입자 정보를 통해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단말의 정보와 가용여부를 획득하는 단말 정보 획득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관리부는,
    해당 가입자의 가용 서비스 목록,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가입자의 단말 별로 가용 서비스와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 실행 중인 단말-서비스 목록,
    현재 실행 중인 단말과 서비스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 실행 중인 단말-서비스 목록,
    각 서비스 별 보유 세션 정보를 매핑하는 서비스-세션 목록,
    상기 각 목록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서비스/단말 정보 관리 블록;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세션정보 관리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단말 목록은,
    현재 단말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서비스 목록은,
    서비스 가입 시 제약조건에 따라 실행 여부가 제어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현재 실행이 가능한 서비스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하여 실행 가능 여부 필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서비스 목록은,
    단말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및 현 서비스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가 포함된 테이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세션 목록은,
    서비스 식별자와 해당 서비스가 보유한 세션의 개수 및 상기 세션의 개수만큼 동적으로 생성된 세션 정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9.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가용한 서비스 목록;
    상기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상기 단말에서 가용한 서비스 별 세션 정보를 획득하는 세션 정보 획득 블록;
    상기 서비스 및 세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의 정보를 획득하는이동 대상 단말 정보 획득 블록;
    상기 단말의 이동 대상 서비스/세션/단말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이동 대상 서비스/세션/단말 정보 제공 블록; 및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이동 제어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 대상 서비스를 이동하는 서비스 이동 연동 블록;으로 구성되는 서비스 이동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10.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통해 가입자가 보유한 단말 정보, 실행 가능한 서비스 정보, 현재 가용한 단말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정보, 서비스 별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대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서비스의 세션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서비스 및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세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이동 대상 단말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 및 세션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
  11. 서비스 이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멀티 서비스 실행 단말의 서비스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에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을 업데이트하여 최신 정보를 보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대상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로부터 서비스 전체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전체 서비스가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서비스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서비스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대상 서비스 목록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세션 선택을 대기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 내의 세션 전체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전체 세션이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세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서비스 내의 세션 일부 이동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대상 세션 목록에서 상기 선택된 일부 세션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일부 세션이 모두 실행 가능한 이동 대상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동 가능한 단말 중 이동 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이동 대상 단말로 세션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이동 수행 과정은,
    각각의 세션 이동 시에 세션 내에 보유한 미디어 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 능력을 고려하여 이동 대상 단말 정보가 동적으로 재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이동 제어 방법.
KR1020100090557A 2010-09-15 2010-09-15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1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57A KR101414683B1 (ko) 2010-09-15 2010-09-15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12/964,134 US20120066292A1 (en) 2010-09-15 2010-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mo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57A KR101414683B1 (ko) 2010-09-15 2010-09-15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017A true KR20120029017A (ko) 2012-03-26
KR101414683B1 KR101414683B1 (ko) 2014-07-04

Family

ID=4580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557A KR101414683B1 (ko) 2010-09-15 2010-09-15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66292A1 (ko)
KR (1) KR101414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7766A (en) * 2013-08-31 2015-03-04 Metaswitch Networks Ltd Data processing
US10826999B2 (en) 2016-06-24 2020-1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session state data management
US10567505B2 (en) * 2018-01-18 2020-02-18 Salesforce.Co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ssion synchronization and sharing of applications between different user systems of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3191B2 (en) * 2002-04-17 2014-12-3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Internet protocol collaborative mobility
WO2006098263A1 (ja) *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切替元デバイス、切替先デバイス、高速デバイス切替システムおよびシグナリング方法
ATE397343T1 (de) * 2005-08-08 2008-06-15 Alcatel Luc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r mobilität eines mobiles endgerätes
US7822065B2 (en) * 2007-01-07 2010-10-26 Wei Lu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cessing architecture for future mobile terminal
FI20075297A0 (fi) * 2007-04-27 2007-04-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netelmä, radiojärjestelmä ja tukiasema
EP2235984A1 (en) * 2007-12-07 2010-10-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main transfer service continuity provision to a mobile terminal
KR100950336B1 (ko) * 2007-12-18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호 제어 방법
US8224303B2 (en) * 2008-05-27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ssion mobility of multimedia content delivered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100063406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세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US8750824B2 (en) * 2009-10-30 2014-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lobal mobility infrastructure for use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6292A1 (en) 2012-03-15
KR101414683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1316B (zh) 应用服务器的切换方法及会话管理网元、终端设备
CN111565404B (zh) 一种数据分流方法和装置
CN111955031A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网络切片的方法和设备
AU201932189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359619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网元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US8972519B2 (en) Optimization of multimedia service over an IMS network
KR20200138827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빙 기능
CN109995845B (zh) 一种控制面资源迁移的实现方法、装置及网络功能实体
CN112187495B (zh) 终端与服务器的通信方法、通信系统
US1088072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slice selection data for a user
JP7250955B2 (ja) セッション処理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939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siness migration
JP7060717B2 (ja) アクセスタイプ選択方法およびデバイスならびに記憶媒体
KR101528210B1 (ko)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20230079314A1 (en) Service server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20537401A (ja) 異なるアーキテクチャ間のプロキシ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7450049B2 (ja) ユーザ装置またはppduセッションにサービスする分散ネットワーク機能の露出と発見
US20220014887A1 (en) Methods providing service context transfer and related network nodes
US20210329098A1 (en) Methods of operating service instance sets and/or set restoration storage resources and related network nodes
KR20120029017A (ko) 서비스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752352B (zh) 一种中间会话管理功能i-smf确定方法和设备
CN116250222A (zh) 一种业务连续性事件的通知方法及装置
KR20110070465A (ko) 단말 간 세션이동시 세션이동이 가능한 단말정보를 제공하는 대상단말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12543511A (zh) 一种提供、发现移动边缘计算的方法及设备、装置、介质
WO2023143492A1 (en) Support for simultaneous edge application server (eas) connectivity in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a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