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242B1 -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242B1
KR101883242B1 KR1020160171599A KR20160171599A KR101883242B1 KR 101883242 B1 KR101883242 B1 KR 101883242B1 KR 1020160171599 A KR1020160171599 A KR 1020160171599A KR 20160171599 A KR20160171599 A KR 20160171599A KR 101883242 B1 KR101883242 B1 KR 10188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aser light
marking
main body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424A (ko
Inventor
김태후
김해석
홍주열
이기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2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G21Y2002/401
    • G21Y2004/2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는,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간을 노즐 내측면에 표시하는 구간 마킹 장치로서, 노즐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셋 이상 장착되고,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본체부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표식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의 내부에 고정되어 노즐 내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선을 용이하게 표시하여 노즐의 결함 검사를 더욱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Section Marking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 Of Nozzle}
본 발명은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의 내부에 고정되어 노즐 내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구간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크게 핵반응에 의한 열원을 제공하는 원자로(reactor vessel), 발생된 열원을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환하는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물과 증기가 공존하면서 계통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는 가압기(pressurizer),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한국형 원자력 발전소는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의 각기 독립된 루프를 가진 경수로 원자로형(pressurized water reactor) 시스템으로서, 1차 냉각제가 핵분열로 인한 열을 증기발생기에 전달하여 증기를 생산하므로, 1차 계통은 방사능으로 오염되어 고립된 루프를 형성하고, 2차 계통은 증기 발생기에서 생산된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키고 증기 발생기로 되돌아가므로, 방사능과 직접 접하지 않는다.
1차 계통은 1개의 원자로와 2개의 증기 발생기, 1개의 가압기, 4개의 주 펌프 및 이들을 잇는 1차 배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는 핵연료를 저장하여 연쇄 핵반응이 일어나는 장소를 제공하는데, 1차 원자로 냉각제가 원자로 용기의 입구 노즐(inlet nozzle)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 원자로 용기 내벽과 노심 지지 구조물 동체 사이로 흘러 내려간 다음, 유량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유량 배플(flow baffle)을 통하여 하부 플래넘으로 들어간다.
1차 원자로 냉각제는 핵연료봉으로부터 생성된 열을 제거하면서 노심을 통해 상부로 올라가면서 가열되고, 이렇게 가열된 냉각제는 노심의 출구 영역에 도달한 후 제어봉 보호관 외부 주위를 돌아 원자로 용기의 출구 노즐(outlet nozzle)을 통하여 증기 발생기 쪽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입구 노즐 및 출구 노즐은 용접에 의해 원자로 용기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입구 노즐 또는 출구 노즐은 방사선 투과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 자분 탐상 검사, 침투 탐상 검사 등을 통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이러한 검사들 통해 검사된 결함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규정하기 위하여 노즐의 내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표시선을 마킹할 것이 요구된다.
노즐의 내면에 표시된 선을 통하여 검사 구간이 구획되면, 상술한 방사선 투과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 자분탐상 검사, 침투 탐상 검사 등을 통하여 결함을 검출한다. 결함 검출 시, 결함을 제거하고, 재 용접을 실시하거나, 용접부를 재열처리를 행한 후, 노줄의 내면에 표시선을 2차로 표시하여 검사 공정을 다시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은 노즐의 내면에 노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된다. 종래에는 예컨대, 스트립 용접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노즐의 내면에 작업자가 직접 표시선을 표시하였다. 그 결과, 선 표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직접 선을 표시함에 따라 선들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않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결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여 검사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의 내면에 1차로 표시되는 선과, 2차로 표시되는 선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결함 위치 추적에 시간적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선 표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지어 잘못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노즐 구조의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는, 노즐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레이저 광을 노즐 내측면에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는, 노즐의 센터 확인이 어려워 구간 마킹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복잡한 고정장치를 이용해서 구간 마킹 장치를 고정해야 하므로, 준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정부의 구조를 달리하였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는, 작업자가 노즐 내측부에 진입하여 작업하기 매우 곤란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의 유동성이 적어 인렛 노즐과 아웃렛 노즐에 모두 적용될 수 없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는 17 킬로그램 정도로서 작업자 한 사람이 설치하기 매우 곤란하여,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간 마킹 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636272 (2016년 06월 29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내부에 고정되어 노즐 내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선을 용이하게 표시하여 노즐의 결함 검사를 더욱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는,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간을 노즐 내측면에 표시하는 구간 마킹 장치로서, 노즐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셋 이상 장착되고,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본체부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표식 발생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간 마킹 장치는, 본체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표식 발생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내측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제 1 링크;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단부에 제 1 링크의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되는 결속 돌기가 형성된 제 2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부에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가압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촉부는,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에 장착되는 길이가변부재;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노즐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된 측방가압부; 및 상기 측방가압부와 일체형으로 측방가압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노즐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된 상방가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접촉부에는, 노즐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마찰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식 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장착되고, 레이저광 발생장치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부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힌지구조에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간 마킹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일단부에 노즐 외주면에 기설정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식 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는 관절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광 발생장치와 결속된 힌지구조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고정부 및 표식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내부에 고정되어 노즐 내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선을 용이하게 표시하여 노즐의 결함 검사를 더욱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노즐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중심축 본체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셋 이상 장착되고,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중심축 본체부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표식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결함 검사를 더욱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링크, 제 2 링크 및 가압 접촉부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구간 마킹 장치를 노즐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길이가변부재, 측방가압부 및 상방가압부로 구성되는 가압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과 하부면과 밀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구간 마킹 장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직지지대 및 수직지지대의 측부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힌지구조에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이저광 주사 방향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노즐 외주면에 기설정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뿐만 아니라 외측면까지 특정 구간으로 구획하여 더욱 정확하고 손쉽게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다관절 구조가 형성된 연장부를 이용하여 외부 표식 발생부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이저광 주사 방향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각도만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를 이용하여 노즐 외부면 용접 심의 센서 마킹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각도 별로 회전하여 구간 마킹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여유로운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가벼운 구조이므로 작업자 한 사람이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노즐의 내측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표시선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의 내측면에 표시선을 마킹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의 내측면에 표시선을 마킹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가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어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표식 발생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외부 표식 발생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가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어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100)는, 노즐(10)의 내측에 고정되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간을 노즐 내측면에 표시하는 구간 마킹 장치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고정부(120) 및 내부 표식 발생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내부에 고정되어 노즐 내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에 검사 구간을 구획하는 선을 용이하게 표시하여 노즐의 결함 검사를 더욱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간 마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노즐(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형 구조로서,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표식 발생부 지지대(11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표식 발생부(140)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 가능하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고정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가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어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셋 이상 장착되고,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본체부(11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 1 링크(121), 제 2 링크(122) 및 가압 접촉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 1 링크(121)는,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내측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24)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제 2 링크(122)는,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단부에 제 1 링크(121)의 슬라이딩 레일(124)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되는 결속 돌기(125)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가압 접촉부(123)는, 제 1 링크(121)의 일단부에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가압 접촉부(123)는, 특정 구조의 길이가변부재(126), 측방가압부(127) 및 상방가압부(128)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가변부재(126)는, 제 2 링크(122)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측방가압부(127)는, 길이가변부재(126)의 일단에 장착되고, 노즐(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방가압부(128)는 측방가압부(127)와 일체형으로 측방가압부(127)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노즐(1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 접촉부(123)에는,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마찰부재(129)가 장착되어, 본체부(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고정부(120)의 작동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가변부재(126)에 의해 측방가압부(127)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면, 작용반작용 원리에 따라 제 2 링크(122)도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게 되며, 소정 거리만큼 결속 돌기(125)의 위치가 본체부(1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 링크(121)는 결속 돌기(125)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2 링크(122)의 단부에 장착된 가압 접촉부(123)는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위치변경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방가압부(128)는 노즐(10)의 하부면을 가압하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노즐(10)의 하부면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정부(120)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노즐(10)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여유로운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가벼운 구조이므로 작업자 한 사람이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4의 표식 발생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표식 발생부(14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노즐(10)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표식 발생부(140)는, 수직지지대(141) 및 레이저광 발생장치(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수직지지대(141)는, 본체부(110)의 상단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장착되고, 레이저광 발생장치(142)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레이저광 발생장치(142)는, 수직지지대(141)의 측부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수직지지대(141)의 측부면에 형성된 힌지구조에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142)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간 마킹 장치(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직지지대(141) 및 수직지지대(141)의 측부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142)를 구비하고, 힌지구조에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이저광 주사 방향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외부 표식 발생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 9에 도시된 구간 마킹 장치가 노즐의 내측에 고정되어 노즐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마킹 장치(100)는 외부 표식 발생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식 발생부(15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일단부에 노즐 외주면에 기설정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
외부 표식 발생부(150)는, 특정 구조의 연장부(151), 지지부(152) 및 레이저광 발생장치(15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51)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지지부(152)는, 연장부(151)의 일단에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153)를 지지할 수 있다.
레이저광 발생장치(153)는, 지지부(152)에 힌지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연장부(151)는 하나 이상의 관절 구조(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 발생장치(153)와 결속된 힌지구조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153)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간 마킹 장치(100)에 따르면, 노즐 외주면에 기설정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의 내측면뿐만 아니라 외측면까지 특정 구간으로 구획하여 더욱 정확하고 손쉽게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간 마킹 장치(100)에 따르면, 다관절 구조(154)가 형성된 연장부(151)를 이용하여 외부 표식 발생부(15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이저광 주사 방향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의 결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구간 마킹 장치(100)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하부에 소정각도만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연장부(151)를 포함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150)를 이용하여 노즐 외부면 용접 심의 센서 마킹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각도 별로 회전하여 구간 마킹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노즐
100: 구간 마킹 장치
110: 본체부
111: 표식 발생부 지지대
120: 고정부
121: 제 1 링크
122: 제 2 링크
123: 가압 접촉부
124: 슬라이딩 레일
125: 결속 돌기
126: 길이가변부재
127: 측방가압부
128: 상방가압부
129: 마찰부재
140: 표식 발생부
141: 수직지지대
142: 레이저광 발생장치
150: 외부 표식 발생부
151: 연장부
152: 지지부
153: 레이저광 발생장치
154: 관절 구조

Claims (11)

  1. 노즐(10)의 내측에 고정되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간을 노즐 내측면에 표시하는 구간 마킹 장치로서,
    노즐(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셋 이상 장착되고,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본체부(11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노즐(10) 내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내부 표식 발생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표식 발생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장착되고, 레이저광 발생장치(142)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41);
    상기 수직지지대(141)의 측부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142); 및
    상기 힌지구조에 장착되고, 레이저광 발생장치(142)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마킹 장치(100)는,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표식 발생부 지지대(1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내측에 연장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24)이 형성된 제 1 링크(121);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힌지 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단부에 제 1 링크(121)의 슬라이딩 레일(124)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되는 결속 돌기(125)가 형성된 제 2 링크(122); 및
    상기 제 1 링크(121)의 일단부에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측방향으로 길이가 변경되어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가압 접촉부(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촉부(123)는,
    상기 제 2 링크(122)의 일단에 장착되는 길이가변부재(126);
    상기 길이가변부재(126)의 일단에 장착되고, 노즐(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된 측방가압부(127); 및
    상기 측방가압부(127)와 일체형으로 측방가압부(127)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노즐(1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접촉면이 형성된 상방가압부(1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촉부(123)에는, 노즐(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마찰부재(129)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마킹 장치(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일단부에 노즐 외주면에 기설정 간격으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외부 표식 발생부(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식 발생부(150)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151);
    상기 연장부(151)의 일단에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153)를 지지하는 지지부(152); 및
    상기 지지부(152)에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레이저광 발생장치(1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51)는 하나 이상의 관절 구조(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발생장치(153)와 결속된 힌지구조는 구동장치가 더 장착되어, 레이저광 발생장치(153)의 레이저 광 주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 마킹 장치.
KR1020160171599A 2016-12-15 2016-12-15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KR10188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599A KR101883242B1 (ko) 2016-12-15 2016-12-15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599A KR101883242B1 (ko) 2016-12-15 2016-12-15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24A KR20180069424A (ko) 2018-06-25
KR101883242B1 true KR101883242B1 (ko) 2018-07-30

Family

ID=6280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99A KR101883242B1 (ko) 2016-12-15 2016-12-15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2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72B1 (ko) 2006-01-31 2007-07-12 (주)에스엠텍 레이저 마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286A (en) * 1979-04-24 1981-1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actor vessel in-service inspection assembly and ultrasonic centering device
KR101080937B1 (ko) * 2009-07-24 2011-11-08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헤드 관통관의 유지보수 시스템
KR101636272B1 (ko) * 2014-11-26 2016-07-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용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72B1 (ko) 2006-01-31 2007-07-12 (주)에스엠텍 레이저 마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24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motely inspect piping and piping attachment welds
KR850001849B1 (ko) 원자로의 스팀발생기 튜브의 수리 및 검사장치
US4231419A (en)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JP2005195596A (ja) 溶接部の割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5515489A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JP2009002946A (ja) 原子炉の検査、保守及び修理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H0280949A (ja) 蒸気発生器の管の内側の円形溶接部の非破壊的超音波試験装置
CN103115964A (zh) 一种核电站主泵主轴超声波自动扫查装置
US20180222000A1 (en) Friction spot sealing of a defect area in a workpiece
KR101883242B1 (ko)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US9437333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sensor position in limited access areas within a nuclear reactor
JP2008151765A (ja) 原子炉容器下部貫通管検査装置(inspectionapparatusforreactorbottommountedinstrumentationnozzle)
JP5553953B2 (ja) 原子炉のシュラウドと炉心プレートとの間に形成される環状凹所内部の材料を検査する装置
TW201535414A (zh) 檢視裝置及利用此裝置檢視反應器組件之方法
JP3256692B2 (ja) エルボ溶接部検査装置およびエルボ溶接部検査方法
JP2010091543A (ja) 応力腐食割れ形成装置
JP2008256586A (ja) ジェットポンプのライザ管部作業におけるアクセス装置、アクセス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アクセス装置回転補助装置
US20140098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inspect, modify, or repair nuclear reactor core shrouds
US6904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obstructed welds
JP2000046987A (ja) 原子炉の炉心内配管部保全装置
JP2014044159A (ja) 放射線源の位置決め治具、検査対象物の検査方法
KR20210024771A (ko) 분기배관 제조장치
KR101636272B1 (ko) 원자로용 노즐의 결함 검사를 위한 구간 마킹 장치
KR20200025187A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1721938B1 (ko)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