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994B1 -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994B1
KR101882994B1 KR1020160073448A KR20160073448A KR101882994B1 KR 101882994 B1 KR101882994 B1 KR 101882994B1 KR 1020160073448 A KR1020160073448 A KR 1020160073448A KR 20160073448 A KR20160073448 A KR 20160073448A KR 101882994 B1 KR101882994 B1 KR 10188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upling
bracket
coupling ho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743A (ko
Inventor
김상익
Original Assignee
김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익 filed Critical 김상익
Priority to KR102016007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는, 구조물에 고정되며, 둘레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종동브래킷 및 블라인드가 권취되는 권취롤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Passivity Bracket Assembly for Roll Blind and Roll Blin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롤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창, 유리벽 등에는 차양 효과를 위해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는 그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이중 롤블라인드의 경우, 롤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 중에서도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롤블라인드는 롤을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야 하므로, 롤의 양측에 구동브래킷과 종동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브래킷 및 상기 종동브래킷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롤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브래킷 및 상기 종동브래킷은 롤블라인드의 전체 길이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야 하므로, 롤을 상기 구동브래킷 및 상기 종동브래킷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다만, 종래의 롤블라인드는 롤과 각 브래킷과의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경우에 따라 각 브래킷을 구조물로부터 탈거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7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블라인드를 권취하는 롤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는, 구조물에 고정되며, 둘레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종동브래킷 및 블라인드가 권취되는 권취롤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권취롤 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권취롤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 폭이 상기 결합홀의 폭 이하로 형성되며, 세로 폭이 상기 결합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조작을 보조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롤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홀의 둘레부가 상기 권취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동브래킷과 연결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동브래킷과 연결부재 간을 결합 시 결합 강도가 우수하여 안정적으로 블라인드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단순한 구조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가 적용된 롤블라인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에 있어서, 종동브래킷과 연결부재의 결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가 적용된 롤블라인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는 블라인드가 권취되는 권취롤(10)과, 상기 권취롤(1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구동브래킷(50)과, 상기 구동브래킷(50)의 반대 측에서 상기 권취롤(10)을 지지하는 종동브래킷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브래킷(50)은 상기 권취롤(10)의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스트랩(60)에 의해 상기 권취롤(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듈에 관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부재(12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브래킷 어셈블리는 종동브래킷(110)과, 연결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브래킷(110)은 상기 권취롤(1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조물의 벽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112)와, 상기 고정부(112)로부터 절곡 형성된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12)에는 상기 종동브래킷(110) 자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체결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14)는 상기 고정부(11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권취롤(10)의 끝단에 대향된 형태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14)에는 결합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17)은 상기 연결부재(120)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홀(117)은 둘레 일부가 상기 지지부(11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이후 연결부재(12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종동브래킷(110)과 직접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롤(10)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지지부재(130)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을 상기 종동브래킷(1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122), 결합부(125) 및 조작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20)와 상기 종동브래킷(1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권취롤(10) 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지지부(114)의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결합부(125)는 상기 지지부(114)의 타면에 접촉된다.
즉 상기 연결부(122) 및 상기 결합부(125)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이격된 간극에 상기 종동브래킷(110)의 지지부(114)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0)와 상기 종동브래킷(110)이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종동브래킷(110)이 서로결합된 상태의 단면이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2) 및 상기 결합부(125) 사이에 상기 종동브래킷(110)의 지지부(114)가 끼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114)는 상기 결합홀(117)의 둘레부(116)가 상기 권취롤(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결합부(125)의 접촉면 역시 상기 결합홀(117)의 둘레 영역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종동브래킷(110)과 연결부재(120) 간의 결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재(120)의 결합 과정에서 경사면에 의해 마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브래킷(110)과 상기 연결부재(120) 간의 자세한 연결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권취롤(10)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기 연결부(12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을 상기 종동브래킷(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권취롤(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림부(132)와, 상기 림부(132)의 내측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134) 및 정착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부(134)에는 연결부(122)에 형성된 삽입홀(123)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135)가 형성되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0)와 상기 연결부재(120)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34)는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정착부(133)에 대해 상기 권취롤(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34) 및 상기 정착부(133) 사이에는 탄성부재(146)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146)는 상기 슬라이딩부(134)를 외측으로 밀어 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슬라이딩부(134)의 삽입돌기(135)가 상기 삽입홀(123)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종동브래킷 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20) 및 상기 종동브래킷(110) 간의 결합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25)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세로 방향 폭이 가로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세로 방향이라 함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한 방향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20)를 상기 종동브래킷(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로 방향은 세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임의로 설정한 방향이며, 이와 같은 정의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25)의 가로 폭은 종동브래킷(110)의 결합홀(117, 도 2 참조)의 폭 이하로 형성되며, 세로 폭이 상기 결합홀(11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브래킷(110)과 상기 연결부재(120)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20)가 가로 폭이 상기 결합홀(11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된 상태로 상기 결합홀(117)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120)가 상기 결합홀(117)의 최심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124)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20) 전체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도 8과 같이 조작부(124)가 하부로 위치된 상태로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결합부(125)가 상기 종동브래킷(110)의 결합홀(117) 둘레부(116)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0)가 상기 종동브래킷(1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결합홀(117)을 통해 종동브래킷(110)과 연결부재(12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동브래킷(110)과 연결부재(120) 간을 결합 시 결합 강도가 우수하여 안정적으로 블라인드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권취롤 50: 구동브래킷
60: 조작스트랩 100: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110: 종동브래킷 112: 고정부
114: 지지부 116: 결합홀 둘레부
117: 결합홀 120: 연결부재
122: 연결부 123: 삽입홀
124: 조작부 125: 결합부
130: 지지부재 132: 림부
133: 정착부 134: 슬라이딩부
135: 삽입돌기 136: 탄성부재

Claims (8)

  1. 구조물에 고정되며, 둘레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된 결합홀(117)이 형성된 지지부(114)를 포함하는 종동브래킷(110); 및
    상기 결합홀(117)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1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0);
    블라인드가 권취되는 권취롤(1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120)와 결합되는 지지부재(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권취롤(10) 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지지부(114)의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부재(130)와 결합되는 연결부(122) 및 상기 지지부(114)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재(12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125)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5)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 폭이 상기 결합홀(117)의 폭 이하로 형성되며, 세로 폭이 상기 결합홀(11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결합부(125)의 가로 폭 방향으로 상기 결합홀(117)에 삽입된 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114)에 결합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연결부(122)로부터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120)의 회전 조작을 보조하는 조작부(124)를 더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2)에는 삽입홀(12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삽입홀(12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5)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4)는 상기 결합홀(117)의 둘레부가 상기 권취롤(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8. 삭제
KR1020160073448A 2016-06-13 2016-06-13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KR10188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48A KR101882994B1 (ko) 2016-06-13 2016-06-13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48A KR101882994B1 (ko) 2016-06-13 2016-06-13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3A KR20170140743A (ko) 2017-12-21
KR101882994B1 true KR101882994B1 (ko) 2018-07-27

Family

ID=6093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48A KR101882994B1 (ko) 2016-06-13 2016-06-13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97B1 (ko) 2017-10-27 2020-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03Y1 (ko) 2001-08-16 2001-11-26 김석균 롤 스크린용 브라켓트
KR200436940Y1 (ko) * 2006-10-13 2007-10-18 김동식 롤 브라인더의 롤스크린 지지구조
JP4421111B2 (ja) 1998-06-23 2010-02-24 ネルジュコ(ソシエテ アノニム) 商品取扱ドアに用いられる多機能リンクブラ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992U (ja) * 1984-01-18 1985-08-09 株式会社 サンテンダ− 回転収納スクリ−ン
KR20100010743U (ko) 2009-04-23 2010-11-02 김성철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1111B2 (ja) 1998-06-23 2010-02-24 ネルジュコ(ソシエテ アノニム) 商品取扱ドアに用いられる多機能リンクブラケット
KR200254703Y1 (ko) 2001-08-16 2001-11-26 김석균 롤 스크린용 브라켓트
KR200436940Y1 (ko) * 2006-10-13 2007-10-18 김동식 롤 브라인더의 롤스크린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3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242B2 (en) Window curtain pulling device
US7614439B2 (en) Roller tube having external slot for mounting sheet material
KR100924235B1 (ko)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US20190292846A1 (en) Retractable material enclosure system
KR101882994B1 (ko)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래킷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CN104075431A (zh) 导风板连接轴套及空调器
EP3514316B1 (en) Curtain reel structure for assembling blind cord rapidly
CN203928325U (zh) 导风板连接轴套及空调器
CN103352653B (zh) 一种同步带牵引的抗风遮阳卷帘
US8443570B2 (en) Window jamb channel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5840081B (zh) 遮蔽装置及其安装方法
CN204827166U (zh) 一种一拖二抗风遮阳窗帘
US10808456B2 (en) Blind body actuator casing for non-pull cord window blind assembly
KR101213635B1 (ko)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US20100012281A1 (en) Fixing structure of cord winding mount for window curtain
KR101119539B1 (ko)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롤러
CN204899731U (zh) 一种一拖二窗帘
JP2006030675A (ja) メディアシートの張設装置
CN204899730U (zh) 一种一拖二抗风遮阳窗帘
US1124829A (en) Combined shade-roller and curtain-pole support.
KR101325027B1 (ko) 차량용 변속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71452Y1 (ko)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JP2002194945A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ケーブル支持装置
TW201305425A (zh) 天窗式遮陽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