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52Y1 -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52Y1
KR200471452Y1 KR2020110003310U KR20110003310U KR200471452Y1 KR 200471452 Y1 KR200471452 Y1 KR 200471452Y1 KR 2020110003310 U KR2020110003310 U KR 2020110003310U KR 20110003310 U KR20110003310 U KR 20110003310U KR 200471452 Y1 KR200471452 Y1 KR 200471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window
connection member
hole
hole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411U (ko
Inventor
서윤현
Original Assignee
서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현 filed Critical 서윤현
Priority to KR2020110003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5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의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떠한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도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 쉽게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안정적으로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스템창틀과 시스템창문의 처짐을 방지하며,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이를 통해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HITCHING GUIDE SYSTEM FOR SYSTEM WINDOW}
본 발명은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의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떠한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도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 쉽게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안정적으로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스템창틀과 시스템창문의 처짐을 방지하며,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창문개폐용 걸림가이드장치는 시스템 창틀 및 시스템 창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창문개폐용 걸림가이드장치는 시스템창틀 및 시스템창문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서 각기 다양한 구조로 각각 이루어진다.
종래의 걸림가이드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창틀(1)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안내부재(2)와,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2)의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구(3)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2)의 상부면(2a)에 맞닿도록 후방에 경사면(4) 및 상부면(5)에 다수개의 금속볼(6)이 안착되어 상기 상부면(5)에 노출되어 회동되는 상기 금속볼(6)에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2)의 상부면(2a)에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재(7)가 시스템창문(8)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면(2a)과 맞닿아 회동 슬라이드되는 상기 금속볼(6)들은 오랜사용 후에 상기 금속볼(60)의 외형의 변형 또는 파손으로 인해 상기 상부면(2a)과 맞닿지 않아 상기 시스템창틀에서 시스템문이 외압에 의해 손쉽게 열리거나 시스템창틀 및 시스템창문이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심지어는 상기 금속볼(60)들은 상기 상부면(2a)에서 이탈되어 본래의 슬라이드 안내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재(2)와 상기 금속볼(6)은 금속재로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그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의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떠한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도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 쉽게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안정적으로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스템창틀과 시스템창문의 처짐을 방지하며,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이를 통해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새로운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스템창틀의 내측둘레에 설치되고, 홈부를 갖는 암안착부재와; 시스템창문의 외측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에 안착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수걸림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안착부재는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트공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하부볼트공이 형성되며, 양 상기 하부볼트공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이 형성되고, 양 상기 보강공의 사이에 중앙보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걸림부재는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 중앙은 돌설되어 형성된 돌설부와, 상기 돌설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에 텐션공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트공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하부볼트공이 형성되며, 양 상기 하부볼트공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이 형성되고, 양 상기 보강공의 사이에 중앙보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 및 상기 걸림돌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전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게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후방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시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결합시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후방은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후방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결합시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넓이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의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어떠한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도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 쉽게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안정적으로 걸려 시스템창문이 시스템창틀에서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창틀과 시스템창문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창문 및 시스템창틀에 암안착부재와 수걸림부재를 종래의 금속볼을 갖는 걸림가이드장치에 구성되는 금속볼을 제작하는 고가의 제작 비용을 없애서 경제적으로 생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는 암안착부재(10)와 수걸림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암안착부재(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암안착부재(10)는 시스템창틀(100)의 내측둘레에 설치되고, 홈부(11)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암안착부재(10)는 상부연결부재(12a)와 하부연결부재(13a)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1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구(12b)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13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12b) 및 상기 삽입구(13b)는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12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볼트공(12c)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에 하부볼트공(13c)이 형성된다.
양 상기 상부 및 하부볼트공(12c,13c)과 상기 시스템창틀(100)에 형성된 볼트공(미도시)에 볼트(B)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양 상기 하부볼트공(13c)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13d)이 형성되고, 양 상기 보강공(13d)의 사이에 중앙보강공(13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강공(13d)은 상기 상부볼트공(12c)과 상기 시스템창틀(100)의 볼트공(미도시)과 일치하지 않을때 상기 보강공(13d)으로 인해 상기 상부볼트공(12c)과 상기 시스템창틀(100)의 볼트공(미도시)을 일치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보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보강공(13e)은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보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걸림돌기(21)도 또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11)에 상기 걸림돌기(21)의 입출을 손쉽게 하고 정확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전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경사면(1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후술되는 상부연결부재(22a)의 경사면(24)과 맞닿아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부연결부재(12a)가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와 상기 하부연결부재(13a)가 결합시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후방은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후방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걸림부재(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걸림부재(30)는 시스템창문(20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11)에 안착되는 걸림돌기(2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안착부재(20)는 상부연결부재(22a)와 하부연결부재(23a)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2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구(22b)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23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22b) 및 상기 삽입구(23b)는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22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상부면 중앙은 돌설되어 형성된 돌설부(23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설부(23c)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21)의 양측에 텐션공(23d)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텐션공(23d)은 상기 걸림돌기(21)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1)가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아래로 내려갔다 자동으로 위로 올라오는 텐션작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21)가 상기 경사면(14)을 통해 상기 홈부(11)에 손쉽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볼트공(22c)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에 하부볼트공(23e)이 형성된다.
양 상기 상부 및 하부볼트공(22c,23e)과 상기 시스템창문(200)에 형성된 볼트공(미도시)에 볼트(B)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양 상기 하부볼트공(23c)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23f)이 형성되고, 양 상기 보강공(23f)의 사이에 중앙보강공(23g)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강공(23f)은 상기 상부볼트공(22c)과 상기 시스템창문(200)의 볼트공(미도시)과 일치하지 않을때 상기 보강공(23f)으로 인해 상기 상부볼트공(22c)과 상기 시스템창문(200)의 볼트공(미도시)을 일치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보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보강공(23f)은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의 보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2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11)도 또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1)에 상기 홈부(11)가 입출을 손쉽게 하고 정확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전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경사면(2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경사면(14)과 맞닿아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부연결부재(22a)가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와 상기 하부연결부재(23a)가 결합시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의 넓이는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암안착부재(10)를 상기 시스템창틀(100)에 설치하고, 상기 수걸림부재(20)를 상기 시스템창문(200)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암안착부재 11: 홈부 12a: 상부연결부재 12b: 삽입홈 12c: 상부볼트공 13a: 하부연결부재 13b: 삽입구 13c: 하부볼트공 13d: 보강공 13e: 중앙보강공 14: 경사면 20: 수걸림부재 21: 걸림돌기 22a: 상부연결부재 22b: 삽입홈 22c: 돌설부 23d: 텐션공 23e: 하부볼트공 23f: 보강공 23g: 중앙보강공 24: 경사면 100: 시스템창틀 200: 시스템창문

Claims (7)

  1. 시스템창틀(100)의 내측둘레에 설치되고, 홈부(11)를 갖는 암안착부재(10)와;
    시스템창문(20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11)에 안착되는 걸림돌기(21)를 갖는 수걸림부재(20)로 구성되는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안착부재(10)는 상부연결부재(12a)와 하부연결부재(13a)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b)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13d)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12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트공(12c)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에 하부볼트공(13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볼트공(13c)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13d)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공(13d)의 사이에 중앙보강공(13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걸림부재(20)는 상부연결부재(22a)와 하부연결부재(23a)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삽입홈(22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b)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삽입구(23b)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상부면 중앙은 돌설되어 형성된 돌설부(23c)와, 상기 돌설부(23c)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21)의 양측에 텐션공 (23d)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22a)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볼트공(22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볼트공(22c)과 마주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23a)에 하부볼트공(23e)이 형성되며, 양 상기 하부볼트공(23e)에 연결되어 형성된 보강공(23f)이 형성되고, 양 상기 보강공(23f)의 사이에 중앙보강공(23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와 상기 하부연결부재(13a)가 결합시 상기 하부연결부재(13a)의 후방은 상기 상부연결부재(12a)의 후방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창호용 걸림가이드장치.
  7. 삭제
KR2020110003310U 2011-04-19 2011-04-19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KR200471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310U KR200471452Y1 (ko) 2011-04-19 2011-04-19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310U KR200471452Y1 (ko) 2011-04-19 2011-04-19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11U KR20120007411U (ko) 2012-10-29
KR200471452Y1 true KR200471452Y1 (ko) 2014-02-21

Family

ID=4751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310U KR200471452Y1 (ko) 2011-04-19 2011-04-19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943A (ko) 2021-06-07 2022-12-14 황지원 사용자 경험기반 발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794U (ko) * 1976-02-05 1977-08-09
JPH06317063A (ja) * 1993-05-06 1994-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扉体等のボールキャッチ装置
KR200220699Y1 (ko) * 2000-10-31 2001-04-16 이판대 창문 개폐용 받침 가이드
KR200355903Y1 (ko) 2004-04-20 2004-07-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여닫이창용 키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794U (ko) * 1976-02-05 1977-08-09
JPH06317063A (ja) * 1993-05-06 1994-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扉体等のボールキャッチ装置
KR200220699Y1 (ko) * 2000-10-31 2001-04-16 이판대 창문 개폐용 받침 가이드
KR200355903Y1 (ko) 2004-04-20 2004-07-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여닫이창용 키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11U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200471452Y1 (ko) 시스템창용 걸림가이드장치
KR101572320B1 (ko)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20170078233A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8695174B1 (en) Anchor apparatus for bead chain of window covering
WO2017089863A1 (en) Mounting device for a roller blind or the like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806017B1 (ko) 승강기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90008700U (ko) 착탈식 방충창
KR102407825B1 (ko) 새시용 호차
KR200396287Y1 (ko) 유리문 장식샤시 모서리 연결구조
KR101265906B1 (ko) 도난방지용 창호 롤러
KR101369591B1 (ko) 차량 게이트용 스트라이커
CA2775363C (en) Vane assembly of vertical window blind and the vane carrier thereof
KR101329117B1 (ko) 갤러리 가구용 문
KR101732410B1 (ko) 해상구조물용 지지기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US20170268291A1 (en) Pull cord equalizer buckle for window blind
KR101301530B1 (ko) 문틀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미닫이용 문짝
CN106516951A (zh) 升降机门系统
KR101252711B1 (ko) 가구용 경첩
KR20100011225U (ko) 도어프레임 연결장치
KR102429056B1 (ko) 도어 프레임의 코너 커버
JP5109621B2 (ja) 引戸及び同引戸の施工方法
TWI631271B (zh) 防颱捲門結構
CN203669543U (zh) 推拉门窗钩锁和扣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