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927B1 -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 Google Patents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927B1
KR101882927B1 KR1020160075159A KR20160075159A KR101882927B1 KR 101882927 B1 KR101882927 B1 KR 101882927B1 KR 1020160075159 A KR1020160075159 A KR 1020160075159A KR 20160075159 A KR20160075159 A KR 20160075159A KR 101882927 B1 KR101882927 B1 KR 10188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gnetic
external electrode
sus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999A (ko
Inventor
윤은구
이주현
박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to KR102016007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배터리의 외부전극의 기재를 SUS 재질로 구성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인 Cu, Ni, Au를 단자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전극의 몸체가 SUS로 형성되어져 있어 비자성 특성이 우수하며, 원재료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 코팅층의 물질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이기에 고온/고율 조건에서 사용시 작동전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배터리 외부전극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nonmagnetic and conductive external terminal for battery}
본 발명은 지뢰탐사기 및 천연자원 탐사기 등과 같이 자력선을 지중 내부로 발산시키고, 지중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검출하여 활용하는 장치 등에 사용하는 배터리에 설치되는 비자성이면서도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에 관한 것이다.
지뢰탐사기 및 천연자원 탐사기 등과 같이 자력선을 발산시키고, 지중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검출함으로써 지뢰의 존재 유무, 자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기기(이하, ‘자력선 이용장치’라 함)는 정밀한 자력선의 방출량과 반사되는 자력선의 측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력선 이용장치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전기소자 또는 회로기판 사이에는 배터리와 전기소자 또는 배터리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외부도선인 배터리 외부전극(external terminal)이 설치된다. 이때 외부전극은 통상적으로 열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가이면서도 도전성이 매우 높은 Ni, Cu, Au 등의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성 재질의 외부전극은 도전성 뿐만이 아니라 자성재료이므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기장을 생성시켜 자력선 이용장치로부터 반사된 자력선을 교란시켜 정밀한 측정을 어렵게 만든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254691(발명의 명칭: 개전된 리드 구조의 이차전지)에는 본 발명의 외부전극과 대응되는 전극 리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극리드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알루미늄은 인장력이 낮고, 고온 환경에서 사용시 반응 및 오염이 될 수 있어 사용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극 리드를 고온 환경에서는 구리, 금 등의 도전체를 사용하게 되나 이러한 금속은 전기 전도도는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자성을 동시에 갖게 되므로 이러한 배터리 외부전극을 자력선 이용장치에 사용하게 되면 자력선에 의한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외부 전극을 비자성 SUS(Steel Use Stainless) 위에 도전성재료를 코팅함으로써 도전성을 확보하면서도 도전성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대폭 자성을 낮춘 배터리 외부전극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가인 도전성재료인 니켈, 구리, 금, 은을 사용하여 배터리 외부전극을 제작하기 보다는 비자성 SUS에 도전성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재료비가 낮은 배터리 외부전극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하여 지중에 자기력선을 발산시키고, 상기 지중에 존재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검출하는 자력선 이용장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스폿용접되는 배터리 외부전극에 있어서 ;
비자성 SUS(Steel Use Stainless)의 기재와, 상기 기재에 코팅되는 전도성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코팅층을 포함한 외부전극의 두께의 0.005 ~ 0.0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외부전극.
삭제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하면서도 비자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을 제작함으로써 자력선 이용장치에서 자력선의 교란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력선 이용장치의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전특성을 실험하기위한 전류 인가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은 천연자원 탐사장비인 MWD에 사용되는 사용조건이 150°C 인 리튬1차전지(10)의 양극(11)에 스폿 용접되는 외부전극(20)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전극(20)의 형상은 ‘L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배터리의 형상과 배터리가 설치되는 기기에 의하여 변형 제작된다. 또한 외부전극(20)이 용접되어 연결되는 배터리(10)는 리튬1차전지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의 배터리에 적용된다. 또한 외부전극(20)은 단순히 양극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음극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배터리(10)는 용량이 36Ah이고, 크기는 직경 48.5 mm, 높이가 80.5 mm 이다.
또한 외부전극(20)은 판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비자성 SUS인 기재에 구리(Cu), 니켈(Ni), 은(Ag), 금(Au) 등의 도전성 재료 중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재료로 코팅한 것으로, 도전성 재료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에 비하여 자성이 매우 낮으며, 매우 낮은 가격에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외부전극(20)은 폭 5mm, 길이 60mm, 두께 0.11mm (코팅두께 포함)이고, 코팅두께는 1.0∼1.3um이다.
이때 외부전극의 두께(코팅두께포함)는 외부전극의 코팅층은 SUS 의 기재의 두께를 기준으로 0.005~0.05배 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5배 미만이면 외부전극에서 발열이 많이 발생하고 도전성이 약화되어 전극성능이 감소되고, 0.05배를 초과하면 자력선이 많이 발생되고, 제작원가가 증가하게 된다.
[비자성 특성의 검토]
다음의 표1은 크기가 규격이 5mm, 길이 60mm, 두께 0.11mm(코팅두께 포함), 코팅두께 1.2μm의 크기를 갖는 규격 외부전극을 비자성 SUS의 기재에 코팅재 Cu로 이루어진 실시예 1과, 순수하게 Ni으로 제작된 비교예1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기재 비자성 SUS Ni
코팅층 Cu
다음의 표 2는 표 1의 실시예 1과 비교예1을 자력측정장비인 3-Axis Fluxgate Magnetometers Model 520A(Applied Physics System)를 이용하여 7인치의 거리를 두고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자력을 3회 측정하였을 때 결과이다.
이때 측정된 자력의 단위는 나노테슬라(NT)이다.
측정횟수 실시예 1 비교예 1
1회 1.95 12.23
2회 1.73 13.28
3회 1.75 13.45
평균 1.81 12.98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니켈(Ni)로만 이루어지는 비교예 1에 비교하여 자력이 획기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비교예의 자력 대비 13% 수준으로 자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외부 전극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실제장비에서 사용할 때 방전특성 평가]
이와 같은 비자성 외부전극이 단순히 비자성만을 갖으면서 전류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없다면 발열이 발생하게 되어 배터리의 충분한 방전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고온 고열하에서 사용되는 MWD장비의 평가장비(Evaluation tool)의 사용조건(150℃, 3A/50ms, 100mA/2.15sec 펄스방전, 종지전압 2.0V)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때 방전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은 사용조건을 설명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A 출력을 50ms 인가한 다음 0.1A를 2.15sec 인가하는 것으로, 이 과정을 한 세트로 하여 종지전압까지 연속방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온에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50℃에서 1시간 aging 이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충/방전 시험 장비인 Maccor사 Discahrger 4000series를 적용했다.
다음의 표 3은 다양한 종류의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고, 표 4는 실시예2, 3, 4와 비교예 2, 3의 특성을 측정한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기재 SUS SUS SUS Ni SUS
코팅층 Cu Au Ni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용량(Ah) 29.22 27.44 24.25 31.85 12.12
50시간 작동전압(V) 2.43 2.44 2.36 2.49 2.25
다음의 표 5는 실시예 2, 3, 4, 비교예 2, 3를 MWD 평가장비 사용조건으로 방전특성실험을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6058021120-pat00001
표 3, 4,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비교하면 단순히 비자성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SUS 단독을 사용할 경우 전기적 특성이 감소하지만, 실시예 2 ~ 4의 결과를 단순히 Ni 만을 사용하는 비교예2와 비교할 때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의 용량감소가 발생하고 있으나, 실시예 2 ~ 4의 결과를 SUS 만을 사용하는 비교예3에 비교할 때 용량이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비자성 SUS 기재에 전도성 재료를 코팅하여 배터리 외부전극을 제작할 때 배터리의 용량을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자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자력선 이용장치에 사용될 경우에 외부전극에 의한 자력선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전극의 제작원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 리튬1차전지
11: 양극
20: 외부전극

Claims (3)

  1. 배터리의 전원에 의하여 지중에 자기력선을 발산시키고, 상기 지중에 존재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검출하는 자력선 이용장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스폿용접되는 배터리 외부전극에 있어서 ;
    상기 자기력선에 교란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자성 SUS(Steel Use Stainless)의 기재와, 상기 기재에 코팅되는 전도성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기재의 두께를 기준으로 0.005 ~ 0.0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외부전극.
  2. 삭제
  3. 삭제
KR1020160075159A 2016-06-16 2016-06-16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KR10188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59A KR101882927B1 (ko) 2016-06-16 2016-06-16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59A KR101882927B1 (ko) 2016-06-16 2016-06-16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99A KR20170141999A (ko) 2017-12-27
KR101882927B1 true KR101882927B1 (ko) 2018-07-27

Family

ID=6093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159A KR101882927B1 (ko) 2016-06-16 2016-06-16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9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477A (ja) * 1999-12-16 2001-06-29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池収納部付きブザー
JP5638630B2 (ja) 2010-02-10 2014-12-10 力佳電源科技(深▲せん▼)有限公司 ソフトパッケージリチウム電池タブ材料の電気めっ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64A (ja) * 1984-06-14 1986-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端子付き電池
CN103098285A (zh) * 2010-12-20 2013-05-08 株式会社Lg化学 具有多方向引线-接片结构的二次锂电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477A (ja) * 1999-12-16 2001-06-29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池収納部付きブザー
JP5638630B2 (ja) 2010-02-10 2014-12-10 力佳電源科技(深▲せん▼)有限公司 ソフトパッケージリチウム電池タブ材料の電気めっ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99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9277A1 (en) Spring wire rod, contact probe, and probe unit
CN105829899A (zh) 电压传感器
US20210156886A1 (en) Conductive test probe
US20190302170A1 (en)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CN113287023A (zh) 接触端子、检查治具以及检查装置
CN106556725A (zh) 用于x箍缩负载电流测量的同轴式分流器
CN206378533U (zh) 一种用于fip导电胶水的表面电阻测试装置
KR101882927B1 (ko) 비자성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배터리 외부전극
CN104076210A (zh) 纹波噪声测试装置
CN214427506U (zh) 一种pcb级电流传感器
CN207908701U (zh) 一种中子探测装置及系统
CN206740837U (zh) 具有引线的分流器
CN104297558B (zh) 一种电流测量装置
CN109061370A (zh) 一种变电站接地导通测试用双针式接触操作杆
TW200532209A (en) Multi-signal single beam probe
CN104502664A (zh) 低阻值无感自积分罗氏线圈积分电阻及其制造方法
JP6830585B1 (ja) 応力インピーダンスセンサ素子および応力インピーダンスセンサ
CN207780168U (zh) 一种绝缘耐压测试工装
CN110764032B (zh) 用于光泵磁力仪的射频薄膜
CN220455510U (zh) 一种示波器电流探头校准用高频电流环
CN211206568U (zh) 片状式带滤波功能的四线制夹具
US9804078B2 (en) Multiple coupon apparatus for cathodic protection testing
JP2007078433A (ja) ポリイミドをコーティングしたシース熱電対
CN109239415B (zh) 一种超导带材测试装置
CN205233663U (zh) 假释人员用的定位监测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