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032B1 -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032B1
KR101881032B1 KR1020170053997A KR20170053997A KR101881032B1 KR 101881032 B1 KR101881032 B1 KR 101881032B1 KR 1020170053997 A KR1020170053997 A KR 1020170053997A KR 20170053997 A KR20170053997 A KR 20170053997A KR 101881032 B1 KR101881032 B1 KR 10188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registration point
registration
module
tou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욱
Original Assignee
정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욱 filed Critical 정연욱
Priority to KR102017005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730 priority patent/WO20181994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위치 정보 기반의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객이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에서만 승차 및 하차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지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관광객이 소지한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하차할 지점 및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차할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중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등록지점 제안 모듈;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결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차량 운행 기사가 소지한 기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등록지점을 신규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등록지점을 삭제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관광 교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기사의 불필요한 운행을 차단하고, 배차 효율성을 높여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객들의 요구에 따라 등록지점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에 따라 유동적으로 등록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관광에 최적화된 맞춤형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CAR DRIVING SERVICE SYSTEM BASED ON UPDATED REGISTERED STOP}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광객이 승차 및 하차할 수 있는 등록지점을 설정하고, 이를 업데이트하며,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은 교통수단 중 전철과 지하철에 가장 만족하고 있으며, 버스와 택시에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관광객이 전철과 지하철 이용에 만족한 이유로는 노선 파악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바가지 없는 저렴한 요금 등을 들었다. 반면, 버스는 노선 파악이 불편하고, 속도가 느리며, 택시는 바가지 등의 비싼 요금과 불친절에 대한 불만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래의 택시 서비스와 다르게, 우버(Uber)나 카카오 택시(Kakao Taxi)와 같은 위치 기반의 차량 운행 서비스는 운행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승객이 차량 운행 기사에게 목적지를 설명할 필요가 없으며, 운행한 거리를 통해 요금이 자동으로 책정되어 결제되므로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승객의 정확한 탑승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승객과 차량 운행 기사가 만나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승객을 태우기 위해 불필요한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 운행 기사의 승차거부, 승객의 응답 지연 및 무응답으로 인해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 운행 기사의 수입이 줄어들고,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한편, 관광객에게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78004 호 ‘목적지 기반 택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관광 교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기사의 불필요한 운행을 차단하고, 배차 효율성을 높여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객들의 요구에 따라 등록지점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에 따라 유동적으로 등록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관광에 최적화된 맞춤형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위치 정보 기반의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객이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에서만 승차 및 하차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지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관광객이 소지한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하차할 지점 및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차할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중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등록지점 제안 모듈;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결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차량 운행 기사가 소지한 기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등록지점을 신규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등록지점을 삭제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대신에 승차할 지점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지점 제안 모듈은,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이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중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가장 가까운 등록지점을 제안하여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시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를 신규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삭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삭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지점을 새로운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지점 제안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연관된 등록지점을 가까운 순, 인기 순 및 평점 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수신 시 차량 운행 서비스에 제공될 차량의 종류, 탑승 인원, 및 탑승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관광 교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기사의 불필요한 운행을 차단하고, 배차 효율성을 높여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객들의 요구에 따라 등록지점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에 따라 유동적으로 등록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관광에 최적화된 맞춤형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관광객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에 의해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에 의해 선정된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에 의해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에 의해 선정된 등록지점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관광객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관광객 디바이스(200) 및 기사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관광객이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에서만 승차 및 하차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광객은 방문하고자 하는 관광 지점이 정해져 있으므로, 관광 교통은 통상적으로 정해진 관광 지점과 숙박 지점 간에서만 운행이 이루어진다는 특수성이 있다. 이러한 관광 교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주요 관광 지점과 숙박 지점을 등록지점으로 설정하고,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면, 관광객을 태우기 위한 차량 운행 기사의 불필요한 운행을 차단하고, 배차 효율성을 높여 관광객이 택시를 기다리는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어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등록지점은, 차량 운행 서비스의 승차할 지점 및 하차할 지점과 이에 부속된 지점 전체를 특정 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이 등록지점이라고 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서비스를 이용할 시 관광객은 강남역에서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다. 한편, 강남역 1번 출구 내지 12번 출구는 강남역에 부속된 지점으로써 등록지점에 포함된다. 여기서, 등록지점은, 관광 지점, 숙박 지점, 쇼핑 매장, 편의시설, 공항, 항구,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터미널, 및 주차장과 같이 특정 건물이나 시설물 또는 지점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관광객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광객 디바이스(200)는, 관광객이 소지하는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광객 디바이스(200)는, 차량 운행 서비스가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간편하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관광객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의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관광객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사 디바이스(300)는,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운행 기사가 소지하는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차량 운행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사 디바이스(300)는, 차량 운행 서비스가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10), 수신 모듈(120),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140), 및 업데이트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은, 등록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지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은, 등록지점에 부속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점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문자나 숫자 또는 문자나 숫자가 결합된 형태의 세부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은, ‘강남역’에 부속된 강남역 1번 출구 내지 12번 출구를 각각 개별적인 등록지점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으로 ‘강남역’을 수신하면 강남역 1번 출구 내지 12번 출구를 모두 독립된 등록지점으로 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모듈(12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 하차할 지점 및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12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 대신에 승차할 지점을 수신할 수 있다.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수신 모듈(120)이 수신한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 및 하차할 지점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된 등록지점 중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등록지점을 관광객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하차할 지점은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입력된 도착지에 해당하는 지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 의해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승차할 등록지점을 제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에서 가장 가깝고, 하차할 지점의 차량 진행 방향과 일치하는 등록지점을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서 검색하여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제안한다. 예를 들어, 관광객이 현재 ‘강남역’에 위치하고, ‘경복궁역’에서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강남역 12번 출구’를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제안한다. 이때,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서 제안한 승차할 등록지점이 관광객이 승차할 지점에 해당한다면, 관광객은 ‘예’를 눌러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을 실제 승차할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서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이 관광객이 승차할 지점과 다른 경우, ‘아니오’를 누르고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직접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직접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할 등록지점이 표시되는 지도에서 등록지점을 직접 선택하거나, 지도와는 별개로 승차할 지점을 검색한 등록지점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 의해 선정된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하차할 지점을 이용하여 하차할 등록지점을 제안할 수 있다.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하차할 지점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된 등록지점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관광객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관광객이 ‘경복궁역’을 검색하고,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경복궁역’이 등록지점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경복궁역’을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제안한다. 한편,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서 제안한 하차할 등록지점이 관광객이 하차할 지점과 다를 경우,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직접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직접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방법은, 하차할 등록지점이 표시되는 지도에서 등록지점을 직접 선택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와는 별개로 하차할 지점을 검색한 등록지점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 의해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을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된 등록지점 중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가장 가까운 등록지점을 제안하여 관광객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객이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숙박했던 호텔 주변의 승차할 지점으로 ‘역삼 세무서’를 검색하였으나, 역삼 세무서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등록지점이 아닌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역삼 세무서’가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역삼 세무서에서 가장 가까운 ‘강남역 1번 출구’를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제안한다. 따라서 관광객은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검색한 지점이 등록지점이 아니라 하더라도, 가장 가까운 등록지점으로 자동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에 의해 선정된 등록지점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등록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연관된 등록지점을 가까운 순, 인기 순 및 평점 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관광객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지점 정보는, 명칭 및 위치 정보 이외에 주변 관광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이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광화문’을 수신하는 경우, 등록지점 제안 모듈(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화문과 연관된 등록지점을 리스트로 작성하고, 관광객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는 가까운 순, 인기 순 및 평점 순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동시에 2개 이상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14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결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기사 디바이스(300)에 송신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기사 디바이스(300)는,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140)로부터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결정된 승차할 등록지점과 하차할 등록지점을 수신하므로, 차량 운행 기사는 기사 디바이스(300)를 확인하여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 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서 등록지점을 신규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등록지점을 삭제할 수 있다. 업데이트 모듈(150)은,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시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를 신규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 모듈(150)은, 해당 위치와 관련된 명칭을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호텔이 건축된 경우, 해당 호텔은 등록지점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 호텔에서 숙박하는 관광객들이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해당 호텔을 승차 또는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해당 호텔에 대해 반복적으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진다면, 해당 호텔을 새로운 등록지점으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모듈(150)은, 전술한 조건에 따라, 해당 호텔을 새로운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는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GPS 모듈(미도시)의 오차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인 GPS 모듈의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10m 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과 미리 정해진 횟수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미리 정해진 횟수가 적어질수록 업데이트 모듈(150)은 더 많은 등록지점을 생성하므로, 미리 정해진 기간과 미리 정해진 횟수는 등록지점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 모듈(150)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삭제할 수 있다. 반대로, 업데이트 모듈(150)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차 효율성을 높여야 하므로,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는 등록지점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맛집으로 유명했던 음식점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지점으로 등록하였으나 해당 음식점이 폐업하여 대다수의 관광객들이 더 이상 찾지 않는 경우, 해당 음식점에 대한 등록지점을 삭제하여 배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간과 미리 정해진 횟수는 등록지점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업데이트 모듈(150)은,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시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등록지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및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가 동시에 만족될 경우에만 해당 등록지점을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모듈(150)에서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등록지점을 삭제하는 것을 더욱 엄격한 조건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 모듈(150)은, 수신 모듈(120)이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되지 않은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지점을 새로운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모듈(150)은, 관광객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도, 관광객 디바이스(200)에서 입력된 지점에 대한 선호도를 판단하여 새로운 등록지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관광객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관광객 디바이스(200)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수신 시 차량 운행 서비스에 제공될 차량의 종류, 탑승 인원 및 탑승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종, 탑승 인원 및 탑승 시간을 설정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관광객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맞춤형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관광 교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 간에만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기사의 불필요한 운행을 차단하고, 배차 효율성을 높여 차량 운행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객들의 요구에 따라 등록지점을 지속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에 따라 유동적으로 등록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관광에 최적화된 맞춤형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모듈
120: 수신 모듈
130: 등록지점 제안 모듈
140: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
150: 업데이트 모듈
200: 관광객 디바이스
300: 기사 디바이스

Claims (9)

  1.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위치 정보 기반의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광객이 미리 설정된 등록지점에서만 승차 및 하차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지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관광객이 소지한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하차할 지점 및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차할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중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등록지점 제안 모듈;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결정된 승차할 등록지점 및 하차할 등록지점을 차량 운행 기사가 소지한 기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요청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등록지점을 신규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등록지점을 삭제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시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를 신규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대신에 승차할 지점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지점 제안 모듈은,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이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중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가장 가까운 등록지점을 제안하여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승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하차할 등록지점으로 한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해당 등록지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수신하는 경우, 해당 지점을 새로운 등록지점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지점 제안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등록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승차할 지점 또는 하차할 지점과 연관된 등록지점을 가까운 순, 인기 순 및 평점 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광객 디바이스로부터 차량 운행 서비스 요청 수신 시 차량 운행 서비스에 제공될 차량의 종류, 탑승 인원, 및 탑승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53997A 2017-04-26 2017-04-26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KR10188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97A KR101881032B1 (ko) 2017-04-26 2017-04-26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PCT/KR2018/002730 WO2018199463A1 (ko) 2017-04-26 2018-03-07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97A KR101881032B1 (ko) 2017-04-26 2017-04-26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32B1 true KR101881032B1 (ko) 2018-07-23

Family

ID=6310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97A KR101881032B1 (ko) 2017-04-26 2017-04-26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1032B1 (ko)
WO (1) WO2018199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8203A (zh) * 2021-05-19 2021-09-24 张雷永 实时风景打卡记录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39A (ja) * 2002-08-20 2004-03-11 Meidensha Corp 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KR20070101547A (ko) * 2006-04-11 2007-10-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등록지점 리스트 정렬방법
JP2008111842A (ja) * 2007-11-12 2008-05-15 Navitime Japan Co Ltd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KR20130114940A (ko) * 2012-04-10 2013-10-21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택시-콜 시스템
KR20160109713A (ko) * 2015-03-12 2016-09-21 네이버 주식회사 콜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콜택시 서비스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39A (ja) * 2002-08-20 2004-03-11 Meidensha Corp 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KR20070101547A (ko) * 2006-04-11 2007-10-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등록지점 리스트 정렬방법
JP2008111842A (ja) * 2007-11-12 2008-05-15 Navitime Japan Co Ltd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KR20130114940A (ko) * 2012-04-10 2013-10-21 윤성중 택시-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택시-콜 시스템
KR20160109713A (ko) * 2015-03-12 2016-09-21 네이버 주식회사 콜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콜택시 서비스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463A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31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승차 지점 정보 제공 시스템
JP5038597B2 (ja) 経路探索方法、自動車移動を含む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357986C (zh) 车辆调度系统中传输和处理调度信息的方法
CN103514737B (zh) 智能拼车控制系统及智能拼车控制方法
JP411800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90287527A1 (en) Device for communicating orders for transportation, vehicle-bas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031570B1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and route search method
US20110040479A1 (en) Route guidance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guidance method, and terminal
WO2019225045A1 (ja) 配車装置、配車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B2378560A (en) Planning and optimising a passenger journey in a mass transit system
JP2004140525A (ja) 移動体情報配信システム
JP2019105926A (ja) 配車装置
JP2869583B2 (ja) 車両からの予約システム
JP476781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6682193B2 (ja) 通知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知方法
JP2022003458A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WO2018138884A1 (ja) 交通案内システム、交通案内方法、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34057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車載端末および情報提供端末および配車端末および配車装置
JP455069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1881032B1 (ko) 업데이트되는 등록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운행 서비스 시스템
US20210027632A1 (en) Vehicle dispatch apparatus, vehicle dispatch system and vehicle dispatch method
JP2001222798A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JP483416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90118113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가 행하는 합승 제안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