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992B1 -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 Google Patents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992B1
KR101880992B1 KR1020180032832A KR20180032832A KR101880992B1 KR 101880992 B1 KR101880992 B1 KR 101880992B1 KR 1020180032832 A KR1020180032832 A KR 1020180032832A KR 20180032832 A KR20180032832 A KR 20180032832A KR 101880992 B1 KR101880992 B1 KR 10188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wall
sterilizing chamber
chamber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8003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열풍이 살균실 내부로 골고루 도달되도록 하여 소독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키는 가열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결합된 사각 함체 형태의 소독기 몸체(100) 내부에 살균실(200)과 열풍로(300)가 서로 분리벽(110)으로 구획되어 있고, 열풍로(300) 내부에 히터(400)가 설치되어 열풍을 생성하며, 측면토출부(500)에서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에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열풍이 배출되어, 열풍이 살균실 내부를 회전하여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소독대상물(P)의 전체 노출면에 열풍이 도달되도록 하고 열풍과 복수회 접촉시켜 효과적으로 살균처리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Hot-air rotation type heating sterilizer}
식기나 컵과 같은 소독대상물이 거치된 살균실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여 살균처리하는 가열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살균소독기는 물건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 등 미생물을 파괴하기 위한 장치로 높은 위생이 요구되는 병원이나 급식 식당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살균소독기는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라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소독기, 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의 DNA를 직접 파괴하는 자외선소독기, 그리고 고온의 열풍을 접촉시켜 세균을 사멸시키는 가열소독기로 구분된다.
가열소독기는 외기를 공급받아 약80도 이상으로 가열한 뒤 소독대상물로 유동시켜 소독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써, 소독대상물과 고온의 열풍이 접촉되는 면적, 시간, 정도에 따라 살균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특징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529호의 ‘전기 식기 소독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540호의 ‘식기 소독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2652호의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은 모두 살균실 하부와 측부의 벽면에서 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열풍이 공급되어 열풍이 살균실 내부에 골고루 퍼지지 못하였고, 특히, 소독대상물 전체 면적 중 관통공과 인접한 부분만 국부적으로 살균될 뿐 나머지 부분은 제대로 살균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열풍을 회전시켜 소독대상물의 전체 노출면에 열풍이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살균이 가능해지고, 소독대상물과 열풍의 접촉횟수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살균성능을 향상시킨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열소독기는, 도어가 결합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벽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 소독대상물이 거치되는 살균실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에 의해 구획되는 통로 형태의 열풍로가 형성된 소독기 몸체; 상기 열풍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풍로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살균기 열풍로가 서로 연통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열풍로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분리벽의 벽면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소독기 몸체의 도어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에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진행방향을 꺾어 상기 살균실 내부로 배출하는 측면토출부; 상기 살균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살균실의 천정을 향해 배출하는 바닥면토출부; 및 상기 살균실의 천정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실 내 공기가 흡입되는 천정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토출부를 통하여 상기 살균실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소독대상물이 노출된 부분 중 상기 분리벽, 상기 도어의 후면, 및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각각에 인접한 부분을 타고 지나가면서 상기 살균실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천정흡입부를 통해 상기 살균실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열풍이 상기 살균실 내부를 회전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살균실 내 배치된 상기 소독대상물과 복수 회 접촉된다.
상기 측면토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살균실과 상기 열풍로를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열풍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꺾어진 유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분리벽의 양면 중 상기 살균실 측의 벽면에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상기 분리벽의 벽면에 결합되는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후드로 유입된 열풍은 상기 후드의 꺾어진 유로를 타고 상기 분리벽의 벽면과 수직하게 결합된 상기 도어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상기 살균실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드는 상기 유로의 입구와 상기 유로의 출구가 서로 수직한 개구방향을 갖도록 종단면“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의 출구로 배출된 열풍이 상기 측면토출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벽의 벽면을 타고 상기 살균실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살균실 내부에는 복층을 갖는 선반이 배치되고, 상기 분리벽의 벽면 중 상기 선반의 각 층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마다 상기 측면토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각 층마다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 또는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요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실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이 상기 요부와 상기 홈부의 굴곡진 면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열풍의 일부가 상기 살균실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 또는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살균실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이 상기 각 돌기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열풍의 일부가 상기 살균실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측면토출부가 열풍을 분리벽의 벽면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소독기 몸체의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에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진행방향을 꺾어 살균실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열풍이 살균실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소독대상물의 노출면 중 도어의 후면 및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각각에 인접한 부분을 살균시키고 소독대상물과 복수회 접촉되어 살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드는 열풍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꺾어진 유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분리벽의 벽면과 수직하게 결합된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으로 열풍을 배출시킴으로써 열풍이 살균실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살균실 내부 공간에 전체적으로 열풍이 도달할 수 있고 소독대상물의 표면을 복수회 살균시킬 수 있다.
후드의 유로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수직한 개구 방향을 갖도록 종단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드의 출구로 배출된 열풍이 측면토출부가 형성된 분리벽의 벽면을 타고 살균실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살균실 내부 공간에 전체적으로 열풍이 도달할 수 있고 소독대상물의 표면을 복수회 살균시킬 수 있다.
분리벽의 벽면 중 선반의 각 층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마다 측면토출부가 형성되어 선반의 각 층마다 열풍이 공급됨으로써 각 층 마다 강한 회전력을 갖는 열풍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층에 거치된 소독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분리벽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요부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살균실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에 난류 또는 와류를 발생시켜 열풍 중 일부가 살균실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소독대상물의 노출면을 전체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소독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소독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의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열풍을 생성하여 식기, 컵 등의 소독대상물에 공급함으로써 소독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을 사멸시키는 가열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이 소독기 내에 회전되어 상승하여 소독대상물이 거치된 공간 내부에 골고루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소독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키는 가열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를 간략하게 “가열소독기”라 호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소독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소독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는 소독기 몸체(100), 히터(400), 측면토출부(500), 바닥면토출부(600), 천정흡입부(7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소독기 몸체(100)는 사각 함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독대상물(P)이 거치되는 살균실(200)이 형성되고, 살균실(200)과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110)에 의해 구획되는 통로 형태의 열풍로(300)가 형성되어 있다. 소독기 몸체(100)의 전면은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독기 몸체(100) 내부의 살균실(200)은 대략 직육면체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독기 몸체(100)의 상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기나 모터, 송풍팬 등의 전자장치가 내장될 수 있는 분리된 공간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소독기 몸체(100)의 좌측부, 우측부 및 하부는 각각의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살균실(200)은 좌우로 각각 분리벽(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로 각각 도어의 후면과 소독기 몸체(100)의 후측벽의 전면이 형성되어 있다. 살균실(200)의 바닥면은 열풍이 배출되는 바닥면토출부(600)가 형성되어 있고, 살균실(200)의 천정은 살균실(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천정흡입부(700)가 형성되어 있다. 살균실(200)의 내부에 복층의 선반(120)이 추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선반(120)의 각 층마다 다수의 식판이나 그릇, 컵 같은 소독대상물(P)이 거치될 수 있다. 선반(120)의 각 층 바닥은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매쉬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열풍로(300)는 통로 형태로 소독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리벽(110)에 의해 살균실(200)과 구획된다. 열풍로(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실(200)의 천정에 형성된 천정흡입부(7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아니면, 열풍로(300)는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직접 공급받는 구조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열풍로(300)는 내부에 히터(400)가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하면서 열풍로(300)를 흐르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히터(40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은 그 온도가 세균을 사멸시킬 정도의 고온이며, 대략 약 80도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열풍로(300)는 히터(400)와 가능한 많은 공기를 접촉시키기 위해 히터(400)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능한 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열풍로(300)는 소독기 몸체(100) 내부의 좌우측 각각에 살균실(200)과 분리벽(110)을 통해 구획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열풍로(300) 형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소독기 몸체(100) 내부의 열풍로(300)가 형성된 위치는 반드시 소독기 몸체(100)의 좌우측 부분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소독기 몸체(100)의 좌우의 중간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열풍로(300)는 보다 많은 공기가 히터(400)에 의해 가열되도록 판 형태의 바람가이드(310)가 열풍로(300) 상에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가이드(310)는 열풍로(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유로가 좁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열풍로(300) 상에 설치되어 히터(40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공기를 히터(400)로 접근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바람가이드(31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를 히터(400)에 근접시켜 가열할 수 있다.
더하여, 열풍로(300)를 따라 내려온 가열된 공기가 보다 쉽게 측면토출부(50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측면토출부(500)의 입구 주변에 판 형태의 유도가이드(320)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도가이드(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보다 중앙이 상대적으로 아래 위치하는 즉, 활대와 같이 휘어진 형태일 수 있다.
히터(400)는 열풍로(300) 상에 배치되어 열풍로(300)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로 전환하며, 제어장치에 의해 온도, 가열시간 등이 조절된다. 히터(400)는 공지의 구성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측면토출부(500)는 살균실(200)과 열풍로(300)가 서로 연통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열풍로(300)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분리벽(110)의 벽면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소독기 몸체(100)의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에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진행방향을 꺾어 살균실(200) 내부로 배출한다. 측면토출부(500)는 열풍로(300)와 살균실(200)을 연통하는 통로로써, 열풍로(300)와 살균실(200)을 서로 구획하는 분리벽(110)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기 몸체(100)의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된 분리벽(110) 각각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열풍의 진행방향이 휘어지도록 꺾어진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열풍로(300)를 타고 유동하여 측면토출부(500)로 유입된 열풍은 분리벽(110)의 벽면을 타고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배출되어 살균실(20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측면토출부(500)는 그것이 형성된 분리벽(110)에 수직한 부분 즉, 소독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의 후면이나 그 도어와 마주하는 소독기 몸체(100)의 후측벽을 향하여 열풍을 배출한다. 측면토출부(500)에서 배출된 열풍이 다른 도어의 후면이나 후측벽에 부*j히면서 꺾여 유동하게 되고, 이 후 측면토출부(500)가 형성된 분리벽(110)과 대면하는 다른 분리벽(110)을 타고 유동하게 된다. 측면토출부(500)로부터 배출된 열풍은 살균실(200)의 중심을 가로지르지 않고 살균실(200)의 외곽을 타고 돌며 유동하며, 그 과정에서 소독대상물(P)의 표면과 접촉하여 수분을 흡수한다. 측면토출부(500)는 하나의 개구로써 일측방향의 배출구를 가진 형태일 수 있고, 두 개의 개구로써 양측방향의 배출구를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측면토출부(500)는 관통공(510) 및 후드(520)로 구성된다. 관통공(510)은 분리벽(110)을 관통하여 살균실(200)과 열풍로(300)를 서로 연통하는 통로이다. 관통공(510)의 일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후드(520)는 열풍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꺾어진 유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벽(110)의 양면 중 살균실(200) 측의 벽면에 관통공(510)을 덮도록 분리벽(110)의 벽면에 결합된다. 후드(520)는 꺾어진 유로를 갖는 덕트로써, 분리벽(110)에 관통공(510)이 노출되지 않도록 관통공(510)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된다. 후드(520)의 입구는 관통공(5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관통공(510)을 통과한 모든 열풍이 후드(520)로 유입될 수 있다. 후드의 출구는 열풍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꺾어진 부분에 형성된다. 예컨대, 관통공(510)이 소독기 몸체(100) 내부의 좌측이나 우측에 형성된 분리벽(11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후드(520)의 출구는 도어의 후면이나 그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510)을 통과하여 후드(520)로 유입된 열풍은 후드(520)의 꺾어진 유로를 타고 관통공(510)이 형성된 분리벽(110)과 수직하게 결합된 도어의 후면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살균실(20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열풍이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살균실(200) 내 배치된 소독대상물(P)과 복수 회 접촉되어 접촉시마다 소독대상물(P) 표면의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어 종래의 가열소독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독대상물(P)을 살균시킬 수 있고, 종래의 가열소독기에서 국부적으로 살균처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후드(5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후드(520)의 유로는 유로의 입구와 유로의 출구가 서로 수직한 개구방향을 갖도록 종단면“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드(520)의 출구로 배출된 열풍이 측면토출부(500)가 형성된 분리벽(110)의 벽면을 타고 살균실(2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후드(520)로 유입된 열풍이 과도하게 감속되거나 후드(520)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520)의 유로 내측, 특히 유로가 꺾어지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드(520)를 통과한 열풍은 살균실(20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며, 그 과정에서 측벽에 인접한 소독대상물(P)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시킨 뒤 살균실(200)의 천정에 형성된 천정흡입부(700)로 흡입된다.
살균실(200) 내부에는 복층을 갖는 선반(120)이 배치되고, 분리벽(110)의 벽면 중 선반(120)의 각 층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마다 측면토출부(500)가 형성되어 선반(120)의 각 층마다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 선반(120)의 각 층마다 열풍이 공급되어 선반(120)의 각 층마다 강한 회전력을 갖는 열풍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소독대상물(P)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열풍로(300)는 위에서 아래로 공기가 흐르는 구조인 점에서 분리벽(110)에 복수 개의 측면토출부(500)가 상하로 형성된 경우, 하부에 형성된 측면토출부(500)는 상부에 형성된 측면토출부(5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살균실(200) 내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열풍의 유량감소로 인하여 살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측면토출부(5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측면토출부(500)에 비해 관통공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복층으로 형성된 선반의 각 층마다 살균성능이 동일하도록 측면토출부(500)의 개구크기를 적절하게 설계해야한다.
바닥면토출부(600)는 살균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열풍을 살균실(200)의 천정을 향해 배출한다. 바닥면토출부(600)는 측면토출부(500)로 유입되지 않은 열풍이 공급되며, 살균실(200)의 바닥면의 중앙에 원형 관통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천정흡입부(700)는 살균실(200)의 천정에 형성되어 살균실(200) 내 공기가 흡입된다. 천정흡입부(700)는 천정의 중앙에 형성되며, 열풍로(300)의 상부와 연통됨으로써 열풍로(3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팬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소독대상물(P)을 살균시키는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는 소독기 몸체(100)의 살균실(200)에 소독대상물(P)을 거치시키고 제어장치를 가동한다. 소독기 몸체(100)에 내장된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열풍로(300)로 공기를 공급한다. 아니면, 외부의 공기가 열풍로(30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열풍로(300)로 공급된 공기는 히터(400)에 의해 가열되어 약 80도 이상의 고온의 상태 즉, 열풍이 된 후 열풍로(300)를 따라 소독기 몸체(100)의 하부로 유동한다. 소독기 몸체(100)의 하부로 유동한 열풍 중 일부는 분리벽(110)에 형성된 측면토출부(500)를 통과하여 살균실(200)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바닥면토출부(600)를 통과하여 살균실(200)로 유입된다.
측면토출부(500)를 통하여 살균실(200)로 공급된 열풍은 살균실(20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천정흡입부(700)를 통해 살균실(200) 외부로 배출된다. 측면토출부(500)를 통과한 열풍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소독대상물(P)이 노출된 부분 중 분리벽(110), 도어의 후면, 및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각각에 인접한 부분을 지나면서 소독대상물(P)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을 사멸시킨다. 또한, 열풍이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살균실(200) 내 배치된 소독대상물(P)과 복수 회 접촉되어 접촉시마다 소독대상물(P)을 살균시킴으로써, 살균실(200) 내로 열풍을 골고루 도달시켜 종래 살균소독기에서 국부적으로 소독대상물을 살균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종래 살균소독기에 비해 우수한 살균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바닥면토출부(600) 또한 살균실(200)의 바닥에서 상승하는 열풍을 배출함으로써, 살균실(200)의 중앙 부분에 열풍이 도달하지 않아 살균실(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소독대상물(P)은 살균되지 않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종래의 소독기는 소독기 몸체 내부에 서로 대면하는 좌우 측벽에서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순히 열풍을 배출함으로써, 살균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열풍이 도달하지 못하였고, 소독대상물 중 열풍이 배출되는 관통공에 인접한 부분만 국부적으로 살균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측면토출부(500)의 배출방향을 수평방향으로 꺾음으로써 살균실(200) 내 열풍이 회전상승되도록 하여 소독대상물(P)의 노출 부분 중 분리벽, 도어의 후면,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에 인접한 부분을 지나면서 살균시키고, 바닥면토출부(600)에서 열풍을 상승시킴으로써 살균실(200) 내부 공간에 열풍이 골고루 도달됨과 동시에 소독대상물(P)을 전체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게다가, 열풍의 회전 상승 유동에 의해 소독대상물(P)과 복수 회 접촉될 수 있어, 살균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소독기는 소독기 몸체(100), 살균실(200), 열풍로(300), 히터(400), 측면토출부(500), 바닥면토출부(600), 천정흡입부(700)로 구성되며, 특히 복수 개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돌기(11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중복기술하지 않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기술한다.
바닥면토출부(60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상승기류에 의해 유동하는 점에서 선반(120)의 상부에 거치된 소독대상물(P)은 바닥면토출부(600)과 멀리 위치하게되어 상대적으로 살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측면토출부(500)에서 배출되어 회전하는 열풍 중 일부를 살균실(200)의 중앙으로 유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더하여 소독기 몸체(100)의 후측벽을 굴곡지게 구성하거나 분리벽(110)에 복수의 돌기(111)를 추가 형성하였다.
분리벽(110)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요부(112)와 홈부(113)가 교대로 형성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이 요부(112)와 홈부(113)의 굴곡진 면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난류가 발생되어 열풍의 일부가 살균실(200)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측벽의 굴곡진 면으로 인하여 열풍의 난류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살균실(200) 내부에 열풍이 골고루 미치도록 할 수 있다.
또, 분리벽(110) 또는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돌기(111) 각각은 라운드진 외주면을 갖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격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이 각 돌기(111)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열풍의 일부가 살균실(200)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측벽의 돌기(111)를 형성함으로써 열풍의 와류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살균실(200) 내부에 열풍이 골고루 미치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 ... 소독대상물
100 ... 소독기 몸체 110 ... 분리벽
111 ... 돌기 112 ... 요부
113 ... 홈부
120 ... 선반
200 ... 살균실
300 ... 열풍로 310 ... 바람가이드
320 ... 유도가이드
400 ... 히터
500 ... 측면토출부 510 ... 관통공
520 ... 후드
600 ... 바닥면토출부
700 ... 천정흡입부

Claims (6)

  1. 도어가 결합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벽(110)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 소독대상물(P)이 거치되는 살균실(200)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실(2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110)에 의해 구획되는 통로 형태의 열풍로(300)가 형성된 소독기 몸체(100);
    상기 열풍로(3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풍로(300)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400);
    상기 열풍로(300)가 서로 연통하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열풍로(300)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분리벽(110)의 벽면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소독기 몸체(100)의 도어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에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을 향해 진행방향을 꺾어 상기 살균실(200) 내부로 배출하는 측면토출부(500);
    상기 살균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살균실(200)의 천정을 향해 배출하는 바닥면토출부(600); 및
    상기 살균실(200)의 천정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실(200) 내 공기가 흡입되는 천정흡입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토출부(500)를 통하여 상기 살균실(200)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소독대상물(P)이 노출된 부분 중 상기 분리벽(110), 상기 도어의 후면, 및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각각에 인접한 부분을 타고 지나가면서 상기 살균실(20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천정흡입부(700)를 통해 상기 살균실(200)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열풍이 상기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살균실(200) 내 배치된 상기 소독대상물(P)과 복수 회 접촉되고,
    상기 분리벽(110) 또는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요부(112)와 홈부(113)가 교대로 형성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살균실(200) 내부를 회전하는 열풍이 상기 요부와 상기 홈부의 굴곡진 면이나 상기 각 돌기(111)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열풍의 일부가 상기 살균실(200)의 중앙 부분으로 유동하는 가열소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부(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110)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살균실(200)과 상기 열풍로(300)를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510); 및
    상기 열풍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꺾어진 유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0)이 형성된 상기 분리벽(110)의 양면 중 상기 살균실(200) 측의 벽면에 상기 관통공(510)을 덮도록 상기 분리벽(110)의 벽면에 결합되는 후드(52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510)을 통과하여 상기 후드(520)로 유입된 열풍은 상기 후드(520)의 꺾어진 유로를 타고 상기 분리벽(110)의 벽면과 수직하게 결합된 상기 도어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와 대면하는 후측벽의 전면으로 배출되어 상기 살균실(20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열소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520)는 상기 유로의 입구와 상기 유로의 출구가 서로 수직한 개구방향을 갖도록 종단면“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520)의 출구로 배출된 열풍이 상기 측면토출부(500)가 형성된 상기 분리벽(110)의 벽면을 타고 상기 살균실(2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열소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실(200) 내부에는 복층을 갖는 선반(120)이 배치되고, 상기 분리벽(110)의 벽면 중 상기 선반(120)의 각 층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마다 상기 측면토출부(500)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120)의 각 층마다 열풍이 공급되는 가열소독기.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2832A 2018-03-21 2018-03-21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KR10188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2A KR101880992B1 (ko) 2018-03-21 2018-03-21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2A KR101880992B1 (ko) 2018-03-21 2018-03-21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992B1 true KR101880992B1 (ko) 2018-08-16

Family

ID=6344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32A KR101880992B1 (ko) 2018-03-21 2018-03-21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6B1 (ko) 2019-01-15 2019-11-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전기 식기 소독장
JP7023544B1 (ja) 2020-10-14 2022-02-22 新日本厨機株式会社 食器消毒保管庫
CN115337434A (zh) * 2022-07-29 2022-11-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具有循环风道的消毒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0146A (ja) * 1989-12-06 1991-08-06 Ashida Seisakusho:Kk 和菓子の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10965A (ja) * 2000-06-29 2002-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熱風式保管庫
KR200393540Y1 (ko) * 2005-06-09 2005-08-22 이승구 식기 소독기
KR200434403Y1 (ko) * 2006-09-27 2006-12-20 (주)대신전기산업 전기 식기 소독고
KR20110019252A (ko) * 2009-08-19 2011-02-25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CN107504784A (zh) * 2017-09-29 2017-12-22 贵州苗立克中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制备用热风循环干燥杀菌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0146A (ja) * 1989-12-06 1991-08-06 Ashida Seisakusho:Kk 和菓子の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10965A (ja) * 2000-06-29 2002-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熱風式保管庫
KR200393540Y1 (ko) * 2005-06-09 2005-08-22 이승구 식기 소독기
KR200434403Y1 (ko) * 2006-09-27 2006-12-20 (주)대신전기산업 전기 식기 소독고
KR20110019252A (ko) * 2009-08-19 2011-02-25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CN107504784A (zh) * 2017-09-29 2017-12-22 贵州苗立克中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制备用热风循环干燥杀菌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6B1 (ko) 2019-01-15 2019-11-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전기 식기 소독장
JP7023544B1 (ja) 2020-10-14 2022-02-22 新日本厨機株式会社 食器消毒保管庫
JP2022064581A (ja) * 2020-10-14 2022-04-26 新日本厨機株式会社 食器消毒保管庫
CN115337434A (zh) * 2022-07-29 2022-11-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具有循环风道的消毒柜
CN115337434B (zh) * 2022-07-29 2023-08-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具有循环风道的消毒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992B1 (ko) 열풍 회전방식의 가열소독기
US20130036918A1 (en) Heat cooking device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KR101765858B1 (ko) 신발 건조 소독기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20130124094A (ko) 가정용 살균기 겸용 건조기
KR101812652B1 (ko)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WO2005074776A1 (en) Hand drier with sterilizer
KR200393540Y1 (ko) 식기 소독기
JP2008138975A (ja) 貯蔵庫及び配膳車
KR20170077974A (ko) 다기능 틀니 살균장치
US20060130492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e storage
KR200417529Y1 (ko) 전기 식기 소독기
KR101264366B1 (ko) 신발 및 장갑 건조살균기
KR20130004645A (ko) 자외선 및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장치
KR101877967B1 (ko) 개량된 제습구조를 갖는 내기 순환형 식판 건조 소독고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CN212938716U (zh) 一种具有防潮杀菌功能的衣柜
JP5153234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JP2017101847A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KR101434657B1 (ko) 다기능 식품 건조기
KR200404861Y1 (ko) 신발장
CN113101383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US20200297890A1 (en) Method of and unit for air treatment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