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386B1 -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386B1
KR101880386B1 KR1020170004893A KR20170004893A KR101880386B1 KR 101880386 B1 KR101880386 B1 KR 101880386B1 KR 1020170004893 A KR1020170004893 A KR 1020170004893A KR 20170004893 A KR20170004893 A KR 20170004893A KR 101880386 B1 KR101880386 B1 KR 10188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eatment
therapeutic
control module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 환자의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착용하는 VR 장치; 및 VR 장치에 시각장애 치료를 위한 치료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VR 장치는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영상 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치료영상을 시각장애 환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와, 치료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 주시도 평가, 시력정보, 및 게임 수행 능력 등의 지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인 딥 러닝(Deep Learning)을 통한 안구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적의 조정된 치료영상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피검자의 시각장애의 치료효과를 보다 빠르게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유아와 같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게임 또는 캐릭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유아를 오랫동안 치료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System for curing visual handicap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R 장치를 이용하여 약시 또는 시사와 같은 시각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의 시각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약시는 사시, 굴절이상, 부등시 등의 이유로 시력발달이 잘되지 않아, 적절한 안경을 착용하여도 정상시력이 나오지 않는 질환이다. 조기에 잘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으나 나이가 들수록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시력이 완성되는 만 8-9세가 넘으면 치료효과가 없어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약시의 치료는 적절한 안경 외에 단안가림이나 아트로핀 점안액으로 좋은 눈을 잘 보이지 않게 하여 약시안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소아는 수시간 동안 한쪽 눈을 가리게 하면 순응도가 매우 떨어지게 되어 치료에 집중할 수 없기 때문에 치료를 거부할 수 있으며, 치료를 지속적으로 거부할 경우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어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치료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사시의 경우에는 사시각을 줄이고 눈의 컨트롤을 좋게 하는 방법으로 하루에 수 시간 동안 가림치료를 위한 안대를 사용하고 있다. 사시가 한쪽눈에 주로 나타나는 경우 반대눈만 가리는 경우도 있고, 양안에 번갈아 나타나는 경우 교대가림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또한 그 순응도가 매우 낮아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치료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03392호(2006년 9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VR 장치를 이용하여 약시 또는 시사와 같은 시각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의 시각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은 시각장애 환자의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착용하는 VR 장치; 및 VR 장치에 시각장애 치료를 위한 치료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VR 장치는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영상 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치료영상을 시각장애 환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와, 치료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제어모듈은 시각장애 환자가 약시인 경우,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장애 환자의 우안과 좌안 각각에 분리하여 영상을 제공하며, 우안과 좌안 중 약시안에는 치료영상을 선명하도록 제공하고, 정상안에는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수행 정도에 따라 약시안에 제공되는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보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향으로 조정된 치료영상을 제공하는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 포함하고,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은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수행 정도를 판단하여,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제어모듈은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시력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영상 조정부는 시력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된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바탕으로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제어모듈은 시각장애 환자가 외사시인 경우, 치료영상을 원거리로부터 근거리로 점차 이동시켜 눈이 모아지도록 하고, 다시 치료영상을 원거리로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 제공하는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영상은 게임영상, 동영상 및 증강현실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안구 모니터링 모듈은 치료영상이 움직일 때에 치료영상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시각장애 환자의 양안 중 약시안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며, 영상 제어모듈은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안구의 움직임을 치료영상에 비교하여 주시도 평가를 수행하는 아이트랙킹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장치는 VR 장치의 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영상 제어모듈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전면영상을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전면영상 중 약시안에만 증가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영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은 사물 주시도 평가, 시력정보, 및 게임 수행 능력 등의 지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인 딥 러닝(Deep Learning)을 통한 안구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적의 조정된 치료영상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피검자의 시각장애의 치료효과를 보다 빠르게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유아와 같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게임 또는 캐릭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유아를 오랫동안 치료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을 구성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의 VR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착용상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을 구성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의 VR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100)은 시각장애 치료용 VR 장치(110) 및 영상 제어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시각장애는 약시 및 사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약시 및 사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VR 장치(110)는 시각장애 환자가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영상 제어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장애 치료영상을 시각장애 환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VR 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 카메라 모듈(113) 및 무선통신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VR 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는 영상 제어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장애 치료를 위해 시각장애 환자에게 치료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치료영상은 시각장애의 종류 및 시각장애의 경도에 따라 영상 제어모듈(120)을 통해 제어되며,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은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치료영상에 반응하는 안구의 상태를 촬영한다. 이때,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은 적외선 카메라로 형성되어 시각장애 환자의 양쪽 눈 각각을 독립적으로 촬영하거나, 약시안에 해당하는 안구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후술하는 아이트랙킹 모듈(124)을 통해 시각장애 환자의 안구의 움직임에 대한 주시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모듈(113)은 VR 장치(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면을 촬영하여 전면영상을 생성한다. 촬영된 전면영상은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며, 전면영상은 후술하는 증강현실 영상모듈(127)을 통하여 증강현실 영상과 함께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될 수 있다.
VR 장치(110)는 무선통신 모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114)은 영상 제어모듈(120)에서 제공되는 치료영상을 획득하고,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통해서 획득하는 안구 영상정보를 영상 제어모듈(1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모듈(114)은 무선통신(wire-less)을 통한 인터넷 접속으로 진료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진료 또는 치료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제어모듈(120)은 시각장애의 종류에 따라 치료영상을 VR 장치(110)의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 시력측정 모듈(123), 아이트랙킹 모듈(124), 게임모듈(125), 캐릭터 모듈(126), 증강현실 영상모듈(127), 저장부(128), 및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시각장애 환자가 약시 환자인 것을 고려하여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약시 치료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약시 치료영상은 게임영상, 동영상 및 증강현실 영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시각장애 환자의 우안과 좌안 각각에 분리하여 약시 치료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우안과 좌안 중, 약시안에는 선명한 치료영상을 제공하고, 정상안에는 약시안에 제공되는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향으로 조정된 사시 치료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수행 정도, 즉, 시력향상 정도에 따라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등이 변경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후술하는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 주시도 평가 및 게임 수행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상기 언급한 치료영상의 상태를 시각장애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영상으로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약시 치료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시 치료 중 시각장애 환자 또는 검사자가 자신의 호전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치료의 단계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각장애의 치료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사시 치료영상을 원거리로부터 근거리로 점차 이동시켜 눈이 모아지도록 하며, 다시 치료영상을 원거리로 이동시켜 반복함으로써 눈모음 부족에 대한 훈련으로 사시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눈이 정상적으로 모여지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아이트랙킹 모듈(124)을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은 사시 치료영상을 원거리 6m로부터 4~6cm 이내에 까지 근접하여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도록 반복하여 제공되고, 시간은 10분 이내로 훈련시켜 눈이 지속적으로 모아지도록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치료영상은 캐릭터 영상, 동영상 및 증강현실 영상일 수 있으며, 시각장애 환자가 유아일 때,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캐릭터 형상일 경우 더욱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을 통하여 사시운동을 수행한 후에 사시각 측정을 통해 사시의 호전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사시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VR 장치(110)를 이용하여 6m 거리에 주시타겟을 구현한 후에, 우안과 좌안 각각에 2-3초 간격으로 교대로 주시타켓을 보여주면 사시가 있는 경우 재주시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우안과 좌안에 보이는 주시 타겟의 위치를 조정하여 재주시 운동이 관찰되지 않는 때를 찾아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6미터 거리의 주시 타겟으로 원거리 사시각을 측정하고 33cm 거리에 주시타겟을 구현하여 같은 방법으로 근거리 사시각을 측정한다. 재주시 운동여부는 아이트랙킹 모듈(12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력측정 모듈(123)은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무작위로 표시되는 숫자 또는 그림을 통하여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시력측정은 시각장애 환자 또는 검사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시력측정 모듈(123)을 통해 획득된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은 저장부(128)에 저장되며,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 및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은 측정된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바탕으로 시각장애 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이트랙킹 모듈(124)은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통해 획득된 안구의 움직임과 치료영상에 대해서 적절히 반응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것으로서, 약시의 치료영상의 사물 주시도 평가 또는 사시의 눈모음 정도와 같이 치료영상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반응하지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이트랙킹 모듈(124)은 치료영상에 대해서 움직이고 반응하는 안구의 반응속도 또는 눈 위치의 일치도 정보를 평가하여 저장부(128)에 저장한다. 이때,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2)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게임 모듈(125)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약시 치료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VR 장치(110)와 연동되는 게임일 수 있다. 게임 모듈(125)은 VR 장치(110)의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하여 게임영상을 표시하고, 시각장애 환자는 게임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시각장애 환자가 게임 수행을 통해 획득된 점수는 저장부(128)에 저장된다. 이때,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저장부(128)에 획득된 점수를 바탕으로 해서 게임의 난이도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캐릭터나 장애물을 사용하는 게임의 경우, 점차적으로 캐릭터의 크기 또는 장애물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난이도를 높임과 동시에 게임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환자의 게임 수행능력을 모니터링하여 시각장애 환자에 제공되는 영상의 밝기와 지속시간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시각장애 환자의 눈의 회복정도에 따라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을 통해 게임의 난이도(시력이 좋아야 할 수 있는 것과 나빠도 할 수 있는 것)를 자동을 변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시각장애 환자가 게임을 통해 약시치료를 할 때에,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약시의 정도에 따라 게임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도(교정시력 0.5 이상), 중등도(교정시력 0.5-0.25), 중증 약시(교정시력 0.2 이하)에 따라 게임 캐릭터나 장애물 등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증 약시에는 큰 캐릭터나 장애물을 사용하여 게임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이후 시력이 호전되면 점차 캐릭터나 장애물을 작게 하여 난이도를 높여가면서 시력의 회복속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중 약시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로 선명하고 밝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정상안은 영상의 밝기, 선명도, 대비 등을 줄여가면서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 수행 능력에 따라 자동조절 되도록 한다. 이때, 약시안 영상에는 전체 영상이 모두 제공하고, 정상안에는 전체영상을 제공하거나, 장애물, 적 캐릭터 등이 일부 빠져 있는 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121)은 약시안을 사용하지 않고는 장애물 회피 등 정확한 게임 수행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약시안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훈련시킴으로써 약시안의 회복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VR 장치를 이용하여 360도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흥미 유발 및 순응도를 최대화 시킬 수도 있다.
한편, 게임 중 약시안에만 보이는 영상내 캐릭터가 움직일 때 이를 약시안이 잘 따라보는지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아이트래킹 모듈(124)로 그 속도 및 정확도를 파악하여, 주시도를 평하여 저장부(128)에 저장하여 약시치료 수행 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캐릭터 모듈(126)은 유아들이 좋아할 수 있는 다양하 종류의 캐릭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 환자가 유아인 경우, 유아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캐릭터가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와 같은 시각장애 환자가 수시동안 가림막 치료를 할 때에, VR 장치(110)를 오랜 시간동안 벗지 않고 착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치료효과와 순응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증강현실 영상모듈(127)은 약시안에만 캐릭터와 같은 증강현실 영상 등을 시각장애 환자에게 제공하며, 게임 수행이 어려운 낮은 연령의 시각장애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VR 장치(110)의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113)을 통해 획득된 전면영상이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전면영상은 친밀도가 높은 엄마, 아빠 또는 실물과 같은 캐릭터인 것인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지 않고, 시각장애 환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에니메이션 등을 VR 장치를 통해 시청하도록 하면서, 약시안에 시각장애 환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선명한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되도록 하고, 정상안에는 밝기, 대비 선명도가 저하된 영상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13)을 통해 촬영된 친밀도가 높은 전면영상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증강현실 영상을 추가함으로써 유아와 같이 나이 어린환자의 순응도를 증대시켜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릭터 영상의 움직임에 대해 약시안이 잘 반응하지는 아이트랙킹 모듈(124)을 통해 평가하고, 이 영상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약시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8)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통해 획득된 안구 영상, 아이트랙킹 모듈(124)을 안구영상에 대한 사물 주시도에 대한 수행능력 지표,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 및 게임 성적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29)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통하여 획득되는 시각장애 환자의 안구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29)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에 의해 획득된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영상에 대한 시선 정보를 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검사자는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29)를 통해 표시된 시각장애 환자의 안구의 촬영영상 및 시선정보를 이용하여 시각장애 환자의 회복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23)는 VR 장치(110)의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과 저장부(128)에 저장된 기저장정보도 디스플레이하여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VR 장치(10) 및 영상 제어모듈(120)을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은 저장부(128)에 저장된 사물 주시도 평가, 시력정보, 및 게임 수행 능력 등의 지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인 딥 러닝(Deep Learning)을 통한 안구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최적의 조정된 치료영상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피검자의 시각장애의 치료효과를 보다 빠르게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유아와 같은 시각장애 환자에게 게임 또는 캐릭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유아를 오랫동안 치료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시각장애 치료시스템 110 : VR 장치
111 :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 112 : 안구 모니터링 모듈
113 : 카메라 모듈 114 : 무선통신모듈
120 : 영상 제어모듈 121 :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
122 :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 123 : 시력측정 모듈
124 : 아이트랙킹 모듈 125 : 게임모듈
126 : 캐릭터 모듈 127 : 증강현실 영상모듈
128 : 저장부 129 :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시각장애 환자의 양안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장애 치료를 위한 치료 영상을 재생하면서 안구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치료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VR 장치; 및
    상기 시각장애 환자가 약시인 경우, 약시안에 제공되는 영상과 정상안에 제공되는 영상으로 구성되는 치료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되, 약시안에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캐릭터 및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 포함하는 영상을 제공하고, 정상안에는 상기 제1 품질보다 낮은 제2 품질을 가지며 상기 약시안에 포함된 캐릭터 및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영상 품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시각장애 환자가 약시인 경우, 약시안에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캐릭터 및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 포함하는 약시안 영상과 상기 제1 품질보다 낮은 제2 품질을 가지며 상기 약시안에 포함된 캐릭터 및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정상안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VR 장치에 제공하는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시각장애 환자의 치료수행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시각장애 환자가 사시인 경우,
    상기 치료영상을 원거리로부터 근거리로 점차 이동시켜 눈이 모아지도록 하고, 다시 상기 치료영상을 원거리로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 제공하는 사시 치료영상 제어모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시력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약시 치료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시력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된 상기 시각장애 환자의 시력을 바탕으로 상기 치료영상의 밝기, 선명도, 명암대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영상은,
    게임영상, 동영상 및 증강현실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치료영상이 움직일 때에 상기 치료영상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상기 시각장애 환자의 양안 중 적어도 하나의 안구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안구의 움직임을 상기 치료영상에 비교하여 주시도 평가를 수행하는 파악하는 아이트랙킹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R 장치는,
    상기 VR 장치의 전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전면영상을 상기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치료영상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전면영상 중 상기 약시안에만 증가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영상 모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KR1020170004893A 2017-01-12 2017-01-12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KR10188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893A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7-01-12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893A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7-01-12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386B1 true KR101880386B1 (ko) 2018-07-19

Family

ID=6305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893A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7-01-12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38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1871A (zh) * 2018-10-22 2019-03-26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融合功能的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58303A (ko)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CN111616929A (zh) * 2020-04-30 2020-09-04 尹澜 基于vr的屈光训练设备
CN112315754A (zh) * 2020-10-30 2021-02-05 河南智领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vr眼镜的视力训练方法及vr眼镜
KR20210030735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이엠텍 미용 마스크 장치
CN112972220A (zh) * 2021-03-19 2021-06-18 上海市第十人民医院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近视防控治疗仪及防控治疗系统
WO2021158896A1 (en) * 2020-02-07 2021-08-12 Amblyotech Inc. Method of improving stereoacuity using an interval-based protocol
WO2022010152A1 (ko) * 2020-07-07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고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30079576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피지오닉스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CN116807849A (zh) * 2023-06-20 2023-09-29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眼动追踪的视觉训练方法及装置
WO2024096489A1 (ko) * 2022-10-31 2024-05-10 (주)아이씨유코퍼레이션 Vr을 이용한 사시 및 사위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392A (ko) 2005-03-26 2006-09-29 최효승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US20100073469A1 (en) * 2006-12-04 2010-03-25 Sina Fateh Methods and systems for amblyopia therapy using modified digital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392A (ko) 2005-03-26 2006-09-29 최효승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US20100073469A1 (en) * 2006-12-04 2010-03-25 Sina Fateh Methods and systems for amblyopia therapy using modified digital content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1871B (zh) * 2018-10-22 2022-02-01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融合功能的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521871A (zh) * 2018-10-22 2019-03-26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融合功能的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78884B1 (ko) 2018-11-16 2021-07-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00058303A (ko)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20116669A1 (ko) * 2018-12-04 2020-06-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20200067398A (ko) * 2018-12-04 2020-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2174241B1 (ko) * 2018-12-04 2020-1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2339114B1 (ko) 2019-09-10 2021-12-15 주식회사 이엠텍 미용 마스크 장치
KR20210030735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이엠텍 미용 마스크 장치
WO2021158896A1 (en) * 2020-02-07 2021-08-12 Amblyotech Inc. Method of improving stereoacuity using an interval-based protocol
CN111616929A (zh) * 2020-04-30 2020-09-04 尹澜 基于vr的屈光训练设备
CN111616929B (zh) * 2020-04-30 2023-04-07 尹澜 基于vr的屈光训练设备
WO2022010152A1 (ko) * 2020-07-07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고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2315754A (zh) * 2020-10-30 2021-02-05 河南智领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vr眼镜的视力训练方法及vr眼镜
CN112315754B (zh) * 2020-10-30 2022-11-01 河南智领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vr眼镜的视力训练系统及vr眼镜
CN112972220A (zh) * 2021-03-19 2021-06-18 上海市第十人民医院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近视防控治疗仪及防控治疗系统
KR20230079576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피지오닉스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WO2024096489A1 (ko) * 2022-10-31 2024-05-10 (주)아이씨유코퍼레이션 Vr을 이용한 사시 및 사위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CN116807849A (zh) * 2023-06-20 2023-09-29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眼动追踪的视觉训练方法及装置
CN116807849B (zh) * 2023-06-20 2024-05-03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眼动追踪的视觉训练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386B1 (ko)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US9788714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for the measurement and/or improvement of human vestibulo-ocular performance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US10716469B2 (en) Ocular-performance-based head impact measurement applied to rotationally-centered impact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EP3515284B1 (en) Screening apparatus
US93703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vestibulo-ocular reflex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in an occupational environment
US11389059B2 (en) Ocular-performance-based head impact measurement using a faceguard
US10548805B2 (en)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CN113208884B (zh) 视觉检测与视觉训练设备
JP2020509790A5 (ko)
US11523963B2 (en)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US10602927B2 (en) Ocular-performance-based head impact measurement using a faceguard
CN107249433A (zh) 用于测量眼能动性的系统和方法
JP2024041929A (ja) 複視及び輻輳不全障害の治療方法及び装置
US20100305411A1 (en) Control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evices relevant to distance of visual fixation using input from respiratory system and/or from eyelid function
US20200397288A1 (en) Medical system and method operable to control sensor-based wearable devices for examining eyes
CN114903760A (zh) 一种斜视训练设备
NL2016085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o determine a strabismus angle between the eyes of an individual.
AU2017200112A1 (en)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KR20230068727A (ko) 사시교정을 위한 안구인식 방법
RU23140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аккомод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