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303A -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8303A KR20200058303A KR1020190146444A KR20190146444A KR20200058303A KR 20200058303 A KR20200058303 A KR 20200058303A KR 1020190146444 A KR1020190146444 A KR 1020190146444A KR 20190146444 A KR20190146444 A KR 20190146444A KR 20200058303 A KR20200058303 A KR 20200058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habilitation
- eye movement
- movement disorder
- evaluation index
- evalu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은,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 상기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고, 판단된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 및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재활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안구운동장애는 안구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상직근(superior rectus muscle), 하직근(inferior rectus muscle), 내직근(medial rectus muscle), 외직근(lateral rectus muscle), 상사근(superior oblique tendon) 및 하사근(inferior oblique muscle)의 6개 근육(도 1 참고)과 이들 근육을 지배하는 3, 4, 6번 각 신경과 근육의 연접부 병변 및 뇌 병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구운동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 반복적인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훈련 시스템은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의 정도와 훈련 목적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의 정도와 훈련 목적에 따라 맞춤형으로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은,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 상기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고, 판단된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 및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재활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은,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활 영상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 정도의 평가 결과 상기 재활 프로그램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로 재진입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의 정도와 훈련 목적에 따라 맞춤형으로 재활 훈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구운동장애 재활치료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안구와 안구를 감싸고 있는 근육의 명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형식의 재활 프로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형식의 재활 프로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따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100)은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 재활 영상 제공부(130) 및 피드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안구 추적 장치(eye tracking device)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안구운동을 측정할 수 있다.
안구 추적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상자가 주시해야 하는 마커를 제공하고, 대상자가 제공되는 마커를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영함으로써, 대상자의 안구운동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추적 장치는 안구를 촬상할 수 있는 촬영모듈을 구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스마트 고글, 디스플레이 장착 헬멧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임상적으로 평가한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는 신경학적 진찰 정보, 사시각 측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지표는 안구운동의 방향과 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대상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각 근육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여 장애가 있는 근육을 선정하고 해당 근육의 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지표는 시추적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와, 단속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안구운동은 시추적 운동과 단속 운동이 결합되어 수행되는 것이므로, 안구운동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시추적 운동과 단속 운동 모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안구운동장애가 나타나는 형태에 따라서 시추적 운동과 단속 운동에서 운동 기능이 떨어지는 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시추적 운동과 단속 운동 각각에 대한 평가 지표를 산출함으로써 안구운동장애에 대해서 보다 정밀하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시추적 운동은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즉, 타겟)를 따라가는 안구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타겟에 대한 안구 움직임의 정확도, 즉 안구 움직임에 관여하는 각 근육별 기능 정도를 기 저장된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로서 안구의 시추적 운동시의 각 근육과 연계된 안구 운동의 속도 및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단속 운동은 주시점이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할 때의 안구의 빠른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는 단속 운동의 평가 지표로서 안구의 단속 운동시의 속도, 마커의 위치와 주시점 사이의 오차 거리, 마커의 위치와 주시점이 근접할 때까지(즉, 시추적 운동이 발현되기 전까지)의 연속된 단속 운동의 횟수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에 의해 정량적으로 평가된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 정보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고, 훈련 목적에 따른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에 의해 산출된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가 기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훈련 목적을 시추적 운동의 개선, 즉 대상자의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를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단속 운동의 평가 지표가 기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훈련 목적을 단속 운동의 개선, 즉 대상자의 단속 운동의 평가 지표를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와 단속 운동의 평가 지표를 모두 고려하여 각 운동의 기능이 떨어진 정도에 따라 훈련 목적의 비율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활 프로그램의 비율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장애가 있는 근육의 재활을 위해 해당 근육에 해당하는 안구운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훈련 목적이 시추적 운동의 개선으로 판단된 경우 안구운동 기능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시자극 영상을 제공하도록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애가 있는 근육의 수축력(isometric power) 및 등장력(isotonic power)을 증강시키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여 시추적 운동의 속도 및 각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훈련 목적이 단속 운동의 개선으로 판단된 경우 순간적인 주시점의 변화를 유도하는 시자극 영상을 제공하도록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속 운동의 반복적인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여 단속 운동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훈련 목적의 비율에 따라서 재활 프로그램의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재활 프로그램이 100으로 할 경우,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가 단속 운동의 평가 지표에 비해 운동 기능이 더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훈련 목적에서 시추적 운동의 개선의 비율이 높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시추적 운동의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비율을 50 보다 높게 조절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함에 있어서 대상자의 평가 지표를 고려하여 훈련 강도 및 목표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후술하는 피드백부(140)로부터 제공된 수행 정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훈련 강도 및 목표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의 정도 및 훈련에 의한 안구운동장애의 개선 정도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훈련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는 대상자의 재활 훈련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으로 재활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게임 형식의 콘텐츠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형식의 재활 프로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시추적 운동의 개선을 위해 적용 가능한 다양한 게임을 예시하는 것으로, (a) 길찾기 게임, (b) 레이싱 게임, (c) 포트리스 게임, (d) 골프(스포츠) 게임 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안구운동에 의해 게임 내에서 움직이는 방향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시추적 운동을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단속 운동의 개선을 위해 적용 가능한 게임을 예시하는 것으로, 사격 게임 등을 활용하여 대상자가 목표물을 주시하는 안구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단속 운동을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게임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훈련 목적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식의 게임이 적용될 수 있다.
재활 영상 제공부(130)는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대상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재활 영상 제공부(130)는 안구를 촬상할 수 있는 촬영모듈을 구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스마트 고글, 디스플레이 장착 헬멧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가 안구 추적 장치(eye tracking device)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안구운동을 측정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재활 영상 제공부(130)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와 통합 구현되어 안구 추적 장치를 통해 재활 영상을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부(140)는 재활 영상 제공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재활 영상에 대한 대상자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부(140)는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안구운동장애 평가부(110)에 의해 산출된 평가 지표와 대비하여 안구운동이 개선된 정도를 각 평가 지표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140)는 산출된 평가 결과를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로 전달함으로써,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120)가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훈련 강도 및 목표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산출한다(S510).
이후, 산출된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고(S520), 훈련 목적에 따른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S530).
이후, 설정된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고(S540), 재활 영상에 대한 대상자의 수행 정도를 평가한 후(S550), 재활 프로그램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S560), 상술한 S53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110: 안구운동장애 평가부
120: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
130: 재활 영상 제공부
140: 피드백부
110: 안구운동장애 평가부
120: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
130: 재활 영상 제공부
140: 피드백부
Claims (9)
-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안구운동장애 평가부;
상기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고, 판단된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 및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재활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지표는 시추적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 및 단속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시추적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는 시추적 운동시 안구 움직임에 관여하는 각 근육과 연계된 안구 운동의 속도 및 각도를 기 저장된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정량화하여 산출되며,
상기 단속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는 단속 운동시의 속도, 마커의 위치와 주시점 사이의 오차 거리 및 시추적 운동이 발현되기 전까지의 연속된 단속 운동의 횟수를 기 저장된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정량화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시추적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가 기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훈련 목적을 시추적 운동의 개선으로 판단하고, 안구운동 기능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시자극 영상을 제공하도록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단속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가 기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훈련 목적을 단속 운동의 개선으로 판단하고, 순간적인 주시점의 변화를 유도하는 시자극 영상을 제공하도록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시추적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와 상기 단속 운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모두 고려하여 훈련 목적의 비율을 조절하고, 조절된 비율에 따라 시자극 영상의 비율을 조절하여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평가 지표를 고려하여 훈련 강도 및 목표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재활치료 대상자의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평가 지표와 대비하여 안구운동이 개선된 정도를 각 평가 지표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로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활 프로그램 설정부는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제공된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재활 프로그램의 훈련 강도 및 목표를 조절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 재활치료 대상자의 안구운동 측정 결과 또는 안구운동장애 평가 정보를 기초로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안구운동장애 평가 지표를 기초로 훈련 목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훈련 목적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재활 영상을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활 영상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 대상자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 정도의 평가 결과 상기 재활 프로그램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재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로 재진입하는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
- 제 8 항에 따른 안구운동장애 재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409 | 2018-11-16 | ||
KR20180141409 | 2018-11-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303A true KR20200058303A (ko) | 2020-05-27 |
KR102278884B1 KR102278884B1 (ko) | 2021-07-21 |
Family
ID=7091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6444A KR102278884B1 (ko) | 2018-11-16 | 2019-11-15 |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88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1878A (ko) | 2021-11-16 | 2023-05-24 | 장영진 |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
KR20240102369A (ko) | 2022-12-26 | 2024-07-03 | (주)씨아이엘광학 | 모바일 단말기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진단치료용 웨어러블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2474A (ja) * | 1998-03-18 | 1999-09-28 |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 視覚検査装置 |
JP2000245697A (ja) * | 1999-03-04 | 2000-09-12 | Nippon Hoso Kyokai <Nhk> | 視機能測定装置および視機能測定用記憶媒体 |
KR20160090065A (ko) * | 2015-01-21 | 2016-07-29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선 추적 기반 재활 시스템 |
KR101880386B1 (ko) * | 2017-01-12 | 2018-07-1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6444A patent/KR1022788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2474A (ja) * | 1998-03-18 | 1999-09-28 |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 視覚検査装置 |
JP2000245697A (ja) * | 1999-03-04 | 2000-09-12 | Nippon Hoso Kyokai <Nhk> | 視機能測定装置および視機能測定用記憶媒体 |
KR20160090065A (ko) * | 2015-01-21 | 2016-07-29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선 추적 기반 재활 시스템 |
KR101880386B1 (ko) * | 2017-01-12 | 2018-07-1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1878A (ko) | 2021-11-16 | 2023-05-24 | 장영진 |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
KR20240102369A (ko) | 2022-12-26 | 2024-07-03 | (주)씨아이엘광학 | 모바일 단말기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건조증 진단치료용 웨어러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8884B1 (ko) | 2021-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88714B2 (en) | System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for the measurement and/or improvement of human vestibulo-ocular performance | |
Bruce et al. | But I can’t pass that far! The influence of motor skill on decision making | |
US937030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vestibulo-ocular reflex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in an occupational environment | |
US9355583B2 (en) | Exercising application for personal audio/visual system | |
US7195355B2 (en) | Isolating and quantifying functional impairments of the gaze stabilization system | |
US20160275805A1 (en) | Wearable sensors with heads-up display | |
WO2008020181A2 (en) | Determination of distance of visual fixation using input from respiratory system and/or from eyelid functio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pplications including the focus of image capture and viewing devices | |
KR102278884B1 (ko) | 안구운동장애 재활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US20140335950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 |
US20200219468A1 (en) | Head mounted displaying system and im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 |
US20210356770A1 (en) | Wearable training apparatus, a training system and a training method thereof | |
Ceyte et al. | Visuo-oculomotor skills related to the visual demands of sporting environments | |
KR20180034278A (ko) | 시지각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 |
Bulson et al. | The effect of retinal defocus on golf putting | |
Clark et al. | Depth Perception Improvement in Collegiate Baseball Players with Vision Training. | |
Zhu | Perceiving the affordance of string tension for power strokes in badminton: Expertise allows effective use of all string tensions | |
KR102255342B1 (ko) | 가상현실 게임 및 복합 생체신호 센서 기반의 전정-안반사 재활 장치 | |
KR101946341B1 (ko) |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 |
Piras et al. | Visual strategies underpinning the spatiotemporal demands during visuomotor tasks in predicting ball direction | |
US20200193857A1 (en) | Performance optimization implementing virtual element perturbation | |
CN113855498B (zh) | 三维视觉训练系统 | |
Micarelli et al. | Visual dependency and postural control on swing performance in golf players | |
Goble et al. | Balance declines may predict relapse onset in multiple sclerosis—a case study | |
US9911037B2 (en) | System and method of feedback for attention and concentration | |
KR101813474B1 (ko) | 가상 현실을 이용한 심리 치료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