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576A -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 Google Patents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9576A KR20230079576A KR1020210166439A KR20210166439A KR20230079576A KR 20230079576 A KR20230079576 A KR 20230079576A KR 1020210166439 A KR1020210166439 A KR 1020210166439A KR 20210166439 A KR20210166439 A KR 20210166439A KR 20230079576 A KR20230079576 A KR 202300795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user
- contact
- measures
- emg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16686 tic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3542 behavioral therapy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1652 frontal lob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1384 Obsessive-Compuls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323 Tourett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6620 Tourett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16 zygo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96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688 Generalised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912 Phob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364 generalized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03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899 phob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73 post-traumatic stre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7—Analysis of electromy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2—Diagnosing or monitoring movement diseases, e.g. Parkinson, Huntington or Touret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안면부에 접촉되는 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 이를 VR 콘텐츠에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자각 인식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안기술은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안면부에 접촉되는 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 이를 VR 콘텐츠에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자각 인식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틱(tic)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빠르고 반복적이며 불규칙하게 근육을 움직이고 소리내는 증상이다.
만성틱은 뚜렛증후군으로 발전하게 되고, 뚜렛증후군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우울증, 강박증 등 다른 질환을 동반하기 때문에 사회 적응력 문제 등 삶의 질을 저하시키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틱 장애는 강박장애와 마찬가지로 뇌의 피질-선조체-시상-피질 회로의 기능 이상과 관련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발생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한편, 현재 헬스 케어 산업에서는 의사가 약 대신 게임, VR 등을 활용한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뇌신경계/신경정신질환 등에 탁월하며, 개발 기간이 짧고 저렴하며 부작용이 적어 3년 후 미국의 디지털 치료제 시장은 5조 48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틱 장애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의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틱 전구증상 완화 및 이를 유발시키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neurofeedback)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실의 공간 제약적인 문제에서 탈피하여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
웨어러블 장치 중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며, 생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며,
센서유닛은,
웨어러블 장치에 결합되는 센서본체부;
센서본체부에 부착되며, 센서가 장착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고,
센서는,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전두엽의 뇌전도(EEG)를 측정하는 FP1 센서 및 FP2 센서;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광용적맥파를 측정하는 PPG센서;
사용자의 일측 눈 윗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와 안전도(EOG)를 측정하는 제1센서;
사용자의 타측 눈 윗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를 측정하는 제2센서;
사용자의 일측 눈 아랫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와 안전도(EOG)를 측정하는 제3센서;
사용자의 타측 눈 아랫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를 측정하는 제4센서;
사용자의 코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접촉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접촉되며, FP1 센서 및 FP2 센서의 레퍼런스가 측정되는 되는 제1레퍼런스 센서;
사용자의 일측 눈 옆부분에 접촉되며, 제1센서와 제3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고 동시에 안전도를 측정하는 제2레퍼런스 센서;
사용자의 타측 눈 옆부분에 접촉되며, 제2센서와 제4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고 동시에 안전도를 측정하는 제3레퍼런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성회로기판에서 사용자의 이마 중심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센서와 연성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지부(groun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 유닛을 통해 획득한 생체 신호는 웨어러블 장치에 부착된 마운트형 모듈 본체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외부 근전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근전도 모듈은 획득한 생체 신호를 마운트형 모듈 본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뇌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외부 뇌전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뇌전도 모듈은 획득한 생체 신호를 마운트형 모듈 본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틱증세 질환자의 틱 장애 완화 및 이를 유발시키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 이를 VR 콘텐츠에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자각 인식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한 정성적, 정량적 측정을 통해 환자의 체계적인 재활 훈련이 가능하며, 현실의 공간 제약적인 문제에서 탈피하여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틱 증상 완화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 증대로 ADHD, PTSD, GAD, Phobia 등의 분야로 확장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 센서 본체부 및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와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본체부와 연성회로기판의 결합 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연성회로기판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유닛의 안면부 접촉 위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근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뇌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생체 신호 측정 및 피드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 센서 본체부 및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와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본체부와 연성회로기판의 결합 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연성회로기판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유닛의 안면부 접촉 위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근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뇌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생체 신호 측정 및 피드백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안면부에 접촉되는 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 이를 VR 콘텐츠에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자각 인식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2)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 장착되어 연동되어 사용되는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 결합되며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연결되는 센서유닛(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2)는 왼쪽 렌즈와 오른쪽 렌즈에 대해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장치(2)는 왼쪽 렌즈를 통해 사용자의 왼쪽 눈으로 전달할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오른쪽 렌즈를 통해 사용자의 오른쪽 눈으로 전달할 우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2)는 각각 다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가상의 3차원 공간 내에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또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 센서 본체부 및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마운트형 모듈 본체와 웨어러블 장치의 결합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2)중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본체부와 연성회로기판의 결합 시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 결합되는 센서본체부(8)와, 상기 센서본체부(8)에 부착되며, 복수 개의 센서가 장착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2)와 상기 센서유닛(6)의 결합 시, 상기 센서본체부(8)의 전면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 접촉된다. 상기 센서본체부(8)의 후면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이 부착된다.
상기 센서본체부(8)의 후면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굴곡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본체부(8)는 상기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체 또는 쿠션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2)를 장착했을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되어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연성회로기판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센서 유닛의 안면부 접촉 위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FP1 센서(12), FP2 센서(14), PPG(Photoplethysmogram) 센서(16), 온도센서(18), 제1센서(20), 제2센서(22), 제3센서(24) 및 제4센서(26)를 포함한다.
상기 FP1 센서(12) 및 FP2 센서(14)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상기 FP1 센서(12) 및 FP2 센서(14)는 전전두엽의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FP1 센서(12)와 FP2 센서(14)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FP1 센서(12)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안면에 배치되고, 상기 FP2 센서(14)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산업통산자원부의 한국인 인체 지수 조사에 따르면 2015년 기준 16세~69세까지 남녀 머리 둘레의 평균은 540mm~585mm로 나타난다. 이때, 머리 둘레 평가 기준은 눈살점과 뒤통수 돌출점을 지나는 둘레가 된다.
일반적으로 뇌전도 측정 시 FP1과 FP2를 측정하는 기준은 머리 둘레의 10% 위치로, 16세 이상의 한국인 기준 FP1과 FP2 사이 거리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머리 둘레가 585mm일 경우, FP1과 FP2 사이 거리는,
585mm*10%[(10%*360°)/360°] = 58.5mm
*머리 둘레가 540mm일 경우, FP1과 FP2 사이 거리는,
540mm*10% = 54.0mm
따라서, 상기 FP1 센서(12)와 상기 FP2 센서(14)는 16세 이상 한국인 남녀의 평균 머리 둘레를 모두 포함하는 56mm간격으로 배치되며, 지름이 10mm인 전극이 적용되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마 중심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연성회로기판(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지부(ground)(34)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34)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폭 방향으로 상기 FP1 센서(12)와 상기 FP2 센서(14)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PG 센서(16)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광용적맥파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PPG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폭 방향으로 상기 FP2 센서(14)와 상기 접지부(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0)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눈 윗부분(예를 들어, 눈썹 부근)에 접촉되는 것으로,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와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2센서(22)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눈 윗부분(예를 들어, 눈썹 부근)에 접촉되는 것으로, 근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1센서(20)와 상기 제2센서(22)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센서(24)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눈 아랫부분(예를 들어, 광대 부근)에 접촉되는 것으로, 근전도와 안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4센서(26)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눈 아랫부분(예를 들어, 광대 부근)에 접촉되는 것으로, 근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3센서(24)와 상기 제4센서(16)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8)는 상기 사용자의 코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접촉된다. 상기 온도센서(18)는 상기 사용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18)의 위치에 따라 주변 온도 및 피부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코 밑 부분에 확장 센서를 배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온도 변화로 인해 호흡수 평가가 가능하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에는 상기 센서의 레퍼런스 측정을 위한 제1레퍼런스 센서(28), 제2레퍼런스 센서(30) 및 제3레퍼런스 센서(32)가 장착된다.
상기 제1레퍼런스 센서(28)는 상기 FP1 센서(12)와 FP2 센서(14)의 레퍼런스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1레퍼런스 센서(28)는 상기 사용자 코의 양측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의 볼에 접촉된다.
상기 제2레퍼런스 센서(30)는 상기 제1센서(20)와 상기 제3센서(24)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안면의 안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2레퍼런스 센서(30)에서 측정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와 안전도는 동시에 또는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퍼런스 센서(30)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눈꼬리 옆부분에 접촉된다.
상기 제3레퍼런스 센서(32)는 상기 제2센서(22)와 상기 제4센서(26)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며, 상기 사용자의 왼쪽 안면의 안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3레퍼런스 센서(30)에서 측정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와 안전도는 동시에 또는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3레퍼런스 센서(32)는 상기 사용자의 왼쪽 눈꼬리 옆부분이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퍼런스 센서(30)와 상기 제3레퍼런스 센서(32)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0)에서 상기 제2센서(22)와 상기 제3레퍼런스 센서(32) 사이에는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의 FFC 커넥터와 접촉되기 위한 FFC 접촉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FFC 접촉부(46)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FFC 접촉부(46)를 구성하지 않고 무선 연결되어 생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근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틱 증세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6)으로는 측정하기 어려운 어깨, 팔, 하지 부분 등에 부착하여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근전도 모듈(36)을 구성하였다.
상기 외부 근전도 모듈(36)은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무선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근전도 모듈(36)은 본체부(38)와 부착센서부(4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38)와 상기 부착센서부(40)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부착센서부(4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부착센서부(40)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는 상기 본체부(38)로 전송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외부 뇌전도 모듈 장착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유닛(6)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뇌전도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추가로 부착하여 뇌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뇌전도 모듈을 구성하였다.
상기 외부 뇌전도 모듈(42)은 와이어(44)를 통해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장치의 생체 신호 측정 및 피드백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유닛(6)의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상기 외부 근전도 모듈(36)을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외부 뇌전도 모듈(42)을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의 신호변환부로 전송된다.
상기 신호변환부에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물리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4)의 통신부는 유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형태로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변환된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2)에서는 전달받은 상기 생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자각 인식과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웨어러블 장치
4 : 마운트형 모듈 본체
6 : 센서유닛
8 : 센서본체부
10 : 연성회로기판
12 : FP1 센서
14 : FP2 센서
16 : PPG 센서
18 : 온도센서
20 : 제1센서
22 : 제2센서
24 : 제3센서
26 : 제4센서
28 : 제1레퍼런스 센서
30 : 제2레퍼런스 센서
32 : 제3레퍼런스 센서
34 : 접지부
36 : 외부 근전도 모듈
38 : 본체부
40 : 부착센서부
42 : 외부 뇌전도 모듈
44 : 와이어
46 : FFC 접촉부
4 : 마운트형 모듈 본체
6 : 센서유닛
8 : 센서본체부
10 : 연성회로기판
12 : FP1 센서
14 : FP2 센서
16 : PPG 센서
18 : 온도센서
20 : 제1센서
22 : 제2센서
24 : 제3센서
26 : 제4센서
28 : 제1레퍼런스 센서
30 : 제2레퍼런스 센서
32 : 제3레퍼런스 센서
34 : 접지부
36 : 외부 근전도 모듈
38 : 본체부
40 : 부착센서부
42 : 외부 뇌전도 모듈
44 : 와이어
46 : FFC 접촉부
Claims (8)
-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 중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며, 생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결합되는 센서본체부;
상기 센서본체부에 부착되며,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전두엽의 뇌전도(EEG)를 측정하는 FP1 센서 및 FP2 센서;
상기 사용자의 이마에 접촉되며, 광용적맥파를 측정하는 PPG센서;
상기 사용자의 일측 눈 윗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와 안전도(EOG)를 측정하는 제1센서;
상기 사용자의 타측 눈 윗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를 측정하는 제2센서;
상기 사용자의 일측 눈 아랫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와 안전도(EOG)를 측정하는 제3센서;
상기 사용자의 타측 눈 아랫부분에 접촉되며, 근전도(EMG)를 측정하는 제4센서;
상기 사용자의 코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접촉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접촉되며, 상기 FP1 센서 및 FP2 센서의 레퍼런스가 측정되는 되는 제1레퍼런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일측 눈 옆부분에 접촉되며,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3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고 동시에 안전도를 측정하는 제2레퍼런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타측 눈 옆부분에 접촉되며,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4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전도의 레퍼런스를 측정하고 동시에 안전도를 측정하는 제3레퍼런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마 중심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지부(groun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을 통해 획득한 생체 신호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부착된 마운트형 모듈 본체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외부 근전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근전도 모듈은 획득한 생체 신호를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뇌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외부 뇌전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뇌전도 모듈은 획득한 생체 신호를 상기 마운트형 모듈 본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기반 틱장애 행동치료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39A KR20230079576A (ko) | 2021-11-29 | 2021-11-29 |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6439A KR20230079576A (ko) | 2021-11-29 | 2021-11-29 |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576A true KR20230079576A (ko) | 2023-06-07 |
Family
ID=8676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6439A KR20230079576A (ko) | 2021-11-29 | 2021-11-29 |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957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386B1 (ko) | 2017-01-12 | 2018-07-1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
-
2021
- 2021-11-29 KR KR1020210166439A patent/KR202300795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386B1 (ko) | 2017-01-12 | 2018-07-1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2720B2 (en) |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electrophysiological sensors | |
US7575005B2 (en) | Mask assembly with integrated sensors | |
ES2910273T3 (es) | Sistema de medición y retroalimentación de la actividad cerebral | |
US20200085331A1 (en) | Wearable electrocardiographic measurement device | |
KR102472492B1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205493806U (zh) | 穿戴式心电检测装置 | |
Manabe et al. | Conductive rubber electrodes for earphone-based eye gesture input interface | |
Baek et al. | Enhancing the Usability of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s | |
KR101218200B1 (ko) | 인체 장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134447A (ko) | 신경 병태 검출 유닛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 |
AU202029372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dampening for biosignal sensing and influencing | |
KR20120111030A (ko) | 인체 장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 |
CN104665827A (zh) | 穿戴式生理检测装置 | |
KR20230079576A (ko) | Vr 기반 틱장애 행동 치료를 위한 바이오 피드백 장치 | |
WO2017060560A1 (en) |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electrode measurements | |
Shusharina et al. | Multifunctional neurodevice for recognition of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and data transmission in an exoskeleton construction | |
An et al. | Development of a virtual keyboard system using a bio-signal interface and preliminary usability test | |
Matthews et al. | Psycho-physiological sensor techniques: an overview | |
KR102464818B1 (ko) | 생체 정보 측정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40103285A1 (en) | Integrated health sensors | |
WO2021153822A1 (ko) | 가상현실/증강현실 헤드셋 환경에서 연동 가능한 무선 기반 다중생체신호 측정 및 실시간 생체신호 분석이 가능한 다중생체신호 측정장치 | |
KR20090081786A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안구운동 추적 시스템 및 추적방법 | |
JP2022077070A (ja) | 脳波測定装置 | |
CN117724606A (zh) | 集成健康传感器 | |
Kasyanova et al. | Biointerfaces: Types, Application and Perspecti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