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392A -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92A
KR20060103392A KR1020050025269A KR20050025269A KR20060103392A KR 20060103392 A KR20060103392 A KR 20060103392A KR 1020050025269 A KR1020050025269 A KR 1020050025269A KR 20050025269 A KR20050025269 A KR 20050025269A KR 20060103392 A KR20060103392 A KR 20060103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game
training
learning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승
Original Assignee
최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승 filed Critical 최효승
Priority to KR102005002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392A/ko
Publication of KR2006010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훈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이다. 이를 통하여 속독 능력과 안구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훈련 방법 대비 저비용과 고효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시각, 훈련, 이미지, 요소, 학습, 치료, 수면, 최면, 게임, 경기

Description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which for visual training, learning, curing, sleep-inducing, game and spo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다양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2열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연속된 이미지 이동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폭 확대 및 고속시점이동의 원리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폭 확대 및 고속시점이동과 입체화 원리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훈련 장치의 원근 배치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구적 시각훈련 장치 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문장 1회 반복 최면 학습 문자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표시부 02. 이미지 요소
본 발명은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이미지 요소를 활용하여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이츠 박사의 이론에 따르면 눈의 질환의 태반은 안근에 있는 것이므로 그 직근과 사근으로 구성되는 안근에 대해서 약간의 회복훈련을 시행하면 눈은 정상의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고 한다.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0344(2002.02.04) '컴퓨터를 이용한 안구 운동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배경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배경 화면과 보색 관계를 가지는 색의 점을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점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은 종래의 속독 훈련의 시점 이동 방법과 유사하며 일정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임의대로 안구를 이동시키는 것은 피곤함을 가중하고 효과가 그렇게 탁월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그 결과 일반 대중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유사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활용하고 있으나 고비용으로 인하여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측면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기술이 적용된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 요소는 2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기구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각 훈련 방법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는 도형문자이거나 정지화상이거나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이동 형태는 다양한 정속 또는 가감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입체 기술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최근에는 입체 기술의 발달로 표시 장치 화면만으로 수미터의 입체를 실감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런 기술을 통하여 수정체 운동이 가능하게 되었고 본 발명에 의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시각 훈련 방법에 상기 입체 기술을 적용하면 속독과 더불어 시력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입체는 기구적 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입체는 전기 전자적 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입체는 광학적 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장치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입체적으로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장치는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각 훈련 장치이며 상기 시각 훈련 장치는 전자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며 상기 시각 훈련 장치는 광학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전기 전자적으로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며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광학적으로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다.
또한 상기 매체는 영상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매체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이미지 요소를 우에서 좌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좌에서 우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혹은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이동하거나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 요동하거나 좌단 혹은 우단 혹은 상단 혹은 하단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로 요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시각 이미지 요소가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우에서 좌로 그리고 좌에서 우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동시에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동시에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이미지 요소를 우에서 좌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좌에서 우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혹은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이동하거나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 요동하거나 좌단 혹은 우단 혹은 상단 혹은 하단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로 요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시각 이미지 요소가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우에서 좌로 그리고 좌에서 우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동시에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동시에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2가지 이상이 한 화면상에서 동시에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이미지 요소를 우에서 좌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좌에서 우로 혹은 위에 서 아래로 혹은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이동하거나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 요동하거나 좌단 혹은 우단 혹은 상단 혹은 하단을 기준으로 상하 혹은 좌우로 요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시각 이미지 요소가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우에서 좌로 그리고 좌에서 우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동시에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서 우상에서 좌하로 혹은 좌하에서 우상으로 혹은 좌상에서 우하로 혹은 우하에서 좌상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함과 동시에 문자열이 회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발명은 안구로 하여금 동시에 다양한 시각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이미지 요소를 롤(Roll) 방식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스틸(Still) 방식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1열 이상의 문자열이 이동하되 각각의 이동 속도가 다르며 동시에 특정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발명은 영상물의 크기를 대폭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시각훈련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매체는 디브이디(DVD) 혹은 브이시디(VCD) 혹은 시디(CD) 혹은 브이티알 테이프(VTR TAPE) 혹은 하드 디스크(HARD DISC) 혹은 비디오 온 디멘드(VOD) 시스템 저장 장치등 기타 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이동 속도를 수치로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크롤(Crawl), 롤(Roll), 스틸(Still) 이동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장치는 텔레비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 또한 상기 장치는게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며 또한 상기 장치는 모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며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며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로서 휴대폰은 그 화면표시장치가 특별히 유기이엘 타입의 화면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 엘시디 액정장치의 응답속도의 한계를 극복한 유기이엘을 채택하여 잔상이 거의 인식되지 않는 장치를 통하여 시각 훈련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브라운관을 적용할 수 있고 기술발달을 전제로 하여 엘시디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이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장치로서 시각훈련 전용장치도 본 발명에 속한다. 이러한 장치는 어렵지 않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은 전자북 개념의 독서 겸용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요소는 2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며 상기 이미지 요소는 깜박이거나 돌려지거나 사라지거나 부숴지거나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색상이 다양하거나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장치의 화면표시부가 엘시디, 유기이엘, 브라운관, FED, PDP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이 중에서 가장 유역한 것은 브라운관이며 FED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부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유기이엘 역시 부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엘시디의 경우 테스트한 결과에 의하며 잔상 효과로 인하여 현재로서는 부적합하며 기술의 발달로 응답 속도가 행상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후일을 기대하고 있다. PDP 역시 잔상이 문제가 되나 엘시디에 비하여 많이 개선되었고 조금 더 개량이 된다면 손색없는 장치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훈련자 기준 원근으로 배치하고 훈련자로 하여금 원근을 교대로 바라보게 함으로 해서 입체 효과를 발생시켜 시력 유지 및 시력 회복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상기 훈련 방법의 최초의 목적은 동체 시력의 향상과 속도 능력의 향상이나 만일 입체 처리한다면 근시 시력과 관련 시력 유지 및 시력 회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시력 유지 및 회복과 관련된 전자적 상품이 일부 출시되어 있기도 하며 이러한 상 품은 본 발명의 동체 시력 향상과 속독 능력 향상 기능과 병합되어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으나 이러한 상품 개발에 앞서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편리한 측면이 있음을 알게 되어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이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근에 배치하고 교대로 바라 보는 것만으로 입체 효과에 의한 시력 유지 및 회복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구훈련 방법은 이전부터 시도되어 온 훈련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동체시력 및 속독훈련용과 병합하여 실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훈련자 기준 원근으로 배치하고 훈련자로 하여금 원근을 교대로 바라보게 함으로 해서 입체 효과를 발생시켜 시력 유지 및 시력 회복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장치이다.
또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열 전체가 1도에서 36000도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인간의 눈은 좌우나 우좌로 움직이는 물체에 좀 더 익숙하며 상하나 하상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해서는 좌우나 우좌로 움직이는 물체에 비하여 인식율이 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인간의 눈의 구조는 옆으로 길게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로 미루어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의 구조가 이러 하기 때문에 문자로 좌우 방향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가 태반이며 그러한 이유로 더더욱 인간의 눈은 좌우 우좌에 익숙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야구 선수의 예를 들면 왼손타자가 오른손 타자보다 공을 더 잘치게 마련인데 왼손타자에게 날라 오는 공의 방향이 우리가 읽는 문자열의 방향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우리 눈이 기본적으로 왼손타자에게 날라 오는 공에 더 익숙하게 단련되었다는 증거가 되며 이런 증거가 본 발명의 타당성을 입증헤 준다고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오른손타자가 왼손타자처럼 잘 치기 위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빠르게 흐르는 이미지를 보는 훈련을 함으로 해서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훈련 방법 및 장치는 인위적인 급속안구운동을 야기시켜 안구 스피드를 보다 빠르게 하는데 유리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연속 이미지 열을 회전시키게 되면 좌우 우좌 상하 하상 대각선등 다양한 방향으로 인구근육운동이 이루어져 안구체조를 통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런 단순한 기능만으로도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의 대부분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의 눈은 이런 단순한 안구급속운동만으로도 충분히 원하는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을 만큼 그동안 안구근육운동에 대하여 취약한 상태에 있었다. 안구근육 운동을 하면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루에 그런 운동에 시간을 할애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방법 및 장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상기와 같이 중요한 안구군육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TV를 종일 틀어 놓는 방식으로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공공 장소에서 더 위력을 발휘하며 제조업체와 같이 생산성이 요구되는 곳에 적용할 시 더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매직아이 기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이다. 매직아이는 평면에 인쇄된 그림을 입체로 인식할 수 있게 한 기법이 적용된 그림으로 입체로 인식시 시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기법을 본 발명에 적용시 시력 개선 효과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하는 이미지와 배경 화면 공히 매직아이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배경 화면만 매직아이 기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를 활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다. 이동하는 이미지를 주로 문자로 처리하면 속독같은 독취를 통한 학습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시각훈련 방법 및 장치를 활용한 안구 관련 치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수면 유도나 최면 유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게임이나 안구운동경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람은 무엇인가를 보면 선명하게 보고 파악하고자 하는 본능이 있는 것 같다. 그래야 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자 생존 세계에서는 특히 상대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더더욱 중요하므로 우리 유전자에는 그런 속성이 이미 있다고 보아야 한다. 특히 안구 훈련을 하겠다고 작정하고 보는 것이므로 더더욱 선명하게 보려고 애쓰는 것은 당연하다. 보아야 한다는 의지는 뇌 속에 담고자 하는 의지이며 뇌속에 담아 분석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즉, 뭔가를 보고자 하고 볼 때 장기적으로 기억될 소지가 크며 이런 사람의 특성을 이용하면 다소 불편하지만 이동하는 문자를 봄으로 해서 오히려 기억을 더 잘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게 된다. 안구가 움직이면서 까지 보려고 하는 것은 보겠다는 의지가 한층 강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움직이는 문자의 경우 보다 확실히 뇌 속에 저장될 가능성이 크다. 더군다나 TV에 표시되는 문자는 크고 선명하기 때문에 다른 문자 정보보다 유리한 점이 많다. 꿈을 꿀 때 나타난다는 안구급속운동 현상은 사람의 뇌리에 떠오르는 이미지가 넓게 펴져 있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채집하기 위하여 안구가 이리저리 요동한다고 볼 수 있다. 의식적으로 몸을 움직일 수 있다고 하면 머리를 돌려 보면 그만큼 안구를 돌리지 않아도 되지만 잠을 잘 경우에는 몸을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므로 안구만 열심히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또 한번 봄을 통하여 난잡하게 뇌 속에 들어 왔던 정보들 중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별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놀라운 현상이 아닐 수 없고 잠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지 않을 수 없다. 안구급속운동 이 부분은 아직 의문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아는데 생각을 해보니 그렇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꿈꾸는 와중에도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뇌속에 정리하여 축적한다는 의미가 된다. 이 부분은 그 사람의 무의식의 관점이 어떠하느냐에 따라 틀려 질 수 있으니 무서운 말도 된다. 신앙적으로 표현하면 육신에 속한 사람은 육신에 속한 정보만을, 영적인 사람은 영적인 정보를 주로 선택할 것이 아니겠는가? 또한 낮 동안에 영적인 것을 추가한 사람은 아무래도 영적인 정보를 보다 더 많이 축적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느냐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고 유익한 정보를 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좋은 정보를 명확히 감각기관을 통하여 뇌속에 저장해 놓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다. 공부를 열심히 한다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결과적으로 엄청난 차이를 유발할 것이다. 본 훈련장치는 꿈을 꿀 때 정보를 뇌 속에 다시 축적할 때 발생하는 안구급속운동 방식과 같이 움직이는 이미지를 보게 함으로 해서 동일한 현상을 유발시키는 장치이다. 이 말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어떤 사상을 표현하는 문자로 대체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암기 수단으로 까지 발전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어쩌면 최면학습법의 위상을 차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현실과 꿈 두차례에 걸쳐 정보가 걸러 지는 과정을 통하여 정보가 뇌나 유전자에 축적이 되는 것 을 한차례 인위적인 안구급속운동을 통하여 달성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잠을 제대로 자지 않으면 정보가 제대로 축적되지 않을 것이고 잠을 제대로 못자는 것은 사람들에게 흔한 일이기도 하고 잠을 너무 적게 잠으로 해서 암기 효과를 떨어 뜨리고 있는 것이 오늘날 수험생들의 관행이기도 하다. 안구의 건강과 정보의 신속 축적을 동시에 해결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꿈꾸며 이루어 지는 안구급속운동을 할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암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데도 뇌와 유전자에 정보가 축적된다면 이동하는 문자를 따라 가면서 안구급속운동이 일어 나는 경우도 단지 보는 것만으로 암기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다분히 있다. 즉, 최면 효과가 유발된다면 그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꿈에서는 통상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건이 처리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안구급속운동은 더더구나 넓은 시야에서 많은 사건이 빨리 처리되기 때문에 일어 나는 현상으로 받아 들이면 무리가 없다고 본다. 초당 30자, 50자를 넘어 100자라도 처리할 수 있다면 글자수가 늘어난 만큼 암기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식하고자 하는 본능에 의해 더 확실히 암기하게 된다는 가설도 성립이 된다. 이 말은 빠른 이미지 이동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 즉, 생각할 틈을 주지 않을 정도로 빠를 수록 효과가 더 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표시장치가 초당 30 프레임의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전문화된 장비의 개발도 필요하다. 겹쳐서 보이는 경우와 명확히 보이는 경우 사이보다는 편안하게 명확히 보일 수 있는 경우가 어쩌면 최적 안구급속운동 학습 구간이 될 수 있다고 보며 사람마다 다르다.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육적인 정보가 나날이 쌓여 가는 사람을 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를 검토할 필요가 있고 상기 학습방 형태로 처리할 수가 있을 것이다. 성경을 그야말로 한시간에 4줄을 동시에 독파하여 통독할 수 있다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 성경을 최면학습의 형태로 보게 하는 것에 있어서 문제점은 없을까? 육신에 속한 사람이 꿈을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의해 축적된 정보는 그 사람 평생에 걸쳐 씻어 내기 어려운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것을 씻어 내는 시간이 아마도 축적된 시간보다 더 소요될 수도 있다. 많은 사람이 이와 같이 불필요한 것으로 시간과 인생을 낭비하고 있다. 이를 일거에 씻는 방법은 뼈저린 참회인데 불교의 동안거나 면벽 수행같은 것이 아니면 쉬운 일이 아니며 뼈아픈 징계의 절차가 때때로 필요하기도 하다. 제 3의 대안으로서 이해하기 쉬운 현대인의 성경 같은 성경을 일거에 보게 하여 뇌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뇌를 리프레시한다고나 할까? 이러한 형태가 신앙적이지 않다는 증거는 없다고 본다.
초당 55개 아미지의 경우 4회 안구급속운동시 회당 14자를 시독한다는 의미이다. 즉, 0.25초에 14자를 안구가 따라 가면서 시독하는 것이다. 따라 갔으면 안구는 더 이상 갈 수 없으므로 본래의 위치로 안구가 돌아 와야 하고 또다시 안구는 이동하는 이미지를 따라 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안구가 움직이지 않고 이동해 가는 이미지를 볼 수는 없는가?
왜 이미지 속도가 빨라 지면 안구 역시 좌우 요동이 빨라 지는가?
사람과 눈과 뇌는 왜 그런 동작을 만들어 내는가? 이런 사항은 앞으로 규명해 나가야 할 숙제가 되는 것이다. 물론 보고자 하는 의지가 사라지면 이미지는 흩어질 따 름이다. 점점 빨라지는 이미지 이동에 대응하는 눈은 시폭을 넓히려고 하고 또한 시점이동을 신속하게 하려는 경향이 강해진다. 이러한 것이 미처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 눈은 보는 것에 실패하고 이미지를 겹치게 볼 수밖에 없다. 이 때는 안구급속운동이 일어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미지가 겹쳐 보이느냐 단독으로 잘 보이느냐의 사이에서 안구는 잘보기 위하여 눈에 힘을 주게 되고 잘보이는 것이 익숙해 지면 자연스럽게 안구급속운동이 일어 나면서 편하게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겹쳐 보이는 것과 단독으로 선명하게 보이는 변곡점이 본 훈련의 키포인트이며 원리 규명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위 단계로 자연스럽게 진입하다보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으로 동체시력이나 속독 능력이 수배 향상되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안구가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는 반면에 저녁에는 비교적 부드럽게 움직인다. 이를 인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은 눈에 대한 부담을 가중한다기 보다 눈의 능력을 고양시킨다고 볼 수 있다. 남보다 느리면 질 수밖에 없는 운동 세계나 속독을 하지 못하면 그만큼 적게 읽어 불리한 시험 분야등 시대가 우리로 하여금 빠른 눈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안구요동 운동이 발생한다는 것은 안구근육 운동이 발생한다는 것을 뜻한다. 안구근육운동은 다른 신체 부위의 근육 운동에 비하여 의미가 특별나다. 사람은 안구근육운동을 할 수 없다는 듯이 거의 하지 않는 실정이다. 안구를 돌리고 좌우 상하를 바라 보는 것도 안구근육운동이 될 수 있으나 걷거나 무거운 것을 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운동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리고 누구 하나 그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다. 그 결과 큰일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안경을 쓰는 신세가 되고 형편이 좀 되면 라식 수술을 하게 된다. 아시다시피 안경을 쓰면 행동에 많은 제약이 오고 심리적으로도 위축되며 이미 활동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안경을 쓰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원래 안구급속운동은 숙면시 꿈을 꾸면서 눈이 요동하는 현상으로 정상적으로는 하룻밤에 4~5회 발생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안구급속운동과 유사한 동작이 본 영상물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이채로운 현상이다. 더구나 본 영상물은 좌우 우좌 하상 상하 대각선 방향 전방위로 안구근육 급속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안구근육은 4개의 직근과 2개의 사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사근은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관장하고 4개의 직근은 먼 거리의 물체를 관장한다. 이러한 근육을 효율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면 인체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안구가 본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육 운동을 하면 온몸 구석구석의 혈행이 원활해지면서 영양과 산소의 공급이 원활해지며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호르몬및 각종 신진대사까지 활발해 진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근육이라고 볼 수 있는 안구 근육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고대인의 시력은 현대인에 비하여 월등했을 것이고 동체 시력이나 속독 능력은 현대인이 월등할 것으로 여겨 지고 있다. 현대인에게 있어 운동 신경과 속독 능력은 매우 중요한 능력 판단의 척도가 되고 있다. 여기에 근시 시력에 대한 어떤 유효한 수단만 강구되면 사람의 눈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단순하며 빠르며 쉬우며 편한 그리고 비용이 극히 저렴한 수단이어야 한다. 그래서 모든 인류가 손톱깍기와 같이 부담없이 혜택을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근시 시력에 대한 대책 중 하나는 두 대의 TV를 가깝고 먼거리에 배치하고 교대로 바라 보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그 간격은 5미터 이상이 권장되며 좀 더 길 수록 좋고 가까운 위치에 있는 TV는 눈 앞 40센티 전후에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전자파가 우려되므로 장시간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상기 두 대의 TV를 한대의 DVD 플레이어로 연결하면 기왕에 집에 보유하고 있는 TV들을 사용하는 것으므로 비용 부담도 많지 않을 것이다. DVD 플레이어는 5만원 내외로 옥션등에서 판매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남제 14인치 DVDP 겸용 TV를 한대 구입하여 가까운 위치용 TV로 활용하는 것을 권한다.
안구근육근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잇점은 상기 세가지 항목 이외에 노안, 난시, 사시, 수술 전후, 백내장, 녹내장 등에도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다. 어차피 안구가 안구근육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면 급격한 안구근육운동을 통하여 안구근육을 단련함을 통하여 안구 교정을 유도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난시의 경우 어느 한쪽이 찌그러진 형태로 보인다고 할 때 그 부분이나 그 외에 부분에 재활 차원의 안구근육운동을 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실시하면 보다 빠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안구 근육 운동을 통하여 혈행이 좋아져 산소 공급이 원활해 지고 영양분 공급이 활성화되면 백내장, 녹내장이나 기타 안구 질환에도 좋은 치료 효과를 예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며 안구근육이 강화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나은 결솨를 얻을 수 있다고 예상하는 것은 지극히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이런 안구운동이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안경이나 라식등의 대안이 있기 때문에 소 홀히 해왓으나 알다시피 안경이나 라식은 일부분에 대한 대안일 뿐 안구 전반에 걸친 건강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안구근육운동과 관련 쉽고 편하고 사용할 수 있고 값싸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근본적인 안구 대책을 강구해 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확실치는 않지만 핀홀안경을 같이 사용하는 것도 효과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정보의 70%를 눈으로 받아 들이며 시폭을 넓히고 시점이동 능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치 않은 사람은 거의 없다. 이는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 까지 예외가 없다.
이러한 훈련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잇점은 안구의 건강뿐만 아니라 근시시력 유지 및 회복 그리고 동체 시력 향상이며 무엇보다도 속독 능력 향상이다. 남보다 2배 빠르게 읽거나 볼 수 있다는 의미는 그만큼 이해한다는 의미이고 문제 해결력이 있다는 의미이다. 책을 3배 이상 읽을 수 있다는 것은 반드시 모든 책을 건성으로 3배 읽는다는 식으로 폄하할 대상이 아니라 유사시 언제든지 3배로 읽거나 볼 수 있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빨리 읽는다고 다 좋은 것이 아니다라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에 속할 것이 아니라 차를 몰면서 간판 글씨를 보며 상점을 쉽게 찾는다던지 많은 숫자를 옮겨 적는 일을 빠르게 처라한다던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속하는 것이 훨씬 실속있는 일이다.
안구근육 운동을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근육이 또한 강화된다는 의미는 난시나 사시에도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사시는 그런대로 균형이 잡힌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난시의 경우 일부분의 근육이 한편으로 쏠렸다고 볼 수 있으므로 사시와 더불어 난시 모두 안구근육에 대한 어떠한 반복 조치에 의하여 바람직한 결과를 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칼을 대는 수술이 아닌 단순 운동만으로도 얻을 수 있으므로 검토의 여지가 충분히 있고 산소 공급이나 영양 공급은 백내장이나 녹내장 같은 경우에도 좋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는 것만으로 안구근육운동이 더 활성화되고 이런 현상은 안구와 관련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여 주므로 상승 작용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본 훈련장치는 단순한 것으로 시작하여 보다 근원적인 생물학적 제반 처방에 이르기 까지 좋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보다 빠른 눈은 생물학적으로도 이전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초능력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장비의 발달에 따라 거의 무한정으로 정보를 뇌에 입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도 있다. 이미지가 거의 레이저 빛 수준이 되면 보다 확고히 뇌속에 정보가 저장될 것이다.
꿈은 대부분 영상이나 이미지 정보가 뇌에 축적이 되는 반면에 문자 이동에 의한 안구급속운동의 경우 문자를 먼저 인식하고 연상 처리후 생긴 영상이나 이미지를 저장하며 영상이나 이미지가 아닌 경우는 어떤 사상, 생각 정보가 그대로 뇌에 저장된다는 것을 뜻한다. 아무래도 꿈은 이미지 성격이 강하며 문자 정보는 사상 성격이 강하다. 현실에서는 긴가 민가 하던 내용들이 꿈속에서는 분명히 판단되어 뇌에 정리가 될 것이다. 이것이 잘 안되는 사람은 줏대가 흔들린다든지 판단 착오를 잘 일으킨다던지 할 것이며 혹시 치매가 이런 작용이 제대로 안이루어져 발생하는 현상은 아닐지 모르겠다. 치매 환자에게 상기 최면 학습은 좋은 효과를 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문자 정보도 좋지만 그림 정보 위주로 제공하는 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본 방식에 의한 안구훈련은 사람의 모든 상황을 좋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실험한 바에 의하면 본 장치에 의한 상기 안구근육운동은 피로감을 유발하며 처음 사용할 수록 그러한데 이 부분은 다른 운동과 같이 처음 과격하게 하면 피곤한 것과 같은 것으로 부작용으로 취급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피로 발생 현상을 잘 이용하면 수면 유도 방법 및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꿈을 꾸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안구급속운동을 생시에 인위적인 훈련을 통하여 실시한다는 의미는 꿈속에서의 안구급속운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는 가설 성립이 가능하다. 이는 사람의 제반 능력을 강화하는 역활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마차가지로 안구급속 운동 현상을 활용하여 최면 유도 방법 및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꿈속에서의 안구급속운동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며 뇌속에 정보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생시에 이런 현상을 통하여 정보를 뇌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며 그 어느 학습 방법에 비하여 탁원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름하여 최면학습 방법 및 장치의 개념이 성립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시각훈련 방법 및 장치는 곧바로 시합 개념의 게임이나 경기에 활용할 수 있고 게임이라면 주로 컴퓨터 게임이나 플레이 스테이션 게임, X-BOX 게임과 같은 게임을 말하며 경기라 하면 달리기 경기와 같은 마라톤, 단거리 경주 경기와 같이 안구런닝 개념의 경기를 말하는 것이다. 물론 빠른 것 위주로 하겠지만 안구급속운동은 지식 축적과도 관련이 있고 속독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지식과 안구 의 빠르기가 융합된 형태의 경기 종목이 가능한 것이다. 전세계 운동 시장이 2000조에 달한다고 하며 운동 중 제일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안구인 경기가 상당히 많으므로 달리기, 수영과 같은 기초 경기 종목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둑이나 장기 체스와 같이 전체 판을 빨리 읽을 수록 좋은 경우에도 본 방법 및 장치는 유효하며 운행을 하면서 간판을 읽어 가며 상점을 찾는 경우에도 유효하며 적보다 먼저 적을 발견하고 사격을 할 수 있는 군인들에게도 유효하며 기본적으로 사는 것이 생존 경쟁이며 사회를 정글이라고 표현하는 상황에서 안구가 빠르고 이해를 잘하고 해결 대책을 빨리 강구한다는 의미는 생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부각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상품의 형태로서는, 초당 10, 15 20, 25, 30, 45, 55, 70 개의 이미지가 흘려 가는 각각의 영상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전체를 회전시키는 영사물, 우에서 좌로, 좌에서 우로,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 시간 흘러 가는 영상을 만들었다. 초당 45, 55, 70은 아무 의식없이 보면 역행하거나 서행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예를 들어 초당 30을 제대로 보게 되면 초당 45 역시 제대로 안보일 수는 있어도 빠르게 겹쳐서 흘러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몇개월간의 훈련을 통하여 초당 20자에서 초당 55자가 보이도록 향상되는 것을 볼 때 3배 정도의 안구 스피드와 속독 능력이 배양되었다고 볼 수 있고 그만큼 눈의 건강 상태로 좋아 졌다고 볼 수 있으며 그런 과정에서 본 발명자는 노안이 오고 있는 상태였으나 현 상태가 유지되거나 개선이 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일단 안구운동을 전혀 하지 않다가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매우 좋아진 것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보아 안구체조 개 념만으로도 본 발명의 효용성을 입증된다고 볼 수 있다. 우좌 영상은 비교적 향샹이 빠르나 좌우는 좀 느리게 진척이 되고 하상이나 상하 방향은 상당히 느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우좌에 익숙한 이유는 우리가 평생에 걸쳐 보아온 책의 문자 방향이 바로 우좌인 것이라는 점에서 증명이 된다. 이는 또한 왼손타자에게 날라 오는 공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왼손타자가 통상적으로 더 잘치는 이유도 이것으로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 눈은 우에서 좌로 흘러 가는 물체에 더 익숙하며 좌우로 흐르는 물체 대비 10~20% 더 익숙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비율만큼 왼손타자가 공을 더 잘 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오른손 타자도 좌우 영상을 반복하여 보게 되면 왼손타자와 같이 잘 칠 수 있게 된다는 가설이 성립하게 되고 충분히 입증된 사실이기도 하다. 여타 운동의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공이 지나가게 되어 있으므로 그에 적합한 영상물을 가지고 훈련을 한다면 보다 빠르게 운동 능력이 향상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의료용 영상물의 경우 이미지열이 흐르는 방향을 보다 세분화하여 각도 단위로 제작한다.
상기 이미지열은 영상 처리로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처리로 할 수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방법 및 장치에 표현된 내용은 TV 공중파 방송을 통하여 일반에 제공될 수 있고 광고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영화관등에서 안구 체조용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런 형태는 사용 실시권을 허여 하는 방식으로 전세계를 대상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모터부와; 회전모타 축에 중심부가 조합되었으며 연속된 이미지가 원주상으로 1열 이상 배열된 회전판부와; 상기 회전모터부와 회전판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가감속, 정역전 정지, 운전등을 수행하는 제반 전기적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된 방법 및 장치들은 주로 전자적인 수단으로 구현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주로 기구적인 수단을 통하여 구현하는 것으로서 구현 수단이 상기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전용으로 사용되는 기구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장치는 연속 운전 상태로 놓고 사람들이 오다 가다 안구체조 형태로 사용할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 제시한 바와 같이 가감속, 정역전, 정지 운전 콘트롤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당 1회전 내외로 까지 회전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기구적 장치는 기존의 선풍기를 일부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초당 1회전 내외로 회전 속도를 제어 하는 콘트롤 유니트가 부가되고 선풍기의 회전익을 빼고 상기 연속이미지가 있는 회전판으로 교체할 수도 있고 회전익 외주면에 이미지가 포함된 회전링형 회전판을 부착할 수도 있으며 선풍기 회전익과 이미지가 포함된 회전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선풍기의 회전익과 이미지 회전판 일체형 회전익은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어, 문구, 문장, 이미지를 2회 이상 반복 나열하고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안구급속운동 형태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단어, 문구, 문장, 이미지를 2회 이상 반복 나열하고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안구급속운동 형태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를 전자적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는 상기 장치 분만 아니라 본 발명 전반적인 사항에 걸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명 사상을 반영하여 영상 편집된 영상물이 매체의 형태에 담겨 존재하며 상기 매체를 작동하는 플레이어 장치가 있다. 또한 상기 영상물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있고 상기 장치들을 제어 하는 리모컨이 부수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장점 중의 하나는 큰 글씨인데다 고속이동하는 이미지를 독취한다는 점에서 최면 암기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무엇인가를 본다는 의미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그것이 적인지를 식별해야 할 뿐더러 그것이 내게 이익이 되느냐를 식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시험이나 운동시합이라고 하면 남보다 먼저 보고 먼저 해석하고 유효한 동작을 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다는 것은 삶 자체라고 볼 수 있다. 심지어는 나의 의지와는 상관이 없이 꿈속에서 무엇인가를 초고속으로 보고 정리하여 뇌에 저장하고 있다. 이 때 안구급속운동이 병행된다. 지나가는 이성을 보고서는 과장하여 표현하면 백만분지일의 속도로 마음에 드는지 안드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더 영악한 사람의 경우 상대가 네게 호감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도 파악해 내기도 한다. 운전을 한 십년 이상 하다보면 과연 주변을 보면서 운전하는지 아니면 무의식적으로 운전을 하는지 모를 정도로 자율신경에 의해 운정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팔, 다리, 눈 일일이 동작 명령을 의식적으로 하는 것 같지 않을 정도이다. 이런 모든 보는 동작은 거의 본능적으로 이루어 지는 요소가 있다. 자율신경이 반은 알아서 치리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사람의 의식 이외의 무의식이라는 것이 작동하는 것이 분명한 것이다. 아마도 의식의 최저층은 인간의 영이 존재하는 곳일지 모르고 그곳을 건드릴 수 있는 사람은 예지 능력까지 발휘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불교의 수행 역시 혼자 힘으로 이런 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생각된다. 옆으로 흐르는 이미지 내지는 문자열을 보면 눈 속으로 빨려 들어 온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일반적인 속독 훈련을 많이 하다 보면 그런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입증된 사실이다. 이런 작용이 일어나면 뇌에도 보다 확실히 저장될 것이 분명한 것이다. 움직이는 이미지가 암기에는 불리할 것도 같지만 생리적인 파악본능에 의해 보다 확실히 기억에 남을 가능성이 크다. 정지 화면은 1장의 이미지만 필요하지만 동적인 화면은 초당 30장이나 되는 이미지가 필요하다. 정지 이미지 대비 동적 이미지에 반응하기 위해서는 다소 긴장하게 되고 이것이 암기 효과를 높이는 역활을 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적 이미지의 단점은 흘러 지나가면 다시 볼 수 없다는 것이나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어, 문구, 문장등을 반복 나열하는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다. 공부는 진땀흘려 하는 것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벼락치기 공부를 일상화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 스스로 TV eBOOK 형태로 만들어 공유한다면 이제 공부는 경쟁의 수단이 아니라 지식을 공유하여 공동체의 역량을 배가시키는 수단으로 격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문자 상하 좌우 폭을 잘 조정을 하면 초당 100자도 독취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쓰여 지는 글씨체는 좌우가 넓어 보기 좋게 하고 있지만 폭을 대폭 줄여 30%까지 줄인다 해도 식별하는데 무리가 없다는 사실을 본발명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지만 단어 단위로 인식하게 마련이기 때문에 크게 보면 한자와 같은 표의문자일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해 내기도 했다. '했습니다'와 '햇습니다'를 볼 때 우리는 우리는 순식간에 '햇습니다'라는 단어가 이상하게 느껴진다. 이미 우리는 '했습니다' 라고 단어 단위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초당 100자를 독취한다고 하지만 쉽게 뜻을 확실히 인식하며 독취하는 것은 아니다. 오랜 기간의 안구 훈련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율신경이 작동하여 뇌에는 제대로 저장되기를 바라고 있다. 책을 읽을 때 정신을 바짝 차리면 많이 읽을 수 있다. 또한 완전 무의식 상태로 책을 읽을 때 더 많이 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쪽 측명을 감안하여 준비된 것이다. 강조하지만 속독은 무조건 빨리 읽자고 하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읽자고 하는 편이 옳다. 문자를 빨리 읽고 더 많은 시간 생각하자는 것이다. 빨리 읽는 것이 천천히 읽는 것보다 더 유리하다는 사실은 사진기의 원리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셔터 스피드를 빠르게 하면 선명해 보이고 셔터 스피드를 느리게 놓으면 흐릿하게 찍힌다. 흐리게 뇌에 찍히면 그냥 그렇게 흐지부지될 것이다. 그러니 빨리 독취해 내는 훈련이 중요한 것이다. 빨리 독취해 내는 방법 중의 하나는 시폭을 넓혀 단번에 많은 것을 읽는 것이다. 그것도 종전 대비 5배 정도 이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사례는 본 발명자가 3년간의 훈련을 통하여 경험한 바이다. 흘러 가는 이미지를 보 는 훈련은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망막에 RING SPOT이라는 전대 미문의 인식 구역이 생기는 것이고 이는 뇌의 사용 영역을 확대하는 것을 뜻한다. 아마도 한꺼번에 많은 것을 일시에 인식 수준에서 본다는 것은 자율신경이 작동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0.1초도 안되어서 망각이 되는 그런 수준을 극복하고 망각이 되기 전에 암기가 되기 위해서는 한번에 많니 보고 많이 연산을 하는 수밖에 없다. 바둑 9단은 15수를 내다 본다고 한다. 그의 머리와 눈은 이미 그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화되어 있다는 말이다. 속독도 이에 못지 않은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기능이 구비된 후에 행하는 최면학습, 최면암기라야 보다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이러한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안구훈련은 눈이 아픈 것을 극복하는 단계와 시폭이 5배 이상 확대되는 단계를 통과해야 한다. 그저 하루 10분씩 장기간에 걸쳐서 하는 수밖에 도리가 없다. 또한 뇌가 감당하기만 하면 그 훈련시간과 이미지 이동 스피드를 얼마든지 조정하여 일정을 대폭 줄일 수도 있다. 젊은이의 경우 건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소 무리를 하는 것도 나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배열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표시부(01)와 배열된 시각 이미지(02)로 구성되어 있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03)하는 것을 나타낸다. 영상 편집 분야에서 말하는 크롤(Crawl)은 문자열등이 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흘러가는 것을 나타내 며 이러한 문자열을 사람이 볼 경우 사람의 눈은 소정의 문자열을 인지한 후에야 다음의 소정의 문자열을 인지하기 위하여 눈의 시점을 옮기기 때문에 빠른 크롤의 경우 사람의 안구가 더 자주 요동하는 형태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또한 사람의 눈이 미처 쫓아 가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크롤되는 경우는 거의 문자의 형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이는 기차를 타고 가면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침목을 바라 볼 때 기차가 빨라 지면 거의 침목의 형태를 인지할 수 없게 되는 원리와 같은 것이다. 즉, 연속적으로 배열된 빠르게 움직이는 시각 이미지를 인지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적절한 시각 훈련이 가능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가 저속으로 크롤되는 경우 대부분의 사람이 시각 이미지의 형태나 의미를 인지할 수 있으나 속도가 더 빨라질 수록 인지할 수 없는 사람이 나타나는데 그 차이는 평상시에 독서를 많이 했는지 안했는지의 차이로도 나타나고 특별히 선천적으로 시신경이 발달했는지 안했는지로도 나타난다. 현재의 인지 능력과는 상관없이 다양한 속도의 영상물등을 제작하여 훈련을 통하여 더 빠른 속도를 볼 수 있도록 한다면 그 어느 훈련 장비에 비해서도 더 효과적으로 훈련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에 있는 브이티알이나 디브이디 및 텔레비젼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훨씬 저비용으로 훈련을 할 수 있고 편의성에 있어서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현재의 크롤 속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해 놓는다면 더 빠른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게 되고 그것이 자신의 급수가 된다고 하면 더욱 노력을 기울일 것이고 부모들도 자녀의 급수를 알게 되므로 독려할 수 있는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시각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각 훈련 방법은 아무래도 속독이나 안구 민첩성을 위한 시각 훈련 방법이므로 크롤의 방향은 사람이 독서할 때 안구 대비 글씨가 마주치는 방향과 똑같이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효성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로는 야구의 왼손 타자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우리는 통상 왼손타자가 더 잘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이유는 타석과 1루간의 거리가 짧다는 것 이외에 왼손타자에게 공이 날라오는 방향과 사람들이 글씨를 읽는 방향이 같으며 장기간의 독서 습관이 이런 왼손타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이다. 똑같은 원리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크롤시키고 이를 보는 훈련을 하면 오른손 타자도 왼손타자와 같이 공을 잘 칠 수 있게 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장기간의 실험에 의하면 초기에는 초당 30 글자를 보기에도 벅찼지만 현재는 초당 70 글자를 보기된 것도 타당한 증거가 된다. 사람이 숙면시 하루에 3~4번 꿈을 꾸게 되는데 이 때 안구급속운동(REM) 현상이 일어난다. 안구급속운동 현상이 일어 나는 이유는 불가사의한 측면이 있지만 일단 안구근육을 풀어 주고 근육 운동을 통하여 보다 혈액 순환이 왕성해 지면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시력 유지에도 중요한 역활을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안구급속운동은 인위적으로는 발생시킬 수 없으며 속독훈련시 시점이동 방식 역시 초당 1.5회를 넘기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나 본 발명을 통하여 시제작된 동영상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초당 4~5회의 안구요동운동을 자연스럽게 발생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시각 훈련을 통하여 일정 수준까지는 속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동선수등에게 절대적인 안구민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베이츠 박사의 이론에 따르면 눈의 질환의 태반은 안근 에 있는 것이므로 그 직근과 사근으로 구성되는 안근에 대해서 약간의 회복훈련을 시행하면 눈은 정상의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아직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상기 이론에 의거 적어도 시력 저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검토할 사안이라고 보며 더 나아가 안경이나 라식 수술같은 단기처방을 지구상에서 없앨 수 없앨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고 본 발명자는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임상 실험과 연구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안경을 일단 착용하게 되면 시력 회복 운동이 점점 어려워 지므로 사춘기 시절이나 초등학교 시절 눈이 갑자기 나빠지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훈련을 하여 소기의 성과를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표시부(11)와 이미지 요소(12)와 이동 방향(13)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내용은 도형 문자나 정지화상이나 동영상같이 분리 배열된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비춰 지는 형태인데 반하여 도 2의 사례는 파노라마 영상과 같이 연속된 이미지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장점으로는 제작이 용이하고 보는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다양한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다양한 이미지 이동 형태를 코드화하여 정리한 것으로서 A-0는 표시부(21)와 이미지 요소(22) 및 이동 방향(23)을 나타내며 A-1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이미지 요소가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부(24)를 나타내며 A-2는 이미지 요소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요동하는 표시부(25)를 나타내며 A-3은 이미지 요소의 좌단부를 기준으로 상하 요동하는 표시부(26)를 나타내며 A-4는 이미지 요소의 우단부를 기준으로 상하 요동하는 표시부(27)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동 형태는 보다 효과적인 안구 훈련을 하도록 하여 시간 절약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재미를 부가시켜 준다. 또한 두번째 열의 표시부(28)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이미지 요소를 나타내며 이하 B-1, B-2, B-3, B-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열의 표시부(29, 30, 31, 32, 33, 34) 및 관련된 표시부의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I-0의 표시부(35)는 이미지 요소가 중앙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내지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며 짧은 시간에 안구가 360도 방향으로 급속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효하다. 아울러 J-0의 표시부(36)는 기본이 되는 이동 형태 즉 우에서 좌, 좌에서 우, 상에서 하, 하에서 상, 우상에서 좌하, 좌하에서 우상, 좌상에서 우하, 우하에서 좌상으로의 이미지 요소 이동을 동시에 시현하여 자신이 원하는 안구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극히 짧은 시간에 원하는 안구 훈련을 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2열 이미지 요소 이동 표시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표시부(41)와 2열 이미지 요소(42)와 이동 방향(43)을 나타낸다. 속독의 특성상 2열 이상을 동시에 보는 개념을 포함하며 아울러 각국 언어를 동시에 표시할 경우 유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크롤 속도를 나타낼 경우에도 유효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 훈련을 위한 연속된 이미지(52, 53) 이동을 나타내는 화면(51)이며 8개의 이미지열이 표시된 것으로서 가각의 열에는 초당 이동하는 이미지수를 나타내는 번호(54)가 표시되어 있어 자신에게 적합한 스피드의 열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을 반복하여 봄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훈련되도록 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즉, 안구 스피드의 체크와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자신의 성취도를 알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훈련에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다소 경사가 지도록 나타난 것은 회전 중인 것을 캡쳐한 것으로서 안구가 상하 하상 좌우 우좌 대각선 방향등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하여 안구체조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기도 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폭 확대 및 고속시점이동의 원리도(61)이며 느린 이미지를 바라보는 안구(66)는 좁은 시폭(63)만으로도 독취할 수 있으나 빠른 이미지를 바라볼 수 있으려면 넓은 시폭(62)을 가져야 독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훈련을 하면 시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시점이동 역시 느린 이미지의 경우 짧은 피치(85)를 이동하면 되나 빠른 이미지의 경우 긴 피치(64)를 이동해야 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며 훈련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지면 넓은 시폭과 빠른 시점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 지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시점 이동은 안구에 있어서 안구급속운동(67)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안구급속운동 기능은 상기 빠른 시점이동을 위한 중요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그림은 이미지가 우좌 방향(68)으로 흐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폭 확대 개념은 동체시력이나 속독 개념을 뛰어 넘어 이해력 증진 효과가 있고 암기력 증진 효과가 있다고 추정된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2자 정도의 시폭 을 가지고 있으나 시폭이 확대된 사람은 10~20자까지 시폭이 확대되며 더 나아가 2~5열까지도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받아 들인다는 것은 망각효과를 저지시켜 암기효과를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크게 작용할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폭 확대 및 고속시점이동과 입체화 원리도(71)이며 안구(72)가 가까운 거리에 있는 표시장치의 이미지를 다양한 시폭(73, 74)과 시점이동(75) 형태로 훈련하다가 먼 거리에 있는 표시장치의 이미지를 또한 다양한 시폭(76, 77)과 시점이동(78) 형태로 훈련하는 것을 가능한한 빠르게 상호전환함을 통하여 입체 훈련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간격(79)은 길수록 좋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는 세계 최초 사례로서 동체시력, 속독, 근시시력유지 및 회복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절약, 편의성, 용이성, 비용절약, 효과증대, 재미증대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며 이 세상 안경을 쓴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안경을 벗도록 하는 과업을 달성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안경을 쓰기 시작하는 10대 초반의 어린이부터 집중 반복 훈련을 하도록 한다면 이들이 안경을 안쓰게 되고 이들이 계속 배출되고 자라면 결과적으로 인류 전체가 안경을 쓰지 않을 수 있는 시대를 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업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비용 측면에서 가난한 나라 국민들도 사용하기에 무담이 안되어야 하는데 본 방법 및 장치는 초저비용으로 이를 달성하게 하는데 무리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각훈련 장치(81)의 원근 배치도이다. 비교적 대형 TV(85)를 먼 곳에 배치하고 소형 TV(83)를 가까운 곳에 배치한 후 통상 DVD 형태의 매체를 DVD 플레이어(86)에 장착하고 상기 두대의 TV를 영상용잭(84)으로 연결한 후 훈련자의 눈이 가까운 TV와 먼 TV를 반복적으로 가능하면 신속하게 교대로 바라보도록 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 대의 TV를 항상 틀어 놓는 것을 권장하는데 예를 들어 소형 TV를 항시 틀어 놓아 오다 가다 한번씩 사람들이 보도록 하고 근시시력 훈련을 하고자 할 경우 작은 TV를 큰 TV 앞에 배치하고 또한 작은 TV가 눈앞에 배치하도록 하면 다양한 안구근육훈련을 효과적으로 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이다. 통상 전세계 가정에는 TV가 두대 정도는 있으므로 본 방법 및 장치를 안구근육훈련에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부담하는 것은 DVD등 매체에 국한되는 것으로서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아직 DVD 플레이어가 있는 가정이 많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 VTR을 적용할 수 있고 매체로는 VTR TAPE의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구적 시각훈련 장치(91)의 투시도이며 회전모터부(92)와; 회전모타 축(94)에 중심부가 조합되었으며 연속된 이미지(96)가 원주상으로 1열 이상 배열된 회전판부(95)와; 상기 회전모터부와 회전판부를 지지하는 몸체부(97)와; 가감속, 정역전 정지, 운전등을 수행하는 제반 전기적 콘트롤부(98, 99);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모터는 기어헤드(93)가 장착된 경우 회전수 조절이 보다 용이할 수 있으며 전기 입력선(100)이 구비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문장 1회 반복 최면 학습 문자열 개략도(110)이며 인쇄된 문자열 형태를 나타낸다. 첫문장(111)과 두번째 문장(112) 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인간의 망각 기능을 보완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서 독취하는 사람이 처음 문장을 독취할 경우 단 몇초간이라고 100% 완전히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한 문장을 한번 더 반복함을 통하여 보다 확실히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쇄된 문자열의 경우는 도면과 같으나 실제적으로는 전자 처리 형태로서 1열 형태로 우에서 좌로 흐르는 문자열 형태가 일반적이다. 같은 문장등이 두번 반복이 되면 내용을 연결하여 이해하는데 장애가 될 수도 있지만 두번째 반복이 된 문장은 그 다음 문장과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연결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3번 반복한다면 이해와 기억의 폭을 대폭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수많은 연구를 통하여 망각과 기억의 원리가 규명되었기 때무넹 더 구체적인 설명을 요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상기 발명들은 주로 전자적인 장치로 처리하는 것이지만 인쇄된 책으로서 문자열이 주로 우에서 좌로 연속되어 있거나 상에서 하로 연속되어 있지만 문자의 방향이 어떻게 되던지 간에 문자열의 방향이 좌에서 우로 내지는 하에서 상으로 배치하는 것도 별개의 발명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쪽으로만 익숙한 나머지 왜곡된 망막의 시점 형태를 교정함과 아울러 오른손 타자와 같은 운동선수들도 자연스럽게 왼손타자의 잇점에 근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모든 사람에 해당되지만 반대 방향의 문자열을 독취함으로 해서 망막 시점이 왜곡된 것을 교정할 필요성이 상존하는 것이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 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최효승의 저작권에 포함될 사항으로서 사용자설명서에 포함될 내용을 기재한다.
1.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 매체이며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열 이동에 있어서, 좌우방향, 우좌방향, 상하방향, 하상방향등 자신의 상황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여 시각훈련을 한다.
2. 안구의 급격한 이동 훈련은 피곤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00분 이상 사용을 하지 않는다.
3. 어린이가 시각훈련을 할 경우 어른의 입회하에 한다.
4. 동영상에 의한 시각훈련을 할 경우는 소파등에 앉아 정자세로 임한다.
5. 상기 시각훈련은 매일 일정 시간동안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잦은 사용등으로 충혈이 발생한 경우 훈련을 중지하고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한다.
7. 피곤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훈련하지 않는다.
8. 속독등급을 올리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 무리하게 훈련하지 않는다.
9. 야구선수중 왼손타자는 우좌 방향의 문자열로 훈련을 하고 오른타자는 그 반대 로, 그리고 탁구 선수는 하상 방향, 농구선수는 상하, 하상 방향등 자신에 알맞은 유형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기본적으로는 다양한 방향의 문자열이 익숙해 지도록 골고루 훈련을 한다.
10. 상기 영상 훈련 장치가 TV인 경우 상시 켜 놓고 오다 가다 훈련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난시의 경우 해당 부위 치료가 가능하도록 해당 방향의 문자열로 중점적으로 훈련하는 것으로 한다.
12. 노안의 경우 다양한 훈련을 하면 상당 부분 개선이 될 수 있다.
13. 입체 영상으로 동시에 훈련을 하면 시력 개선이 대폭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14. 2열 이상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문자열 영상의 경우 그리고 본 문자열이 특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신에 적합한 문자열로 시점을 이동하면서 훈련하면 효과적이다.
15. 핀홀 안경을 착용하고 훈련하면 시력 개선 효과가 있다.
16. 선 채로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면서 훈련을 하면 시력 개선 효과가 있다.
17. 본 훈련 방법은 기존 훈련 방식 대비 비용이 최소화되고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18. 훈련 대상은 전연령층이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훈련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19. 소파에 앉아서 편하게 훈련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0. 본 훈련 방법으로 속독 능력이 향상되고 통상 분당 400~800자에서 본 훈련을 통하여 분당 1800자, 10,000자가 가능하다.
21. 본 훈련 방법으로 야구선수의 경우 타율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하다.
22.모든 운동 선수에게 적용이 가능하고 군인, 학생, 노년등 전연령층 전세대에 적용이 가능하다.
23. 속독 능력이나 시각 인지 능력등을 수치화한 것을 기준으로 자신의 상태를 항상 점검하고 재훈련 여부를 결정한다.
개정된 사용자 설명서는 다음과 같다.
본 제품을 구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제품은 지난 2년간 연구 개발을 거듭한 결과 나온 제품으로서 사람의 눈을 독수리의 눈으로 바꿀 수 있게 해준다고 확신하며 그 어떤 방법보다 쉽고 편하고 빠르다고 자부합니다. 본 제품이 일반에 확산되기 전에 먼저 활용하신다면 여러 모로 유익할 것입니다.
<동체시력 훈련 + 속 독+ 근시시력 유지 및 회복용 장치 및 매체 사용자 설명서>
1.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 매체이며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제품은 연속 이동하는 크롤 이미지를 바라 보는것만으로 급속안구운동(REM)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내는 세계최초 안구런닝 머신입니다.
2. 본제품은 ‘DVD 플레이어’와 ‘브라운관 TV’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본 제품은 동체시력 및 속독 훈련용이며 시력 악화를 방지하는 안구체조용으로 사용합니다.
4. 본 제품은 초당 20자에서 초당 60자(분당3600자)까지 그리고 그 이상의 인식능력을 향상시켜 줍니다.
5. 본 제품의 하루 사용시간은 10분 이내로 하며 눈이 충혈되거나 피곤할 시 사용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우좌, 좌우, 하상, 상하 영상별 자신의 급수를 확인하고 훈련을 통해 향상시키면 동체시력과 속독능력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7. 일상적으로는 회전형 영상을 많이 활용하십시오.
8. 원하는 영상을 플레이한 후 리모컨의 ‘반복 버튼’을 누르면 무한 반복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화면상의 숫자는 초당 이동하는 이미지 개수를 나타냅니다.
10. 10, 15, 20 순으로 바라 보십시오.
11. 이미지가 바둑알 형상으로 또렷이 보여야 하며 뚜렷이 안보이고 겹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 경계점으로서 눈에 힘을 주고 뚜렷이 보이도록 훈련을 반복합니다.
12. 겹쳐서 보이던 것이 뚜렷이 보이면 다음 단계로 올라가서 같은 방식으로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최소한 초당 45 이미지까지 지속적으로 뚜렷이 보이도록 훈련을 계속하십시오.
13. 본 훈련 DVD는 ‘체크’와 ‘훈련’이 동시에 가능한 제품입니다.
14. 45, 55, 70이 더 느리게 보이거나 반대로 흐르는 것은 착시현상이며 실제적으 로는 빠르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훈련을 통하여 알 수 있습니다.
15. 일반적인 훈련은 회전 이미지만으로 하고 리모컨의 반복(repeat) 스위치를 누르면 반복하여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습니다.
16. 속독 훈련은 L-R 즉 좌우 이미지를 반복하여 훈련하면 됩니다.
17. 처음 사용시는 눈이 아픈 경우가 있으나 익숙하여 지면 그만큼 눈의 능력이 업그레이드가 된 것이니 모든 훈련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하시길 바랍니다.
18. 훈련 결과는 시폭의 확대 및 시점신속이동 능력의 향상입니다.
19. 어린이가 사용할 시 어른들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20. 본 영상물은 안구근육운동을 심하게 일으키기 때문에 무조건 오랜 시간 훈련을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하루 10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야 합니다. 물론 하루에 2번 이상 훈련할 수도 있지만 연속해서 10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21. 최상급인 초당 70 이미지가 보이게 되면 일반인 대비 상당한 능력을 소유한 것이니 속독이나 야구, 탁구, 축구들으로 테스트해 보시기 바랍니다.
22. 야구 오른손타자는 R-L을 탁구선수의 경우 상하, 하상으로도 훈련하면 좋습니다.
23. 이미지가 겹쳐서 보이거나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비정상적인 것이고 이미지가 깨끗하게 흐르는 것이 보여야 정상입니다.
24. 어린이들이 컴퓨터를 오래 동안 바라보면 눈이 나빠지기 마련이므로 하루에 한번씩 본 제품으로 안구체조를 유도하면 좋습니다. 안구근육 운동은 시력 회복과도 관계가 있고 제반 눈의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 눈 30일이면 좋아진다. 페퍼드 저 평단출판사 참조
25. 어린이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방안은 본 영상물의 10,15, 20...등의 숫자를 등급으로 보고 훈련을 통하여 등급을 상승시키면 그것이 속독능력이나 운동신경이 발달했다는 증거임을 인식시키는 것입니다.
26. 반복하지만 DVD 플레이어와 브라운관 TV에서만 제대로 작동하며 화면 크기는 아주 작은 것(5인치)부터 제일 큰 사이즈까지 상관없습니다.
27. 보는 거리도 상관이 없고 소파에 앉아 편히 보시면 됩니다.
28. 여분의 TV가 있다면 항상 켜놓고 식구들이 오다 가다 한번씩 보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남에서 나오는 25만원 정도하는 DVD겸용TV를 구입하여 사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29. 전자파를 유의하면서 가까이에서도 보고 멀리서도 보는 등 다양화한 훈련방법도 좋습니다. (TV는 전자파가 특히 심하니 조심해야 합니다.)
30. TV 두 대를 이용하여 작은 것은 눈 앞 50센티에 위치시키고 큰 것은 5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시켜 빠르게 교대로 바라 본다면 시력 회복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이때 DVD 플레이어는 한대로 가능합니다. 단지 5~10미터 정도되는 연결 잭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31. 현재 중국산 DVD 플레이어가 5만원 내외로 판매되고 있고 저가의 TV를 옥션등을 통하여 구매할 수 있습니다.
32. 본 제품은 핀홀안경을 착용하고 사용하면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기대하나 당분간은 핀홀안경없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33.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소간의 노력과 땀이 필요합니다. 중간에 포기하지 말고 꾸준한 훈련을 통하여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기 바랍니다.
34. 효과 측정 방법으로는 훈련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읽게 하고 페이지를 넘길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해 두고 1,2주 훈련 뒤 같은 책을 읽게 한 후 페이지 넘길 때까지의 시간을 재어 비교하는 것입니다. 물론 사전에 두페이지당 글자수를 세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몇 주에 한찰PTlr 측정을 하면 속독 능력 향상도를 알 수 있습니다. 두, 세사람이 동시에 진행하여 비교하는 것도 좋습니다.
35. 현존하는 어떠한 방법 대비 가장 효율적이라고 자부합니다. 속독과 시력에 관련된 서적을 구입하여 읽어 보시면 훈련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36. 최면 학습형 신약성서로서 TV e-BOOK 입니다.
37. 5개 화일로 구성되었고 해당 화일을 리모컨 반복 버튼을 눌러 사용하세요.
38. 큰 글씨 및 고속이동 문자열, 반복 문장으로 구성되어 학습효과가 뛰어 납니다.
39. 상기 반복문장형 구성은 본 제품만의 특징이며 암기 효과가 있습니다.
40. 아이웰 2.0, 2.5로 훈련한 후 본 제품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1. 처음 사용시 피곤할 수 있으므로 하루 10분 편안한 시간에 사용하십시오.
42. 비결은 ‘시폭확대’와 ‘시점이동능력향상’이며 안구급속운동입니다.
43. 반복 사용을 통하여 자율신경에 의존한 학습 효과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44.본 제품은 초당 30자 독취형이며 훈련을 통하여 초당 100자에 도전하십시오.
45.본 제품은 가정용이며 다른 용도로 사용시 당사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46. 본 제품은 출원중이며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유포를 금합니다.
2005.03.26 개정
신상품개발전문회사 아이리얼
* 창업대전 전시중 고객의 평가에 대한 의견
1. 눈이 아프다.
-> 운동을 하지 않은 근육은 지극히 약한 상태입니다. 안구근육은 제일 적게 운동하는 근육입니다. 당연히 거의 자동적으로 안구급속운동이 이루어 지면 피곤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몇 주간에 걸친 훈련을 통하여 익숙해 지면 이전의 눈보다 훨씬 진보된 눈을 가지게 된다는 희망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하루의 일과가 끝나고 나서 훈련을 한다면 업무에 지장이 없이 만족스런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2. 어지럽다.
-> 책을 읽는 것도 어지럽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본 제품의 움직이는 이미지나 책을 읽을 때 눈이 움직이면서 읽는 것이나 동일한 원리입니다. 단, 서로 다른 속도의 이미지가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는 있으나 편하게 소파에 앉아 바라 보기만 하면 되므로 다른 훈련에 비하여 어려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3. 눈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냐?
-> 눈이 나빠지는 것은 컴퓨터나 TV, 그리고 책등을 볼 때 안구근육이 너무 안 움직이는 것이 제일 큰 원인입니다. 지난 세월을 생각해 보면 열심히 공부하고 TV를 보느라 안구근육을 풀어 줄 기회가 별로 없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구체조 개념으로 풀어 주는 것이 시력 유지 차원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더 나아가 초당 55 이미지가 뚜렷하게 보이면 속독 능력과 동체시력이 2~3배 향상되는 것입니다.
4. 좋아진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느냐?
-> 초당 20개 정도 보이던 것이 초당 55개가 보인다는 의미는 시폭과 시점이동 속도가 그만큼 늘어났다는 의미입니다. 못보던 것을 볼 수 있게 되는 것만큼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 한번에 3자 정도 보는 것과 10자 정도 보는 것은 독취 능력 측면에서 차이가 큽니다. 이는 이해력과도 연결이 될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우리가 습득하는 정보의 70%는 눈으로 들어오며 속독 능력은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유리합니다. 동체 시력은 운동 경기나 일상 생활의 생존 차원에서도 매우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5. 학계 검증이 되었느냐?
-> 안구운동은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연구해 왔고 나름대로 방법을 세상에 내놓았습니다. 본 제품은 스스로 향상되는 정도를 알 수 있는 체크 기능과 훈련 기능을 같이 담았기 때문에 다른 기관의 검증까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고객의 평가만으로도 충분한 제품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6. 이외, 가장 진보되었다, 최면 학습 장치에 응용하겠다, 관계기관의 검증을 거치면 아주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고 기본적으로 즉시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놀라는 눈치였습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 해서 이를 통하여 속독 능력과 안구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훈련 방법 대비 저비용과 고효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해당 속도를 수치화하여 보여줌으로 해서 경쟁심을 유발함과 아울러 부모가 그 수치를 공유할 수 있음으로 해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파에 앉아서 바라 보기만 해도 안구훈련이 되는 효과가 있고 일반 텔레비전을 통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대중화가 용이하며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동체시력 증진, 속독, 근시등 시력 유지 및 회복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한 발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학생, 운동 선수, 군인, 게이머, 수험생, 노인, 어린이등 전세대를 망라하는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를 활용하여 속독등 독취 학습 장치화하면 암기가 용이하며 쉽게 잊혀 지지 않는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복 문장 형태의 문자열을 적용하여 암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영상편집을 통하여 초당 100자 인식도 어렵지 않게 되어 페이퍼시대를 구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교육 분야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화가 용이하여 일반인도 단기간의 교육을 통하여 독자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유료 무료로 교환 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량이라는 속담과 같이 안구에 관한 제반 조건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에 본 훈련 자체를 스포츠 경기화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본 스포츠를 통하여 다른 운동의 경기력을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2.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입체 기술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이미지 요소는 2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2열 이상의 이미지 요소는 다양한 이동 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는 도형문자이거나 정지화상이거나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7. 연속적으로 배열된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8. 연속적인 시각 이미지 요소를 이동시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훈련 장치의 화면표시부가 엘시디, 유기이엘, 브라운관, FED, PDP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훈련자 기준 원근으로 배치하고 훈련자로 하여금 원근을 교대로 바라보게 함으로 해서 입체 효과를 발생시켜 시력 유지 및 시력 회복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훈련자 기준 원근으로 배치하고 훈련자로 하여금 원근을 교대로 바라보게 함으로 해서 입체 효과를 발생시켜 시력 유지 및 시력 회복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열 전체가 1도에서 36000도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매직아이 기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14. 제 7항 도는 8항에 있어서,
    회전모터부와;
    회전모타 축에 중심부가 조합되었으며 연속된 이미지가 원주상으로 1열 이상 배열된 회전판부와;
    상기 회전모터부와 회전판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가감속, 정역전 정지, 운전등을 수행하는 제반 전기적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15. 단어, 문구, 문장, 이미지를 2회 이상 반복 나열하고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안구급속운동 형태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방법.
  16. 단어, 문구, 문장, 이미지를 2회 이상 반복 나열하고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안구급속운동 형태로 시각 인식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 장치.
KR1020050025269A 2005-03-26 2005-03-26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KR20060103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69A KR20060103392A (ko) 2005-03-26 2005-03-26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69A KR20060103392A (ko) 2005-03-26 2005-03-26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92A true KR20060103392A (ko) 2006-09-29

Family

ID=3762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69A KR20060103392A (ko) 2005-03-26 2005-03-26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3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9731B2 (en) 2008-08-08 2015-03-17 Koninklijke Philips N.V. Calming device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8-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CN110547956A (zh) * 2019-08-29 2019-12-10 常州大连理工大学智能装备研究院 一种用于青少年平衡能力培训用视觉动态训练装置
KR20230068727A (ko) 2021-11-11 2023-05-18 양이준 사시교정을 위한 안구인식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9731B2 (en) 2008-08-08 2015-03-17 Koninklijke Philips N.V. Calming device
KR101880386B1 (ko) 2017-01-12 2018-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장치를 이용한 시각장애 치료 시스템
CN110547956A (zh) * 2019-08-29 2019-12-10 常州大连理工大学智能装备研究院 一种用于青少年平衡能力培训用视觉动态训练装置
KR20230068727A (ko) 2021-11-11 2023-05-18 양이준 사시교정을 위한 안구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ter The mental athlete
McMorris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sports skills
US6409513B1 (en)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speed and comprehension skills
Kurtz Visual perception problems in children with AD/HD, autism, and other learning disabilities: A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Liu et al. Synaesthesia Design Research of Motion Game in Order to Cure the White-Collar’s Cervical Spondylosis
Farrow et al. Stroke survivors' perceptions of a leisure-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KR20060103392A (ko) 시각 훈련, 학습, 치료, 수면 및 최면 유도, 게임 및 경기방법 및 장치
CN1294905A (zh) 立体幻影眼保健操系统
Park et al. Play in natural outdoor environments: A healthy choice
KR20070049519A (ko) 안구근력 강화 훈련 방법 및 장치
Haines Abused: Surviving sexual assault and a toxic gymnastics culture
Barnes Improve your eyesight: a guide to the Bates method for better eyesight without glasses
Teig High Performance Vision: How to Improve Your Visual Acuity, Hone Your Motor Skills and Up Your Game
Lynch The use of electronic game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Schneider Vision for life, revised edition: Ten steps to natural eyesight improvement
Biegel et al. Mindfulness for student athletes: A workbook to help teens reduce stress and enhance performance
Martin The Best of Soccer Journal: The Art of Coaching
KR20060013880A (ko) 시각 훈련 방법 및 장치
Chivers Dyslexia and alternative therapies
Prange et al. A low-tech virtual reality application for training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in neurorehabilitation
Butera et al. Yoga Therapy for Stress and Anxiety: Create a Personalized Holistic Plan to Balance Your Life
Kaplan The Secrets in Their Eyes: Transforming the Lives of People with Cognitive, Emotional, Learning, Or Movement Disorders Or Autism by Changing the Visual Software of the Brain
Lawrence Teaching power yoga for sports
Scott et al. Imagine That! Mental Train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Kaplan Seeing Without Glasses: A Step-By-Step Approach To Improving Eyesight Na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