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44B1 -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44B1
KR101879344B1 KR1020170093606A KR20170093606A KR101879344B1 KR 101879344 B1 KR101879344 B1 KR 101879344B1 KR 1020170093606 A KR1020170093606 A KR 1020170093606A KR 20170093606 A KR20170093606 A KR 20170093606A KR 101879344 B1 KR101879344 B1 KR 101879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direction changing
roller
goods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안
임명주
김성관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7009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송 물품의 자동 분류를 위한 장치로서, 컨베이어 상의 배송 물품의 이송 방향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양각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각 패턴은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U'자 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향 전환 장치를 통하여, 배송 물품의 오 분류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확한 분류를 바탕으로 물품의 오 배송률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Direction switching device for automatic sorting of goods}
본 발명은 물품을 자동 분류하는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송 물품을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하여 방향 전환 장치의 롤러의 표면 형상을 달리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터넷 쇼핑 등 전자상거래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운송해야 할 물류량이 종래에 비해 훨씬 증대되었고 그에 따른 빠르고 정확한 배송의 중요성, 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 등이 대두되어,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업의 관심과 인력을 통해 물품을 분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가 도입된 배송 물품 분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에서는 물품이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분류 대상 물품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다가 컨베이어의 측면에 배치된 슈트로 이송되도록 전환되며, 슈트로 옮겨진 물품은 택배 배송차량으로 옮겨지는 과정을 가진다.
이 때, 컨베이어에 이송되어온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방향 전환 장치가 사용된다.
컨베이어에 이송된 물품은 박스 또는 비닐 등으로 포장되어 있는데, 비닐 포장된 화물의 경우에는 방향 전환 장치와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아 정밀한 분류가 어렵다.
구체적으로, 제어 수단에 의해 방향 전환 장치가 슈트 쪽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회전했더라도 비닐 포장된 화물의 경우에는 원하는 방향으로 분류되지 못하고 컨베이어를 따라 계속 이동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즉, 종래의 물품 자동 분류시스템의 경우에는 비닐 등의 재질로 포장된 화물을 원활하게 분류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오 배송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종래 선행기술(공개번호 10-2014-0084496)은 일반적인 물품 분류시스템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을 뿐, 비닐 포장된 화물의 분류가 어려운 문제점에 대한 인식 내지 그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 다른 선행기술(공개번호 10-2017-0019238)은 충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고 있을 뿐, 화물을 소팅(Sorting)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어, 상기 살펴본 것과 같이 선행기술들도 비닐 포장된 화물의 경우 자동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4496) “물품 분류시스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19238)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양각 패턴이 형성된 롤러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방향 전환 장치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종래의 자동 분류 시스템에서 배송 물품의 종류 중 특히, 비닐 포장된 물품인 경우 미끄러짐 때문에 잘못 분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송 물품의 자동 분류를 위한 장치로서,
컨베이어 상의 배송 물품의 이송 방향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양각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각 패턴은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U'자 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롤러의 표면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배송 물품을 분류 하는 컨베이어 상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하여,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부는 회전하여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U'자 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양각의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배송 물품이 비닐 포장 재질일 경우에만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방향 전환부는 배송 물품이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방향 전환부 어레이를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 상에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부 어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특히,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은 휘발성 있는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바람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바람 노즐은 방향 전환 장치 상에 도포된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표면에 양각 패턴이 형성된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장치 또는 분류될 배송 물품이 방향 전환 장치의 방향 전환 롤러와 접촉하기 전에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노즐 등을 구비함으로써, 방향 전환 장치와 배송 물품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오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 분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방향 전환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및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박스 포장된 화물 이송 시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비닐 포장된 화물 이송 시 종래의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방향 전환 장치에 구비된 롤러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장치에 구비된 롤러의 패턴 형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구비한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배송 물품이 자동 분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방향 전환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배송 물품을 자동 분류하기 위해 서버, 컨베이어, 스캐너, 방향 전환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도면 미도시, 11)는 택배기사 별 분류 데이터, 지역 별 분류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를 생성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는 후술할 스캐너(12)에서 인식한 물품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로 전송할 수 있어,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을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스캐너(12)는 컨베이어(13)에 올려진 배송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구체적으로 물품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 또는 RFID 등의 식별수단에 기록된 물품 정보를 인식하는 감지 장치이다.
이 때, 상기 스캐너(12)가 인식할 수 있는 물품 정보는 운송장 번호(송장 번호)일 수 있고, 또한 물품의 포장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스캐너(12)는 배송 물품이 비닐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비닐 포장과 관련된 포장 정보를 상기 서버(11)로 전송한다.
배송 물품의 포장이 비닐 포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공항의 수화물 보안 검사 장치 같이 X-ray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닐 포장된 경우와 박스 포장된 경우 가압되는 영역이 상이한데, 구체적으로는 비닐 포장된 물품의 경우 가압되는 영역이 국소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통하여 포장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시스템은 배송될 물품 올려진 후, 구비된 롤러를 통하여 일정한 방향을 따라 물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3)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13) 상에서 이동하는 물품을 지정된 슈트(14)로 이동시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방향 전환 장치(100)를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13)상의 배송 물품을 지정된 슈트(14)로 이송시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상기 서버(11)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는 방향 전환 장치(100)의 방향 전환부(102)의 회전 각도 조절, 컨베이어의 구동 및 후술할 미끄럼 방지 용액 분사까지 조절하여 물품 분류 과정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인 상기 방향 전환 장치(100) 및 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및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도면이며, 도 3은 박스 포장된 화물 이송 시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비닐 포장된 화물 이송 시 종래의 방향 전환 장치의 작동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방향 전환 장치(100)는 플레이트(101) 및 방향 전환부(102)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01)는 배송 물품을 분류 하는 컨베이어(13)상에 마련된다.
이 때, 방향 전환부(102)는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방향 전환부(102)가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서 평면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360° 범위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상기 방향 전환부(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롤러(104)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는 상기 방향 전환부(102)의 회전에 따라, 배치되는 방향이 바뀌고, 이에 따라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14)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방향 전환부(102)가 실질적으로 배송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므로, 물품 이송에 쓰이는 컨베이어(13)와 슈트(14)의 폭(Width)을 고려하여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되는 방향 전환부(102)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13)와 슈트(14)의 폭이 넓어지면,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되는 방향 전환부(102)의 숫자를 더 늘림으로써, 물품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영역을 넓힘으로써 물품 분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되는 방향 전환부(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품의 방향 전환에 용이하다면 실시예에 따라 방향 전환부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부(102)가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되는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복수 개의 방향 전환부(102)는 도 2와 같이 배송 물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고 배치되어 방향 전환부 어레이를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위와 같은 방향 전환부 어레이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송 물품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만 있다면 실시예에 따라 방향 전환부(102)의 배치를 달리하더라도 무관하다.
다음으로, 방향 전환부(102)에 구비되며, 컨베이어 상의 배송 물품의 이송 방향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롤러(10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방향 전환부(102) 상에는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롤러(104)가 포함되는데,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는 컨베이어(13) 상을 따라 이송되는 배송 물품과 접촉하고, 방향 전환 롤러(104)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송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4에서 방향 전환부(102) 상에 4개의 방향 전환 롤러(104)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방향 전환 롤러(104)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향 전환 롤러(104)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으나, 방향 전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폭이 넓은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거나, 짝수 개의 롤러를 대칭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10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고정부(103)를 통하여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들을 연결하여 같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고정부(103)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의 형상은 원통형, 육면체형 등 실시예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물품 분류 과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품을 좌측으로 분류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5)에 의하여 상기 방향 전환부(102)는 도 3의 좌측 도면처럼 좌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13) 상에서 이송되던 물품은 방향 전환 장치(100)와 접하여 방향 전환부(102) 상의 좌측으로 배열된 방향 전환 롤러(104)에 의해 이동 방향이 좌측으로 변경된다.
우측으로 분류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3의 우측 도면과 같이 상기 제어부(15)가 방향 전환부(102)를 우측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고, 이후의 과정은 좌측으로 분류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도 3은 바람직한 분류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써, 박스 포장된 물품의 경우에는 방향 전환 장치(100)와 물품 사이의 결합력(접착)이 높아 방향 전환 장치의 방향 전환부(102)의 배치에 따라 이동 방향이 확실하게 변경되어 오 분류 가능성이 낮다.
다만, 비닐 포장된 경우 내지 박스 포장된 경우라도 크기가 큰 물품인 경우에는 방향 전환 장치(100)와 배송 물품 사이의 결합력(접착)이 높지 않아, 도 4와 같이 제어부(15)에서 의도한 방향대로 물품이 분류되기 어렵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과 같이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방향 전환부(10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배열되어 있더라도, 방향 전환 장치(100)와 배송 물품 사이의 결합력(접착) 정도가 낮아 방향 전환 롤러(10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물품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분류되어야 할 물품은 컨베이어(13) 상을 계속하여 이동할 뿐, 지정된 슈트(14)로 분류되지 않아 오 분류되어, 배송 물품이 오 배송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송 물품이 방향 전환 장치(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다.
배송 물품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위는 방향 전환부(102) 상의 방향 전환 롤러(104)이므로,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의 표면은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롤러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표면만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이며, 롤러의 내부는 그 밖의 다른 재질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롤러의 표면을 패턴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방향 전환 장치에 구비된 롤러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장치에 구비된 롤러의 패턴 형상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향 전환 롤러(104)의 외주면을 따라 패턴이 형성되며, 특히 패턴은 양각 처리될 수 있다.
방향 전환 롤러(104) 표면을 양각 패턴 처리함으로써,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찰계수 높여 배송 물품과 방향 전환 장치(100) 사이의 결합력(접착)을 높여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6과 같이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양각 패턴은 상단이 원호 형상으로 굴곡진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는 엠보싱(Embossing)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돌기의 배치 간격은 도 6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의 표면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돌기 사이의 간격이 좁아 촘촘하게 배치될 수록,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의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어 마찰력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 전환 롤러(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양각 패턴은 도 7과 같이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패턴일 수도 있다.
상단이 만곡된 돌기는 상면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만곡된 돌기가 문어 다리의 빨판(Suction cup)과 같은 역할을 하여, 배송 물품과 방향 전환 장치(10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과 같이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양각 패턴은 사선 패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각도의 복수 개의 사선 형상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열을 이루고, 상기 제1 열의 돌기와 좌우대칭인 복수 개의 사선 형상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2 열을 이루며, 상기 제1 열과 제2 열이 교대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패턴일 수 있다.
동일한 방향이 아닌 상호 대칭(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 열과 제2 열을 교차 배치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의 사선 돌기를 반복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표면을 보다 거칠게 할 수 있어 배송 물품과 방향 전환 장치(10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 롤러(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양각 패턴은 도 9와 같이 타원 형상 돌기가 방사형을 이루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방사형이 배치된 주변에는 복수 개의 도트(dot)가 배치되는 패턴일 수 있고, 앞선 패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마찰계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미끄럼 방지 용액을 도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구비한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플레이트(101)의 전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11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110)은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하여, 컨베이어(13) 상 또는 방향 전환 장치(100) 상에 미끄럼 방지 용액을 도포할 수 있다.
배송 물품의 방향 전환 장치(100)와 접촉하는 면은 미끄럼 방지 용액에 의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플레이트(101)의 전단부는 엄밀하게 말하면, 컨베이어(13)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품의 진행 방향과 플레이트(101)가 최초로 맞닿는 영역을 의미하며, 플레이트(101)의 후단부는 배송 물품이 방향 전환 장치(100)를 통과하여 지나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 전환 장치(100) 상에 미끄럼 방지 용액이 도포된 후, 후속하여 이송되는 배송 물품이 종이 재질로 포장된 경우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에 의하여 종이가 젖어 배송 물품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은 도포된 이후에 빠른 시간 내에 증발할 수 있는 휘발성이 높은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너(12)에서 배송 물품이 예를 들면 비닐 포장된 것을 인식한 경우 데이터를 서버(11)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11)는 제어부(1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분사 노즐(110)을 통해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송 물품이 전자기기이거나 종이 포장된 경우와 같이, 배송 물품이 액체와 접촉하면 손상되기 쉬운 물품인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 용액이 분사를 방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 용액의 분사에 따른 배송 물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복수 개의 바람 노즐(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1) 상에 구비된 상기 바람 노즐(111)을 통해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 장치(100) 상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 용액을 건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속 배송 물품이 종이 포장 또는 전자기기인 경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배송 물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부(102) 어레이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이 건조될 수 있도록, 도 10 과 같이 방향 전환부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바람 노즐(111)의 배치는 도 10과 같은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향 전환 장치(100) 상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 용액을 건조시킬 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의 배치도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방향 전환 장치를 통하여 배송 물품의 오 분류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확한 분류를 바탕으로 물품의 오 배송률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11 : 서버
12 : 스캐너
13 : 컨베이어
14 : 슈트
15 : 제어부
100 : 방향 전환 장치
101 : 플레이트
102 : 방향 전환부
103 : 고정부
104 : 방향 전환 롤러
110 : 분사 노즐
111 : 바람 노즐

Claims (13)

  1. 배송 물품의 자동 분류를 위한 장치로서,
    컨베이어 상의 배송 물품의 이송 방향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 롤러는 상기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양각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각 패턴은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U'자 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롤러의 표면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배송 물품을 분류 하는 컨베이어 상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하여,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부는 회전하여 물품을 기 설정된 슈트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배송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측단면에서 봤을 때 상단이 만곡된 'U'자 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양각의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배송 물품이 비닐 포장 재질일 경우에만 미끄럼 방지 용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향 전환부는 배송 물품이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방향 전환부 어레이를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 상에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부 어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은 휘발성 있는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바람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바람 노즐은 방향 전환 장치 상에 도포된 상기 미끄럼 방지 용액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장치.
  13. 삭제
KR1020170093606A 2017-07-24 2017-07-24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KR101879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06A KR101879344B1 (ko) 2017-07-24 2017-07-24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06A KR101879344B1 (ko) 2017-07-24 2017-07-24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44B1 true KR101879344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06A KR101879344B1 (ko) 2017-07-24 2017-07-24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478A (ja) * 2006-03-31 2007-10-18 Toyo Kanetsu Solutions Kk 首振りセ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78113B1 (ko) * 2010-02-22 2010-08-25 주식회사 케이엠지 넌슬립 액체의 건조 장치
JP2014065610A (ja) * 2012-09-20 2014-04-17 Artecon Sagi D ローラ搬送システム
KR20140084496A (ko) 2012-12-26 2014-07-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KR20170019238A (ko) 2015-08-11 2017-02-21 칼텍주식회사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478A (ja) * 2006-03-31 2007-10-18 Toyo Kanetsu Solutions Kk 首振りセ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78113B1 (ko) * 2010-02-22 2010-08-25 주식회사 케이엠지 넌슬립 액체의 건조 장치
JP2014065610A (ja) * 2012-09-20 2014-04-17 Artecon Sagi D ローラ搬送システム
KR20140084496A (ko) 2012-12-26 2014-07-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KR20170019238A (ko) 2015-08-11 2017-02-21 칼텍주식회사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557B1 (en) Sensing conveyor for object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S10407201B1 (en) Rotating tamp head and automated dimension determination
CN105873838B (zh) 行李分拣方法与设备,所述设备能够处理不稳定或不规则形状的物品
US9233799B1 (en) Sensing conveyor for object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S93461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versal, flexible pillow bag pattern creation
US9085420B2 (en) Orien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966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Pattern from a Universal Surface to an Ultimate Package
US9731856B1 (en) Rotatable tamp head
US201600962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versal, Flexible Pillow Bag Pattern Creation
JP7225702B2 (ja) 仕分け装置
US10815068B2 (en) Automated parcel singulator
KR101879344B1 (ko) 물품 자동 분류용 방향 전환 장치
JP4877531B2 (ja) ラベル貼付設備
US20160052724A1 (en) Article turn conveyor
US11939103B2 (en) Label placement system
NL2023339B1 (en) Method of handling plastic packages
KR20220052722A (ko) 물류 자동 선별 이송 장치
US10315852B1 (en) On-demand v-shaped conveyor
JP7468294B2 (ja) シュート機構
JP7232734B2 (ja) 姿勢矯正装置および姿勢矯正方法
JP7394440B2 (ja) 検査装置
US11820021B2 (en) Automated case handling system
JP7417241B2 (ja) 仕分け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3094839A (ja) 仕分け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40043160A1 (en) Robotic Product Labe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