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06B1 -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 Google Patents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06B1
KR101879206B1 KR1020160059767A KR20160059767A KR101879206B1 KR 101879206 B1 KR101879206 B1 KR 101879206B1 KR 1020160059767 A KR1020160059767 A KR 1020160059767A KR 20160059767 A KR20160059767 A KR 20160059767A KR 101879206 B1 KR101879206 B1 KR 10187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user
coordinates
distanc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83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파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파이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05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2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밴드; 및 상기 손목밴드에 결합되며, 핀홀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핀홀과 사용자 간의 거리와 고도차를 연산하는 고도차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좌표를 생성하여 연산부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와, 복수의 핀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홀 좌표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핀 홀 좌표 중 하나의 핀홀 좌표를 선택하여 상기 연산부로 전달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대응하여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변화에 따라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연산부로 전달하는 센서부와, 상기 핀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핀홀 좌표와 상기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과 사용자간의 수평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수평거리와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과 사용자 좌표간의 경사진 경사로의 고도차와 경사진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상기 수평거리와 고도차 및 경사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방향 기준선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목밴드는 상기 방향 기준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HEIGHT DEFFERECE MEASURING TERMINAL FOR GOLF}
본 발명은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경기에서, 경기자는 공을 치는 위치와 핀까지의 거리를 예측하고 클럽을 선택하고 힘을 조절하여 공을 침으로써 경기를 진행한다. 이때, 거리에 대해 정확한 예측을 하게 되면 보다 좋은 점수를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골프장은 경사지가 있고 동일한 거리더라 하더라도 핀가 경기자 간의 고도차에 따라 다르게 거리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핀과 경기자 간의 고도차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골프장의 고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골프장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고도를 측정하고 이를 저장하고, 골프공이 위치한 곳에 경기자가 위치하여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고도정보를 전달받아 핀과의 고도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각 구역에 대한 고도차를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가 필요하여 맵정보를 구축하는 비용이 너무 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맵정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변경된 맵정보를 재구축할 때도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기의 선행기술 1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핀까지의 거리를 예측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의 선행기술 1에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로 핀홀에 꽂혀 있는 깃발을 촬영을 하고 촬영 결과를 스마트 폰의 표시부로 확인한다. 이때, 스마트 폰이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핀과 사용자간의 고도차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스마트 시계와 같은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디바이스는 배터리의 용량이 매우 작아 배터리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 배터리 소모를 줄여 사용시간이 길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매우 높아 사용시간이 오래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시계와 유사한 디바이스인 스마트 밴드와 같은 경우는 카메라 및/또는 표시부가 없어 하기의 선행기술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는 핀과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한국 공개 특허 10-2011-0088844호(2011. 08.0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핀홀과의 고도차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클럽을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손목밴드; 및 상기 손목밴드에 결합되며, 핀홀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핀홀과 사용자 간의 거리와 고도차를 연산하는 고도차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좌표를 생성하여 연산부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와, 복수의 핀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홀 좌표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핀 홀 좌표 중 하나의 핀홀 좌표를 선택하여 상기 연산부로 전달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대응하여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변화에 따라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연산부로 전달하는 센서부와, 상기 핀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핀홀 좌표와 상기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과 사용자간의 수평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수평거리와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과 사용자 좌표간의 경사진 경사로의 고도차와 경사진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상기 수평거리와 고도차 및 경사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방향 기준선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목밴드는 상기 방향 기준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고도차 측정 장치는 상기 수평거리와 고도차 및 경사진 거리를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고도차 측정 장치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이 더 구비되어 시간이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고도차 측정 장치는 심박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더 구비되어 심박수 측정결과가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좌표를 생성하고 특정 동작에 의해 발생한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좌표와 핀홀좌표를 이용하여 핀홀과 사용자간의 수평거리를 연산하고, 수평거리와 기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핀홀까지의 고도차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수평거리를 연산할 때,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핀홀좌표 중 하나의 핀홀좌표를 선택하여 사용자좌표와 연산하여 수평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는, 거리 측정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골프 경기 중 현재 위치와 핀홀과의 고도차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클럽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골프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도차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 도 4에 도시된 고도차 측정 장치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골프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경기는 복수의 홀에서 진행되며 각 홀에는 벙커와 연못(120) 및 경사지 등이 있는 다양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홀을 통해 설명을 한다. 경기자는 티 박스(110)에서 티샷을 하여 골프공이 안착된 지점(x)과 그린(140)에 위치하는 핀홀(141b)과의 거리에 따라 클럽을 선택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이때, 핀홀(141b)의 위치를 멀리서 알아볼 수 있도록 핀홀(141b)에는 핀(141a)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자가 샷을 날려 골프공이 안착된 지점(x)과 핀홀(141b)과의 거리를 인지하는 것이 골프 경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골프장의 각 홀은 경사지가 존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골프공이 안착된 지점(x)과 핀홀(141b)과의 수평거리(d)뿐만 아니라 핀홀(141b)까지의 고도차(h)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수평 거리(d)와 고도차(h)를 연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골프장에 대한 맵정보를 구비하고 GPS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맵정보는 골프장의 각 홀에 대한 핀홀(141b)의 위치에 대한 복수의 핀홀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핀홀좌표 각각에 대응하는 핀고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좌표를 통해 사용자가 골프장의 어느 홀에서 경기를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고 고도차 측정모드에 돌입할 수 있다.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사용자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핀홀(141b) 위치에 대한 핀홀좌표를 이용하여 수평거리(d)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는 경사진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고도차(h)를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기울기가 0보다 크면 핀홀(141b)의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보다 높은 것일 수 있고 기울기가 0보다 작으면 핀홀(141b)의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200)는 손목밴드(220)와 상기 손목밴드(220) 상에 배치(결합)되는 고도차 측정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밴드(220)는 손목에 차는 것일 수 있다.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시계 어플리케이션, 거리 측정 어플리케이션, 심박수 측정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터치패널(212)을 포함하는 표시부(450)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450)의 터치조작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시간, 거리측정, 심박수 측정 등의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손목밴드(220) 상에 배치되어 있고 고도차 측정 장치(210)의 방향 기준선(213)이 표시되는 표시부(450)의 하나의 변을 핀(141a)이 꽂혀 있는 핀홀(141b)의 지면과 일치시켜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에 기준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450)의 방향 기준선(213)과 동일한 방향의 돌출선(211)이 손목밴드(220)에 배치되도록 하고 돌출선(211)을 핀(141a)이 꽂혀 있는 핀홀(141b)의 지면과 일치시켜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선(211)은 돌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돌출선(211)은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의 외형에 일치되는 선들 중 하나의 선일 수 있다.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스마트 시계일 수 있다. 이러한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장착되는 배터리가 매우 작아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보다 배터리관리를 더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핀(141a)을 내장된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서 표시부(450)를 이용하여 핀(141a)을 관찰하고 그를 통해 기울기를 산출하게 되면 배터리 사용량이 커져 사용시간이 매우 짧아질 우려가 있다. 특히, 골프 경기와 같은 경우 장시간 소요되기 때문에 경기 도중 배터리가 소모되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카메라로 핀(141a)을 촬영을 하지 않아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200)는 손목밴드(220)와 상기 손목밴드(220) 상에 배치(결합)되는 고도차 측정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시계 어플리케이션, 거리 측정 어플리케이션, 심박수 측정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터치패널(212)을 포함하며 터치패널(212)의 조작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간, 거리측정, 심박수 측정 등의 결과 등을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손목밴드(220) 상에 배치되어 있고 고도차 측정 장치(210)의 터치패널(212)의 방향 기준선이 표시되는 표시부(450) 상면 중 하나의 변을 핀(141a)이 꽂혀 있는 핀홀(141b)의 지면과 일치시켜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에 기준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450)에서 표시되는 방향 기준선(2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선(211)이 손목밴드(220)에 배치되고 돌출선(211)을 핀(141a)이 꽂혀 있는 핀홀(141b)의 지면과 일치시켜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는 카메라 등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 핀(141a)을 촬영을 하지 못하더라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도차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좌표를 생성하여 연산부(430)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410), 사용자의 특정 동작의 발생을 감지하고, 특정 동작(도 5 및 도 6 참조)에 대응하여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가상의 기준선과 기울어진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420), 및 핀홀(141b)의 위치에 대응하는 핀홀좌표와 사용자좌표를 이용하여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수평거리(d)를 연산하고, 수평거리(d)와 기울기를 이용하여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고도차(h)를 연산하는 연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410)는 위성(미도시)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골프경기를 하는 경기자일 수 있고 캐디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좌표는 GPS 신호와 골프장에 대한 맵정보를 이용하여 골프장의 특정 지점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4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420)는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고도차 측정장치(2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고도차 측정장치(210)가 경사로의 기울어진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20)는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고도차 측정 장치(2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사용자가 고도차 측정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420)이 감지하는 위치변화는 고도차 측정장치(210)의 회전 및/또는 지면과의 거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의 변화, 순간적인 움직임의 변화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20)는 고도차 측정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특정 동작을 통해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경사로의 기울어진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경사로의 기울어진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부(420)에 가상의 기준선이 설정되고, 설정된 가상의 기준선이 골프장의 경사로에 의해 지평선과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지평선과 기울어진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가상의 기준선은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기울어지지 않는 경우 지평선과 평행한 선일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기준선은 도 2 또는 도 3의 고도차 측정장치(210)의 방향 기준선(213)이나 손목밴드(220)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선(211)과 일치하는 선일 수 있다.
연산부(430)는 센서부(420)에서 고도차 측정모드에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면 GPS 수신부(410)에서 생성된 사용자 좌표와 센서부(420)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연산부(430)는 핀홀좌표를 전달받아 사용자와 핀홀(141b) 사이의 수평거리(d)와 사용자와 핀홀(141b) 사이의 고도차(h) 및 경사진 거리(dt)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430)는 사용자 좌표와 핀홀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핀홀(141b)의 수평거리(d)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수평거리(d)와 센서부(420)에서 감지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핀홀(141b) 위치간의 고도차(h)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연산부(430)에서 수평거리(d)의 연산에 사용하는 핀홀좌표는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기저장된 핀홀좌표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440)는 골프장에 대한 맵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맵정보는 골프장의 각 홀의 핀홀(141b) 위치에 대한 복수의 핀홀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맵정보는 각각의 핀홀좌표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홀고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핀홀좌표와 각 핀홀좌표에 대응하는 핀홀(141b)의 고도정보 중에서 하나의 핀홀좌표와 그 핀홀좌표에 대응하는 핀홀고도 정보는 GPS 수신부(410)에서 생성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좌표에 대응하여 선택되고 연산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골프장의 복수의 홀 중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골프장의 홀이 특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핀홀(141b)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하여야 하는 맵정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아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의 저장용량의 크기가 크지 않아도 되며 맵정보가 변화되더라도 수집해야 하는 맵정보의 양이 적어 맵정보 구축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도차 측정단말기(210)는 연산부(430)에서 연산된 사용자와 핀홀(141b)까지의 고도차(h) 및/또는 핀홀좌표와 사용자좌표간의 수평거리(d)를 표시하는 표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50)는 고도차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LCD, OLED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일 수 있다. 하지만, 표시부(4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을 제공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표시부(450)가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고도차(h) 및/또는 수평거리(d)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스피커인 경우 음성으로 고도차(h) 및/또는 수평거리(d)가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50)는 핀홀(141b)과 사용자 위치 간의 경사진 거리(d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200)를 착용한 팔을 뻗어 손목이 핀홀(141b) 상의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핀홀(141b) 사이의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a)와 같이 핀홀좌표의 고도와 사용자좌표의 고도에 차이가 없는 경우, (b)와 같이 핀홀좌표의 고도가 사용자 좌표의 고도보다 낮은 경우, (c)는 핀홀좌표의 고도가 사용자 좌표의 고도보다 높은 경우, 각각에 따라 뻗은 팔의 각도가 다르게 되며 팔의 각도에 대응하여 지평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과 센서부(420)가 이루는 각이 달라지게 된다.
즉, (a)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손목이 핀홀(141b)상의 지면을 향하도록 팔을 뻗게 되면 팔이 살짝 아래로 기울어지고 센서부(420)는 팔이 기울어진 각도가 일정한 상태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사용자가 거리 측정을 하고자 하는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그리고, 센서부(420)는 팔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센서부(420)는 지평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과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b)와 같은 경우 핀홀(141b)이 사용자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팔을 뻗어 손목이 핀홀(141b) 상의 지면을 향하도록 하면 팔을 (a)의 경우보다 아래로 내려야 하고 이로 인해 팔이 아래로 더 기울어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420)는 팔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즉, 센서부(420)는 (a)의 경우보다 팔이 하방으로 더 내려가 있어서 지평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과 기울어진 정도가 더 큰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c)와 같은 경우, 핀홀(141b)이 사용자의 위치보다 위쪽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팔을 뻗어 손목이 핀홀(141b) 상의 지면핀을 향하도록 하면 팔을 (a)의 경우보다 위로 올려야 하고 이로 인해 팔이 위로 기울어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420)는 팔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즉, 센서부(420)는 (a)의 경우보다 팔이 상방으로 올라가 있어서 지평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과 기울어진 정도가 (a),(b)와 다른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 카메라를 통해 핀(141a)을 촬영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작아 구동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단말기(200)를 착용한 팔을 굽히고, 핀(141a)이 서 있는 핀홀(141b) 상의 지면과 일치시켜 경사로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a)와 같이 핀홀좌표의 고도와 사용자좌표의 고도에 차이가 없는 경우, (b)와 같이 핀홀좌표의 고도가 사용자좌표의 고도보다 낮은 경우, (c)와 같이 핀홀좌표의 고도가 사용자좌표의 고도보다 높은 경우, 각각에 따라 손목밴드(220)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선(211)이 핀홀(141b)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팔의 높낮이 조절과 함께 손목이 회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팔의 위치변화에 따라 센서부(420)에 설정된 가상의 기준선이 지평선과 평행한 가상의 기준선과 기울어진 정도가 달라져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거리를 측정할 때 카메라를 통해 핀을 촬영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작아 구동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을 굽힌 상태에서는 고도차 측정 장치(210)의 표시부(450)와 손목밴드(220)의 돌출부(211)를 관찰하기가 용이하며 표시부(450)에 표시되는 수평거리(d), 고도차(h) 등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표시부(450)를 관찰하면서 표시되는 고도차(h)가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겨냥(조준)하는 것을 조절하여 고도차 측정장치(210)에서 표시하는 고도차(h)의 오차에 대한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도 4에 도시된 고도차 측정 장치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700). 사용자의 특정동작은 사용자가 팔을 올리거나 팔을 뻗어 눈높이에 맞추는 것을 맞추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팔을 올리거나 뻗는 경우 지평선과 가상의 기준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동작의 감지는 사용자가 고도차 측정 장치(210)가 고도차 측정모드에 돌입되도록 한 후 지평선과 가상의 기준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 특정 동작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동작을 한 경우에만 고도차 측정장치(210)에서 고도차(h)를 연산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좌표를 생성하고 특정 동작에 의해 발생한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S710). 기울기의 감지는 센서부(420)에서 감지하며 센서부(420)에 가상의 기준선이 설정되어 있고 가상의 기준선이 경사로와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GPS 신호를 GPS 수신부(410)에서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고, 맵정보를 이용하여 골프장 내에서의 사용자 좌표를 전달받을 수 있다. 맵정보는 고도차 측정 장치(210)의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맵정보에는 복수의 홀들에 있는 각 핀홀(141b)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핀홀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좌표와 핀홀좌표를 이용하여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720).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거리는 수평거리(d)와 경사 거리(dt)일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사용자 좌표와 핀홀좌표를 이용하여 수평거리(d)를 연산하고, 연산된 수평거리(d)와 기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핀홀(141b)까지의 고도차(h)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수평거리(d)를 연산할 때,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골프장 내의 복수의 핀홀좌표 중 하나의 핀홀좌표를 선택하여 사용자좌표와 연산하여 상기 수평거리(d)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210: 고도차 측정 장치 410: GPS 수신부
420: 센서부 430: 연산부
440: 저장부 450: 표시부

Claims (7)

  1. 손목밴드(220); 및
    상기 손목밴드(220)에 결합되며, 핀홀(141b)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핀홀(141b)과 사용자 간의 거리와 고도차를 연산하는 고도차측정장치(210)를 포함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200)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좌표를 생성하여 연산부(430)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410)와, 복수의 핀홀(141b)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홀 좌표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핀 홀 좌표 중 하나의 핀홀 좌표를 선택하여 상기 연산부(430)로 전달하는 저장부(440)와,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대응하여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변화에 따라 경사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연산부(430)로 전달하는 센서부(420)와, 상기 핀홀(141b)의 위치에 대응하는 핀홀 좌표와 상기 사용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141b)과 사용자간의 수평거리(d)를 연산하고 상기 수평거리(d)와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핀홀(141b)과 사용자 좌표간의 경사진 경사로의 고도차(h)와 경사진 거리(dt)를 연산하는 연산부(430)와, 상기 연산부(430)에서 연산된 상기 수평거리(d)와 고도차(h) 및 경사진 거리(dt) 중 적어도 하나와 방향 기준선(213)을 표시하는 표시부(450)로 구성되고,
    상기 손목밴드(220)는 상기 방향 기준선(2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선(2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상기 수평거리(d)와 고도차(h) 및 경사진 거리(dt)를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이 더 구비되어 시간이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도차 측정 장치(210)는 심박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더 구비되어 심박수 측정결과가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59767A 2016-05-16 2016-05-16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KR101879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67A KR101879206B1 (ko) 2016-05-16 2016-05-16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67A KR101879206B1 (ko) 2016-05-16 2016-05-16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83A KR20170128983A (ko) 2017-11-24
KR101879206B1 true KR101879206B1 (ko) 2018-07-17

Family

ID=6081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67A KR101879206B1 (ko) 2016-05-16 2016-05-16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4096B (zh) * 2018-12-24 2023-12-29 唐山智能电子有限公司 自动装车机车厢检测及位置控制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913A (ja) * 1995-01-13 1996-07-30 Fujitsu Ltd ゴルフ場における測位システム
KR100586727B1 (ko) * 2004-12-10 2006-06-09 정순구 스윙 연습기능을 갖는 골프 관리기
KR20110032760A (ko) * 2009-09-24 2011-03-30 최용범 인공위성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프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이용방법
KR20110088844A (ko) * 2010-01-29 2011-08-04 김영훈 표고차를 고려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
KR101255354B1 (ko) * 2012-08-17 2013-04-16 김정헌 지피에스와 고도 정보를 이용한 골프 클럽 선택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1339562B1 (ko) * 2012-02-21 2013-12-10 유상현 실 거리 측정 장치 및 실 거리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913A (ja) * 1995-01-13 1996-07-30 Fujitsu Ltd ゴルフ場における測位システム
KR100586727B1 (ko) * 2004-12-10 2006-06-09 정순구 스윙 연습기능을 갖는 골프 관리기
KR20110032760A (ko) * 2009-09-24 2011-03-30 최용범 인공위성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프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이용방법
KR20110088844A (ko) * 2010-01-29 2011-08-04 김영훈 표고차를 고려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
KR101339562B1 (ko) * 2012-02-21 2013-12-10 유상현 실 거리 측정 장치 및 실 거리 측정 방법
KR101255354B1 (ko) * 2012-08-17 2013-04-16 김정헌 지피에스와 고도 정보를 이용한 골프 클럽 선택 가이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83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403B2 (en) Golf GPS device with hole recognition and hole selection
JP6316015B2 (ja) ゴルフ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2852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golf swings
KR101081121B1 (ko) 골프 스코어 기록 방법, 이를 제공하는 골프 스코어 기록 장치 및 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US20170010359A1 (en) Golf device with gps and laser rangefinder functionalities
CN103299252B (zh) 用于视频游戏的交互实践的设备
JP2010538764A (ja) ゴルフ用gps装置及びシステム
US11577125B2 (en) Sensor device-equipped golf shoes
JP6878614B2 (ja) ゴルフボールの個人別パッティング用の方法及び装置
US9889355B2 (en) Golf GPS device with a clip and changing user interface of the device based on clipping
US201100223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distance
KR20110088844A (ko) 표고차를 고려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
KR102148254B1 (ko) IoT 기반 스마트 퍼팅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9206B1 (ko)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KR101672481B1 (ko) 스윙 자세 분석 시스템
US20140132442A1 (en) Position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ree-dimensional move trace and the detecting method thereof
JP2012055450A (ja) ゴルフ支援装置
KR101279168B1 (ko) 지피에스와 각도 센서를 이용한 골프장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7063B1 (ko)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JP2020099707A (ja) ゴルフ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25585B1 (ko) 퍼팅 교정장치
JP2018114320A (ja) ゴルフ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156305A (ja) パッティ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JP2023055375A (ja) ゴルフ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等
KR20220165493A (ko) 그린 경사도 계산 장치 및 그린 경사도 계산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