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02B1 - 어망부유체 - Google Patents

어망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02B1
KR101879202B1 KR1020160150074A KR20160150074A KR101879202B1 KR 101879202 B1 KR101879202 B1 KR 101879202B1 KR 1020160150074 A KR1020160150074 A KR 1020160150074A KR 20160150074 A KR20160150074 A KR 20160150074A KR 101879202 B1 KR101879202 B1 KR 10187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lective layer
fiber
fishing n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921A (ko
Inventor
서무경
마남열
Original Assignee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2Refl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해상환경에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망부유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빛을 반사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외면에 메쉬 형상으로 직조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혼합한 혼직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어망부유체 {The floating bodies for fishing net}
본 발명은 어망부유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해상환경에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망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浮具)는 그물이나 기타 어구(漁具) 등 물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양식장과 같은 수상구조물이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 해상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한편, 어업인들이 어업행위를 하는 어장의 크기는 한정된 관계로, 어장에는 다수 어업인들이 사용하는 다수의 부구들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어업인들의 부구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 현재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구는 착색이 어려운 관계로 어업인들 각자의 부구의 구별을 위해 부구에 식별을 위한 깃발을 꽂아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심한 풍랑에 의해 깃발이 부구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면 부구의 주인을 식별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티로폼은 자연분해가 어려운 물질로인 관계로 부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스티로폼 조각들은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해변가에 모이게되는 스티로폼 조각들은 해변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스티로폼 조각들은 바다 생물들에게는 먹이감으로 오인될 수 있어서, 이러한 스티로폼 조각들을 섭취하는 바다 생물들이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식별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최소화하여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어망부유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3582호 (2013년 07월 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해 식별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어망부유체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최소화하여 해양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어망부유체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빛을 반사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외면에 메쉬 형상으로 직조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혼합한 혼직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반사층 사이에 상기 본체의 내부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강도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층은 섬유층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물과 결합하기 위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어망부유체는 반사층이 빛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므로, 식별력을 보다 더 향상시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부유체는 섬유층이 메쉬 형상으로 직조되므로, 해상환경에서 사용시 외력에 의해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메쉬 형상인 섬유층의 공극 사이로 반사층을 노출시켜 빛의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방부유체는 본체 및 강도보강층에 폴리올레핀이 사용되므로, 친환경적이고, 부력과 우수한 강도를 확보하여 해상환경에서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해양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본체를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사용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본체를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사용자가 임의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환경에 적합한 길이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이중결합을 1개 가진 사슬모양 탄화수소 화합물)의 중합으로 생기는 고분자화합물을 말하며,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에 속한다.
가교는 선상의 고분자 물질을 분자상호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시켜 망상구조로 만드는 것을 말하고, 연화 온도, 탄성 등의 성질이 향상되며, 발포성형 시 수지에 최적의 점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내열성 및 신율이 좋은 반경질 제품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성 및 복원성이 우수하고, 연소시 유해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도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다.
특히, 유연하고 완충성이 높으며, 내습성, 내수성, 내약품성 및 내구성이 우수함은 물론 연소시 유해성분이나 염소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초경량제품으로 부력이 뛰어나며 흡수율이 0.002g/cm2 이하로 완벽한 방수성을 가지는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체(100)를 형성하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는 야광물질(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야광물질은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표면에 도포, 부착, 증착 등의 방법으로 부가되거나,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시에 투입되어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 야광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된 본체(100)는 야광물질의 발광으로 인해 야간에도 본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해상환경에서 사용할 시 식별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고, 특별한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는 반사층(300) 및 섬유층(400)을 포함한다.
반사층(300)은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빛을 반사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반사층(300)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은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은 마그네슘을 주첨가 성분으로 한 강도가 높은 비열처리 알루미늄 합금을 말하며, 해수환경에서도 내식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은 연마공정을 거치면 광택이 우수한 특성이 있는데, 광택성을 향상시켜 해수환경에서 빛의 반사율을 보다 더 극대화하기 위해 연마공정을 거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반사층(300)을 본체(100)의 외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서, 반사층(300)과 본체(100)의 우수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체(100)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반사층(300)의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점상 도포하고, 그 반사층(300)의 일면을 본체(100)의 외면에 부착시킨 후 냉각하여 고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층(300)의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점상 도포하는 것은 반사층(300)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반사층(300)이 부착된 본체(100)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섬유층(400)은 반사층(300)의 외면에 메쉬 형상으로 직조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혼합한 혼직섬유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메쉬 형상으로 직조된 섬유층(400)은 해상환경에서 외력에 의해 본체(10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메쉬 형상인 섬유층(400)의 공극 사이로 반사층(300)을 노출시켜 빛의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본체(100)로부터 섬유층(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상면 및 하면에 직조된 혼직섬유를 모아 결속시키는 마감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감부재는 혼직섬유를 결속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플라스틱에 비해 가볍고, 강도, 내마모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야간에도 본체(100)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해 섬유층(400)을 이루는 혼직섬유에 야광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야광물질은 혼직섬유의 표면에 도포, 부착, 증착 등의 방법으로 부가되거나, 혼직섬유사의 제조시에 투입되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섬유층(400)을 이루는 혼직섬유에는 UV 안정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혼직섬유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2 내지 0.3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장시간 태양광선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변색, 크랙, 기계적 물성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은 선형 폴리에틸렌으로 매우 분자량이 큰 재료로, 평균 분자량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자량의 10배 정도이다. 섬유 형태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매우 높은 충격 저항과 마모에 대한 높은 저항, 매우 낮은 마찰 계수, 우수한 화학적 저항, 에너지 흡수 특성 및 전기 절연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방검복, 군사용 복합재료, 낚시 줄, 스키의 바닥 표면, 골프 공 코어, 볼링장 바닥, 빙상 경기장 바닥 표면, 생체 재료, 혈액 필터, 브러싱, 가스켓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소 낮은 용융점으로 인해 온도 상승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말하며, 내마찰성, 내마모성, 탄력성이 우수하며, 마찰계수가 낮고,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구조상 골격이 되는 벤젠핵이 직선적으로 연결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와 그렇지 않은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 나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도, 고탄성, 저수축의 특성을 가지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파라 아라미드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직물로 사용함으로써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망부유체는 강도보강층(200)을 더 포함한다.
강도보강층(200)은 본체(100)의 내부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
폴리올레핀이란 합성수지의 한 종류를 말하며, 에틸렌과 프로필렌 같이 올레핀(분자 1개당 1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탄화수소)을 첨가중합반응시켜 만드는 유기물질이다.
폴리올레핀은 기존의 플라스틱 물질보다 가볍고, 강도, 내마모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수분도 거의 흡수하지 않아 방수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생이 가능하고, 인체에 유독한 성분이 없기 때문에 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을 박판으로 성형하여 강도보강층(200)으로 사용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강도를 보강하고 해상환경에서 외력에 의해 본체(10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부유체의 사용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층(400)은 결합고리(420)를 더 포함한다.
결합고리(420)는 섬유층(4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물과 결합하기 위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고리(42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져 섬유층(400) 및 그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층(400)과 동일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그물의 상단에 형성된 그물고리와 결합고리(420)를 연결시켜 사용하는 사용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강도보강층
300: 반사층
400: 섬유층
420: 결합고리

Claims (3)

  1.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빛을 반사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외면에 메쉬 형상으로 직조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혼합한 혼직섬유로 형성되는 섬유층;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반사층 사이에 상기 본체의 내부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강도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층을 형성하는 상기 알루미늄은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에 마그네슘이 첨가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층을 이루는 상기 혼직섬유에는,
    상기 혼직섬유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2 내지 0.3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부유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섬유층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물과 결합하기 위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부유체.
KR1020160150074A 2016-11-11 2016-11-11 어망부유체 KR10187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74A KR101879202B1 (ko) 2016-11-11 2016-11-11 어망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74A KR101879202B1 (ko) 2016-11-11 2016-11-11 어망부유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21A KR20180052921A (ko) 2018-05-21
KR101879202B1 true KR101879202B1 (ko) 2018-07-17

Family

ID=6245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74A KR101879202B1 (ko) 2016-11-11 2016-11-11 어망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706B1 (ko) * 2019-05-08 2021-03-08 (주)블루웨이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KR200494797Y1 (ko) * 2021-06-25 2021-12-31 주식회사 광진피앤엘 부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484B2 (ja) * 1994-12-22 2002-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複合体
KR100461697B1 (ko) * 2003-12-17 2004-12-16 이학근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KR20110013095A (ko) * 2009-08-01 2011-02-09 황보국정 샌드위치형태의 발포체폼 부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82B1 (ko) 2012-05-29 2013-08-13 (주)제이엔텍 집어용 발광 그물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상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484B2 (ja) * 1994-12-22 2002-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複合体
KR100461697B1 (ko) * 2003-12-17 2004-12-16 이학근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KR20110013095A (ko) * 2009-08-01 2011-02-09 황보국정 샌드위치형태의 발포체폼 부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310484호(2002.08.0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21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aounakis Management of marine plastic debris
KR101969489B1 (ko)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 부표
KR101879202B1 (ko) 어망부유체
KR102541099B1 (ko) 복합 압력 용기용의 플라스틱 라이너
KR101241604B1 (ko) 방수 피막을 형성한 부구
KR20200131079A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0488411Y1 (ko) 친환경 부표 덮개
KR102319912B1 (ko) 친환경 종이 부표
KR101173082B1 (ko)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102213275B1 (ko)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10221500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CA2982098C (en) Multifunctional polymer composite yarn
CN102717866B (zh) 抗磨型复合材料船体及其成型工艺
Zudaire et al. Biodegradable dFAD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KR20190066510A (ko)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CN212500903U (zh) 一种混合系泊航标系统
KR20090109439A (ko) 엘라스토머 부구
KR200473910Y1 (ko) 해상사격훈련 표적물의 예인로프
US20120011762A1 (en) Nanocomposite fishing hooks
KR200472729Y1 (ko)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CN109024013A (zh) 一种高强度深海缆绳
KR20190086219A (ko) 유기항균제와 자기윤활성 물질을 이용한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KR101257791B1 (ko) 친환경 부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물
KR102476986B1 (ko) 외부충격에 강한 양식용 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