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97B1 -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1697B1 KR100461697B1 KR1020030092741A KR20030092741A KR100461697B1 KR 100461697 B1 KR100461697 B1 KR 100461697B1 KR 1020030092741 A KR1020030092741 A KR 1020030092741A KR 20030092741 A KR20030092741 A KR 20030092741A KR 100461697 B1 KR100461697 B1 KR 100461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
- film
- light
- floating body
- reflec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몰 또는 야간의 어둠속에서 부표의 육안 식별이 어려워 공사용 선박이나 어선등이 기시공 설치된 오탁방지막을 쳐서 파손시키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오탁방지장치 파손시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오탁방지장치의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경제성을 제공하며, 또한 선박이 피해를 볼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체와, 상기 부체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역할을 함과 더불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부체와 반사시트로 이루어진 부표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하게 되며 표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가 도포된 부체를 구비하거나, 외피 역할을 겸하는 반사시트 대신에,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발광도료가 도포되거나 축광도료가 도포된 외피가 적용된 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탁방지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해양 매립공사, 호안공사, 항로준설, 간척공사 등의 시행시 발생되는 토사나 세립토(silt)등 오탁물질의 확산 및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주변수역의 자연환경 및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일몰 또는 야간에 선박의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해안 또는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또는 간척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침은 물론, 주변의 어장이나 양식장 등을 황폐화시키거나 해양생물의 서식지 훼손 등 수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위의 수면에 오탁 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오탁방지장치는 1983년 9월 전남 광양만 광양제철 부지 조성 공사 준설 공구현장에 4,240M를 설치하여 인근 해태 김양식장의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된 이래로 96년 6월 현재 모든 건설 현장에 사전 환경 영향 평가에 반영되며 해양 환경의 보호, 생태계 보존, 수질 오염 방지 등의 목적으로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필수불가결한 제품으로 정착되고 있다.
또한, 민원 해소책으로 전시적 효과에 목적을 둔 초기 단계에서 벗어나 사전 환경 영향 평가에 따른 효과적인 제작, 설치 방법 등이 시행자, 설계자, 시공자, 제품 제작 업체간에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진일보한 일면이 있으며 부대공(附帶工)으로 기피하던 시공업체가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물량의 대형화, 사용현장 증가에 따른 설치현장의 해상조건 파악, 정확한 설치 목적 및 설치위치 선정과 경제적인 수량 산출, 수심을 감안한 효과적인 제품폭 결정, 사용기간과 안전율 적용기준 확립 등으로 설계에서 시공까지 근거있는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오탁방지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부유물을 격리하는 포지 등으로 제작된 오탁방지막(3)의 상단에 부체(100)와 외피(20)로 이루어진 부표(1a)(浮??; float)를 부착하고 오탁방지막(3) 하단을 통상 앵커블록(4)을 이용하여 수저면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이러한 오탁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오탁방지막(3)은 공사 현장의 자연 환경 조건에 따라 높이, 길이 등의 규격을 조절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오탁방지막을 구성하는 포지의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강이나 바다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비중이 1.1 이상이고 내수성이 강한 폴리에스테르 포지를 오탁방지막(3)으로 사용하는 바, 물의 유속, 풍향, 조류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오탁방지막을 지지하는 보조수단을 부설하여야 한다.
해안에서 공사할 때 단위 면적에 미치는 힘 또는 해수중에 오탁방지막(3)을 설치하는 경우 조류가 막체의 단위 면적에 미치는 힘 또는 압력은 다음의 식으로 표시된다.
P=F/A = pWvsin??/A
상기 식 중 P는 압력, F는 조류가 막체에 미치는 힘, A는 막체의 면적, p는 조류의 비중, W는 조량, v는 유속, ??는 막체와 조류 방향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조류의 흐름이 빠르지 않고 방향이 일정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공사 현장에는 오탁방지막(3)에 부표(1a)만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의 수시로 변하고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해안 공사현장, 예를 들면 항구 바깥쪽인 외항에 설치하는오탁방지막(3)은 상기 식에서의 압력 P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 서해안 영종도에 건설하는 수도권 공항건설 공사장 주변의 해역에서는 유속의 51.7 - 226.6㎝/s이고, 조량은 137.8 ㅧ106 - 1207.3 ㅧ 106㎥이며, 조향은 31ㅀ- 278ㅀ로 나타나므로 이 지역에 2.2m ㅧ 20m의 포지 150개를 연결하여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경우, 오탁방지막이 받는 최대 압력은 426.94㎫, 즉 426.94 ㅧ 106N/㎡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은 최소한 전술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태풍과 같은 최악의 해상 조건에서는 전술한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받게되므로 실제적으로 이러한 기상조건하에서는 오탁방지막에 부표만 부착된 오탁 방지장치로는 전술한 큰 압력에 견딜 수 없게 된다.
특히, 해안 공사에서는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길이가 수 ㎞정도에 이를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긴 단일 오탁방지막을 제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오탁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여러 개의 오탁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탁방지막의 측단부에 아일렛(eyelet)등으로 된 연결공을 형성하여 로프로 연결하는바, 이 경우 오탁방지막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크면 오탁방지막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조류, 파랑, 파고, 유각, 풍향, 풍속 등 자연의 변화 무쌍한 외력에 의하여 오탁방지막이 큰 압력을 받으면 좌우로 인장되면서 연결 부위의 마모에 의한 보강금구의 파손, 엮음 로프의 절단, 부표 외피(20)의 파손등이 나타남은 물론이고 부력이 큰 부표가 파도의 영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힘을 받게되므로 오탁방지막과 부표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만약 이와 같은 오탁방지장치의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하천이나 해양을 가리지 않고 환경 및 수자원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즉, 부표(1a)나 오탁방지막(3)의 파손시에는 오탁물질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침은 물론, 주변의 어장이나 양식장등을 황폐화시키거나 해양생물의 서식지 훼손 등 수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연합뉴스 2001년 05월 09 일자에 의하면, 『 영광 원전 온배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류제 공사가 10개월만에 재개됐다. 9일 영광원자력본부에 따르면 전남 영광군은 지난 3월 방류제 축조 예정지역에 대한 점.사용권을 조건부로 허가한데 이어 이날 원전이 제출한 실시계획 인가를 이날 최종 허가해 통보했다.
군은 대신 사업개시전 허가구역 경계를 나타내는 부표를 설치할 것과 공유수면점.사용 허가사항을 성실히 이해할 것, 오탁방지막이 설치된 앵커블록은 설치 후 전량 철거할 것 등을 허가 조건에 명시했다. 이로써 그동안 피해영역과 보상범위 등을 놓고 빚어졌던 원전과 주민간 지루한 공방은 일단락됐으며 원전 5,6호기 건설공사도 박차를 가하게 됐다.
원전은 지난해 7월 10일 착공과 함께 중지된 공사를 이날 오탁방지막 설치 작업을 시작으로 재개했다. 원전 관계자는 "공사가 늦어진 만큼 야간 및 동계공사를 강행해 원전 5,6호기 준공전 방류제 공사를 마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전과 환경부는 지난 96년 원전 5,6호기 건설허가 당시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에 5,6호기 준공 전까지 온배수 저감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명시했었다.
이에 따라 영광원전은 277억원을 들여 당초 내년 4월까지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에 길이 1천136m의 방류제를, 전북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는 360m 길이의 돌제를 각각 건설할 계획이었다.』라는 기사가 게재되어 있어, 원전 건설을 위한 방류제 축조공사에 오탁방지막 설치가 전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최근 연합뉴스 2003년 05월 06일자에는 『 미시령 동서관통도로 공사장에서 유출되는 토사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공사장 하류인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학사평저수 입구에 설치된 오탁방지막이 찢어져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는 내용의 기사가 실려 있고, 2003년 05월 08일자, 문화일보, '사회'면을 보면, 『 서울 도봉구청이 강북구와의 경계인 우이천변에 만든 공사차량 통행용 임시도로가 많은 비가 내린 7일 다량 유실돼 수해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봉구청은 지난 3월부터 쌍문3동 한일병원에서 창3동 신화초등 학교까지 폭 4m, 총길이 1.8㎞의 자전거도로를 만들면서 포크레인등 공사차량 통행을 위해 강변에 토사로 임시도로를 만들었다. 그러나 폭이 좁게는 2m에서 넓게는 8m에 이르는 이 임시도로엔 토사유출을 막아주는 오탁방지막이 설치되지 않았다. 최근 비가 많이 내리면서 토사유입이 더욱 심각해지자 하천생태 계 파괴를 우려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쏟아졌다. 강북구청측도 임시도로로 인해 하천에 토사가 쌓이는게 우려된다며 하천의 조속한 원상복구를 요구하는 공문을 도봉구청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도봉구청측은 “임시가도의 토사는 원래 강변에 있던 흙을 퍼나른 것이므로 하천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다”면서 “강바닥에 쌓인 토사는 매년 이뤄지는 준설공사 때 제거될 것”이라 고 해명했다. 서울환경연합 이철재 팀장은 “하천에서 공사할 때는 흙탕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반드시 오탁방지막을 설치해야 한다”면서 “잘못된 공사관행 때문에 강물에 토사를 쏟아붓고 다시 긁어내는 악순환과 예산낭비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하천준설 사업비로 지난 2001년 61억, 2002년 63억원을 지출했으며 올해는 71억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라는 내용의 기사가 실려있다.
또한, 문화일보 2003년 5월 1일자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 최악의 폭우피해를 보았던 강원도지역에 최근 많은 비가 내리면서 수해지역의 복구공사가 차질을 빚고 흙탕물로 하천과 바다가 오염되는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의 특성상 비가 내리면 2~3일 동안 공사를 하지 못하게 돼 우기철인 6월말까지 수해복구를 마무리하기 힘들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1일 강원도에 따르면 본격적인 수해복구 공사가 시작된 지난 3월부터 4월말까지 22차례에 걸쳐 비가 내리면서 수해복구 현장마다 터파기나 레미콘 타설 등을 하지 못해 공사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동해시의 경우 3월부터 착공된 294곳의 도로, 교량, 소하천, 수리시설, 사방임도 복구현장은 40% 안팎의 저조한 공정에 머물고 주택복구도 195채의 재건축 주택 중 68%인 133채의 공사를 마무리짓지 못하고 있다.
정선군에서는 북면·남면·임계면, 사북읍 등 700여곳의 수해복구 및 도로확·포장 공사 현장이 최근 내린 비로 공사가 중단됐으며 이 가운데 하천수해복구 현장 100여 곳은 불어난 물로 인해공사현장 일부가 유실됐다. 청정수질을 자랑하던 동강지역 역시 60여 곳의 막자갈 채취 현장 곳곳이 침수되면서 흙탕물로 범벅이되고 있다. 강원도는 동강 상류인 송천에 8000만원을 들여 이달초 오탁방지막을 설치, 흙탕물로 인한 탁도 증가와 어류 산란처 파괴등 하천 생태계 훼손을 막을 계획이다.
양양지역에서도 20여곳의 하천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흙탕물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면서 해안에서 2㎞지점까지 어장이 온통 황톳빛으로 변하고 있다. 어민들은 “잔교리와 만세고개쪽의 하천에서 흙탕물이 내려오는 바람에 미역채취 수입이 예년에 비해 30% 수준으로 줄었고 전복양식장도 피해가 우려된다”고 하소연했다.』라는 기사가 게재되어 있다.
이들 내용은 하나 같이 오탁방지막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것으로서, 오탁방지막의 파손은 사회, 경제, 환경적 관점에서 엄청난 손실 및 부정적 파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여부는 오탁물질의 확산 방지를 통해 수자원 및 환경을 보호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며, 이에 못지않게 설치후 기(旣)시공 설치된 오탁방지막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함을 상기 기사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오탁방지막 설치후 파손이 일어날 경우에는 오탁방지장치를 하지 않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수자원 및 환경의 파손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탁방지장치의 복구를 위해서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재투자되어야 하므로시공(施工)후 사후관리를 통해 기시공된 오탁방지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만큼이나 중요하다.
간척 공사나 대교 건설 현장 등의 경우, 오탁방지막은 해안선을 따라 수십 킬로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데, 낮에는 경계색을 띠는 외피(20)를 입힌 부표(1a)로 인해 활동중인 선박이나 어선이 이를 손쉽게 발견하여 충돌을 피할 수 있지만, 야간에는 부표(1a)가 보이지 않아 선박이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여부를 모른 채 활동하기 쉽고, 이 경우 예기치 못한 충돌에 의해 오탁방지막의 파손을 야기하거나 기타 안전사고를 야기하게 된다.
즉, 기존 오탁방지장치의 부표(1a)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체(100)에 주간에만 색채를 통해 오탁방지막 설치 영역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외피(20)가 입혀져 있다.
참고로, 기존의 부표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체(100)에 경계색으로서 노란색의 외피(20; 도 3 및 도 4참조)를 입히게 되는데, 상기 외피를 이루는 합성수지필름의 노란색은 단지 주간에만 관찰될 뿐 야간에는 식별이 되지 않는다.
한편, 오탁방지막이 설치된 공사 현장임을 알리기 위해 일정 거리를 두고 등부표(燈浮標)를 켜기는 하나, 이 등부표는 대당 가격이 수천만원(1대 설치비 약 4천만원 소요)에 이를 정도로 고가(高價)이고 설치간격도 거의 수 백미터 이상의 단위로 하나씩 설치되므로 간격이 너무 넓다. 따라서, 그 사이로 항해하는 소형선박 등의 경우에는 식별이 어렵다. 그리고 이 등부표는 1개월에 1회 이상 점검해야 하므로 관리도 번거롭고 까다롭다.
따라서, 이러한 등부표를 설치하는 기존 방식은 실질적으로 설치비용에 비해 별 다른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참고적으로, 등부표(燈浮標)란 선박에게 암초나 수심이 앝은 곳(Shoal)등의 장애물의 존재나 항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해저에 침추(Sinker)를 설치하여 해면상에 뜨게 한 구조물로서 야간에는 등화(Lights)를 발하는 것을 말하며, 해양수산부가 정한 표준형부표로 제작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몰 또는 야간에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식별할 수 없어 불측의 사고로 항해하는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이 오탁방지장치와 충돌하여 오탁방지막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오탁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표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오탁방지장치의 파손시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파손된 오탁방지장치의 재시공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일몰 또는 야간에 항해하는 선박이나 어선의 항해등 불빛에 반사되거나, 주간의 태양광등에 의해 축광되어 자체발광함으로써 어둠속에서 선명하게 오탁방지막의 설치 영역을 표시해주는 오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오탁방지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오탁방지장치에 적용되는 기존 부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단면도
도 3은 기존 부표 외피를 나타낸 전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부표에 구비되는 반사시트의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는 도 6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반사시트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다른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도 8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A"방향에서 바라본 부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2는 도 10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부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부표 1a:부체
2:반사시트 210:캔버스층
220:합성수지필름 230:반사필름
230a:반사부 230b:투명부
3:오탁방지막 4:앵커블록
5:반사도료가 입혀진 외피 510:반사도료
20:기존 외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르면, 강이나 해양 등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체와, 상기 부체를 보호하도록 부체 표면을 감싸는 외피역할을 함과 더불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부체와 반사시트로 이루어진 부표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게 되며 표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가 도포된 원통형 부체; 그리고, 상기 부체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 부체; 상기 부체를 감싸며 표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가 도포된 외피; 그리고, 상기 부체와 외피로 이루어진 부표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형태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 부체; 상기 부체를 감싸며, 표면에는 태양광(太陽光)이나 전등광등이 조사될 경우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는 발광도료(發光塗料)가 도포된 외피; 그리고, 상기 부체와 외피로 이루어진 부표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형태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 부체; 상기 부체를 감싸며, 표면에는 태양광(太陽光)이나 전등광(電燈光)등이 조사될 경우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발광하는 축광도료(蓄光塗料)가 도포된 외피; 그리고, 상기 부체와 외피로 이루어진 부표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사시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도 6의 Ⅱ-Ⅱ'선을 따른 것으로서, 반사시트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다른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떠서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의 부체(100)와, 상기 부체(100)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역할을 함과 더불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2)와, 상기 부체(100)와 반사시트(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표(1)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반사시트(2)는, PET 캔버스층(210)과, 상기 PET 캔버스층(210) 상부에 입혀지는 합성수지필름(220)과, 상기 합성수지필름(220) 위에 입혀져 빛을 반사하는 반사필름(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캔버스층은 베이스 역할을 하는 층을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PET 캔버스(POLYESTER CANVAS)층으로 됨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필름(220)은 노란색등 소정의 경계색을 띠게 된다.
한편, 상기 반사필름(230)은, 양각의 반사부(230a)와 음각의 투명부(230b)로이루어진다.
상기 양각의 반사부(230a)는 평평한 전면과 요철부를 가지도록 가공된 후면(혹은 프리즘면)을 구비하고 있는 재귀 반사부이다.
참고로, 공지된 프리즘면의 한 형태를 예로 들면, 상기 프리즘면은 복수개인 선형의 부등변 삼각 프리즘이, 상기 전반사 필름의 평평한 일면을 향하여 부등변 삼각 프리즘이 만드는 골짜기의 최저점에서 상기 평평한 일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된 구성이며, 상기 부등변 삼각 프리즘에서 장변과 장변이 이루는 각은 90도 이상이고 단변과 단변이 이루는 각은 90도 이하가 된다.
한편, 상기 반사필름(230)에 형성되는 양각의 반사부(230a)는 반사시트(2)가 부체(100)에 입혀졌을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1)의 표면에 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부표(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필름(230)에 형성되는 양각의 반사부(230a)는, 시트를 펼쳐서 보았을 때 다각형, 원형, 타원형, 스트라이프(Stripe)중 어느 한 패턴으로서, 시트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필름(230)에 형성되는 반사부(230a)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중 어느 두 가지 이상의 패턴이 혼재되는 형태를 이루면서, 시트면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탁방지장치는 오탁방지막(3)을 수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부표(1)(浮??;float)를 구성하는 부체(100)는 통상적으로 가격이 싸고 성형성이 좋은 발포 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주로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가 빈 플라스틱 원통체등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부체의 성질로서는 파도에 의해 한쪽으로 휩쓸리지 않고 부력유지 및 복원력이 우수해야하며, 그 형태는 원통상으로 제작 되어야하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외피를 포함한 구조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1)의 부체(100)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2)로 되어 있어, 야간에 항해하는 선박이나 어선의 항해등 불빛에 반사되어 부표(1)가 발광함으로써 어둠속에서 선명하게 오탁방지막(3)의 설치 영역을 표시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일몰시나 야간에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식별할 수 없어 항해하는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과의 예측지 못한 충돌에 의해 오탁방지막(3)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몰시나 야간에 활동중인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오탁방지막(3)이 파손될 경우, 오탁물질이 여과없이 하천이나 바다에 그대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야간에 식별가능한 부표(1)를 구비한 오탁방지막(3)을 설치하게 되면,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기시공된 오탁방지막이 파손을 막아, 상기 오탁방지막의 파손시 그의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및 인력 등을 아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기존의 부체를 감싸는 외피와는 달리, 외피를 구성하는 합성수지필름(220)위에 합착되는 반사필름(230)의 추가로 인해 외피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피 역할을 겸하는 반사시트(2)는, 반사필름(230)이 추가됨으로써 PET 캔버스층(210)과, 상기 PET 캔버스층(210) 상부에 입혀지는 합성수지필름(220)으로만 이루어진 기존의 외피에 비해 인장강도가 더욱 높아지게 됨으로써, 조류 및 수압에 의하여 오탁방지막이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반영구적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기존의 외피에 반사필름(230)만이 추가됨으로 인해 반사시트(2)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 따라서 오탁방지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 또한 등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해안등의 공사에서는 오탁방지막(3)을 설치하는 길이가 수 ㎞ 정도에 이를 수 있는 바, 긴 단일 오탁방지막을 제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오탁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중간에 드문 드문 설치하던 등부표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반사시트(2)는 제작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공사구간에 설치되는 모든 부체에 대해 반사시트(2)가 구비토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야간 또는 일몰시 광원에 대한 부표(1)에서의 빛의 반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오탁방지막 설치 영역을 식별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펼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A"방향에서 바라본 부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 부체(100)와, 상기 부체(100) 표면에 코팅되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510)와, 상기 부체(100) 표면에 반사도료(510)가 입혀져서 된 부표(1)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반사도료(510)는 일몰시나 야간에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도료를 말하며, 부체(100) 전면에 도포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띠 형태를 이루도록 도포되되, 상기 부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사도료(510)는 부체(100) 표면에 다각형, 원형, 타원형, 스트라이프등 여러 가지 패턴중 적어도 어느 한 패턴 이상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포되는 형태는 일반 페인팅, 스프레이 방식에 의한 도포 및, 실크스크린 방식에 의한 도포 등 모든 형태의 도포방식이 적용가능하며, 이러 도포방식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1)를 선박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도록 부체(100) 표면에 반사도료(510)가 도포되어 있어, 일몰시나 야간에 활동하는 선박이나 어선에서 나온 빛이 부체(100) 표면에 도포된 반사도료(510)에서 반사됨으로써 부표(1)를 통해 어둠속에서도 선명하게 오탁방지막의 설치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몰시나 야간에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식별할 수 없어 항해하는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과의 충돌에 의해 오탁방지막(3)이 파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몰시나 야간에 활동중인 선박과의 충돌에 의해 시공된 오탁방지막이 파손될 경우, 오탁물질이 여과없이 그대로 하천이나 바다에 유입되어 환경 파괴 및 수자원을 오염시킴으로써 야기되는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이와 같이 야간에 식별가능한 부표(1)의 설치로 인해, 오탁방지막의 파손시 그의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및 인력등을 아낄 수 있게 됨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한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에서는 부체(100) 표면에 코팅되는 반사도료(510)가 부체를 보호하는 기존의 외피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부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원통형 부체(100)와, 캔버스층(210)과 상기 캔버스층(210)위에 입혀지는 합성수지필름층(220)과 상기 합성수지필름층(220)위에 도포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510)로 이루어져 상기 부체(100)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5)와, 상기 부체(100)와 외피(5)로 이루어진 부표(1)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피(5)에 도포되는 반사도료(510)는 소정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캔버스층(210)은 외피 형성시 베이스 역할을 하는 층을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PET 캔버스(POLYESTER CANVAS)층으로 됨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반사도료(51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체(100)를 감싼 외피(5)의 원주방향을 따라 띠 형태를 이루도록 도포되되, 부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반사도료(510)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스트라이프 중 어느 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1)의 부체(100)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5)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도료(510)가 도포되어 있어, 부표(1)가 야간에 항해하는 선박이나 어선의 항해등 불빛에 반사되어 발광함으로써 어둠속에서 선명하게 오탁방지막의 설치 영역을 표시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일몰시나 야간에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식별할 수 없어 항해하는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과의 예측지 못한 충돌에 의해 오탁방지막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 발생을 예방토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야간에 식별가능한 부표(1)를 구비한 오탁방지막(3)의 설치로 인해 오탁방지막의 파손시 그의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및 인력 등을 아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기존 부표의 부체표면을 감싸던 외피와는 달리, 외피를 구성하는 합성수지필름(220)위에 반사도료층(510)이 추가됨으로 인해 외피(5)의 내구성이 기존 외피(20;도 2참조)에 비해 향상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피(5)는, 반사도료(510)층이 추가됨으로써 PET 캔버스층(210)과, 상기 PET 캔버스층(210) 상부에 입혀지는 합성수지필름(220)으로만이루어진 기존의 외피(20)에 비해 인장강도가 더욱 높아지게 됨으로써, 조류 및 수압에 의하여 오탁방지막이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오탁방지장치는 기존의 외피에 반사도료(510)층만이 추가됨으로 인해 반사시트(2)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 따라서 오탁방지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 또한 등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해안등의 공사에서는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길이가 수 ㎞정도에 이를 수 있는 바, 긴 단일 오탁방지막을 제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오탁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고가여서 중간에 드문 드문 설치하던 등부표와는 달리 상기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공사 전구간(全區間)에 소요되는 부표(1)의 부체(100) 또는 외피(5)에 반사도료(510)를 입힐 수 있고, 야간 또는 일몰시 설치된 부표(1)로부터 빛의 반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 등부표에 비해 오탁방지막 설치 영역을 식별하는데도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단순히 반사하는 반사도료(510) 대신, 밤에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발광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시트(2) 대신 발광시트가 외피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체 표면에 발광도료가 도포될 수 있고,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체를 감싸는 외피 표면에 발광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발광도료는 야광도료라고도 하며, 황화아연 등, 자외선보다 파장이 짧은 것을 조사(照射)하면 가시광선(可視光線)을 발하는 형인광체(螢燐光體)를 안료로서 전색제(展色劑)에 섞어 만든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반사도료(510)나 발광도료를 사용하는 대신, 도막(塗膜)에 태양광(太陽光)이나 전등광을 조사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장시간 발광하는 도료를 축광도료(蓄光塗料)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워낙 고가(高價)여서 수 ㎞정도에 이르는 오탁방지막 설치 구간의 중간에 드문 드문 설치하던 등부표와는 달리, 공사구간에 소요되는 부체(100) 또는 외피(5) 전체에 발광도료 또는 축광도료를 적용하여, 야간 또는 일몰시 부표에서의 발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기존 등부표에 비해 저비용으로 오탁방지막 설치 영역을 선명하게 식별토록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일몰 또는 야간에 특히 효과적이지만, 주간에도 기존의 오탁방지장치에 비해 오탁방지막 설치 영역에 대한 식별력을 높여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야간에 항해하는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에서 나오는 불빛에 반사되어 발광함으로써 어둠속에서 선명하게 오탁방지막의 설치 영역을 식별시켜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필름 또는 반사도료층, 혹은 발광도료층 또는 축광도료층이 기존 외피 표면에 추가됨으로 인해 외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제작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고 야간에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불측의 사고로 선박이나 어선이 충돌하여 오탁방지막이 파손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 파손시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기시공된 오탁방지막 파손시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수적으로는 소형 선박등이 오탁방지장치와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선박파손과 인명사고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제작가능하면서도 1기 제작비가 수천만원에 이르는 고가의 등부표(燈浮標)에 비해 훨씬 효과적으로 일몰시나 야간에 오탁방지막 설치구역을 항해중인 선박이나 조업중인 어선에 알려줌으로써, 상기 선박이나 어선의 충돌에 의한 오탁방지막의 파손시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수자원 오염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체;상기 부체를 보호하도록 부체표면을 감싸는 외피역할을 함과 더불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 그리고,상기 부체와 연결되는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반사시트는 PET 캔버스층과, 상기 PET 캔버스층 상부에 입혀지는 합성수지필름층과, 상기 합성수지필름층 위에 입혀져 빛을 반사하는 반사필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반사필름층은 상기 합성수지필름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양각의 반사부와, 상기 합성수지필름층에 합착되는 음각의 투명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사필름에 형성되는 반사부는 부표의 표면에서 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반사부는 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반사필름에 형성되는 양각의 반사부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스트라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서, 시트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2741A KR100461697B1 (ko) | 2003-12-17 | 2003-12-17 |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2741A KR100461697B1 (ko) | 2003-12-17 | 2003-12-17 |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61697B1 true KR100461697B1 (ko) | 2004-12-16 |
Family
ID=3738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2741A KR100461697B1 (ko) | 2003-12-17 | 2003-12-17 |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169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032B1 (ko) | 2007-09-05 | 2008-07-23 | 한국해양연구원 | 해양 관측용 부이 |
KR100972991B1 (ko) * | 2009-12-10 | 2010-07-30 | 주식회사 이젠 | 승하강조류를 갖도록 하는 오탁방지장치 |
KR101050975B1 (ko) * | 2011-04-01 | 2011-07-21 | 주식회사 조영 | 오탁방지장치의 부유체 포장재 및 오탁방지장치 |
KR101071091B1 (ko) | 2011-03-16 | 2011-10-10 |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 오탁방지막 부유 장치 |
KR20180052921A (ko) * | 2016-11-11 | 2018-05-21 |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 어망부유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6994U (ko) * | 1987-09-29 | 1989-05-15 | 김향곤 | 간척지용 실트 차단막 |
JPH11255182A (ja) * | 1998-03-12 | 1999-09-21 | Nishida Kagaku Kogyosho:Kk | 浮 標 |
JP2001058594A (ja) * | 1999-08-23 | 2001-03-06 | Bridgestone Corp | フローティングホース |
JP2002309564A (ja) * | 2001-04-13 | 2002-10-23 | Sumitomo Rubber Ind Ltd | 汚濁防止膜 |
-
2003
- 2003-12-17 KR KR1020030092741A patent/KR1004616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6994U (ko) * | 1987-09-29 | 1989-05-15 | 김향곤 | 간척지용 실트 차단막 |
JPH11255182A (ja) * | 1998-03-12 | 1999-09-21 | Nishida Kagaku Kogyosho:Kk | 浮 標 |
JP2001058594A (ja) * | 1999-08-23 | 2001-03-06 | Bridgestone Corp | フローティングホース |
JP2002309564A (ja) * | 2001-04-13 | 2002-10-23 | Sumitomo Rubber Ind Ltd | 汚濁防止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032B1 (ko) | 2007-09-05 | 2008-07-23 | 한국해양연구원 | 해양 관측용 부이 |
KR100972991B1 (ko) * | 2009-12-10 | 2010-07-30 | 주식회사 이젠 | 승하강조류를 갖도록 하는 오탁방지장치 |
KR101071091B1 (ko) | 2011-03-16 | 2011-10-10 |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 오탁방지막 부유 장치 |
KR101050975B1 (ko) * | 2011-04-01 | 2011-07-21 | 주식회사 조영 | 오탁방지장치의 부유체 포장재 및 오탁방지장치 |
KR20180052921A (ko) * | 2016-11-11 | 2018-05-21 |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 어망부유체 |
KR101879202B1 (ko) * | 2016-11-11 | 2018-07-17 |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 어망부유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ll et al. | The geologic effects of Hurricane Donna in south Florida | |
KR20100000129U (ko) | 발광 수위표 | |
CN202347506U (zh) | 水库、取出水口、拦河堰、沿近海域养殖区拦木拦污之浮体装置 | |
KR100461697B1 (ko) | 광반사형 또는 발광형 부표를 구비한 오탁방지장치 | |
Frihy et al. | Human impacts on the coastal zone of Hurghada, northern Red Sea, Egypt | |
Dunham et al. | Small-craft harbors: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 |
CN110735416A (zh) | 一种可升降生态重构界面修复结构及其施工方法 | |
JP2008037149A (ja) | 航行誘導装置 | |
Northwest Area Committee | North Oregon Coast Geographic Response Plan (GRP) | |
Katupotha et al. | Anthropogenic Activities on Coastal Sand Dunes-Evidence from Panama to Sangamankanda Coastal Stretch, Srl Lanka | |
Alexopoulos | Problems encountered when Tankers lie at Ports. The Case of Pylos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Protection Zones | |
Bell | Protection strategies for vulnerable coastal features | |
House | Finding of No Significant Impact Proposed Ice House and Boat Ramp, Pago Pago Harbor, to Support Recovery of the American Samoa Bottomfish Fishery | |
Michel et al. | Mechanical protection guidelines | |
Whitney | Cook Inlet, Alaska: oceanographic and ice conditions and NOAA's 18-year oil spill response history 1984-2001 | |
Council | Marion Bay Boat Launching Facility | |
Plan | Grays Harbor | |
Ross | Constructing Floating Tire Breakwaters | |
KOWALSKI et al. | How to Build a Floating Scrap Tire Breakwater | |
Ritchie |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Braer oil spill and development of a strategy for the monitoring of change and recovery | |
Lawrence et al. | Targeted collection of inventory data for wetlands fish barriers in the Great Barrier Reef catchment | |
Hegerl | Human impacts on the tidal wetlands of Southern Moreton Bay | |
Welsby et al. | A macro review of the coastline of England and Wales-volume 6: the South West Coast. Portland Bill to Avonmouth | |
Solutions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arbour in Magoodhoo, Faafu Atoll, Maldives | |
PITI | GUAM COASTAL MANAGEMENT PROGRAM FEDERAL CONSISTENCY FORM APPLICATION: CONDUIT INSTALLATION AND CABLE LANDING FOR SEA-US CAB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