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06B1 -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 Google Patents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06B1
KR102217706B1 KR1020190053943A KR20190053943A KR102217706B1 KR 102217706 B1 KR102217706 B1 KR 102217706B1 KR 1020190053943 A KR1020190053943 A KR 1020190053943A KR 20190053943 A KR20190053943 A KR 20190053943A KR 102217706 B1 KR102217706 B1 KR 10221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predetermined
column
floating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483A (ko
Inventor
강인화
Original Assignee
(주)블루웨이
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웨이, 강인화 filed Critical (주)블루웨이
Priority to KR102019005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소정재질의 부유체(浮遊體) 상단 면 위쪽의 소정부분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 내부 아래쪽 소정부분까지의 소정 길이로 되어서 아래쪽의 소정길이 부분은 부유체(浮遊體)의 속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부유체기둥이 함께 마련되는 기둥부유체를 사용하여 수면 위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위치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이 부유체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된 부유체기둥은 부유체와 아주 견고하게 하나의 일체로 결합이 되어서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부분과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더욱더 견고하고도 완전하게 지지를 할 수가 있도록 하게 되는바 특히나 바람이나 물결로 인하여 부유체를 포함한 전체의 시설물들이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더라도 모두가 하나의 일체로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서 상부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 및 지지기둥과 부유체의 각 연결부들이 끊어지거나 파손되거나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서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 및 지지기둥과 부유체가 모두 함께 하나의 일체로 결합이 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물에 떠서 부유(浮遊)를 하게 되는 부유체(浮遊體);와 위쪽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이 되면서 아래쪽 다른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아래쪽의 소정부분까지가 되는 부유체(浮遊體)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도록 구비가 되는 한 개 이상의 부유체기둥;이 함께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A floating body using pole}
본 발명은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소정재질의 부유체(浮遊體) 상단 면 위쪽의 소정부분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 내부 아래쪽 소정부분까지의 소정 길이로 되어서 아래쪽의 소정길이 부분을 부유체(浮遊體)의 속에 묻어서 매입(埋入)을 하게 되는 부유체기둥이 함께 마련되는 기둥부유체를 사용하여 수면 위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위치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이 부유체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된 부유체기둥은 부유체와 아주 견고하게 하나의 일체로 결합이 되어서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부분과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더욱더 견고하고도 완전하게 지지를 할 수가 있도록 하게 되는바 특히나 바람이나 물결로 인하여 부유체를 포함한 전체의 시설물들이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더라도 모두가 하나의 일체로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서 상부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 및 지지기둥과 부유체의 각 연결부들이 끊어지거나 파손되거나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서 상측 소정부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 및 지지기둥과 부유체가 모두 함께 하나의 일체로 결합이 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수면 위에다가 각종의 표시물들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함에 있어서 수면아래의 땅바닥에다가 소정의 기둥을 설치하여 수면위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기둥의 소정부분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거나 또는 수면 위에다가 각종의 부유체(浮遊體)를 구비하고 부유체(浮遊體)의 부력에 의하여 부유체(浮遊體)의 위쪽에 설치되는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의 무게를 지지하는 등의 방법들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각종 부유체(浮遊體)들의 부력에 의하여 위쪽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지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면자체의 물결에 의한 유동 또는 바람 등에 의하여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부유체 및 여러 가지의 시설물들이나 표시물들은 계속 움직이면서 유동을 하게 되어서 표시물이나 시설물들과 부유체(浮遊體)와의 연결부 또는 여러 가지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지지하면서 부유체와 연결이 되는 지지기둥과 부유체의 연결부들은 계속되는 수직과 수평방향의 유동으로 인하여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들이 발생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6-0004658호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원통형의 외주면 네 곳에 좌우 및 전후측 고정파이프가 외접되도록 상호간에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파여진 고정파이프 안착홈이 형성된 본체 중앙부와, 상기 본체 중앙부의 하부로 상부에서 하부로 그 직경 또는 폭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형을 갖도록 일정 높이 형성되어 수면 내측으로 잠긴 상태에서 그 말단에 무게추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 중앙부가 수면에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균형유지부와, 상기 본체 중앙부의 상면 중심부에서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및 두께로 돌출되되, 그 상면에 좌우 양쪽으로 설치되는 태양광모듈의 테두리부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형성되는 태양광모듈지지부와, 상기 경사형 태양광모듈지지부에 안착된 태양광모듈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는 태양광모듈지지부 하단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경사형 태양광모듈지지부에 걸쳐지는 좌우 양쪽 태양광모듈의 각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고정하도록 태양광 모듈지지부에 구비되는 태양광모듈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은 아래쪽의 부유체와 그 위쪽의 시설물들이 완전하게 결합이 되어 있지를 못하고 분리가 된 상태로 되어서 바람이나 수면의 물결 등으로 인한 시설물전체의 유동이 심하게 되면 아래쪽의 부유체와 위쪽의 시설물들은 각각 따로따로 유동을 하게 되어서 이곳저곳의 연결부들이 탈락되거나 이탈되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있게 되는바 이를 다소라도 보완을 하기 위하여서는 부득이 하게 여러 개의 부재들로 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프레임구조 틀을 제작한 후에 여러 개의 부유체들 위를 한꺼번에 일괄하여 연결하는 상태의 프레임구조 틀을 부유체들 위에다가 설치를 한 후에 그 위에다가 소정의 시설물들을 설치하게 되기에 결국에는 상부시설물들의 구조가 아주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게 된다.
특허공개 제2016-0004658호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소정재질의 부유체(浮遊體) 상단 면 위쪽의 소정부분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 내부 아래쪽 소정부분까지의 소정 길이로 되어서 아래쪽의 소정길이 부분은 부유체(浮遊體)의 속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부유체기둥이 함께 마련되는 기둥부유체를 사용하여 수면 위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위치 또는 부유체기둥 위쪽의 소정부분을 이루는 상부기둥 상측의 소정위치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이 부유체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된 부유체기둥은 부유체와 아주 견고하게 하나의 일체로 결합이 되어서 바람이나 물결로 인하여 부유체를 포함한 전체의 시설물들이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아주 심하게 유동을 하게 되더라도 부유체와 지지기둥 및 상부의 각종 시설물이나 표시물들은 하나의 일체로서 아주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 각각의 부분들이 저마다 따로따로 유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각의 연결부들이 탈락되거나 이탈되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전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로서 상기의 배경기술에서 설명을 한 프레임구조의 틀과 같은 복잡한 구조가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도록 하는 것과 함께 또한 아울러서 부유체기둥의 하단에다가 소정형상의 금속덩어리나 시멘트제품덩어리 또는 콘크리트덩어리 등으로 되어 부피에 비하여 무게가 상당히 무거운 중심추를 구비하여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이 바람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힘이나 유동 때문에 심하게 기울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들을 미리 방지하는 것에 있어서도 아주 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물에 떠서 부유(浮遊)를 하게 되는 부유체(浮遊體)(10);와 위쪽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이 되도록 하면서 아래쪽 다른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아래쪽의 소정부분까지가 되는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한 개 이상의 부유체기둥(20);이 함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유체기둥(20)은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이나 또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 위쪽방향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는 곳에서부터 위쪽의 부분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의 두개로 분리를 하여서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의 하단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볼트(212)와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 및 제2연결판(31)과 각각의 관통구멍(211)에 의하여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유체기둥(20)은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이나 또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 위쪽방향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는 곳에서부터 위쪽의 부분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의 두개로 분리를 하여서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면서 그 상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위쪽으로 돌출되는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부착되는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30)의 하단에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제1연결판(2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제2연결판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하도록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조립하여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제2연결판(31)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한 볼트(212)를 조여서 상부기둥(30)과 하부기둥(40)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浮遊體)(10)는 소정의 형상으로 된 스티로폼(styrofoam) 덩어리(11)의 외부표면을 알루미늄으로 된 얇은 판(12)이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구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 내부의 소정위치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이나 또는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의 하단 면과 연접하는 외측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무게가 무거운 소정의 재질 되는 무게중심추(50)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유체기둥(20)의 하단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 하단 면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이 되는 하단돌출부재(60)가 더 구비되고 하단돌출부재(60)의 아래쪽 하단에 상기의 무게중심추(5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유체기둥(20)의 상단 또는 상부기둥(30)의 상단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의 소정부분과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한 개의 부유체(浮遊體)(10)에다가 두 개의 부유체기둥(20)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어서 서로 마주하게 되는 한 쌍이 되도록 구비를 하되 한 쌍인 두 개의 부유체기둥(20) 중에서 어느 한 쪽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이 다른 한쪽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에 비하여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돌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단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에 결합이 된 채로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된 부유체기둥(20)이 수면 위의 소정구획 안에서 가로와 세로방향의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개로 된 상기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여러 개로 된 상부기둥(30)의 소정부분에는 여러 개의 부유체기둥(20)들 또는 여러 개의 상부기둥(30)들을 가로와 세로의 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71) 및 세로연결부재(72)가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은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소정재질의 부유체(浮遊體) 상단 면 위쪽의 소정부분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 내부 아래쪽 소정부분까지의 소정 길이로 되어서 아래쪽의 소정길이 부분은 부유체(浮遊體)의 속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부유체기둥이 함께 마련되는 기둥부유체를 사용하여 수면 위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 상측의 소정위치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을 부유체의 내부에 묻어서 매입(埋入)을 하게 되는 아주 간단한 구조로서 바람이나 물결로 인하여 부유체를 포함한 전체의 시설물들이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아주 심하게 유동을 하게 되더라도 상부의 각종 시설물이나 표시물 및 지지기둥은 부유체와 함께 모두가 하나의 일체로서 아주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 각각의 부분들이 저마다 따로따로 유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인하여 각각의 연결부들이 탈락되거나 이탈되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전혀 없는 수면부유시설물을 제공하게 되는 아주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과 함께 또한 더불어서 부유체기둥의 하단에다가 소정형상의 금속덩어리나 시멘트제품덩어리 또는 콘크리트덩어리 등으로 되어 부피에 비하여 무게가 상당히 무거운 중심추를 구비하여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이 바람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힘이나 유동 때문에 심하게 기울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들을 미리 방지할 수가 있는 수면부유시설물을 제공하는 아주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은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d는 상기 도 1a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의 도 1에다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을 함께 도시한 다양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부유체(浮遊體)에다가 두 개의 부유체기둥을 구비하게 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의 도 3에다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을 함께 도시한 실시 예의 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태가 두 개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상태가 두 개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기둥부유체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서 하나의 부유체(浮遊體)에다가 두 개의 부유체기둥을 구비하게 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1)는 도 1a에서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물에 떠서 부유(浮遊)를 하게 되는 부유체(浮遊體)(10)와, 위쪽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이 되면서 아래쪽 다른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아래쪽의 소정부분까지가 되는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도록 구비가 되는 한 개 이상의 부유체기둥(20)으로 구성된다.
부유체(浮遊體)(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모두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수상에 부유할 수 있는 스티로폼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부유체(浮遊體)(10)는 원형의 구형이나 아래위의 수직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수평방향들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더 길쭉한 타원형의 구형이나 또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소정크기의 체적을 가지는 직사각이나 정사각 등의 다면체들로서 구비를 할 수가 있으며, 그 재질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발포제(열을 가하면 분해되어 거품을 발생하는 약제)를 가하여 스펀지처럼 만들어서 굳힌 스티로폼(styrofoam)이나 또는 내구성의 증진을 위하여 스티로폼(styrofoam)의 표면에다가 각종의 비닐(vinyl)재료나 또는 에폭시나 우레탄 등과 같은 코팅재료로서 코팅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발포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서 구비를 하여 마찬가로 표면에다가는 각종의 비닐(vinyl)재료나 또는 에폭시나 우레탄 등과 같은 코팅재료로서 코팅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부유체(浮遊體)(10)는 소정의 형상으로 된 스티로폼(styrofoam) 덩어리(11)의 외부표면을 알루미늄으로 된 얇은 판(12)이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재질로서 소정의 형상으로 된 스티로폼(styrofoam) 덩어리의 외부표면을 감싸서 구비를 하여 상시적으로 물과 접촉을 하게 되는 수면에서의 부식에 대한 문제가 전혀 없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내구성 또한 크게 향상이 되도록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유체(浮遊體)(10)는 공이나 풍선 등과 같이 각종의 플라스틱이나 비닐(vinyl) 또는 고무(rubber) 등의 재질로 되어 밀폐가 된 기구(氣球)의 속에다가 공기 등의 기체를 채워 넣어서 구비를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의 알루미늄재질로 되어 내부가 밀폐된 소정형상의 기구(氣球) 속에다가 공기 등의 기체를 채워 넣어서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부유체(浮遊體)(10)는 내부에 삽입되도록 별도의 부유체기둥(20)이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부유체기둥(20)의 소정길이 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 속의 중심에서 연직방향으로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도록 구비를 하게 된다.
이때에 부유체기둥(20)은 도 1a에서와 같이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서 돌출이 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유체기둥(20)의 위쪽 상단에다가 각종의 시설물이나 표시물들과 결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돌출이 된 소정의 위치에서 부터 위쪽이 되는 상부기둥(30)과 그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으로 분할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때에는 하부기둥(40)의 아래쪽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며 위쪽 나머지의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 상단의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노출이 된 채로 돌출이 된다.
또는 도 1d에서와 같이 부유체(浮遊體)(10)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으로 분할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때에는 도 1b에서처럼 하부기둥(40)의 전체길이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부유체(浮遊體)(10)에다가 두 개 이상의 부유체기둥(20)을 구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에 부유체기둥(20)은 도 3a에서와 같이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연장이 되어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유체기둥(20)의 상단에다가 각종의 시설물이나 표시물들과 결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도 3d에서 도시를 한 도면의 좌측부분에서와 같이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돌출이 된 소정의 위치에서 부터 위쪽이 되는 상부기둥(30)과 그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으로 분할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때의 하부기둥(40)은 도 3b의 도면과 도 3d에서 도시를 한 도면의 좌측부분에서처럼 하부기둥(40)의 아래쪽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며 위쪽 나머지의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 상단의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노출이 된 채로 돌출이 된다.
또는 도 3c의 도면과 도 3d에서 도시를 한 도면의 우측부분에서와 같이 부유체(浮遊體)(10)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으로 분할을 하여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때에는 도 3c의 도면과 도 3d에서 도시를 한 도면의 우측부분에서처럼 하부기둥(40)의 전체길이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도 1d의 도면과 도 3b 및 도3c 및 도3d 도면 좌측부분의 하부기둥그림에서처럼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30)의 하단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볼트(212)와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 및 제2연결판(31)과 각각의 관통구멍(211)에 의하여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b 및 도3c 및 도3d 도면 우측부분의 하부기둥그림에서처럼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면서 그 상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위쪽으로 돌출되는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부착되는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30)의 하단에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제1연결판(2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제2연결판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하도록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조립하여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제2연결판(31)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한 볼트(212)를 조여서 상부기둥(30)과 하부기둥(40)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을 상부기둥(30)과 하부기둥(40)으로 분할을 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을 하여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한 후에 부유체기둥(20)의 상단이 되는 상부기둥(30)의 상단에다가는 각종의 시설물이나 또는 표시물들을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 및 1d 및 도 3d에서처럼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 내부의 소정위치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무게가 무거운 소정의 재질 되는 무게중심추(50)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의 하단 면과 연접하는 외측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무게가 무거운 소정의 재질 되는 무게중심추(50)를 구비할 수 있다.
무게중심추(50)는 부유체기둥(20)의 하단에다가 소정형상의 금속덩어리나 시멘트제품덩어리 또는 콘크리트덩어리 등으로 되어 부피에 비하여 무게가 상당히 무거운 중심추를 구비하여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이 바람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힘이나 유동에 때문에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것에 있어서 아주 큰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처럼 무게중심추(50)는 부유체기둥(20)의 하단이 되는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다가 구비를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도 1c에서와 같이, 부유체기둥(20)의 하단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 하단 면 외측의 연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이 되는 하단돌출부재(60)를 더 구비하여 하단돌출부재(60)의 아래쪽 하단에 상기의 무게중심추(50)가 부착하게 됨으로서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이 바람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하중이나 유동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려는 것을 저지하게 되는 무게중심추(50)의 저항모멘트를 유발하는 모멘트팔의 길이가 보다 더 길어져서 결국에는 부유체(浮遊體)(10)를 중심으로 한 수면위쪽 부분의 수평하중에 의한 전도모멘트에 저항을 하게 되는 수면아래쪽 무게중심추(50)의 저항모멘트가 더욱더 커지게 되어서는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이 부유체(浮遊體)(10)와 함께 수평방향의 기울어짐과 유동에 있어서는 더욱더 안정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여러 가지 실시 예에 있어서 부유체기둥(20)의 상단에다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2a와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1) 하나로서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과 결합을 하여 지지를 하게 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1) 두개로서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과 결합을 하여 지지를 하게 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a와 도 2b와 도 2c에서처럼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1) 하나로서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을 결합하여 지지하게 되는 상태의 여러 개가 반복을 하면서 서로 연결이 되도록 구비를 하게 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3에서와 같이 하나의 부유체(浮遊體)(10)에 두 개의 부유체기둥(20)이 구비된 기둥부유체(1)의 상부에다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하여 기둥부유체(1)의 상부에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이 결합된 상태의 여러 개가 반복을 하면서 서로 연결이 되도록 구비를 하게 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또한, 호수나 저수지 등의 수면 위 소정구획 안에서 실시를 하게 되는 수상태양광발전은 먼저 구획 안에서 가로와 세로의 각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마다 수면위에 부유(浮遊)를 할 수가 있는 각종의 부유체(浮遊體)들을 여러 개 설치를 하고 나서 그 위에다가 여러 개의 부재들로 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프레임구조인 넓은 틀을 제작하여 여러 개의 부유체(浮遊體)들 위를 한꺼번에 일괄하여 연결하는 상태가 되도록 부유체(浮遊體)들 위에다가 넓은 틀을 올려놓아서 설치를 한 후에 다시 프레임구조인 넓은 틀 위에서 별도의 지지기둥들과 태양광발전모듈 및 어레이와 이를 지지하는 각각의 부재들을 별도로 설치하여 실시를 하게 되는바 이때에 프레임구조로 되는 넓은 틀을 제작하고 설치를 하게 되는 것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며 시간 또한 상당히 길어지고 작업 또한 아주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유체기둥(20)의 상단 또는 상부기둥(30)의 상단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의 소정부분과 결합이 됨과 동시에 부유체기둥(20)의 하단 또는 하부기둥(40)의 하단은 부유체(浮遊體)(10)와 함께 일체로 결합이 되어서 경계의 구분 없이 모두가 하나의 일체적인 구조가 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상태양광발전에서 여러 개의 부유체들 위에 설치를 하게 되는 프레임구조의 넓은 틀을 모두 생략할 수가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비용뿐만 아니라 시간 또한 상당히 절감을 할 수가 있게 되며 특히나 일관된 공장에서 부유체기둥(20)이 하나로 결합된 기둥부유체(1)와 상부기둥(30)과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으로 되는 3개의 부분으로 분할을 하거나 또는 부유체기둥(20)이 하나로 결합된 기둥부유체(1)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으로 되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을 하여 일관된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제작을 한 후 현장으로 운송을 하여 조립과 설치만 하면 되도록 하여 전반적인 작업과정이 아주 빠르고 간단하면서도 쉬울 수가 있게 된다.
특히나 도 4b 및 도 5에서와 같은 단면도의 상태에 의하여 특정한 수면 위의 소정구획 안에서 가로와 세로방향의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의 기둥부유체(1)들을 구비하고 그 위에다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되도록 설치를 하여 실시를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때에 부유체(浮遊體)(10)와 함께 일체가 되어서 가로와 세로방향의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구비되는 상기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여러 개로 된 상부기둥(30)의 소정부분에는 여러 개의 부유체기둥(20)들 또는 여러 개의 상부기둥(30)들을 가로와 세로의 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71) 및 세로연결부재(72)가 함께 구비되도록 하여 특정한 수면위의 소정구획 안에서 의 가로와 세로방향의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여러 개의 기둥부유체(1)들로서 실시가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적인 수상태양광벌전시설물들의 각 부분들이 조류나 수면의 유동이나 또는 바람 등에 의하여 각각 분리가 되거나 서로 떨어지게 되는 것들을 방지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상태양광발전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부유체(浮遊體)(10)에다가 두 개의 부유체기둥(20)을 구비하되 두 개의 부유체기둥(20)은 남북 쪽의 일 방향 또는 남북 쪽의 방향에 근접하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면서 서로 마주하게 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함께 아울러서 남북 또는 남북과 근접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인 두 개의 부유체기둥(20) 중에서 북쪽 또는 남쪽의 어느 한 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이 다른 한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에 비하여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돌출이 되도록 할 수도 있게 되는바 이는 태양광발전의 핵심인 태양이 지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남반구에서는 북쪽에 북반구에서는 남쪽에 각각 있게 되는바 태양광발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태양광발전모듈이나 어레이를 남반구에서는 북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하거나 북반구에서는 남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설치되도록 하기위하여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둥부유체(1)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은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소정재질의 부유체(浮遊體)(10) 상단 면 위쪽의 소정부분에서부터 부유체(浮遊體)(10) 내부 아래쪽 소정부분까지의 소정 길이로 되어서 아래쪽의 소정길이 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의 속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부유체기둥(20)이 함께 마련되는 기둥부유체(1)를 사용하여 수면 위쪽에 있게 되는 부유체기둥(20) 상측의 소정위치 또는 부유체기둥(20)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연결을 하게 되는 상부기둥(30) 상측의 소정위치에다가 각종의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이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아주 간단한 구조로서 바람이나 물결로 인하여 부유체(浮遊體)(10)를 포함한 전체의 시설물들이 수평과 수직의 방향으로 아주 심하게 유동을 하게 되더라도 상부의 각종 시설물이나 표시물 및 지지기둥은 부유체(浮遊體)(10)와 함께 모두가 하나의 일체로서 아주 견고하게 결합이 되어 각각의 부분들이 저마다 따로따로 유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인하여 각각의 연결부들이 탈락되거나 이탈되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는 수면부유시설물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아울러서 부유체기둥(20)의 하단에다가 소정형상의 금속덩어리나 시멘트제품덩어리 또는 콘크리트덩어리 등으로 되어 부피에 비하여 무게가 상당히 무거운 중심추(50)를 구비하여 수면위의 각종 표시물이나 시설물들이 바람 등과 같은 수평방향의 힘이나 유동에 때문에 옆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현상들을 미리 방지할 수가 있는 수면부유시설물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기둥부유체
10 : 부유체(浮遊體)
20 : 부유체기둥
21 : 제1연결판
211 : 관통구멍
212 : 볼트
213 : 너트
30 : 하부기둥(40)
31 : 제2연결판
40 : 하부기둥
50 : 무게중심추
60 : 하단돌출부재
70 :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
71 : 가로연결부재
72 : 세로연결부재

Claims (10)

  1. 소정의 형상으로 되어 물에 떠서 부유(浮遊)를 하게 되는 부유체(浮遊體)(10);와
    위쪽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위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이 되도록 하면서 아래쪽 다른 일 측의 소정길이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부터 아래쪽의 소정부분까지가 되는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되는 한 개 이상의 부유체기둥(20)과;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 내부의 소정위치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이나 또는 상기 부유체(浮遊體)(10) 아래쪽의 하단 면과 연접하는 외측이면서 부유체기둥(20)의 아래쪽이 되는 소정부분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무게가 무거운 소정의 재질 되는 무게중심추(50);를 구비하고,
    부유체기둥(20)의 상단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의 소정부분과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유체기둥(20)은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이나 또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 위쪽방향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는 곳에서부터 위쪽의 부분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의 두개로 분리를 하여서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의 하단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볼트(212)와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 및 제2연결판(31)과 각각의 관통구멍(211)에 의하여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유체기둥(20)은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이나 또는 부유체(浮遊體)(10) 위쪽의 상단 면에서 위쪽방향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는 곳에서부터 위쪽의 부분이 되는 상부기둥(30)과 아래쪽이 되는 하부기둥(40)의 두개로 분리를 하여서 하부기둥(40)의 상단에다가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면서 그 상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위쪽으로 돌출되는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부착되는 제1연결판(21)을 부착하고 상부기둥(30)의 하단에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볼트(212)가 관통할 수가 있는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제2연결판(31)을 부착하여 제1연결판(2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한 개 이상의 볼트(212)가 제2연결판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하도록 하부기둥(40)과 상부기둥(30)을 조립하여 너트(213)로서 제1연결판(21)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제2연결판(31)의 관통구멍(211)을 관통한 볼트(212)를 조여서 상부기둥(30)과 하부기둥(40)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부유체기둥(2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浮遊體)(10)는 소정의 형상으로 된 스티로폼(styrofoam) 덩어리(11)의 외부표면을 알루미늄으로 된 얇은 판(12)이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구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개의 부유체(浮遊體)(10)에다가 두 개의 부유체기둥(20)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되어서 서로 마주하게 되는 한 쌍이 되도록 구비를 하되 한 쌍인 두 개의 부유체기둥(20) 중에서 어느 한 쪽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이 다른 한쪽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상부기둥(30)에 비하여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돌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은 태양광발전모듈 또는 어레이를 지지하는 틀이나 프레임(70)에 결합이 된 채로 아래쪽의 소정길이부분은 부유체(浮遊體)(10)의 내부에 묻혀서 매입(埋入)이 된 부유체기둥(20)이 수면 위의 소정구획 안에서 가로와 세로방향의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여러 개로 된 상기의 부유체기둥(20) 또는 여러 개로 된 상부기둥(30)의 소정부분에는 여러 개의 부유체기둥(20)들 또는 여러 개의 상부기둥(30)들을 가로와 세로의 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71) 및 세로연결부재(72)가 함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KR1020190053943A 2019-05-08 2019-05-08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KR10221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43A KR102217706B1 (ko) 2019-05-08 2019-05-08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43A KR102217706B1 (ko) 2019-05-08 2019-05-08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83A KR20200129483A (ko) 2020-11-18
KR102217706B1 true KR102217706B1 (ko) 2021-03-08

Family

ID=7369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43A KR102217706B1 (ko) 2019-05-08 2019-05-08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7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11B1 (ko) * 2015-04-06 2015-07-09 주식회사 지산홀딩스 수상태양광발전장치 및 콘크리트 부유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657A (ko) * 2003-01-30 2004-08-06 배종태 항해 부표
KR20160004658A (ko) 2014-07-03 2016-01-13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KR101857949B1 (ko) * 2016-07-26 2018-05-15 창이테크(주) 부유식 수상 지지장치
KR101879202B1 (ko) * 2016-11-11 2018-07-17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어망부유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11B1 (ko) * 2015-04-06 2015-07-09 주식회사 지산홀딩스 수상태양광발전장치 및 콘크리트 부유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83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544B2 (ja) 水上発電装置
US6220241B1 (en) Buoyant platform for radiant energy collecting apparatus
US20180102732A1 (en) Waterborne photovoltaic system
JP2021514888A (ja) 浮体式太陽光発電設備用架台装置
KR20190100158A (ko) 모듈식 태양전지판 플랫폼용 부유 모듈
KR101153365B1 (ko) 이동식 태양광발전시스템
JP6901867B2 (ja) 浮体式洋上プラットフォーム
KR102160784B1 (ko)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EP2463524B1 (en) Marine wind turbine whole machine
KR101262016B1 (ko) 태양전지판의 지지를 위한 프레임간 결합구조를 갖는 태양전지판 지지구조물
JP2015104245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2217706B1 (ko) 기둥부유체를 이용한 수면 부유시설물
KR10116574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70016236A (ko) 원통형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식 태양발전 모듈
KR20180025370A (ko)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물
JP2014051848A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の基礎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101685896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CN107926799B (zh) 一种可海面组装的渔业养殖装置
CN115520336A (zh) 漂浮式风机基础、海上风电系统及海上风电系统的安装方法
CN115892347A (zh) 海洋环境监测装置
KR102364660B1 (ko)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JP7161305B2 (ja) 水上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支持構造および水上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0653577U (zh) 设备搭载浮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