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510A -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510A
KR20190066510A KR1020170166278A KR20170166278A KR20190066510A KR 20190066510 A KR20190066510 A KR 20190066510A KR 1020170166278 A KR1020170166278 A KR 1020170166278A KR 20170166278 A KR20170166278 A KR 20170166278A KR 20190066510 A KR20190066510 A KR 2019006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ynthetic resin
fishing net
fishing
antifo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428B1 (ko
Inventor
허남일
Original Assignee
허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일 filed Critical 허남일
Priority to KR102017016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B29D28/005Reticulated structure comprising reinforcement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11Bio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fi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은,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코어가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어망용 로프를 성형하되, 압출성형시 압출금형에 미세돌기를 가공하여 로프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로프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종의 방오 기능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피복하고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되도록 어망용 로프를 압출성형한 후, 어망용 로프를 사용하여 방오 어망을 제망함으로써 견뢰성과 마모에 의한 방오 성능의 저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ANTI-FOULING FISHING NET}
본 발명은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의 방오 기능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을 피복하여 어망용 로프로 압출성형하되, 압출성형시 어망용 로프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제망할 수 있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근해의 바닷물속에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가두리망이나 정치망 등에 사용되는 어망은 양식되는 물고기나 전복 등의 어폐류의 외부유출을 막고, 그 사업장의 범위를 구분하기 위해 어망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의 어망은 통상적으로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섬유로 된 원사를 사용한 어망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합성섬유로 된 원사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어망은 바닷물속에 설치했을때 보통 한달 정도 경과하면 각종의 이물질과 미생물 들이 어망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파래류와 따개비나 홍합등의 갑각류 등이 서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어망속으로 신선한 바닷물이 원활하게 환류되지 못하게 되어, 양식되는 물고기나 전복등의 어폐류에 필요한 량의 충분한 산소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여 저산소증 등으로 물고기나 전복등의 어폐류의 성장에 지장을 주거나 폐사율을 증가 시키고, 또한 바닷물의 부영양화를 촉진시켜 해양오염의 원인될 뿐만 아니라, 어망의 표면에 부착된 파래류와 따개비나 홍합등의 갑각류 등으로 인하여, 어망에 부하가 가중되어 바닷물속에 설치된 시설물을 침하하거나 파손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들을 제거하거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망의 표면에 정기적으로 방오도료를 도포해야 하는점 등의 부수적인 작업으로 인하여 어민들에게는 많은 시간의 낭비와 경제적인 부담을줄 뿐만 아니라, 방오 도료로 인한 해양오염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망의 표면에 부착된 파래류와 따개비나 홍합 등의 갑각류 등을 정기적으로 제거하고,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망의 표면에 방오도료를 도포(년 2~3회)하는 등의 종전에 일반적으로 시행하던 단순처리단계를 넘어서, 근본적인 문제점 해결의 방안으로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387호에는 라셀 무결망과 관통형 무결망 구조의 어망용 네트에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식모시킴으로써, 방오성능을 구현하고, 상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시스부에 실리콘이 함유됨으로써 방오 성능을 향상시고, 상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코어부에는 PET을 적용하고, 바인더로써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전기적 가공으로 식모시켜 어망용 네트에 견고하게 식모될 수 있도록 하는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는 3D 플로킹 타입 어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3635호에는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수지와 PBS수지에 비하여 구조적인 강도는 낮지만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일정 비율로 중합한 다음에, 이를 단일섬유로 방사하여 그물실을 제조하고서, 이그물실로 어망을 제조함으로서 해수중에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를 어망어구에 적용시키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308581호에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의 가두리틀의 역할을 하고 공기가 외부로부터 주입될 수 있으며 공기가 주입되면 바다표면 위에 부유하고 공기가 배출되어 바닷물이 주입되면 바닷속으로 잠수할 수 있고,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호스가 설치되고 바닷물을 주입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물 출입구가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관의 하부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서 어류가 성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이 바닷속으로 잠수할 수 있도록 하중을 갖는 하부 프레임이 고정된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614호에는 어망의 뼈대를 형성하고 깊이를 확보하기 위한 복수개의 세로 뼈대줄의 최상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설치되는 세로 뼈대줄의 갯수를 조절하여 어망의 크기를 결정하는 상부테줄과 상기 복수의 세로 뼈대줄의 최하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설치되는 어망의 바닥크기를 결정하는 하부테줄중 서로 대향하는 하부테줄과의 바닥면을 연결하여, 어망 바닥의 뼈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바닥 십자줄과 세로 뼈대줄과 상부테줄 및 하부테줄간의 공간에 양식용 어류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사각형상으로 망을 형성하는 사각형상 바닥줄을 일체로 구비한 어망구조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025호에는 참나무를 고온에 구워진 백탄과 함께 바다속에 돌과 함께 어망에 넣어 해초나 조개류가 부착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어망의 표면에 정기적으로 방오 도료를 도포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추가적인 비용과 작업시간이 소용될 뿐만 아니라, 제2의 환경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3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363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3085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6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02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2종의 방오 기능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피복하여 어망용 로프로 압출성형하되, 압출성형시 어망용 로프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제망함으로써, 견뢰성과 마모에 의한 방오 성능의 저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코어가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어망용 로프를 성형하되, 압출성형시 압출금형에 미세돌기를 가공하여 로프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로프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무기항균제는, 은(Ag), 구리(Cu), 아연(Zn) 또는 은(Ag), 구리(Cu), 아연(Zn) 화합물의 미분말 또는 제올라이트에 상기 항균제를 포함하고 발수 기능을 위해 소수성화하며, 상기 항균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상기 합성수지에 배합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상기 합성수지가 점착성을 갖는 경우,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흑연(Graphite) 및 육방정계질화붕소(h-BN)의 미분말을 상기 합성수지에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상기 합성수지가 저 마찰계수를 가진 테프론이나 실리콘 계통인 경우, 상기 항균제만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상기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는,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를 갖는 아라미드계의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세선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 소둔 처리된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돌기는, 상기 압출금형에 레이저 또는 부식법에 의해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은, 상기 로프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상기 로프의 교차 부위의 경사와 위사를 교호(交互)로 끼워서 매듭이 없는 공지된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은, 상기 로프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상기 로프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를 서로 교호로 짜서 평직으로 제망하고, 상기 교차 부위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종의 방오 기능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피복하고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되도록 어망용 로프를 압출성형한 후, 어망용 로프를 사용하여 방오 어망을 제망함으로써 견뢰성과 마모에 의한 방오 성능의 저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어망용 로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망을 위해 어망용 로프의 교차 부위의 경사와 위사를 교호(交互)로 짜서 평직으로 제망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오 어망의 제망 상태에서 어망용 로프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어망용 로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망을 위해 어망용 로프의 교차 부위의 경사와 위사를 교호(交互)로 짜서 평직으로 제망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오 어망의 제망 상태에서 어망용 로프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준비단계(S10)와, 어망용 로프 압출성형단계(S20)와, 그리고 어망용 로프 제망단계(S30)를 포함한다.
원료준비단계(S1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즉, 원료준비단계(S10)에서는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12)와, 그리고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를 준비한다.
합성수지(12)는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Thermo Plastic Elastomer, TPE) 및 고무류를 포함한 열가소성과 열경화성 모두를 포함하여 압출성형이 가능한 수지로 준비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12)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재료에 따라서 비중(0.9~1.3)이 낮고,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은 탄성과 유연성을 가지셔 충격에 가하고, 고온에서는 가소, 즉 용융되어 각종 성형(사출, 압출, 카렌다 성형 등)이 가능한 탄성체이다. 특히 폐기되는 열가소성 탄성체는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12)는 열가소성 우레탄(Thermo Plastic Urethane, TPU)으로 준비될 수 있다. 열가소성 우레탄은 높은 인장강도와 고무보다 2~5배, 철보다 10배 강한 내마모성을 가지며, 쇼아 경도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망의 용도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12)는 어망의 용도에 맞는 유연성을 가지며 기계적 강도 특히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이 있는 원료로 준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하가 적은 어망의 경우에는,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 없이도 합성수지(12)에 무기항균제와 자기 윤활성 첨가물만을 배합하여 제망할 수도 있다.
무기항균제는 은(Ag), 구리(Cu), 아연(Zn) 또는 은(Ag), 구리(Cu), 아연(Zn) 화합물의 미분말 및 제올라이트에 항균제를 포함하여 소수(疏水)성화하며, 항균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합성수지에 배합한다.
즉, 무기항균제는 은(Ag), 구리(Cu), 아연(Zn) 또는 은(Ag), 구리(Cu), 아연(Zn) 화합물의 미분말 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질 담체에 항균제를 포함하고, 담체인 제올라이트를 소수(疏水)성화하여 발수 기능을 추가한 열가소성 우레탄에 첨가하여 성형함으로써, 따개비와 조개류 등이 부착하지 못하는 항균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합성수지(12)가 점착성을 갖는 경우에는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흑연(Graphite) 및 육방정계질화붕소(h-BN)의 미분말을 합성수지(12)에 배합한다. 즉,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해양생명체의 안착을 방해하고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서 표면의 마찰계수를 저감하는 자기 윤활성을 갖는 고체 윤활체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흑연(Graphite) 및 육방정계질화붕소(h-BN)의 미분말을 첨가하여 열가소성 우레탄의 점착성 표면을 미끄러운 윤활성 표면으로 바꿔, 해양생명체 및 파래 등의 식물성인 해조류가 어망으로부터 쉽게 이탈되게 하는 방오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합성수지가 저 마찰계수를 가진 테프론이나 실리콘 계통인 경우에 항균제만 배합한다.
코어(14)는 합성수지(12)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는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를 갖는 아라미드계의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형성되고, 금속 세선은 구리 또는 구리합금, 소둔 처리되어 유연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즉, 코어(14)를 형성하는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은 압출성형시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를 가지며, 부하가 큰 어망의 경우에 합성수지를 포함한 어망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어망용 로프 압출성형단계(S20)는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12)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코어(14)가 합성수지(12)에 의해 피복되는 어망용 로프(10)를 성형하는 공정이다.
즉, 어망용 로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우레탄의 중앙부에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높은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를 삽입하여 일체로 압출성형함으로써 완성되게 된다. 이때, 열가소성 우레탄을 성형하는데 필요한 용융온도(약 섭씨 220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섬유(예를 들어서, 아라미드 섬유의 내열온도, 약 섭씨 350도 이상) 또는 선경(線徑)이 가늘고 유연성이 있는 금속 세선에 열가소성 우레탄을 피복하여 압출함으로써 어망의 굵기를 가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공정 중에서, 합성수지(12)가 통과하는 압출금형에 미세돌기를 가공하여 압출함으로써, 열가소성 우레탄으로 성형된 어망용 로프(10)의 표면에 미세돌기(16)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세돌기(16)는 압출금형에 레이저 또는 부식법에 의해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로 형성된다.
이러한 미세돌기(16)는 따개비와 같은 동물성의 유생(幼生)이 안착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상어 피부에 형성된 미세돌기와 같은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초발수 및 방오 기능을 가진 연꽃잎효과(Lotus Effect) 즉, 미세돌기에 의해 물리적으로 방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어망용 로프 제망단계(S30)는 어망용 로프 압출성형단계(S20)를 통해 압출성형된 어망용 로프(10)를 사용하여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즉, 어망용 로프 제망단계(S30)는 열가소성 우레탄에 의해 고 인장강도로써 철보다 10배 강한 내마모성과 탄성을 갖는 로프(1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돌기(16)에 의한 물리적인 방오 효과와 더불어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에 의해 2종의 방오 효과를 갖는 방오 어망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12)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합성수지(12)로 코어(14)를 피복하고 합성수지(12)의 표면에 미세돌기(16)를 형성하는 어망용 로프(10)를 성형한 후, 어망용 로프(10)를 사용하여 방오 어망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시되는 방오 어망은 로프(10)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로프(10)의 교차 부위의 경사와 위사를 교호(交互)로 끼워서 매듭이 없는 공지된 무결절 제망(Knotless Netting)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여기서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방오 어망을 제조하는 이유는, 합성수지(12)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우레탄 소재의 특성인 탄성 때문에, 통상의 고리형으로 엮는 매듭(결절)식 제망은 고리 형성 과정에서 로프의 곡률 반경이 커서 완벽한 결박이 어렵기 때문이다.
[실시예 2]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12)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14)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합성수지(12)로 코어(14)를 피복하고 합성수지(12)의 표면에 미세돌기(16)를 형성하는 어망용 로프(10)를 성형한 후, 어망용 로프(10)를 사용하여 방오 어망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시되는 방오 어망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10)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무결절 제망(Knotless Netting)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즉, 방오 어망은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를 서로 교호시켜 평직으로 제망한 후(도 3 참조),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무결절 제망(Knotless Netting) 방식으로 제조하였다(도 4 참조). 이러한 방오 어망은 공지된 무결절 제망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를 고정하는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방오 어망을 제조하는 이유는, 로프(10)를 서로 교호(交互)로 짜서 평직으로 제망하는 경우, 제망 후 로프(10)의 경사와 위사 전체가 분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로프(10)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 부위(P)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로프(10)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 부위(P)를 국부 가열하여 용융 후 냉각시켜 고정함으로써 어망의 코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를 고정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 또는 C 형상으로 융착시킴으로써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접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로프(10)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P)의 고정을 위한 국부 가열은 대량생산을 위해 다점식 가열을 하며, 열원은 열판, 적외선, 고주파 유도가열 및 레이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은, 2종의 방오 기능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피복하고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되도록 어망용 로프를 압출성형한 후, 어망용 로프를 사용하여 방오 어망을 제망함으로써 견뢰성과 마모에 의한 방오 성능의 저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어망용 로프
12: 합성수지
14: 코어
16: 미세돌기
P: 어망용 로프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

Claims (6)

  1.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항균제 및 자기 윤활성 첨가물이 포함된 합성수지와, 내열성 및 고 인장강도 섬유 또는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코어를 압출금형으로 통과시켜 코어가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되는 어망용 로프를 성형하되, 압출성형시 압출금형에 미세돌기를 가공하여 로프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로프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항균제는,
    은(Ag), 구리(Cu), 아연(Zn) 또는 은(Ag), 구리(Cu), 아연(Zn) 화합물의 미분말 또는 제올라이트에 상기 항균제를 포함하고 발수 기능을 위해 소수성화하며, 상기 항균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첨가물을 상기 합성수지에 배합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상기 합성수지가 점착성을 갖는 경우,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흑연(Graphite) 및 육방정계질화붕소(h-BN)의 미분말을 상기 합성수지에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윤활성 첨가물은,
    상기 합성수지가 저 마찰계수를 가진 테프론이나 실리콘 계통인 경우, 상기 항균제만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은,
    상기 로프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상기 로프의 교차 부위의 경사와 위사를 교호(交互)로 끼워서 매듭이 없는 공지된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은,
    상기 로프를 교차시켜 격자 구조로 제망하되, 상기 로프의 경사와 위사가 만나는 교차 부위를 서로 교호로 짜서 평직으로 제망하고, 상기 교차 부위를 국부 융착하여 고정하는 무결절 제망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KR1020170166278A 2017-12-05 2017-12-05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KR10202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278A KR102022428B1 (ko) 2017-12-05 2017-12-05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278A KR102022428B1 (ko) 2017-12-05 2017-12-05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510A true KR20190066510A (ko) 2019-06-13
KR102022428B1 KR102022428B1 (ko) 2019-09-18

Family

ID=6684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278A KR102022428B1 (ko) 2017-12-05 2017-12-05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90B1 (ko) * 2019-12-18 2020-09-01 허남일 홈이 없는 방오어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289B1 (ko) 2022-10-25 2023-10-11 김부석 이물질 부착 방지 어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414A (ja) * 1998-09-09 2000-05-23 Kuraray Co Ltd 水棲生物付着防止効果を有する構造物
KR100308581B1 (ko) 1999-06-23 2001-09-24 구선영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20030068025A (ko) 2002-02-09 2003-08-19 최명부 숯을 이용한 어망 제조
KR100993635B1 (ko) 2010-05-06 2010-11-15 대한민국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
KR101224387B1 (ko) 2012-05-29 2013-01-21 한국통산주식회사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는 3d 플로킹 타입 어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KR20130107614A (ko) 2012-03-22 2013-10-02 조성일 참치 양식용 어망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586459B1 (ko) * 2013-06-28 2016-01-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KR20160050685A (ko) * 2014-10-30 2016-05-11 손근수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방법
KR101765095B1 (ko) * 2015-09-22 2017-08-04 벽산페인트 주식회사 자기 윤활성을 가지는 방오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414A (ja) * 1998-09-09 2000-05-23 Kuraray Co Ltd 水棲生物付着防止効果を有する構造物
KR100308581B1 (ko) 1999-06-23 2001-09-24 구선영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20030068025A (ko) 2002-02-09 2003-08-19 최명부 숯을 이용한 어망 제조
KR100993635B1 (ko) 2010-05-06 2010-11-15 대한민국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
KR20130107614A (ko) 2012-03-22 2013-10-02 조성일 참치 양식용 어망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224387B1 (ko) 2012-05-29 2013-01-21 한국통산주식회사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는 3d 플로킹 타입 어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KR101586459B1 (ko) * 2013-06-28 2016-01-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KR20160050685A (ko) * 2014-10-30 2016-05-11 손근수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방법
KR101765095B1 (ko) * 2015-09-22 2017-08-04 벽산페인트 주식회사 자기 윤활성을 가지는 방오도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90B1 (ko) * 2019-12-18 2020-09-01 허남일 홈이 없는 방오어망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820A1 (ko) * 2019-12-18 2021-06-24 허남일 방오어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428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009B1 (ko)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US8197074B2 (en) Omnidirectionally reflective buoyant rope
KR20190066510A (ko)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KR0169169B1 (ko) 수층상 유사 운반제어용 인공수초 시스템
CN103987250B (zh) 漂浮元件以及形成浮力系统的方法
KR102022443B1 (ko) 선박 및 해양 구조물용 저마찰 방오 라이닝의 제조방법
US5913670A (en) Breakaway links for underwater gear
KR101224387B1 (ko)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는 3d 플로킹 타입 어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EP1996453B1 (en) Autifouling fibre coatings for marine constructions
AU4487199A (en) Antifouling structure having effect of preventing attachment of aquatic organisms thereto
KR102319912B1 (ko) 친환경 종이 부표
KR20190086219A (ko) 유기항균제와 자기윤활성 물질을 이용한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EP3346031A1 (en) Multifunctional polymer composite yarn
KR101827348B1 (ko) 폐전봇대를 이용한 인공어초
EP0312600B1 (en) Fishing materials excellent in prevention of clinging of organis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JP2007510786A (ja) 玄武岩繊維をベースとする織物を有する殺生物剤不含付着防止被覆物
KR102150690B1 (ko) 홈이 없는 방오어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5970A (ko) 수산 양식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ES2700849T3 (es) Hilo metálico recubierto de resina de múltiples capas repelente de organismos y red de pesca que comprende el mismo
KR100926782B1 (ko)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11762A1 (en) Nanocomposite fishing hooks
CA2978903C (en) Drag and biofouling growth reducing fabric for aquaculture
US20160270624A1 (en) Recyclable cleaning article
JPH10337132A (ja) 魚介類養殖網
EP1182923A1 (en) Marine part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