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459B1 -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 Google Patents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459B1
KR101586459B1 KR1020130075861A KR20130075861A KR101586459B1 KR 101586459 B1 KR101586459 B1 KR 101586459B1 KR 1020130075861 A KR1020130075861 A KR 1020130075861A KR 20130075861 A KR20130075861 A KR 20130075861A KR 101586459 B1 KR101586459 B1 KR 10158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fishing
fishing ne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257A (ko
Inventor
안병욱
이영수
김성용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되는 어망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장강도가 7.8 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8%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원사의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가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고강력, 저모듈러스, 고신율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해양 목장용 어망 제조시 기존의 어망사 등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및 형태안정성 등을 제공하며 장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POLYESTER FIBER FOR FISHING NET}
본 발명은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되는 어망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내마모성,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 등을 갖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망어업 및 통발어법 등의 어획용 분야뿐만 아니라, 연근해 가두리 양식용 섬유 구조물 및 해상용 섬유 구조체 등의 해양 목장용 섬유 제품으로 어망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어망용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합성 섬유가 사용되어 있다. 이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비교적 비중이 크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며 비용 대비 성능(cost performance)이 양호한 측면에서 당 분야에서 넓고 사용 되어 있다.
근래의 각종 어구 류의 하이테크(high - tech)화, 고도화에 수반하고,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대해서도, 보다 고도의 터프니스(toughness)화의 요구가 높아지다. 예를 들면, 하중-신장 특성을 한정되는 범위와 없으며, 고터프니스 화를 도모한 어망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가 제안되어 있다. 확실히, 이와 같은 한정을 되는 특성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이용하면 어망의 초기 터프니스는 개선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섬유 자체, 나일론 섬유 등에 비교하고, 반복하고 신장 변형에 의한 피로가 많고, 강력이 떨어지는는 기본적인 결점이 있고, 특별히 고터프니스화를 도모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서는, 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되는 어망사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며, 내마모성 및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이 현저히 향상된 어망용 원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되는 어망사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며, 내마모성 및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이 현저히 향상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7.8 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8%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원사의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가 형성되어 있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어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어망용 원사로는 신율이 우수한 나일론(Nylon) 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어망사는 강력 특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어망에 적용시 어망을 바다에 펼치거나 들어올릴 신율 성능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망사는 신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일정 강력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일론(Nylon) 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나일론(Nylon)은 모듈러스가 낮기 때문에 신율이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같이 신율이 우수한 기존의 나일론(Nylon) 섬유를 사용하여 어망사를 제조한 경우, 비중이 1.18로 낮기 때문에 어망을 바다에 펼칠 시 어망의 낙하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듈러스를 낮추어 신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폴리머(Polymer)의 분해를 최소화하여 강력이 나일론(Nylon)만큼 현저히 향상된 어망용 원사로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소정의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어망사를 제조함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보다 향상된 어망의 바다 투하속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제공된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인장강도가 7.8 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8%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원사의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어망용 원사라 함은 해양 목장용 섬유 제품으로 어망 등의 그물망 및 어망 로프를 제조할 수 있는 섬유 원사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어망용 원사는 자망어업 및 통발어법 등의 어획용 분야뿐만 아니라 연근해 가두리 양식용 섬유 구조물 및 해상용 섬유 구조체 등의 해양 목장용 섬유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섬유 원사를 지칭한다. 여기서, 어망으로는 참치어망, 가두리양식장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강력이 우수하고 신율이 높은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낮은 모듈러스와 함께 강도가 우수하며, 신율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인장강도가 7.8 g/d 이상 또는 7.8 g/d 내지 9.5 g/d, 바람직하게는 8.0 g/d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절단신도가 18% 이상 또는 18%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19%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해양 목장용 어망 제조시 충분한 터프니스 및 모듈러스를 발현하기 위하여 인장강도 및 절단신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조개 및 패류, 해조류 등이 어망에 붙게 하지 못하도록 원사의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를 형성한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잔털 모양의 기모라 함은 단섬유(short-fiber)를 적용하여 잔털 모양으로 형성된 섬유 구조로서, 한쪽 부분은 원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별도의 부착점 없이 부유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에서 상기 기모는 360도 전 방향에 균일하게 식모가 가능한, 해양 구조물 3D 플로킹 얀(Flocking Yarn) 가공 처리로 형성된 것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사 표면에 형성되는 기모는 섬도가 1.0 내지 20 데니어(denier),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데니어, 좀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데니어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원사의 표면에 형성된 기모의 총섬도는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되는 어망사로 적용시 바닷속에 서식하는 동식물, 예컨대, 조개류 또는 조류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충분한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섬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상기 기모는 원사의 표면에 부착된 부분으로부터 다른 말단 부분까지의 길이가 약 0.1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1.8 mm,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5 mm 정도로 이뤄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원사 표면의 단위 면적 1 cm2당 기모의 개수가 약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5,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12 정도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고분자 체인(Chain)이 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고유점도 0.8 dl/g 이상, 수평균분자량 25,000 이상, 중량평균분자량 80,000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이전에 알려진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비해 보다 향상된 고유점도, 즉, 0.8 dl/g 이상 또는 0.8 dl/g 내지 1.3 dl/g, 바람직하게는 0.9 dl/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dl/g 이상의 고유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해양 목장용 어망 제조시 충분한 터프니스 및 모듈러스를 발현하기 위하여 이러한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사의 고유점도가 0.8 dl/g 이상이 되면 저연신으로 고강력을 발휘하여 어망의 강력을 만족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고연신으로 물성 발현할 수 밖에 없게 될 수 있다. 이같이 고연신을 적용할 경우 섬유의 배향도가 상승하여 높은 모듈러스의 물성을 얻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사의 고유점도를 0.8 dl/g 이상으로 유지하여 저연신을 적용하여 저 모듈러스 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유점도가 1.3 dl/g를 초과하는 경우에 연신 공정에서 연신 장력이 상승하여 공정상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1.3 dl/g 이하가 좀더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이같이 높은 정도의 고유점도를 유지함으로써, 해양 목장용 어망 제조시 충분한 매듭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강력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수평균분자량이 25,000 이상 또는 2,000 내지 40,000, 바람직하게는 26,000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27,000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이상 또는 80,000 내지 120,000, 바람직하게는 82,000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84,000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해양 목장용 어망사로 적용시 바닷속에서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방법은 에질런트 100 시리즈 시스템(Agilent 110 series system)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컬럼(Column)은 μStyragel 105 Å, 104 Å, 103 Å으로 각각 1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출기(Detector)는 RI 감도 64, 온도 40 ℃로 할 수 있고, 컬럼 가열 모듈(Column Heating Module)도 40 ℃로 할 수 있다. 용리액(Eluent)는 오르소클로로페놀/클로로포름(OCP/Chloroform) 1/4(V/V), 전개속도(Flow Rate) 1.0 mL/min 투입량(injection volume)은 100 μL로 할 수 있다. 또한, 샘플(Sample) 농도는 0.25%, 표준(STD) 농도는 0.10%로 50 분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보정 표준(Calibration Standard)은 PS 871000, PS 240000, PS 50000, PS 18600, PS 3600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총섬도가 200 내지 2,00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420 내지 1,680 데니어, 좀더 바람직하게는 840 내지 1,500 데니어가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총섬도는 어망의 제직측면에서 200 데니어 이상이 될 수 있고, 2,000 데니어 이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사섬도는 4.0 DPF 이상 또는 4.2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사섬도는 측면에서 4.0 DPF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또한, 40 내지 250 가닥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230, 좀더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192가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필라멘트 수는 저데니아 측면에서 40 이상이 될 수 있고, 고데니아 측면에서 250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결정화도가 35% 내지 70%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 좀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가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결정화도는 저연신 측면에서 35% 이상이 될 수 있고, 고연신 측면에서 70% 이하가 될 수 있다.
기존의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강연성(stiffness)이 높은 분자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로 인해 높은 모듈러스의 특성을 나타내며 해양목장용 어망 제조시 신율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조절된 용융 방사 및 연신 공정을 통해 얻어진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고강력 저모듈러스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전에 알려진 폴리에스테르 산업용 원사보다 낮은 초기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40 내지 100 g/d,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g/d, 좀더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 g/d의 초기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이러한 낮은 초기 모듈러스와 함께 연신이 최소화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낮은 초기 모듈러스 및 저연신 특성으로 인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기존의 고모듈러스 저절신 섬유를 해양목장용 어망 제조에 사용시 낮은 내마모성 및 충격 흡수 성능 저하 문제 등을 해결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보다 향상된 내마모성, 강력유지율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건열수축율이 9% 이하 또는 4% 내지 8%,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또는 4.5% 내지 7%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건열수축율은 150 ℃에서 30 분 동안 별도의 하중 부가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망사(the yarn for fishing net)로서 장시간 사용 가능한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일 성분'이라 함은 폴리에스테르 표면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을 통해 표면 윤활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 모든 성분을 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르면, 상기 오일 성분에는 예컨대, 폴리실록산 화합물, 유화제,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일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유화제만으로 이루어진 것, 또는 폴리실록산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오일 성분에서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표면에 윤활성을 부여하는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실록산 화합물만을 포함하고 다른 윤활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의 공정 성능 개선을 위하여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제외하고는 다른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공정상의 잔류 불순물로서 용제가 실질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범위의 미량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또한 전체 오일 성분의 총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어망용 원사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표면 처리된 오일 성분에서 윤활제 성분으로 폴리실록산 화합물만을 사용함에 따라, 다른 윤활제 성분이나 대전방지제, 산화/노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된 타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비해 우수한 내마모성 및 형태안정성, 기계적 강도를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최종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오일 성분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또는 40 내지 6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어망용 원사로서 우수한 마찰저항성의 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성능으로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높은 함량 범위로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표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반응 가능한 작용기가 없어 원사의 표면 처리시 우수한 안정성 및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높은 함량일수록 물의 침투를 거의 완전 방어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뛰어난 발수성 및 우수한 내마모성과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높은 함량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원사에 적용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 공정상의 조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에 따라 제조된 원사의 품질 균일성이 낮아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높은 함량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유화제와 용제를 함께, 또는 용제 단독으로만 혼합하여 원사에 적용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물성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1 중량%가 되도록 오일 성분에 포함될 수 있으며, 내마모성 측면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이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제적 측면에서 2.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합물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학식 1]
Figure 112013058492826-pat00001
식 중,
R1,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C1~C20의 알킬기, 또는 C1~C20의 아릴기이고,
n은 1~10,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5,0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상온(25 ℃)에서 비중이 0.950 내지 1.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치환기 R4 또는 R5의 적어도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디알킬실록산 및 폴리알킬아릴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최종 제조된 원사 품질 측면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 성분은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과 함께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는 원사와 금속간의 마찰계수를 낮추고 원사와 원사간의 마찰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제사 조업성과 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사와 원사간의 마찰계수가 높으면 원사의 집속성이 증가하여 공기 교락 공정에서 균일한 교락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원사와 원사간의 마찰계수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모우 및 사절이 많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특히, 상기 유화제는 상기 원사의 오일 성분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된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하여 어망사를 제조하는 공정의 조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최종 어망사 제품에서 우수한 내마모성을 확보함과 함께 형태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상기 함량 범위 이하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 공정 및 장치, 폴리실록산 화합물의 종류, 용제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화제로는 8∼22개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폴리글리콜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소르비탄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자당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축합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22개의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아릴폴리알킬렌 글리콜,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디-알킬 메틸 아민옥사이드,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 알킬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옥시레이티드 페티 엑시드 및 알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합물들의 알킬기는 알켄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수는 8 내지 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지상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은 1 내지 20개의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8∼22개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일례로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프로필렌옥시드/에틸렌옥시드가 공중합한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디라우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라우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디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A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린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린산 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산 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산 디에탄올아미드, 디에틸렌트리아민올레인산 아미드, 폴리옥시프로필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비스페놀A 스테아레이트, 폴리프로필렌스테아릴아민, 폴리프로필렌올레인산 아미드, 글리세릴 모노 알킬레이트, 글리세릴 트리 알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 알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 알킬레이트, 캐스터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액상 침지법(liquid Immersion Method)으로 측정한 비중이 1.3 이상 또는 1.3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1.38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코디지 인스티튜트(Cordage Institute)의 CI 1503-00 방법으로 측정한 원사-원사간 내마모성(yarn-on-yarn abrasion) 측정시 하중 0.34 내지 0.45 g/d으로 원사와 원사를 마찰시켰을 때 5,000 회 이상에서 절사되는, 즉 5,000 회까지는 절사되지 않는 내마모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마모성은 습식 조건에서 7,000 회 이상, 건식 조건에서 9,000 회 이상이 유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마모성 측정 결과 원사가 건식 및 습식 조건에서 각각 7,000 회 이상 및 9,000 회 이상을 유지하지 못하면, 어망사로 사용시에도 외부환경변화에 의한 마찰력 등으로 부분 절단 등이 발생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원사-원사간 내마모성 측정 결과는 어망사 등으로 사용시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많은 횟수로 유지되어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는 습식 조건에서 7,000 내지 18,000 회로 유지되고 건식 조건에서는 9,000 내지 22,000 회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내마모성은 습식 조건에서 최소 7,000 회 이상, 건식 조건에서 9,000 회 이상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마모성 측정 결과 원사가 건식 및 습식 조건에서 각각 7,000 회 이상 및 9,000 회 이상을 유지하지 못하면, 어망사로 사용시에도 외부환경변화에 의한 마찰력 등으로 부분 절단 등이 발생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원사-원사간 내마모성 측정 결과는 해양용 로프 등으로 사용시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많은 횟수로 유지되어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는 습식 조건에서 7,000 내지 18,000 회로 유지되고 건식 조건에서는 9,000 내지 22,000 회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서, 상기 원사-원사간 내마모성(yarn-on-yarn abrasion) 측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에서 기어모터(240)를 이용한 크랭크(210, crank)의 1회전에 도르래(221~222)를 통해 하중(230, tension weight)이 상하 운동을 하고 이때 도르래(223)을 중심으로 원사가 이동하면서 원사간에 마찰된 회수를 측정한 결과를 기록하게 된다. 또한, 건식 조건에서 내마모성은 상대습도 55% 내지 75% 및 16 내지 25 ℃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습식 조건에서 내마모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원사가 충분히 젖을 수 있도록 16 내지 25 ℃에서 물 속에 담궈둔 후에, 예를 들면 약 1시간 이상을 워터 배쓰 등에 담궈둔 후에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원사-원사간 내마모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매듭강력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력 대비 매듭강도 유지율(매듭강도/인장강력×100)이 40% 이상 또는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인장강력 대비 매듭강도 유지율(매듭강도/인장강력×100)은 어망사 기준 측면에서 4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어망사 기준 측면에서 80% 이하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ASTM D 2256 방법으로 측정한 절단강력이 9.2 kgf 이상 또는 9.3 내지 11.3 kgf, 바람직하게는 9.5 kgf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9.8 kgf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절단강력은 어망사 기준 측면에서 9.2 kgf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어망사 기준 측면에서 11.3 kgf 이하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제조 방법은 폴리머(Polymer)를 용융시키는 방사 단계, 원사를 제조하는 귄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특정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생산시, 폴리실록산을 포함시켜, 내마모성이 우수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율 및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하며, 해양 목장용 어망 제조시 강신도 및 내마모성 등에서 최적의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용융 방사 및 연신 공정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원사 제조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례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먼저, 구금(110)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부터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구금을 통해 방사된 용융 고분자를 급냉 공기(quenching-air)로 냉각시키고, 유제 롤 또는 오일-젯(oil-roll 또는 oil-jet, 120)을 이용하여 미연신사에 유제 조성물을 부여하고, 프리-인터레이서(pre-interlacer, 130)를 사용하여 일정한 공기압력으로 미연신사에 부여된 유제 조성물을 원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후, 다단의 연신장치(141~146)를 통하여 연신과정을 거치고, 상기 연신 과정 후에 최종적으로 세컨드 인터레이서(2nd Interlacer, 150)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원사를 인터밍글(intermingle)시켜 권취기(160)에서 권취하여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방사 등은 폴리에스테르 공정으로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별도의 공정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연신 공정은 열처리 온도 70 내지 250 ℃에서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3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신 단계에서 미연신사에 표면처리된 유제 조성물 중 불필요한 휘발성 성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고강도의 우수한 일 회복율 특성을 갖는 연신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의 열처리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 온도 조건 하에서, 전체 연신비를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의 고배율 조건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배율 조건의 연신 공정이 실질적인 조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원사의 우수한 일 회복율 특성과 함께 효과적인 조업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 범위로 연신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이완율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로 하고, 권취속도는 2,500 m/min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4,500 m/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3,500 m/min의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제 조성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표면 처리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제 처리를 통해, 우수한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 높은 신율등의 우수한 형태 안정성을 갖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 즉, 이를 포함하는 방사 유제 조성물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존의 유제 롤 또는 오일-젯(120) 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에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유제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화합물, 유화제, 및 용제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표면에 윤활성을 부여하는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실록산 화합물만을 포함하고 다른 윤활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를 용제에 가용화하기 위한 소량의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다른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공정상 불순물로서 기타 성분이 실질적으로 검출되지 않는 범위로 미량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또한 전체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실록산 화합물 1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이며, 유화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 이하이며, 및 잔량의 용제, 바람직하게는 용제 60 중량%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에서 표면 처리된 오일 성분 중 폴리실록산 화합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어망용 원사의 안정성, 윤활성, 발수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특성, 일 회수율 특성 등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다만, 높은 함량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의 경우 점도가 높아 공정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소정의 유화제로 용제에 가용화하고, 추후에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원사 제조 공정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오일 성분에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의 고함량으로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수한 물성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방사 유제 조성물에서 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유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 공정 및 장치, 폴리실록산 화합물의 종류, 유화제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나 석유 추출 탄소수 9 내지 13의 노말 파라핀 또는 이소 파라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로서 석유 추출 탄소수 9 내지 13의 노말 파라핀 또는 이소 파라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화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원사 제조 공정을 마친 후에 최종적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오일 성분에서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의 일부가 잔류 성분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양사로서 충분히 해수중에 장기간 침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용제는 미연신사를 연신하는 단계에서 열처리 공정을 통해 충분히 제거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별도의 건조 단계를 추가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포함하는 어망이 제공된다. 상기 어망은 해양용 가두리 양식장 어망 및 참치어망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력 고신율의 폴리에스테를 섬유를 사용하여 원사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를 형성시킴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내마모성,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 등이 우수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제공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마찰열 발생을 최소화할 뿐 만 아니라, 우수한 안티파울링(Antifouling) 특성으로 어망용 원사 등으로 사용시에도 장기간 사용가능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으로 장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해양목장용 어망사 등으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내마모성 측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 조건 하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한 후에 표면에 기모 형성 공정을 적용하여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나머지 공정 조건은 폴리에스테르 원사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조건에 따랐다.
먼저, 고유점도 1.0 dl/g이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고상중합 칩을 방사온도 300 ℃에서 용융하여 방사 구금을 통해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토출하였다. 상기 토출된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후드-히터온도 300 ℃ 구간에서 지연 급냉(delayed quenching)시키고, 상기 지연급냉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유제 롤을 이용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방사 유제,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하였다. 이때, 상기 방사 유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40 중량%, 용제로 통상의 방사 솔벤트(노말 파라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프리-인터레이서에 통과시키고, 고데트 롤러를 이용하여 권취속도 3,000 m/min으로 연신하였다. 이때, 상기 연신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솔벤트를 건조시켜 제거하였다.
상기 연신 후에, 2단 인터레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공기압력 3.0 kg/cm2로 인터밍글을 부여하고, 권취기로 권취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원사에서 추출법에 의해 사염화탄소를 사용하여 오일 성분을 추출하고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조성을 분석한 결과, 오일 성분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 40 중량% 이상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표면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상연 "S" 400으로 꼬임줄 원사를 3Ply 하연 "Z" 200으로 합사한 방식으로 연사 단계를 거치고, 이러한 합사된 연사물을 가지고 제직하여 어망을 생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360° 전 방향에 균일하게 식모가 가능한 해양 구조물 3D 플로킹 얀(Flocking Yarn) 가공 처리하여, 원사의 표면에 단섬유(short-fiber)로 잔털 모양의 기모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성분인 방사유제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함량을 70%로 달리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게 어망사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사의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해양 구조물 3D Flocking Yarn 가공 처리를 적용하지 않은 것으로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망사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시 방사 및 연신 공정 조건을 달리하고,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방사 유제, 오일 성분을 사용하는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망사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시 방사 및 연신 공정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망사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시 방사 및 연신 공정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망사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어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칩의 고유점도(dl/g) 1.0 1.0 1.0 1.0 1.0 1.0
방사온도(℃) 300 300 300 310 310 310
연신비 5.0 5.0 5.0 6.0 6.0 5.5
열처리온도(℃) 210 210 210 210 210 210
오일 폴리실록산 함량(%) 40 70 40 - 40 40
합연공정조건(Twisting기술) "S"400
"Z"200
"S"400
"Z"200
"S"400
"Z"200
"S"400
"Z"200
"S"400
"Z"200
"S"400
"Z"200
접합방식(Bonding기술)
3D 가공처리
기모
형성
기모
형성
기모
미형성
기모
미형성
기모
미형성
기모
미형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어망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다양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물성은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대한 물성 평가
a) 인장강도 및 신도
원사의 인장강도 및 절단신도를 만능재료 시험기(Instro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사의 최고 강도지점에서의 강도(g/d) 및 최대 신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시료장은 250 mm이고, 인장속도는 300 mm/min으로 하였으며, 초기 로드는 0.05 g/d로 설정하였다.
b) 초기 모듈러스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885의 방법으로 원사의 초기 모듈러스(Young's modulus)를 측정하였다.
c) 건열수축율
150 ℃에서 30 분 동안 별도의 하중 부가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원사의 건열수축율을 측정하였다.
d) 결정화도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밀도 ρ는 n-헵탄과 사염화탄소를 이용한 밀도구배관법에 따라 25 ℃에서 측정하였으며, 결정화도는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식 1]
Figure 112013058492826-pat00002
상기 식에서, ρ는 원사의 밀도, ρc는 결정의 밀도(PET의 경우는 1.457 g/cm3), 및 ρa는 비결정의 밀도(PET의 경우는 1.336 g/cm3)이다.
e) 고유점도
사염화탄소를 이용하여 시료에서 유제를 추출하고, 160±2 ℃에서 OCP (Ortho Chloro Phenol)로 녹인 후, 25 ℃의 조건에서 자동점도 측정기(Skyvis-4000)를 이용하여 점도관에서의 시료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2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를 구하였다.
[계산식 2]
고유점도(IV) = {(0.0242 × Rel) + 0.2634} × F
상기 식에서,
Figure 112013058492826-pat00003
이고,
Figure 112013058492826-pat00004
이다.
f) 단사 섬도
단사 섬도는 얼레를 이용하여 원사를 9,000 m만큼 취하고 그의 무게를 재어 원사의 총섬도(Denier)를 구한후 필라멘트 수로 나누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g) 내마모성
코디지 인스티튜트(Cordage Institute)의 CI 1503-00 방법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특히,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의 1회전에 하중이 상하 운동을 하고 이때 원사가 이동하면서 원사간에 마찰된 회수를 측정한 결과를 기록하였다. 상대습도 55% 내지 75% 및 16 내지 25 ℃에서 약 1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내마모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2,000 데니어의 원사에 하중 700 g을 적용하여(하중 0.35 g/d) 원사와 원사를 마찰시켰을 때 절사될 때까지의 마찰회수를 측정하여 원사-원사간 내마모성을 평가하였다.
h) 절단강력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 ASTM D 2256의 방법으로 원사의 절단강력(kgf)를 측정하였다.
i) 원사의 비중
액상 침지법(liquid Immersion Method)으로 원사의 비중을 측정하였다.
어망에 대한 물성 평가
j) 메쉬(Mesh) 절단강도
한국산업표준 KS K ISO 1806 방법에 따라 어망의 메쉬(Mesh) 절단강도(매듭 강도)를 측정하였다.
k) 신율(%)
국제표준화규격 ISO 2307 방법에 따라 어망의 신율(%)을 측정하였다.
l) 안티파울링(Antifouling) 성능 평가
한국산업표준 KS M 5000 방법에 따라 어망의 안티파울링(Antifouling)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어망을 바다에 6개월간 넣어둔 후 다시 꺼내 어패류 및 따개비가 붙은 정도와 그것을 제거할 때 잘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규격 방법에 따라 각각 "좋음"과 "나쁨"으로 평가 결과를 표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섬유의 인장강도(g/d) 8.0 8.1 8.2 8.5 8.8 7.5
섬유의 절단신도(%) 20 21 20 13 14 20
섬유의 원사고유점도(dl/g) 0.941 0.955 0.943 0.921 0.918 0.910
섬유의 초기모듈러스(g/d) 85 84 83 95 93 85
섬유의 결정화도(%) 48.4 49.3 49.1 50.0 49.5 49.4
섬유의 건열수축율(%) 5.5 5.4 5.5 6.3 6.4 6.0
섬유의 필라멘트 수(F) 105 105 105 105 105 105
섬유의 단사섬도(DPF) 12 12 12 12 12 12
섬유의 총섬도(D) 1255 1260 1258 1254 1256 1258
섬유의 수평균 분자량 31,000 31,010 31,100 29,010 29,050 29,080
섬유의 중량평균 분자량 92,000 92,080 92,200 88,000 87,800 88,200
섬유의 절단강력(kgf) 10.0 10.2 10.3 10.7 11.1 9.4
섬유의 내마모성(횟수) 12,010 15,050 11,950 6,050 10,080 10,100
섬유의 비중 1.38 1.38 1.37 1.39 1.36 1.39
어망의 메쉬 절단강도(kgf) 28.0 28.2 28.1 30.1 30.3 26.8
어망의 신율(%) 12.8 12.3 13.1 8.8 8.7 10.1
어망의 안티파울링 평가 좋음 좋음 나쁨 나쁨 나쁨 나쁨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2의 고강력 고신율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어망은 기계적 물성과 함께 우수한 내마모성 및 안티파울링 특성 등이 모두 우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2의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어망 제조시 메쉬 절단강도가 28.0 내지 28.2 kgf이며 신율은 12.3% 내지 12.8%으로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시 충분한 기계적 물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1~2의 경우에 어망의 안티파울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닷속에 서식하는 동실물, 예컨대, 조개류 또는 조류 등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기존의 방식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적용한 비교예 1~4의 경우에 이러한 특성을 충족하지 못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비교예 1~4의 어망은 원사 표면에 3D 플로킹 얀(Flocking Yarn) 가공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 기모 형성이 이루지지 않았기 때문에 안티파울링(Antifouling) 성능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3은 어망의 신율이 8.7% 내지 8.8%에 불과하여 어망을 바다에 펼치거나 들어올리는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율을 개선하고자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어망의 메쉬 절단강도가 26.8 kgf에 불과하여 다양한 어획 작업 및 해양 목장용 등의 양식업 분야에 사용시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laims (8)

  1. 인장강도가 8.0 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19% 이상이고, 초기 모듈러스가 40 내지 85 g/d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원사의 표면에 잔털 모양의 기모가 형성되어 있는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고유점도가 0.8 dl/g 이상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5,000 이상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이상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의 섬도가 1.0 내지 20 데니어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오일 성분으로 표면 처리된 것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이 상기 원사의 오일 성분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된 것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7. 제1항에 있어서,
    비중이 1.3 이상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8. 제1항에 있어서,
    코디지 인스티튜트(Cordage Institute) CI 1503-00 방법으로 측정한 마모횟수가 5,000 이상인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20130075861A 2013-06-28 2013-06-28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158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61A KR101586459B1 (ko) 2013-06-28 2013-06-28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61A KR101586459B1 (ko) 2013-06-28 2013-06-28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57A KR20150002257A (ko) 2015-01-07
KR101586459B1 true KR101586459B1 (ko) 2016-01-18

Family

ID=524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61A KR101586459B1 (ko) 2013-06-28 2013-06-28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510A (ko) * 2017-12-05 2019-06-13 허남일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363A (ko) * 2015-04-27 2016-11-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방오성 원사 및 이를 이용한 해양용 섬유 제품
KR102241114B1 (ko) * 2016-12-30 2021-04-19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용 원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700A (ja) * 2009-01-23 2010-08-05 Ygk:Kk 糸条
JP2012112049A (ja) * 2010-11-19 2012-06-14 Teijin Fibers Ltd 易分解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018A (ja) * 1997-05-20 1998-12-08 Unitika Ltd 高比重複合フィラメントと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700A (ja) * 2009-01-23 2010-08-05 Ygk:Kk 糸条
JP2012112049A (ja) * 2010-11-19 2012-06-14 Teijin Fibers Ltd 易分解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510A (ko) * 2017-12-05 2019-06-13 허남일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KR102022428B1 (ko) 2017-12-05 2019-09-18 허남일 방오 어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57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6564B2 (en) Polyolefin yar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1586459B1 (ko)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JP5641809B2 (ja) ポリアミド繊維
US20120189847A1 (en) Marine polyester yar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50093950A1 (en) Polymeric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2020066836A (ja) 手袋
KR20150078377A (ko) 어망용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JP2008025059A (ja) ポリ乳酸繊維
JP6367070B2 (ja) 合成繊維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2013055910A (ja) 漁網用糸及び漁網
JPWO2012117596A1 (ja) 高機能ポリエチレン繊維、及び染色高機能ポリエチレン繊維
JP3804771B2 (ja) ポリケトン繊維
JP4546450B2 (ja) ポリ乳酸繊維
KR101297806B1 (ko) 해양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97807B1 (ko) 해양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7173768A (ja) 合成繊維用処理剤
US20230399773A1 (en) Core-sheath composite fiber,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fiber structure
JP2016176153A (ja) 高沈降性繊維
KR101396590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150658A (ja) 産業資材ネット用ポリエステル繊維の混繊糸
JP2010242268A (ja) 高強力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
KR20180079487A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용 원사
JP2016113730A (ja) ポリアミド高配向未延伸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0621A (ja) 合成樹脂製網状構造体及び合成樹脂製網状構造体用合成樹脂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2012207314A (ja) 産業資材ネット用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産業資材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