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34B1 - 자동차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34B1
KR101879134B1 KR1020170095992A KR20170095992A KR101879134B1 KR 101879134 B1 KR101879134 B1 KR 101879134B1 KR 1020170095992 A KR1020170095992 A KR 1020170095992A KR 20170095992 A KR20170095992 A KR 20170095992A KR 101879134 B1 KR101879134 B1 KR 10187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worm wheel
worm
rotation preven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9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웜휠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축, 웜축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 베어링 외륜의 모터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 베어링 외륜의 모터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감속기{Reduc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웜축과 웜휠 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모터구동시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에 따라 웜축의 회전시 웜휠의 치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의 진동으로 인해 웜휠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래틀노이즈가 저감됨에 따라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웜휠 및 웜축이 안정적으로 맞물려 있어서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편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며, 탄성부재의 지지력 차이를 이용하여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웜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낮출수 있고 이에 따라 웜축의 과도한 틸팅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시키는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100)는 웜(152)이 형성된 웜축(154)이 구비되고, 웜축(154)의 양단에는 웜축 베어링(157)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154)을 지지하며, 웜축 베어링(157)이 웜축(154)의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볼트(110)가 댐핑 커플러(140)와 웜축 베어링(157) 사이에 체결되고, 플러그 볼트(110)는 플러그 너트(120)에 의해 고정된다.
웜축(154)은 댐핑 커플러(140)를 매개로 모터(146)와 연결되며 모터(146)의 구동에 의해 웜축(15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웜축(154) 상에 형성된 웜(152)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152)의 외경에는 웜휠(156)이 구비되며, 웜휠(156)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6)에 장착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한 웜축(154)의 회전력이 조향축(106)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기어 하우징(160)에는 웜(152), 웜휠(156) 등이 내주하고 기어 하우징(160)의 일측으로 웜축(1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6)가 구비되며, 기어 하우징(160)과 모터(146)는 모터 커버(130)에 의해 볼트(150)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감속기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축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하여 조향축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에서, 웜축 및 웜휠 간의 유격으로 인해 웜축 및 웜휠의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가 바뀌어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고, 유격에 의한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웜축과 웜휠의 치가 마모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웜축과 웜휠 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모터구동시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에 따라 웜축의 회전시 웜휠의 치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의 진동으로 인해 웜휠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래틀노이즈가 저감됨에 따라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웜휠 및 웜축이 안정적으로 맞물려 있어서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편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며, 탄성부재의 지지력 차이를 이용하여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웜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낮출수 있고 이에 따라 웜축의 과도한 틸팅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시키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웜휠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축, 웜축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 베어링 외륜의 모터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 베어링 외륜의 모터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감속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웜축과 웜휠 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모터구동시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에 따라 웜축의 회전시 웜휠의 치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의 진동으로 인해 웜휠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래틀노이즈가 저감됨에 따라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웜휠 및 웜축이 안정적으로 맞물려 있어서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편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며, 탄성부재의 지지력 차이를 이용하여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웜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낮출수 있고 이에 따라 웜축의 과도한 틸팅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 중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탄성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 중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탄성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2를 기준으로 도면상 아래 방향은 하측, 이와 반대 방향은 상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는, 웜휠(203)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205a)과 연결되는 웜축(250), 웜축(250)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270)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230), 베어링(230) 외륜의 모터(205)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210), 베어링(230) 외륜의 모터(205)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220)를 포함한다.
웜축(250)은 댐핑커플러(204)를 매개로 모터(205)와 연결되며 모터(205)의 구동에 의해 웜축(25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웜축(250) 상에 형성된 웜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축(250)의 외주측에는 웜휠(203)이 구비되며, 웜휠(203)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201)에 장착되어 모터(205)의 구동에 의한 웜축(250)의 회전력이 조향축(201)에 전달되는 구조이고, 기어하우징(270) 내측에 웜축(250)과 웜휠(203)이 구비된다.
이러한 웜축(250)의 모터(205)쪽 일측 끝단은 베어링(230)이 결합되며 베어링(230)의 양측에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구비되고, 모터(205)의 반대쪽 타측 끝단은 부시(254)가 오링(253)을 매개로 결합되어 웜축(250)의 타측단과 부시(25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베어링(230)의 양측을 지지하되, 베어링(230)의 상측과 하측에 크기가 다른 지지력을 제공하여 웜축(250)이 웜휠(203)쪽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부시(254)는 웜축(250)의 타측 끝단에 오링(253)을 매개로 결합되되, 웜축(250)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며,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웜축(250)을 지지함에 따라 웜축(250)이 부시(254)와의 간격만큼 웜휠(203)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웜축(250)의 타측 끝단의 외주면에 요홈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링삽입홈(251)이 구비되며 오링삽입홈(251)에 오링(253)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오링(253)의 크기는 오링삽입홈(25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압축되어 결합되어 웜축(250)과 부시(25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오링(253)이 오링삽입홈(25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웜축(250)과 부시(25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웜축(250)에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이 가해짐에 따라 웜축(250)이 부시(254)의 내측에서 오링(253)을 압축시키면서 웜축(250)과 부시(254) 사이의 간극 내에서 웜휠(203)방향 또는 웜휠(203)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웜축(250)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웜축(250)에 웜휠(203)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제1탄성부재(210)는 베어링(230) 외륜의 모터(205)쪽 측면을 지지하며, 제1탄성부재(210)의 지지력은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커지고, 제2탄성부재(220)는 베어링(230) 외륜의 모터(205)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며,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은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베어링(2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웜축(250)을 웜휠(203)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제1탄성부재(210)는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는 제1고지지부(311)와 웜휠(203)쪽에 위치되는 제1저지지부(313)가 형성되어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진다.
또한, 제2탄성부재(220)는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는 제2저지지부(323)와 웜휠(203)쪽에 위치되는 제2고지지부(321)가 형성되어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진다.
이에 따라 베어링(230)에 가해지는 지지력은 모터(205)쪽 측면에서는 웜휠(203) 반대쪽 지지력이 크며 모터(205) 반대쪽 측면에서는 웜휠(203)쪽 지지력이 크기 때문에 베어링(230)과 웜축(250)에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지지력을 가하되, 도면상 하측과 우측의 경사지는 방향으로 틸팅되려는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또한, 웜축(250)의 모터축(205a) 결합부위 반대편 단부는 오링(253)을 매개로 부시(254)에 결합되어 있어서 웜축(250)과 부시(254) 사이의 간극만큼 틸팅될 수 있으며, 기어하우징(270)과 웜축(250) 사이의 유동을 오링(253)이 흡수해주게 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 차이를 이용하여 웜축(250)을 웜휠(203)방향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웜축(250)의 웜휠(203)방향 또는 웜휠(203)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낮출 수 있고 웜축(250)의 과도한 틸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웜축(250)의 모터축(205a) 결합부위는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지지하며 웜축(250)의 모터축(205a) 결합부위 반대쪽은 오링(253)이 지지하여 웜축(250)의 회전시 웜휠(203)의 치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250)의 진동으로 인해 웜휠(203)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기어하우징(270)에 단턱부(271)가 형성되며 락스크류(290)가 나사결합된다.
락스크류(290)는 기어하우징(270)에 나사결합되어 제1탄성부재(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락스크류(290)의 나사결합되는 체결량을 조절하여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을 조절한다.
또한, 락스크류(290)는 외주면이 기어하우징(270)의 내측면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210)를 지지하는 면에 제1탄성부재(210)가 안착되는 안착부(391)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391)는 락스크류(290)의 제1탄성부재(210)가 지지되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210)를 위치고정시킨다.
단턱부(271)는 기어하우징(270)의 내주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제1탄성부재(210), 베어링(230), 제2탄성부재(220)는 락스크류(290)와 단턱부(271) 사이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위치 고정된다.
또한, 락스크류(290)와 단턱부(271) 사이에서 락스크류(290)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반발력인 지지력이 조절된다.
한편,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을 조절하도록 일예로, 웨이브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웨이브 두께 또는 웨이브 간격에 따라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조절된다.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원주방향으로 웨이브지게 형성되어 락스크류(290)의 기어하우징(27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량이 많아질수록 웨이브가 펴지면서 변형되며, 결합된 후에는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되기 전의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제1저지지부(313)와 제2저지지부(323)에서 제1고지지부(311)와 제2고지지부(321)로 갈수록 웨이브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된다.
모터(205)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10)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야해서, 제1고지지부(311)가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며 제1저지지부(313)가 웜휠(203)쪽에 위치되고, 제1고지지부(311)의 웨이브 두께가 제1저지지부(313)의 웨이브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205)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220)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야해서, 제2고지지부(321)가 웜휠(203)쪽에 위치되며 제2저지지부(323)가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고, 제2고지지부(321)의 웨이브 두께가 제2저지지부(323)의 웨이브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즉, 제1고지지부(311)와 제2고지지부(321)가 제1저지지부(313)와 제2저지지부(323) 보다 웨이브 형상이 축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이며 압축량이 크기 때문에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되기 전의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제1저지지부(313)와 제2저지지부(323)에서 제1고지지부(311)와 제2고지지부(321)로 갈수록 웨이브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모터(205)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10)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야해서, 제1고지지부(311)가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며 제1저지지부(313)가 웜휠(203)쪽에 위치되고, 제1고지지부(311)의 웨이브 간격이 제1저지지부(313)의 웨이브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205)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220)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야해서, 제2고지지부(321)가 웜휠(203)쪽에 위치되며 제2저지지부(323)가 웜휠(203) 반대쪽에 위치되고, 제2고지지부(321)의 웨이브 간격이 제2저지지부(323)의 웨이브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제1고지지부(311)와 제2고지지부(321)가 제1저지지부(313)와 제2저지지부(323) 보다 웨이브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웨이브 개수가 많으며, 압축되는 웨이브가 많아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저지지부(313)와 제2저지지부(323)에서 제1고지지부(311)와 제2고지지부(321)로 갈수록 웨이브 두께가 두꺼워지며 웨이브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에 돌기부(615,625)가 베어링(230)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기부(615,625)의 돌출량과 돌기부(615,625)의 개수에 따라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조절된다.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230)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15,625)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되기 전의 제1탄성부재(210)에 형성되는 돌기부(615)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되며, 결합되기 전의 제2탄성부재(220)에 형성되는 돌기부(625)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된다.
돌기부(615,625)는 돌출량이 클수록 조립시 압축되는 정도가 커서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제1탄성부재(210)의 돌기부(615)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되어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며 웜휠(203) 반대쪽이 제1고지지부(311)가 되고, 제2탄성부재(220)의 돌기부(625)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되어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져 웜휠(203)쪽이 제2고지지부(321)가 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으로 인해 베어링(230)의 상측이 도면상 오른쪽으로 지지받게 되며 베어링(230)의 하측이 도면상 왼쪽으로 지지받게 되어 베어링(230)은 모터(205) 반대쪽과 웜휠(203)쪽으로 기울어지며, 이와 동시에 웜축(250)도 웜휠(203)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웜축(250)과 웜휠(203) 간의 유격이 조정된다.
또한, 동시에 웜축(250)의 모터축(205a) 결합부위 반대편에 오링(253)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간극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면서 오링(253)이 간극을 지지하여 웜축(250)과 부시(254)의 간극만큼 웜축(250)이 유동될 수 있으며, 과도한 틸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탄성부재(210)에 형성되는 돌기부(615)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되며, 결합되기 전의 제2탄성부재(220)에 형성되는 돌기부(625)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된다.
돌기부(615,625)는 촘촘하게 형성될수록 조립시 압축되어 반발력을 가하는 돌기부(615,625)가 많아져서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제1탄성부재(210)의 돌기부(615)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되어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며 웜휠(203) 반대쪽이 제1고지지부(311)가 되고, 제2탄성부재(220)의 돌기부(625)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되어 베어링(23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커지며 웜휠(203)쪽이 제2고지지부(321)가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탄성부재(210)에 형성되는 돌기부(615)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며 촘촘하게 형성되고, 제2탄성부재(220)에 형성되는 돌기부(625)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며 촘촘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베어링(230)의 양측에 구비되어 모터(205)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10)는 웜휠(203)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지게 결합되며 모터(205)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220)는 웜휠(203)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지게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구조가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에 제1회전방지돌기(817a,817b)와 제2회전방지돌기(827a,827b)가 형성되며, 안착부(391)와 단턱부(271) 또는 베어링(230)의 외륜의 양측면에 제1회전방지돌기(817a,817b)와 제2회전방지돌기(827a,827b)가 삽입되는 제1회전방지홈(893a,893b)과 제2회전방지홈(873a,873b)이 형성된다.
도 8의 (a)에는 안착부(391)에서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회전방지홈(893a)이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210)에 제1회전방지홈(893a)에 삽입되는 제1회전방지돌기(817a)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210)는 락스크류(290)에 결합된다.
또한, 단턱부(271)의 제2탄성부재(220)가 지지되는 단차진 면에서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회전방지홈(873a)이 형성되며 제2탄성부재(220)에 제2회전방지홈(873a)에 삽입되는 제2회전방지돌기(827a)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220)는 기어하우징(27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탄성부재(220)가 기어하우징(270)의 단턱부(271)에 결합되되 제2회전방지홈(873a)에 제2회전방지돌기(827a)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베어링(230)과 제1탄성부재(210)가 결합된 후 락스크류(290)의 제1회전방지홈(893a)에 제1회전방지돌기(817a)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락스크류(290)가 기어하우징(270) 내측에 나사결합되면서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의 지지력을 조절하게 된다.
도 8의 (b)에는 베어링(230)의 모터(205)쪽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회전방지홈(893b)이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210)에 제1회전방지홈(893b)에 삽입되는 제1회전방지돌기(817b)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210)가 베어링(230)의 외륜의 모터(205)쪽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베어링(230)의 모터(205) 반대쪽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회전방지홈(873b)이 형성되며 제2탄성부재(220)에 제2회전방지홈(873b)에 삽입되는 제2회전방지돌기(827b)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220)가 베어링(230)의 외륜의 모터(205) 반대쪽 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탄성부재(210)와 제2탄성부재(220)는 각각 모터(205)쪽 측면과 모터(205) 반대쪽 측면에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웜축과 웜휠 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모터구동시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에 따라 웜축의 회전시 웜휠의 치에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의 진동으로 인해 웜휠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래틀노이즈가 저감됨에 따라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웜휠 및 웜축이 안정적으로 맞물려 있어서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편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며, 탄성부재의 지지력 차이를 이용하여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웜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낮출수 있고 이에 따라 웜축의 과도한 틸팅을 방지하여 노이즈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3: 웜휠 205: 모터
210: 제1탄성부재 220: 제2탄성부재
230: 베어링 250: 웜축
251: 오링삽입홈 253: 오링
254: 부시 270: 기어하우징
271: 단턱부 290: 락스크류
311: 제1고지지부 313: 제1저지지부
321: 제2고지지부 323: 제2저지지부

Claims (10)

  1. 웜휠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축;
    상기 웜축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회전방지돌기 및 제2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의 측면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 및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제1회전방지홈 및 제2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락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3. 웜휠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축;
    상기 웜축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회전방지돌기 및 제2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에 나사결합하는 락스크류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가 지지되는 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제1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4. 웜휠과 맞물리며 일측이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축;
    상기 웜축의 일측단부와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1탄성부재;
    상기 베어링 외륜의 모터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웜휠쪽으로 갈수록 지지력이 큰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회전방지돌기 및 제2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에는 내주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제2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웜휠 반대쪽에 위치되는 제1고지지부와 상기 웜휠쪽에 위치되는 제1저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웜휠 반대쪽에 위치되는 제2저지지부와 상기 웜휠쪽에 위치되는 제2고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원주방향으로 웨이브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저지지부와 제2저지지부에서 상기 제1고지지부와 제2고지지부로 갈수록 웨이브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원주방향으로 웨이브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저지지부와 제2저지지부에서 상기 제1고지지부와 제2고지지부로 갈수록 웨이브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웜휠쪽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웜휠 반대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웜휠쪽으로 갈수록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10.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편에는 오링을 매개로 부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KR1020170095992A 2017-07-28 2017-07-28 자동차의 감속기 KR10187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92A KR101879134B1 (ko) 2017-07-28 2017-07-28 자동차의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92A KR101879134B1 (ko) 2017-07-28 2017-07-28 자동차의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134B1 true KR101879134B1 (ko) 2018-07-16

Family

ID=6304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992A KR101879134B1 (ko) 2017-07-28 2017-07-28 자동차의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14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8519B2 (ja) * 2001-06-20 2007-10-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5985285B2 (ja) * 2012-07-17 2016-09-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61559B1 (ko) * 2015-04-28 2016-10-04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70022501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8519B2 (ja) * 2001-06-20 2007-10-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5985285B2 (ja) * 2012-07-17 2016-09-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61559B1 (ko) * 2015-04-28 2016-10-04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70022501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988519호(2007.10.10.) 1부.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985285호(2016.09.0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14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94164B1 (ko) * 2018-09-06 2020-03-27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921B1 (ko) 웜기어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US10059366B2 (en)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device
EP3274241B1 (en) A gearbox assembly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KR102101664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US7510045B2 (en) Power-steering system
KR20020062569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60087003A (ko) 자동차의 감속기
WO2012173096A1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907100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5511411A (ja) 自動車用の電動パワーアシスト付きステアリング
ATE173684T1 (de) Drehbare neigung
JP2013524112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ヘリカルギヤ装置
US20120024103A1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1879134B1 (ko) 자동차의 감속기
CN111788401A (zh) 轴承装置
KR101949684B1 (ko) 스티어링 컬럼용 전동모터 어셈블리
CN115681457A (zh) 用于电动动力转向设备的齿轮箱组件
KR10159430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503696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189374B1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안티래틀장치
KR20150028887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56195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4239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006297989A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