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01A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01A
KR20170022501A KR1020150117574A KR20150117574A KR20170022501A KR 20170022501 A KR20170022501 A KR 20170022501A KR 1020150117574 A KR1020150117574 A KR 1020150117574A KR 20150117574 A KR20150117574 A KR 20150117574A KR 20170022501 A KR20170022501 A KR 2017002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bearing
electric power
dead cen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203B1 (ko
Inventor
전인환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1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2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4Ball or roller bearings, e.g. with resilient rol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차체의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조향을 위해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바와, 랙바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랙바를 지지하는 베어링, 및 베어링의 외륜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사점을 구비하는 볼록부와 볼록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볼록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되 피지지체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사점을 구비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웨이브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동구간에 따른 강성 변화가 가능하여 베어링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고 효과적인 조향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 THE ELECTRIC POWER STREERING APPARATUS USING SAME }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에 끼워진 베어링의 외륜을 피지지체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환형의 웨이브와셔를 적용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축회전 운동 기반의 장치의 하나로서 샤프트에 끼워진 베어링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 웨이브와셔가 사용된다.
이 경우, 웨이브와셔는 베어링의 외륜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베어링 외륜의 회전을 방지하고, 아울러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베어링 등을 포함한 부품 간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웨이브와셔는 샤프트의 회전축 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웨이브와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웨이브와셔(10)는 총 6개의 마디(11)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게 된다. 베어링과 샤프트의 크기 또는 사용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웨이브마디(11)의 개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종래의 웨이브와셔(10)의 하나의 웨이브마디(11)는 볼록부(11a, 11b) 및 오목부(11c, 11d)로 구성된다.
볼록부(11a, 11b)는 샤프트에 끼워진 베어링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세부적으로 돌출부(11a)와 함입부(11b)로 구성되어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상사점(11H)을 형성한다.
오목부(11c, 11d)는 볼록부(11a, 11b)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웨이브와셔가 설치되는 하우징 또는 샤프트 축상의 부품 등의 피지지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세부적으로 함입부(11c)와 돌출부(11d)로 구성되어 피지지체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하사점(11L)을 형성한다.
한편, 돌출부(11a, 11d)와 함입부(11b, 11c)는 특히 도 2에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으로 도 2의 측면도를 역상으로 보면 상호 간 그 돌출과 함입여부를 바꿀 수 있는 상대적인 명칭이다.
변곡점(11P)은 볼록부(11a, 11b)와 오목부(11c, 11d)의 연결 부분으로, 모든 변곡점(11P)이 포함되는 하나의 평면(A)을 기준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상사점(11H)의 높이(hH)와 하사점(11L)의 높이(hL)를 합한 자유장의 크기(B)가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웨이브와셔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의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94955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백래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랙바와, 종동베벨기어를 가진 볼너트와, 종동베벨기어에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를 가진 전동모터를 구비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구동 베벨기어는 그 전동모터의 모터축 단부에 형성한 후 전동모터 수용부의 하우징 안쪽에 베어링을 개입하여 지지하되 하우징의 내경에 마련된 단턱부와 베어링 사이에 웨이브와셔를 개입시키므로써 모터축이 항상 축의 길이 방향으로 밀려 백래쉬가 최소치가 되도록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적용되는 웨이브와셔는 전술한 종래의 웨이브와셔를 전제한 것이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의 웨이브와셔는 볼록부(11a, 11b)와 오목부(11c, 11d)로 구성되는 하나의 웨이브마디(11)에 의한 자유장의 크기(B)가 동일하여 베어링과 하우징 또는 샤프트 축상의 부품 사이에 웨이브와셔가 설치되어 작동하는 작동구간에서 단순히 하나의 강성 구현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모든 웨이브마디(11)는 동일한 상사점(11H)의 높이(hH)와 하사점(11L)의 높이(hL)를 가지므로, 설계 변경 또는 축 상 진동 등에 의해 작동구간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베어링을 지지하는 상사점(11H)의 수 또는 하우징 또는 샤프트 축상의 부품에 의해 지지되는 하사점(11L)의 수에 변화가 없어 작동구간 별 비선형적 강성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선형적 강성 구현이 불가능하므로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 또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웨이브와셔를 이용한 랙 타입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랙바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효과적으로 지지되지 않아 종국적으로 조향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9495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변경 또는 축 상 진동 등에 의해 작동구간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작동구간에 따른 강성 변화가 가능한 웨이브와셔가 적용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동구간에 따른 상사점 및 하사점의 수가 변화되어 베어링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 가능한 웨이브와셔가 적용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베어링이 설치되는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 또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한 웨이브와셔가 적용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조향 기능을 수행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차체의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조향을 위해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바와, 랙바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랙바를 지지하는 베어링, 및 베어링의 외륜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사점을 구비하는 볼록부와 볼록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볼록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되 피지지체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사점을 구비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웨이브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볼록부는 각각 베어링의 외륜을 접촉 지지하는 상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볼록편, 및 각각 제 1 볼록편의 상사점보다 낮은 높이의 상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볼록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오목부는 각각 제 1 볼록편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제 1 볼록편의 상사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피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오목편, 및 각각 제 2 볼록편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제 1 오목편의 하사점보다 낮은 높이의 하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오목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볼록편과 제 2 볼록편은 서로 다른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오목편과 제 2 오목편은 서로 다른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볼록편과 제 1 오목편은 각각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 볼록편과 제 2 오목편은 각각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볼록부와 오목부는 샤프트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브와셔는 하우징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베어링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베어링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되 베어링과 함께 웨이브와셔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락스크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설계 변경 또는 축 상 진동 등에 의해 작동구간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작동구간에 따른 강성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작동구간에 따라 적용된 웨이브와셔의 상사점 및 하사점의 수가 변화되어 베어링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 또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이상의 웨이브와셔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조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웨이브와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와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 2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와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 1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 2 웨이브마디를 선형화하여 나타낸 일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와셔는 축회전 운동 기반의 각종 기계장치에서 샤프트에 끼워진 베어링의 외륜을 피지지체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환형의 웨이브와셔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배경기술 란의 기재와 중복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와셔(100)는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록부(110)는 각각 베어링의 외륜을 접촉 지지하는 상사점(110H1)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볼록편(110a, 110b), 및 각각 제 1 볼록편(110a, 110b) 의 상사점(110H1)보다 낮은 높이의 상사점(110H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볼록편(110c, 110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120)는 각각 제 1 볼록편(110a, 110b)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제 1 볼록편(110a, 110b)의 상사점(110H1)과 동일한 높이로 피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사점(120L1)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오목편(120a, 120b), 및 각각 제 2 볼록편(110c, 110d)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제 1 오목편(120a, 120b)의 하사점(120L1)보다 낮은 높이의 하사점(120L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오목편(120c, 120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제 1 볼록편(110a, 110b)과 제 1 오목편(120a, 120b)이 제 1 웨이브마디(130)를 구성하고, 제 2 볼록편(110c, 110d)과 제 2 오목편(120c, 120d)이 제 2 웨이브마디(140)를 구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웨이브마디(130)에서의 상사점(110H1)의 높이(hH1)과 하사점(120L1)의 높이(hL1)를 합한 제 1 자유장의 크기(B1), 및 제 2 웨이브마디(140)에서의 상사점(110H2)의 높이(hH2)과 하사점(120L2)의 높이(hL2)를 합한 제 2 자유장의 크기(B2)가 확보되어 두 구간의 서로 다른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웨이브와셔(100)가 베어링과 하우징의 사이 또는 베어링과 샤프트 축상의 부품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구간을 의미하는 작동구간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술하면, 웨이브와셔(100)가 기본적으로 제 1 웨이브마디(130)에서의 하사점(120L1)에서 하우징 또는 부품에 의해 지지되고, 상사점(110H1)에서 베어링을 지지한다. 그러나, 설계 변경 또는 축 상 진동 등에 의해 작동구간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어 작동구간이 작아지게 되면, 웨이브와셔(100)는 제 1 웨이브마디(130)의 탄성 지지력에 더하여 제 2 웨이브마디(140)의 상사점(110H2)에서 또한 베어링을 지지하게 되고, 하사점(120L2)에서는 하우징 또는 부품에 의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작동구간의 광협, 특히 작동 구간이 작아지는 경우, 베어링의 탄성 지지력 증대를 위하여 베어링을 지지하는 상사점과 하우징 등에 의해 지지되는 하사점을 증가시켜 베어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웨이브와셔(100)가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 또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 또한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작동구간별 웨이브와셔(100)의 탄성 지지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험적인 측정을 바탕으로 제 1 볼록편(110a, 110b)과 제 2 볼록편(110c, 110d)을 다른 곡률의 호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제 1 오목편(120a, 120b)과 제 2 오목편(120c, 120d)의 관계 또한 마찬가지다.
한편, 제 1 볼록편(110a, 110b)과 제 1 오목편(120a, 120b)은 각각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볼록편(110a, 110b)과 제 1 오목편(120a, 120b)은 한 쌍으로 기본적인 작동구간에서 각각 베어링과 하우징을 지지하므로 축 방향의 대칭적인 분산 지지를 위함이다. 제 2 볼록편(110c, 110d)과 제 2 오목편(120c, 120d)의 관계 또한 마찬가지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웨이브와셔(100)는 제 1 웨이브마디(130)와 제 2 웨이브마디(140)가 교대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환형을 이루고, 이 때 베어링을 분산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 1 웨이브마디(130)와 제 2 웨이브마디(140)가 샤프트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발명의 개념을 확장하여 웨이브와셔(100)가 그 볼록부(110)는 베어링의 외륜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사점을 구비하고, 오목부(120)는 볼록부(110)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볼록부(110)와 함께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되 피지지체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사점을 구비하게 구성되면, 작동구간 별 강성 변화를 통해 베어링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하우징(200), 랙바(300), 베어링(400), 및 웨이브와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00)의 차체의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외관을 구성함과 아울러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랙바(300)는 하우징(200) 내에 조향을 위해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어링(400)은 랙바(300)와 하우징(200) 사이에 개재되어 랙바(300)를 지지한다. 이 때, 베어링(400)은 랙바(300)에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내륜(400a), 내륜(400a)과 외륜(400c) 사이에 개재되는 볼(400b), 및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외륜(40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웨이브와셔(1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와셔(100)를 의미한다. 웨이브와셔(100)는 베어링(400)의 외륜(400c)를 하우징(20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여 하우징(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웨이브와셔(100)는 하우징(200)과 베어링(400)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크기(W1)의 제 1 작동공간(150)에 설치되어 하우징(2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베어링(400)과 하우징(200) 사이에 개재되어 베어링(400)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되 베어링(400)과 함께 웨이브와셔(10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락스크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안착홈이 소정 크기(W1)의 제 2 작동공간(160)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작동구간 별 강성 변화가 가능한 웨이브와셔(100)를 이용함으로써 축 상 진동 등에 의해 작동구간(150, 160)의 크기가 순간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베어링(400)을지지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조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작동구간에 따른 강성 변화가 가능하여 베어링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와, 샤프트 축 상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 또는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웨이브와셔를 이용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보다 효과적인 조향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웨이브와셔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동력 부품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웨이브와셔 110: 볼록부
110a, 110b: 제 1 볼록편 110c, 110d: 제 2 볼록편
120: 오목부 120a, 120b: 제 1 오목편
120c, 120d: 제 2 오목편 130: 제 1 웨이브마디
140: 제 2 웨이브마디 150: 제 1 작동구간
160; 제 2 작동구간
200: 하우징
300: 랙바
400: 베어링
500: 락스크류

Claims (10)

  1. 차체의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조향을 위해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바;
    상기 랙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랙바를 지지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륜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사점을 구비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상기 환형을 이루되 상기 피지지체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사점을 구비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웨이브와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각각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접촉 지지하는 상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볼록편; 및
    각각 상기 제 1 볼록편의 상사점보다 낮은 높이의 상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볼록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각각 상기 제 1 볼록편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 1 볼록편의 상사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피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오목편; 및
    각각 상기 제 2 볼록편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 1 오목편의 하사점보다 낮은 높이의 하사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오목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편과 상기 제 2 볼록편은 서로 다른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편과 상기 제 2 오목편은 서로 다른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편과 상기 제 1 오목편은 각각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편과 상기 제 2 오목편은 각각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와셔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어링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베어링과 함께 상기 웨이브와셔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락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20150117574A 2015-08-20 2015-08-20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172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74A KR101724203B1 (ko) 2015-08-20 2015-08-20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74A KR101724203B1 (ko) 2015-08-20 2015-08-20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01A true KR20170022501A (ko) 2017-03-02
KR101724203B1 KR101724203B1 (ko) 2017-04-06

Family

ID=5842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574A KR101724203B1 (ko) 2015-08-20 2015-08-20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34B1 (ko) * 2017-07-28 2018-07-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83A (ja) * 2004-03-01 2005-09-15 Nhk Spring Co Ltd 波形ばね
KR20050094955A (ko) 2004-03-24 2005-09-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백래쉬 조절장치
KR20140115793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83A (ja) * 2004-03-01 2005-09-15 Nhk Spring Co Ltd 波形ばね
KR20050094955A (ko) 2004-03-24 2005-09-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백래쉬 조절장치
KR20140115793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34B1 (ko) * 2017-07-28 2018-07-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203B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56B1 (ko) 고리형 서포트 요크를 구비하는 조향장치
KR20150048181A (ko) 중공형 파동기어장치
RU142143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170291634A1 (en)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and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18911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24203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2394389B1 (ko) 미끄럼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한 베어링 기구
KR101510401B1 (ko)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
US10864936B2 (en) Worm wheel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81827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804443B1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JP201300647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9381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부시
KR101922233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16128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웜휠 구조체
CN113056621B (zh) 用于转向系统的滑动轴承衬套
JP20192062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017627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200134441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1313298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39934A (ko) 전동식 조향장치
JP542940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15544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94938B1 (ko) 요크 스프링용 완충 부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180977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