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35B1 -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 Google Patents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35B1
KR101878635B1 KR1020180021671A KR20180021671A KR101878635B1 KR 101878635 B1 KR101878635 B1 KR 101878635B1 KR 1020180021671 A KR1020180021671 A KR 1020180021671A KR 20180021671 A KR20180021671 A KR 20180021671A KR 101878635 B1 KR101878635 B1 KR 10187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rol panel
fixing plate
buff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현
임선영
장대현
Original Assignee
장성현
임선영
장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현, 임선영, 장대현 filed Critical 장성현
Priority to KR102018002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09Configuration of display device, operator pan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37Configuration of display device, operato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510); 및 상기 컨트롤판넬(5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가 설치되는 몸체(40)의 내측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40)의 외면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이동방향에 따라 말려지거나 풀어지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체인고정부를 포함하고,상기 몸체(40)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을 제공한다.
따라서, 컨트롤판넬을 의도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Control pannel having mov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컨트롤판넬을 의도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제품의 생산 및 검수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는 스테이지상에 안착된 대상물에 대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을 핸들링하거나 이동시켜야 한다. 특히, 반도체나 디스플레이제품의 경우는 그 회로 및 소자가 소형으로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장치내의 기구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내에 다수개이 스위치나 레버등의 조작수단이 포함되는 컨트롤판넬을 통해 사용자가 장치내의 기구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의 제조장비 또는 검사장비와 같은 대형장비에서는 사용자가 작업중에 위치를 바꿔서 작업을 해야되는 경우, 종래의 컨트롤판넬은 몸체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트롤판넬의 전면이 아닐경우엔 현재 위치에서 손을 뻗어 컨트롤판넬을 조작하기 때문에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고, 또는 상기 컨트롤판넬의 위치까지 이동한 후, 해당 스위치를 조작한 뒤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해서 작업을 해야되므로 운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판넬은 물론 컨트롤 판넬이 위치하는 각종 장비(예 : 이동수단 등)에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충격이 발생시 컨트롤 판넬은 물론, 컨트롤 판넬이 수반된 각종 장비가 쉽게 파손되어 유지, 보수 비용 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컨트롤판넬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7329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컨트롤판넬을 의도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510); 및 상기 컨트롤판넬(5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가 설치되는 몸체(40)의 내측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40)의 외면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이동방향에 따라 말려지거나 풀어지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체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40)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컨트롤판넬의 위치까지 이동한 후, 해당 스위치를 조작한 뒤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해서 후속 작업을 해야하는 운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컨트롤 판넬은 물론 컨트롤 판넬이 위치하는 각종 장비(예 : 이동수단 등)에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충격이 발생시 컨트롤 판넬은 물론, 컨트롤 판넬이 수반된 각종 장비가 쉽게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 보수 비용 등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컨트롤판넬이 구비된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가 포함된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수평이동바와 고정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체인의 2단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체인의 3단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판넬회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판넬회전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가 포함된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가 설치되는 몸체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컨트롤판넬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컨트롤판넬이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바에 대해 상대운동을 하는 수평이동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수평이동바의 저면에 설치된 슬라이딩블럭을 추가로 가지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체결되어 내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배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홈을 포함상기 고정바는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체결되어 내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배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가 설치되는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컨트롤판넬의 하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판넬의 회전시에 접철되는 판넬회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넬회전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상기 컨트롤판넬의 하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접철연결수단과;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접철연결수단과;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의 하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접철고정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철고정바는 제 2 항의 수평이동바에서 상기 고정바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하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이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바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상면에서 상기 컨트롤판넬이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컨트롤판넬간의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상기 컨트롤판넬의 이동방향에 따라 말려지거나 풀어지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체인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하기에서 현미경을 일예로 설명하나 현미경외에 기타의 컨트롤판넬이 설치되는 모든 장치 및 기구물에 구성가능하며, 종래의 기술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로서 설명된 도 1의 현미경과 동일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가 적용된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수평이동바와 고정바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가 적용된 현미경은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를 X축이동시키는 렌즈헤드부(32)와, 상기 렌즈헤드부(32)를 Y축이동시키는 슬라이드바(31)와, 대상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20)와, 좌우이동 및 상하회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0)와 렌즈헤드부(32)와 슬라이드바(31)는 종래와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50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510)과, 상기 컨트롤판넬(510)에서 연결되는 와이어(560)를 지지 및 이동시키는 체인(520)과, 상기 체인(520)을 지지하는 체인고정부(521)와,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회전시키는 판넬회전부(530)와,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넬회전부(530)와 수평이동부(540)는 설계자의 응용예에 따라 동시 또는 별개로서 채용됨이 가능하며 상기 도 3과 도 4에서는 상기 수평이동부(540), 하기의 도 6 및 도 7에서는 판넬회전부(530)를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판넬(5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조작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40)의 상면에서 상기 수평이동부(540)에 의해 X축으로 이동된다. 상기 체인고정부(521)는 상기 몸체(40)의 외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작업위치(A)와 몸체의 내측(B)을 구분하는 몸체블럭(550)의 외면(551)에서 고정되되,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체인(520)의 일측끝단(520a, 도 5a참조)이 고정되며, 상기 체인(520)은 상기 체인고정부(521)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이동에 따라 중첩되며, 이는 하기의 도 5a 및 도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체인의 2단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체인의 3단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체인(520)은 다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내측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통해 상기 컨트롤판넬(510)과 상기 몸체(40)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560)가 인입되며, 상기 체인고정부(521)에 고정된 일측끝단(520a)에서 연결되는 타측끝단(520b)이 상기 일측끝단(520a)의 상측에 위치되고, 그 중간부분(520c)에서 접혀지게 되므로 2단으로 중첩(도 5a참조)된 상태로서 내측에 인입되는 와이어(56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인(520)은 일측끝단(520a)이 상기 체인고정부(521)의 끝단에 형성되나, 상기 와이어(560)가 인입되는 타측끝단(520b)이 상기 일측끝단(520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일측끝단(520a)과 타측끝단(520b) 사이의 중간부분(520c)에서 접혀지므로 상기 일측끝단(520a)과 타측끝단(520b)이 중첩된다(도 5a참조). 그러므로 상기 체인(520)은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타측끝단(520b)이 이동되면서 말아지거나 풀려지게 되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체인(520)은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좌측(C)으로 이동시에 타측끝단(520b)이 좌측방향(C)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체인(520)의 중간부분(520c)에서 타측끝단(520b)까지의 부분(520d)에서 다시 접혀지게 되므로 상기 체인(520)이 2단중첩(도 5a)에서 3단 중첩(도 5b)으로 변형되고, 다시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우측(D)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시에는 상기 도면부호 520d와 같은 접혀진 영역이 풀어짐에 따라 도면번호 520c와 520d에서 접혀지는 3단중첩(도 5b)에서 520c만 접혀지는 2단중첩(도 5a)으로 풀어지면서 상기 와이어(560)를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위치에 따라 이동시킨다(도 5b참조).
상기 수평이동부(540)는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고정되어 하기의 슬라이딩블럭(542)과 고정바(543)의 연동관계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수평이동바(541)와,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내면(541b)에 설치되어 하기의 가이드홈(5431)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럭(542)과, 상기 몸체(40)의 외측을 형성하는 몸체블럭(550)의 내면(55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40)의 내측방향(B)을 지향하는 내면(543a)에 상기 슬라이딩블럭(542)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5431)이 형성되는 고정바(54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이동바(541)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면(541a)에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일체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면(541a)과 하면(541c) 사이의 내면(541b)에 상기 슬라이딩블럭(542)이 외측방향(A)을 지향하여 고정된다. 또는 상기 수평이동바(541)는 상기 판넬회전부(530)와 함께 구비될 경우에는 상면(541a)의 끝단이 몸체블럭(550)의 상측에서 상기 몸체(40)의 외측(A)으로 연장되고, 하면(541c)의 끝단을 상기 몸체블럭(550)의 하측에서 외측(A)으로 연장시키되,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하면(541c) 끝단에 후술되는 접철고정바(543)를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블럭(542)은 상기 수평이동바(541)에서 상면(541a)과 하면(541c)사이의 내면(541b)에 적어도 복 수개 이상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5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회전롤러(5421)와 같은 회전기구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543)는 상기 몸체블럭(550)의 내면(552)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40)의 내측(B)을 지향하는 면(543a)에 상기 슬라이딩블럭(542)이 체결되는 가이드홈(5431)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543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542)이 안착되도록 상하측에 돌출되고 사이에 상기 회전롤러(5421)가 이동되는 측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수평이동부의 작용관계는 하기의 판넬회전부와 함께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의 이동장치에서 판넬회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의 이동장치에서 판넬회전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이동장치에서 상기 판넬회전부(530)는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제 1 접철연결수단(531)과,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 2 접철연결수단(532)과,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과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제 1 힌지(531a)와,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의 끝단에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접철고정바(533)와,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과 상기 접철고정바(533)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제 2 힌지(532a)와,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상면(541a)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판넬힌지(544)와, 상기 컨트롤판넬(510)에서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과 힌지결합되는 하면힌지(510a)를 포함한다. 상기 판넬힌지(544)는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이를 중심으로 피봇회전되도록 상기 몸체(40)의 상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이동부(540)와 조합되어질 경우엔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상면(541a)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하면에 연결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첩구조를 갖고, 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상면(541a)에 형성된다.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블럭(550)의 외면(551)에서 양의 방향으로 상향되는 대각선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하면의 힌지(510a)와 상기 제 1 힌지(531a) 사이에 양 끝단이 각각 체결되어 장봉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접철수단(531)은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하측방향(E)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하면힌지(5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끝단이 하측방향(E)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장봉형태로서 상기 제 1 힌지(531a)와 제 2 힌지(532a) 사이에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과 동일방향(대각선)을 지향하다가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이 하측방향(E)으로 회전되면, 몸체(40)의 내측(B)을 지향하는 방향(F)으로 회전되면서 직립된다. 상기 접철고정바(53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40)의 내측(B)에서 수평방향(C, D)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바(541)의 하면(541c)이 상기 고정바(543)와 몸체블럭(550)을 통해 외측(A)으로 연장되는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힌지(532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부(540)와 판넬회전부(530)를 각각 또는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수평이동부(540)와 상기 판넬회전부(530)가 모두 포함된 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시된 현미경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현미경이외의 반도체나 기타 제조장비등 장치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 또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이 설치되는 장치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현미경의 스테이지(20)에 관찰 대상물을 안착시킨 뒤,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조작하여 상기 렌즈헤드부(32)와 상기 슬라이드바(31)를 상기 대상물의 직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조작하여 상기 렌즈부(10)의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고 상기 렌즈부(10)의 접안 및 대물렌즈를 통해 대상물을 관찰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몸체(40)의 외측(A)(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설치위치)에서 작업중에 좌우방향(C, D)으로 이동해야될 필요성이 제기되면,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측면이나 기타 일부분 또는 별도로 추가되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자신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부(540)는 상기 몸체블럭(550)의 내면(552)에 고정된 상기 고정바(543)의 가이드홈(5431)에 체결되는 슬라이딩블럭(542)이 상기 가이드홈(5431)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560)는 상기 체인(520)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체인(520)은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이동되는 방향(C, D)으로 접혀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이동시에 상기 와이어(560)가 엉킴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560)를 이동시킨다.
예를들면, 상기 체인(520)은 일측끝단(520a)이 상기 체인고정부(521)에 고정되었다면, 일측끝단(520a)과 타측끝단(520b)사이의 부분(520c)에서 접혀 지게 되므로 2단 중첩(도 5a)되며 이때 상기 와이어(560)는 상기 타측끝단(520b)을 통해 상기 체인(52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520)은, 예를들면, 2단으로 절첩되어 상기 타측 끝단(520b)이 상기 일측끝단(502a)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2단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좌측(C)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타측 끝단(520b)이 좌측(C)으로 말려지면서 전체 형상이 3단(도 5b참조)으로 변형된다. 또는 상기 컨트롤판넬(5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C) 이동후에 반대 방향(D)으로 이동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에는 상기 체인(520)의 타측끝단(520b)은 2단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와이어(560)를 이동시킨다. 또는 사용자가 작업 후 또는 필요에 의해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수직으로 직립시켜 보관 또는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판넬회전부(530)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일부분 또는 자체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판넬(510)을 하측방향(E)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컨트롤판넬(510)은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상면(541a)에 상기 판넬힌지(54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이동바(541) 및 몸체블럭(550)의 외측(A)으로 돌출되는 타측끝단(512)의 하면에서 힌지구성(510a)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과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판넬(510)은 상기 수평이동바(541)의 상면(541a)에서 일측끝단(511)과 타측끝단(512)이 수평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철연결수단(531)이 하측(E)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접철연결수단(532)이 내측방향(F)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몸체블럭(550)의 외면(551)에 밀착되므로 상기 컨트롤판넬(510)의 일측끝단(511)이 상측, 타측끝단(512)이 하측에 놓이는 직립된 자세로 회전됨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가 포함된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몸체(40)의 저면부에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퍼유닛(1811)은 몸체(40)의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부고정판(1811a)과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탄성충진재(1811e)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버퍼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버퍼공간(H1)은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보강판들 중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소정형상의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내부 보강판들 중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T2)가 형성되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최상단보강판(1811f), 중단 보강판(1811h) 및 최하단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버퍼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유닛(1812)과 몸체(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는데, 버퍼유닛(1811)은 하부유닛(1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버퍼유닛(1811)은, 하부유닛(1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각 모서리부로부터 하부유닛(1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는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하부유닛(1812)과 몸체(40)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버퍼유닛(1811)을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리프팅수단(LU)은 제1모드를 기준으로 버퍼유닛(1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제1모드 상태에서 버퍼유닛(1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제1모드를 기준으로 버퍼유닛(1811) 사이에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1차적으로 제1리프팅수단(LU1)과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버퍼유닛(1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
도 11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고정판(1811a)은 프레임(10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하부고정판(1811b)은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프레임(101)에 대한 버퍼를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은 각각 상부고정판(1811a)과 하부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도 12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중단 보강판(1811h)은 버퍼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최하단보강판(1811g)은 버퍼공간을 사이에 두고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최하단상판 (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도 13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고정판(1811a2)은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제4고정판(1811b2)은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방돌출부(UT) 및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하방돌출부(DT) 및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버퍼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부고정판(1811a), 하부고정판(1811b),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하우징(1811c)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버퍼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버퍼구(1811i) 역시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버퍼이 가능하게 해준다.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보강판(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버퍼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버퍼되어 접촉한다. 이때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은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퍼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몸체(40)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몸체(40)의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버퍼유닛(1811)은, 몸체(40)의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부고정판(1811a)과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내부 보강판들 중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내부 보강판들 중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된다.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최상단 보강판(1811f), 중단 보강판(1811h) 및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면돌기와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상부고정판(1811a)은 몸체(40)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탄성하우징,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하부고정판(1811b)은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탄성하우징,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제2고정판(1811a2)은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제4고정판(1811b2)은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캡슐(C1)이 파손되면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출된 내용물은 연통로(TH)를 통해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된다. 버퍼공간(H1) 상에는 캡슐(C1) 또는 캡슐(C1)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된다.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몸체(40)에 대한 버퍼 기능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은 각각 상부 고정판(1811a)과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된다.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에는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된다. 종보강체(LP)는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된다. 캡슐(C1), 제2 캡슐(C2) 및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 15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제2고정판(1811a2)과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된다.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제2고정판(1811a2)과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한한다. 파쇄물은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용기부(SH 상에서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용기부(SH 상에서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한다. 제1 파쇄물(BM1) 내지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한다.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제1 파쇄물(BM1)과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제2 파쇄물(BM2)와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제3 파쇄물(BM3)과 상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진다. 용기부(SH)를 향하는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용기부(SH)를 향하는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된다.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되며, 제2고정판(1811a2) 및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에 유동되어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된다. 한편, 탄성하우징(1811c, 1811d)과 용기부(SH) 사이에는 소정의 히팅수단(PH)이 구비된다. 히팅수단(PH)는 제어부를 통한 외부의 제어하에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용기부(SH)를 가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렌즈부 20 : 스테이지
31 : 슬라이드바 32 : 렌즈헤드부
40 : 몸체 50, 510 : 컨트롤판넬
500 : 컨트롤판넬의 이동장치 520 : 체인

Claims (1)

  1.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판넬; 및
    상기 컨트롤판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가 설치되는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컨트롤판넬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상기 컨트롤판넬의 이동방향에 따라 말려지거나 풀어지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체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 상기 중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은 상기 저면부에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과,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은 상기 제3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버퍼공간 상에는 상기 캡슐 또는 상기 캡슐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충진재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저면부에 대한 버퍼를 위한 버퍼구가 구비되며,
    상기 버퍼구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이 내장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는 상기 제2 캡슐을 히팅 하기위한 제2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이 구비되는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20180021671A 2018-02-23 2018-02-23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187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71A KR101878635B1 (ko) 2018-02-23 2018-02-23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71A KR101878635B1 (ko) 2018-02-23 2018-02-23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841A Division KR101833760B1 (ko) 2017-07-13 2017-07-13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35B1 true KR101878635B1 (ko) 2018-07-13

Family

ID=6291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71A KR101878635B1 (ko) 2018-02-23 2018-02-23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791B1 (ko) * 1990-06-18 1995-10-21 몬산토 캄파니 안전유리용 적층판
KR100699528B1 (ko) * 2006-04-25 2007-03-23 (주) 랩시스템 컨트롤패널의 이동장치
KR100725875B1 (ko) *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0930651B1 (ko) * 2009-06-23 2009-12-09 (주)유니텍파슨스 편의성이 향상된 측정 장치
KR101739321B1 (ko) * 2016-11-29 2017-05-24 임창열 지하수 및 폐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발전 시스템
KR101812927B1 (ko) * 2017-06-26 2017-12-27 강승철 싸바리 형압 인쇄물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791B1 (ko) * 1990-06-18 1995-10-21 몬산토 캄파니 안전유리용 적층판
KR100725875B1 (ko) *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0699528B1 (ko) * 2006-04-25 2007-03-23 (주) 랩시스템 컨트롤패널의 이동장치
KR100930651B1 (ko) * 2009-06-23 2009-12-09 (주)유니텍파슨스 편의성이 향상된 측정 장치
KR101739321B1 (ko) * 2016-11-29 2017-05-24 임창열 지하수 및 폐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발전 시스템
KR101812927B1 (ko) * 2017-06-26 2017-12-27 강승철 싸바리 형압 인쇄물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8580T3 (es) Dispositivo de flejado móvil con un elemento de indicación
US10481634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N108337334B (zh) 便携式信息设备
KR102292302B1 (ko) 표시 장치
US10416710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2310471B1 (ko)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CN1798351B (zh) 显示装置和带显示装置的游戏机
JP5183494B2 (ja) 静電容量式モーション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60118407A (ko)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878635B1 (ko)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1878636B1 (ko)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1878637B1 (ko)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1878634B1 (ko)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CN109845234A (zh) 电子设备
KR101833760B1 (ko) 이동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판넬
KR100699528B1 (ko) 컨트롤패널의 이동장치
JP6636125B1 (ja) 携帯用情報機器
KR101332694B1 (ko) 중력 보상 기능을 가지는 햅틱 장치
JP5166341B2 (ja) 目地装置
KR100875856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101778187B1 (ko) 아파트 계단용 청소장치
KR20190097157A (ko) 휴대용 표시장치
CN109889634A (zh) 一种机壳能分离的柔性屏手机
WO2021185369A1 (zh) 折叠式手机壳及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