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09B1 -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09B1
KR101877609B1 KR1020160052819A KR20160052819A KR101877609B1 KR 101877609 B1 KR101877609 B1 KR 101877609B1 KR 1020160052819 A KR1020160052819 A KR 1020160052819A KR 20160052819 A KR20160052819 A KR 20160052819A KR 101877609 B1 KR101877609 B1 KR 10187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haracter string
masking
mask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51A (ko
Inventor
이기헌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G06K9/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14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with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 H04N1/00122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with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of text or character inform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Input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개인 정보가 들어있는 문서를 출력 또는 복사할 경우에 인쇄물에 표시하고 싶지 않은 개인 정보를 마스킹(해당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검은색으로 먹칠 출력하는 것) 출력하여 인쇄물에 의한 개인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lable display of specific character string}
본 발명은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특정 문서의 특정 문구 또는 특정 양식의 문서의 구역을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없도록 화상형성장치에서 자동으로 가려줄 수 있는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개인 정보 보호는 점점 더 중요한 역할군을 차지하고 있다. 회사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있는 기간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 시의 처벌의 강도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개인 정보를 중요시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화번호 또는 주소,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을 하지 않는 웹 사이트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편한 장소는 인쇄물이다. 우편물은 정확한 장소에 정확한 사람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주소와 이름이 표기되어 있어 그 우편물과 전혀 관련 없는 사람이 우편물을 보더라도 어떤 사람이 어디 사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연말정산을 위해 사용하여야 하는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역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여과없이 출력되어 나온다. 상기한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는 발급하는 사람의 선택에 따라 주민등록번호 등이 출력되지 않도록 변경할 수 있으나, 해당 내용을 몰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은행 또는 관공서에서 신분증을 복사할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신분증을 회수한다고 하더라도 복사 출력되어 있는 문서를 보면 바로 해당하는 사람의 개인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직원들의 교육이나 다양한 시도가 실시되고 있으나, 처리의 주체가 사람이기 때문에 해당 업무를 처리할 때 실수 또는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인 정보가 들어있는 문서를 출력 또는 복사할 경우에 인쇄물에 표시하고 싶지 않은 개인 정보를 마스킹(해당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검은색으로 먹칠 출력하는 것) 출력하여 인쇄물에 의한 개인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정 문서를 스캔할 경우, 스캔 데이터를 화상 처리하여 JBIG 형식으로 변경한 후, 해당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데이터 내에 있는 특정 문자열을 인식한다. 특정 문자열을 인식한 경우 마스킹 위치를 결정하고,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다시 JBIG 형식으로 변경한 후 복사된 문서를 출력한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은 스캔 또는 복사 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특정 문서를 출력할 경우에도 해당 문서에 있는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여 출력 시 마스킹 위치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인쇄물을 통한 개인 정보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가 필요한 문서 또는 양식을 등록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를 실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는 화상 스캔을 위한 스캐너 리더부(110), 상기 스캐너 리더부(110)에서 스캔된 화상 또는 인쇄할 데이터 내에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인식모듈(120), 상기 문자인식모듈(120)에서 인식한 문자를 마스킹 처리하기 위한 마스킹 모듈(130), 상기 마스킹 모듈(130)에서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출력부(1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가 필요한 문서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최초 동작 제어가 필요하다.
가장 먼저, 사용자가 마스킹 처리가 필요한 문서의 종류 및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마스킹 처리가 필요한 문서의 경우 대부분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등 형식 자체가 정형화 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개인정보 등의 주요 정보가 인쇄되는 위치는 항상 같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항상 지정해 주는 것 보다, 일정 형식의 문서를 등록해 두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마스킹 처리를 하는 문서를 등록하면 마스킹 처리할 문자열과 해당 문자열이 있는 위치를 추출한다. 추출한 문자열이 특정 단어 또는 숫자의 집합인 경우, 추출한 내용을 저장한다.
또한 마스킹 문자는 본체의 조작부와 PC 양 쪽에서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체의 조작부에서 마스킹 문자의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조작부에서 마스킹할 문자열을 직접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PC에서 마스킹 문자의 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마스킹할 문자열을 직접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문서의 종류 및 형식을 지정하는 것과는 또 다른 방법으로, 특정 위치 등에 항상 있지 않는 신분증 복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문서를 스캔 또는 출력하는 경우, 가장 먼저 현재 마스킹 처리의 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여부를 갖는다. 마스킹 처리를 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킹 처리를 하지 않고 출력한다.
출력 명령을 내렸을 때 마스킹 처리를 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현재 출력 대기중인 문서가 마스킹 처리의 대상 문서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마스킹 처리 대상 문서 형식의 마스킹 처리 위치 또는 문자열을 파악한 후, 현재 문서에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해당 문자열이 존재하는지의 판단은 문자인식모듈(120)에서 해당 구역의 문서의 텍스트 대조 등으로 실시하나, 텍스트 검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캔 명령을 내렸을 때 마스킹 처리를 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스캐너 리더부(110) 에서 현재 스캔된 문서를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에서 JBIG, JPEG 또는 TIFF 등의 형식으로 인코딩한다. 화상으로의 인코딩이 완료되면, 해당 화상의 픽셀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스캔된 문서가 마스킹 처리의 대상 문서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문자 이미지의 엣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OCR 문자 데이터와 엣지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 매칭의 문자를 추출하는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마스킹 처리 대상 문서 형식의 마스킹 처리 위치 또는 문자열을 파악한 후, 현재 문서에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문자인식모듈(120)이 판단한다.
상기의 출력 또는 스캔의 과정에서 마스킹 처리 대상 양식의 마스킹 처리가 필요한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확인이 되었다면, 추출된 문자를 마스킹 모듈(130)에서 마스킹 문자로 대체하여 대체 화상을 생성한다. 이후 원본 화상을 삭제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대체 화상이 생성되거나 마스킹 처리 대상 양식의 마스킹 처리가 필요한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프린터 출력부(140)에서 출력을 진행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스캐너 리더부
120 : 문자인식모듈
130 : 마스킹 모듈
140 : 프린터 출력부

Claims (3)

  1.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스캔을 위한 스캐너 리더부;
    상기 스캐너 리더부에서 스캔된 화상 또는 인쇄할 데이터 내에서 문자열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출력 시에는 현재 출력 대기중인 문서가 마스킹 처리의 대상 문서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마스킹 처리 대상 문서 형식의 마스킹 처리 위치 또는 문자열을 파악한 후 현재 문서에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스캔 시에는 현재 스캔된 문서를 JBIG, JPEG 또는 TIFF 등의 형식으로 인코딩한 후 화상으로의 인코딩이 완료되면 해당 화상의 픽셀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스캔된 문서가 마스킹 처리의 대상 문서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문자 이미지의 엣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확인한 뒤 OCR 문자 데이터와 엣지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 매칭의 문자를 추출하는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마스킹 처리 대상 문서 형식의 마스킹 처리 위치 또는 문자열을 파악한 후 현재 문서에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문자인식모듈;
    상기 문자인식모듈에서 인식한 문자를 마스킹 처리하기 위해 마스킹 처리할 문서를 기설정하여 문자열과 해당 문자열이 있는 위치를 추출한 뒤 추출한 문자열이 특정 단어 또는 숫자의 집합인 경우 추출한 내용을 마스킹 처리할 수 있는 마스킹 모듈;과
    상기 마스킹 모듈에서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52819A 2016-04-29 2016-04-29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KR10187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19A KR101877609B1 (ko) 2016-04-29 2016-04-29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19A KR101877609B1 (ko) 2016-04-29 2016-04-29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51A KR20170123451A (ko) 2017-11-08
KR101877609B1 true KR101877609B1 (ko) 2018-07-12

Family

ID=6038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819A KR101877609B1 (ko) 2016-04-29 2016-04-29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0745B (zh) * 2023-05-10 2024-01-23 北京瑞莱智慧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数据处理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330A (ko) * 2008-09-23 2010-04-01 (주)소만사 개인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1177310B1 (ko) * 2011-12-30 2012-08-3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 보안 전송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130089910A (ko) * 2012-01-12 2013-08-13 김영기 암호화 및 복호화를 이용하여 병원 차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
KR101585029B1 (ko) * 2015-05-13 2016-01-13 (주)코드원시스템 문서 인식 분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330A (ko) * 2008-09-23 2010-04-01 (주)소만사 개인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1177310B1 (ko) * 2011-12-30 2012-08-3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 보안 전송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130089910A (ko) * 2012-01-12 2013-08-13 김영기 암호화 및 복호화를 이용하여 병원 차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
KR101585029B1 (ko) * 2015-05-13 2016-01-13 (주)코드원시스템 문서 인식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51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29B1 (ko) 문서 인식 분류 시스템
JP5090369B2 (ja) 遠隔に記憶されたテンプレートを使用する自動化された処理(書式を処理する方法、該書式を処理する装置)
US200701887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454696B2 (en) Dynamically generating table of contents for printable or scanned content
US20060062453A1 (en) Color highlighting document image processing
KR201100401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관리방법
US201403550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igh Security for Individual Information
EP2105848A1 (en) Voucher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ucher data management system
KR101877609B1 (ko) 특정 문자열의 표시 제어가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JP2005110243A (ja) 文書識別情報を走査し、あて先および識別情報をユーザが手書きできるテンプレートを用いて送信する方法
JP2008225631A (ja) 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US8712155B2 (en) Device for identifying types of document files
US7532368B2 (en) Automated processing of paper forms using remotely-stored form content
US1194193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IR security marks based on known halftone frequency and color information
CN107016320B (zh) 一种基于中文词库提高图片密级识别准确率的方法
JP2018007085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2086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46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information on a page containing preprinted objects
JP2006276904A (ja) ファックス装置
US1165294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ng confidential content of a document while printing and/or generating a copy of the document
US115440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using stored featured values to form an image
JP2019125966A (ja) 画像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1285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596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surrounded by a marking on a document,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generating an image surrounded by a marking on a document
US202200124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