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143B1 -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 Google Patents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143B1
KR101877143B1 KR1020160182046A KR20160182046A KR101877143B1 KR 101877143 B1 KR101877143 B1 KR 101877143B1 KR 1020160182046 A KR1020160182046 A KR 1020160182046A KR 20160182046 A KR20160182046 A KR 20160182046A KR 101877143 B1 KR101877143 B1 KR 10187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uilding
elevator
rails
prosp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7574A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김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진 filed Critical 김석진
Priority to KR102016018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14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61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rack and pin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1레일; 상기 제1건축물과 인접하는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레일; 및 상기 제1레일, 연결 레일 및 제2레일을 주행하는 전망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저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후단부는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고층에 위치하며,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상기 제1레일의 선단부를 출발하여 상기 제1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연결 레일을 지나, 상기 제2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제2레일의 선단부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탑승 챔버와, 상기 탑승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대응되는 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되되,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상기 제2건축물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된 후, 다시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부로 이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with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is introduc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ail install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first building; A second rail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econd building adjacent to the first building; A connecting rail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prospective elevator running on the first rail, the connecting rail and the second rail, wherein the lead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located at the lowes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s, respectively,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rail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prospective elevator start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rail and passe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irst rail and the connecting rail, Wherein the view elevator includes a boarding chamber and a driving pin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arding chamber, wherein the rail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in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rais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s, and enter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point, The first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Description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installed and operated in a high-rise building.

다수의 고층 건물에는 전망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러한 전망 엘리베이터는 10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이나, 기이한 형태의 건축물 등에 설치되어, 관광객들에게 건물의 주변 경관을 제공한다.Many high-rise buildings have prospective elevators. These prospective elevators are installed on skyscrapers over 100 floors or in odd-shaped buildings, providing tourist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특정 나라 또는 도시를 대표하는 건물 또는 건축물에는 대부분 상술한 전망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망 엘리베이터 대부분은 수직 상승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고층 건물에 설치된 전망 엘리베이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전망대가 위치하는 상층부까지 상승하고, 관광객들은 그러한 전망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로 전망대가 위치하는 상층부에 도달하여 고층 건물 주변 경관을 살펴보게 되는 것이다.Generally, a building or a building representing a specific country or city is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elevated elevator. Most of these elevated elevators have a vertical elevating structure. In other words, a view elevator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rises to the upper level where the observation deck is located at a very high speed, and tourists reach the upper level where the observation deck is located with such a view elevator.

최근에는 전망 엘리베이터가 전망대가 위치한 상층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건물들은 수 초 내에 100층을 초과하는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홍보하기 위해 전망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하여 전망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표시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time it takes for the elevation elevator to reach the top of the observation deck, and most buildings are located inside the elevation elevation to show that they can reach over 100 stories in a few seconds. It also displays the speed of the view elevator through the installed monitor.

그러나 이러한 전망 엘리베이터의 속도는 별론으로 하고, 전망 엘리베이터를 내려 상층부에 위치한 전망대에 도달한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기념품 매장에 들러 그 건물과 관련된 기념품을 보거나, 구매하게 되고, 간단히 건물 주변 전망을 돌아본 후, 다시 하행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바, 실질적으로 건물 주변 경관 제대로 살펴보지 못 하는 것이 다반사이다.However, the speed of these elevators is different, and most of the tourists who arrive at the observation deck at the top of the elevator down the elevator stop at the souvenir shop to see or buy souvenirs related to the building, , It is necessary to wait for the descent again, and it is common that it is not able to observe the landscape around the building effectively.

이와 관련하여 건물의 주변 경관을 충분히 관람할 수 있는 다양한 관광 상품이 운용되고 있는바, 1999년 영국의 브리티시 에어가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는 것을 기념하여 건축한 밀레니엄 휠이라는 런던 아이는 영국 런던 시내를 여러 방면에서 볼 수 있도록 만든 대관람차가 대표적인 예이다. 커다란 전면 유리를 이용하여 설계된 계란형 챔버는 그 내부에 안락한 나무벤치와 상당한 인원이 한 번에 들어갈 수 있도록 크고 안락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360도 회전하는 동안 런던 시내를 다각도에서 관람할 수 있는바, 런던의 멋진 야경과 석양을 즐길 수도 있다. The Millennium Wheel, built in 1999 to commemorate the arrival of the new millennium in British Airways in the UK, is a London Eye that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a variety of attractions to the city of London, The Ferris wheel is a typical example. The oval chamber, designed with large front glass, is large and comfortable to accommodate a comfortable wooden bench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at once. This 360-degree turn allows you to view the city of London in various directions, and you can enjoy London's spectacular night view and sunset.

또한, 싱가포르의 마리나베이샌즈 호텔은 2-3개의 호텔 건물을 연결한 배모양의 대형 야외 수영장이 최상층에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싱가포르 방문 시 이는 필수 관광 코스로 인식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Also, Marina Bay Sands Hotel in Singapore is famous for having a large pier-shaped outdoor swimming pool connecting two or three hotel buildings on the top floor. When visiting Singapore, it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tourist course, and the economic effect of this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e.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전망 엘리베이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주변 고층 건물을 이용하여 도시 경관을 보다 여유있게 전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 개발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d the problem of the above-described elevator elevator and developed and developed a system capable of viewing the cityscape more reliably by using the surrounding high-rise buildings.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dhering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20-0288351 Y1(2002.08.27)KR 20-0288351 Y1 (2002.08.27)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을 이용하여 도시 주변 경관을 서서히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층 건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레일을 구축함으로써 주변 경관이 미려해지고, 이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가 증대되는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to gradually enjoy the scenery around the city by using a high-rise building but also to construct various types of rails according to the shape of a high-rise building, thereby improv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spiral structure.

또한, 훌륭한 자연뿐만 아니라 도심의 미려한 건축물과 어우러진 도심의 훌륭한 풍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망을 즐기는 것이 단지 국립공원 등의 전유물이 아니며 이로 인해 충분히 발전 가능한 경제적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imed to make it possible to enjoy the prosperity by enjoying the excellent scenery of the city center not only of excellent nature but also of the beautiful architecture of the city.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1레일; 상기 제1건축물과 인접하는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레일; 및 상기 제1레일, 연결 레일 및 제2레일을 주행하는 전망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ail install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irst structure; A second rail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econd building adjacent to the first building; A connecting rail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view elevator running on the first rail, the connecting rail and the second rail.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저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후단부는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고층에 위치하며,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상기 제1레일의 선단부를 출발하여 상기 제1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연결 레일을 지나, 상기 제2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제2레일의 선단부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cal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located at the lowest layer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The rear elevation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and the elevation elevator depart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rail and passe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irst rail and the connecting rail, And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rail.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탑승 챔버와, 상기 탑승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대응되는 렉이 설치될 수 있다.The prospective elevator includes a boarding chamber and a driving pin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arding chamber, and a rai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inion may be installed on the rail.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벽에는 나선 형상의 서포트 유닛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 서포트 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iral support unit is protrud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되되,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상기 제2건축물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된 후, 다시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부로 이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rais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point, And the second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the second building and the second build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의 주행 상태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하나에는 전망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unning state of the prospective elevator, wherein a gazebo is installed on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buildings.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고층 건물을 이용하여 도시 주변 경관을 서서히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층 건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레일을 구축함으로써 주변 경관이 미려해지고, 이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가 크게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the double-stranded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dually enjoy the scenery around the city by using a high-rise building, and by constructing various types of rails according to the shape of a high-rise build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conomic effect is greatly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요부인 전망 엘리베이터 및 레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레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레일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 중 한 건물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조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a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elevator and a rail structure, which are a part of a per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rail, which is a work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a rail which is a sunshad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ructural view of an elevator moving up and down in one of the prospective elevator systems having the double helical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레일(30), 제2레일(40), 연결 레일(50) 및 전망 엘리베이터(60)를 포함한다.1 to 3, a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cal structure of the gene DN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ail 30, a second rail 40, a connecting rail 50, and a prospective elevator 60).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은 각각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출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은 서로 인접하는 별개의 건축물로써, 그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ridge, respectively.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re separate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have the same shape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이러한 구조는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생체 DNA(deoxyribonucleic acid) 구조와 유사하며, 단면으로 보았을 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This structure is similar to a deoxyribonucleic acid structure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and is formed in a zigzag shape when viewed in section.

제1레일(30)의 선단부는 제1건축물(10)의 최저층에 위치하고, 후단부는 제1건축물(10)의 최고층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제1레일(30)을 따라 주행하는 전망 엘리베이터(60)는 제1건축물(10)의 최저층에서 출발하여 최고층에 이르기까지 주행함으로써, 전망 엘리베이터(60) 탑승자가 다양한 높이에서 도시의 주변 경관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1건축물(10)의 최저층에서 전망 엘리베이터(60) 탑승을 위한 탑승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rail 30 is located at the lowest layer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rear end is located at the highest layer of the first building 10, (60) travels from the lowest floor of the first building (10) to the highest floor so that the passenger of the view elevator (60) can observe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the city at various heights.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 boarding gate for boarding the view elevator 60 is provided at the lowest floor of the first building 10.

제1레일(30)과 별개로 설치되는 제2레일(40)은 제1건축물(10)과 마찬가지로 그 선단부가 최저층에 위치하고, 그 후단부는 제2건축물(20)의 최고층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건축물(20)의 최저층에는 출구가 마련되어 관람을 마친 전망 엘리베이터(60) 탑승객이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rail 40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rst rail 3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lowest level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at the highest level of the second building 20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rail 40 . An exit is provided at the lowest floor of the second building 20 so that the passenger of the view elevator 60 who has finished the visit can get off.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 각각의 후단부는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최고층에 위치하는데,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은 그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의 후단부 위치 역시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의 후단부는 연결 레일(50)을 매개로 연결된다.The rear end portions of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are located at the uppermost layers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 heigh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30 and 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30, And is connected via a rail (50).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연결 레일(50)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연결 레일(50)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rail 50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are the same and when the heights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are different The connection rails 50 may be inclined.

또한, 연결 레일(50)은, 제1건축물(10)의 최고층에 위치하는 제1레일(30)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건축물(20)의 최고층에 위치하는 제2레일(40)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52)와, 이러한 한 쌍의 경사부(52)을 매개하는 수평부(54)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 레일(50)을 경사부(52) 및 수평부(54)로 구성하는 경우, 전망 엘리베이터(60)는 경사부(52) 및 수평부(54)를 통과하면서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곳에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rail 5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ail 30 located at the uppermost layer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located at the uppermost layer of the second building 20 A pair of inclined portions 52 formed upwardly inclined from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52 and a horizontal portion 54 passing through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52 may be formed. When the connecting rail 50 is constituted by the inclined portion 52 and the horizontal portion 54, the prospective elevator 60 passes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52 and the horizontal portion 54, 2 < / RTI >

전망 엘리베이터(60)는 제1건축물(10)의 최저층에서 출발하여 제1레일(30)을 따라 주행하다가, 연결 레일(50)을 경유하여 제2건축물(20)에 설치된 제2레일(40)을 주행한다. 이러한 전망 엘리베이터(6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ew elevator 60 starts from the lowest floor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ravels along the first rail 3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rail 40 installed on the second building 20 via the connecting rail 50, .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uch elevation elevators 60 run along the first rails 30 and the second rails 40 at regular intervals.

복수 개의 전망 엘리베이터(60)가 운용되는 경우, 각각의 전망 엘리베이터(60)에 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러한 센서로부터 전망 엘리베이터(6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각각의 전망 엘리베이터(60)의 주행 속도 등을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lurality of prospective elevators 60 are operated, a sensor (not shown) capable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each prospective elevator 60 is installed,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spective elevator 60 is received from the sensor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veling speed of each of the prospective elevators 6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전망 엘리베이터(60)에는 위치를 추적하는 센서 이외에, 탑승객들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는 상술한 센서들로부터 각종 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송 받아 전망 엘리베이터(60)의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인자들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ensor for tracking the position, various sensors such as a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passengers may be installed in the view elevator 60.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ensors, You can control various factors related to driving.

전망 엘리베이터(60)는 탑승 챔버(64), 구동 피니언(62)을 포함하고, 레일에는 구동 피니언(62)에 대응되는 렉(L)이 설치될 있다.The view elevator 60 includes a boarding chamber 64 and a drive pinion 62. A rail L corresponding to the drive pinion 62 is installed on the rail.

전망 엘리베이터(60)가 제1레일(30), 연결 레일(50) 및 제2레일(40) 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탑승 챔버(64)에 구동 피니언(62)을 설치하고,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 연결 레일(50)에 렉(L)을 설치하여 이동수단을 구체화하였다. 즉, 톱니 바퀴 형상의 구동 피니언(62)은 제1레일(30), 제2레일(40) 및 연결 레일(50)에 형성된 렉(L)에 치합되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for the view elevator 60 to move onto the first rail 30, the connecting rail 50 and the second rail 40, a moving means must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pinion 62 is provided in the boarding chamber 64, and a rack L i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30 and 40 and the connecting rail 50 to form a moving means . That is, the driving pinion 62 in the form of a toothed wheel is engaged with the lugs L formed on the first rails 30, the second rails 40 and the connecting rails 50, and runs.

이러한 이동수단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술한 구성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있을 것이다.Such a mov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function can be realized.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외벽에는 나선 형상의 서포트 유닛(S)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은 이러한 서포트 유닛(S)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 유닛(S)은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서포트 유닛(S)은 도 4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F)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A spiral support unit S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ort units S ). ≪ / RTI > The support unit S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This support unit S is replaced with the support frame F shown in Fig. It is possible.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 자체에 상술한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서포트 유닛(S)을 형성하고,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과 별개로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을 지지하려는 경우에는 지지 프레임(F)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건물을 신축하는 경우에는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형상 및 구조 설계 시 본 발명을 고려하여 서포트 유닛(S)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지만, 이미 건축 완료된 건물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지지 프레임(F)을 이용하여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case of design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on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emselves, the above-described support unit S is formed And a support frame F can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separately from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 The support unit S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ign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by using the support frame F. [

한편,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은 다양한 구조로 설계 변경 가능한바,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 내부에 놀이 공간, 자연 공간 또는 아쿠아리움 등 관광이 필요한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may be designed to have various structures, so that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may form paths for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That is, when there is a space required for sightseeing such as a play space, a natural space, or an aquarium within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It can be designed to be.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쿠아리움인 경우 유리 통로를 통해 선로가 투명한 유리통의 수중을 가로지르게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cross the water of a transparent glass vessel through a glass passage in the case of an aquarium.

이를 위해 제1레일(30) 및 제2레일(40)은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되되, 소정의 지점에서 제1건축물(10) 및 상기 제2건축물(2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된 후, 다시 소정의 지점에서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외부로 이탈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are install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so that the first rail 30 and the second rail 4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And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are raised upwar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uilding 10 and the second building 20, 2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또한, 제1건축물(10) 및 제2건축물(20)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하나에는 전망대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전망 엘리베이터(60) 탑승객은 전망대가 설치된 층에서 내려 충분히 주변 경관을 관람한 후에, 추후 전망대를 경유하는 전망 엘리베이터(60)에 탑승할 수 있을 것이다.An observation deck may be installed on either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tructure 10 and the second structure 20 and the passenger of the view elevator 60 may descend from the floor where the observation deck is installed, , And can be boarded in the view elevator 60 via the observatory la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현가능한 것은 관람객이 탑승하는 챔버의 전면 유리는 이 전면 유리가 향하는 방향이 서서히 helix 형태로 건물을 휘감으며 바뀔 대마다 전면 유리에 설치하는 액정 표시기가 각각 주요 명소 및 대표적 도심의 맛집 정보 등을 표시하며 설명을 해주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간단히 영어, 중국어, 일어 등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glass of the chamber on which the guest is boarded can be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And representative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restaurants in the city center. At this time, English, Chinese, Japanes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simply.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erspective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제1건축물 20 : 제2건축물
30 : 제1레일 40 : 제2레일
50 : 연결 레일 52 : 경사부
54 : 수평부 60 : 전망 엘리베이터
62 : 구동 피니언 64 : 탑승 챔버
L : 렉 S : 서포트 유닛
F : 지지 프레임
10: 1st building 20: 2nd building
30: first rail 40: second rail
50: connecting rail 52:
54: horizontal part 60: view elevator
62: drive pinion 64: boarding chamber
L: Rack S: Support unit
F: Support frame

Claims (7)

제1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1레일;
상기 제1건축물과 인접하는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설치된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 레일; 및
상기 제1레일, 연결 레일 및 제2레일을 주행하는 전망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저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후단부는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최고층에 위치하며,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상기 제1레일의 선단부를 출발하여 상기 제1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연결 레일을 지나, 상기 제2레일의 후단부 및 상기 제2레일의 선단부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는,
탑승 챔버와, 상기 탑승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에 대응되는 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되되,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상기 제2건축물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상승 설치된 후, 다시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부로 이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
A first rail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A second rail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second building adjacent to the first building;
A connecting rail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prospective elevator running on the first rail, the connecting rail and the second rail,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located at the lowest layer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ils are located at the uppermost layer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Wherein the prospective elevator start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rail and runs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rail an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ail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irst rail and the connecting rail,
The view elevator includes:
A ride-on chamber, and a drive pin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ride-on chamber,
Wherein the rails are provided with lag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inions,
Wherei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rais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point, And a second elevation system having a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tic DNA, wherein the prospective elevator system has a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tic DNA, .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벽에는 나선 형상의 서포트 유닛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상기 서포트 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iral support unit is protrud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Wherei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망 엘리베이터의 주행 상태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건축물 및 제2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하나에는 전망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갖는 전망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unning state of the view elevator,
Wherein a gazebo is installed on either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KR1020160182046A 2016-12-29 2016-12-29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KR101877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46A KR101877143B1 (en) 2016-12-29 2016-12-29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46A KR101877143B1 (en) 2016-12-29 2016-12-29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74A KR20180077574A (en) 2018-07-09
KR101877143B1 true KR101877143B1 (en) 2018-07-13

Family

ID=6291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46A KR101877143B1 (en) 2016-12-29 2016-12-29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1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845A (en) * 1985-02-05 1989-04-18 Otis Elevator Company Traversing elevator
JPH04164793A (en) * 1990-10-25 1992-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Rope-less linear motor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845A (en) * 1985-02-05 1989-04-18 Otis Elevator Company Traversing elevator
JPH04164793A (en) * 1990-10-25 1992-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Rope-less linear mot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74A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5256B2 (en) Tower type vehicle
KR20110120952A (en) A floating structure, vessel, specifically a single hull cruise vessel or the like
KR101743082B1 (en)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Burian The architecture and cities of northern Mexico from independence to the present
KR101877143B1 (en) Observation elevator system having double helix structure of gene DNA
KR200426581Y1 (en) The sky challenge tower for multi-function.
JP2014101690A (en) House
JP6474574B2 (en) Housing display structure and housing display method
JP6182339B2 (en) Housing structure
KR0169162B1 (en) Inclinded multi-story parking house of self-mobile type
RU71684U1 (en) UNDERGROUND PARKING PARKING BUILDING OF THE ADMINISTRATIVE-TRADING APPOINTMENT OF CASE "A" OF THE CENTER OF CULTURE, ART AND LEISURE AFTER A.RAYKIN
CN212176723U (en) Apple room of travelling
JP5149609B2 (en) Staircase structure and building
KR2010009244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passenger amenities on a cruise ship
KR102616733B1 (en) Total playing facilities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JP3682242B2 (en) Ferris wheel
JP2009121093A (en) Building
US6119419A (en) Integrated building complex consisting of ship and iceberg building structures connected by tunnels
JP2012251314A (en) Building
JP4011568B2 (en) Spacious living space structure
US652516A (en) Building or edifice constructed for producing optical illusions.
US915026A (en) Structure of masonry and steel.
RU2270305C1 (en) Building erected over underground passage entry
JP5671399B2 (en) building
US6073403A (en) Integrated building complex consisting of ship and iceberg building structures connected by tu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