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082B1 -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 Google Patents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082B1
KR101743082B1 KR1020160115444A KR20160115444A KR101743082B1 KR 101743082 B1 KR101743082 B1 KR 101743082B1 KR 1020160115444 A KR1020160115444 A KR 1020160115444A KR 20160115444 A KR20160115444 A KR 20160115444A KR 101743082 B1 KR101743082 B1 KR 10174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urface portion
inner space
net
protectiv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6011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0Chutes; Helter-skelters with spiral trac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9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1테두리(12), 제1테두리(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전면부위을 보호하는 제1보호네트(13)가 마련되는 제1구조체(11);
Figure 112016087655338-pat00020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22), 제2테두리(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를 보호하는 제2보호네트(23)가 마련되어 제1구조체(11)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조체(21);
Figure 112016087655338-pat00021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3테두리(32), 제3테두리(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 그리고 상면부위를 보호하는 제3보호네트(33)가 마련되어 제2구조체(21) 상부에 설치되는 제3구조체(31);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구조체(1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출입계단(50);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3구조체(3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미끄럼틀(60);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9
And a first protection net (13) for protecting a side surface portion,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rim (12) Structure (11);
Figure 112016087655338-pat00020
And a second protective net 23 for protect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rim 22 and the second rim 2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tructure 11 A second structure 2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21;
Figure 112016087655338-pat00021
And a third protective net 33 which protects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frame 32 and the third frame 3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third structure 31 provided on the structure 21; (50),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11); And a slider (60)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third structure (31).

Description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zig-

본 발명은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린이들이 놀이를 즐기는 복수 개의 공간을 수직으로 분배하여 구성하되, 이들 각각을 중첩하여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어린이들이 놀이과정을 통해 모험심과 용기를 적극적으로 배양할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facility for childre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 facility for children,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s in which children enjoy play are vertically distributed, and each of them is superimposed and arranged in a zigzag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facility capable of positively culturing a container and being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place.

놀이시설물은 미끄럼틀이나 네트 등을 조합하여 다수의 어린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체력을 단련하고, 인내심이나 지구력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공원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A play facility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park so that a lot of children can play a fitness naturally by combining a slide or a net and cultivate patience and endurance.

놀이시설물의 전형적인 형태는 도 8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구름다리(31)로 연결되는 휴게공간(13, 30)을 마련하고, 이들 휴게공간(13, 30) 각각에는 미끄럼틀(13, 30) 및 출입계단(34, 45)을 구비하여, 어린이들이 장소를 이동하며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lay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st space 13 and 30 connected to the crossover bridge 31, and each of the rest spaces 13 and 30 is provided with a slide 13 and 30 and an entrance and exit stairs 34 and 45 so that children can enjoy the play by moving around the place.

그런데, 이러한 전형적인 놀이시설물 구조는 어린이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근자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 9와 같은 구조의 놀이시설물들이 속속 제안되고 있다. 이들은 일정 길이의 네트(130)를 오르막 및 내리막으로 구성하고, 네트(130) 중간 중간에 터널(140)과 같은 별도 기구를 배치하는 등 어린이들이 보다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하지만, 근자에 제안되고 있는 이들 놀이시설물들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일정 크기의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설치가 가능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typical play facility structure is difficult to cause curiosity to children, a play facility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9 is being continuously proposed so as to provide a variety of experiences. They are designed to make children feel more different enjoyment by constructing the net 130 of a certain length as an uphill and downhill and arranging a separate mechanism such as the tunnel 140 in the middle of the net 130. However, most of these amusement facilities proposed in recent years have basically limited space that must be secured to be able to be install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2676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1267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4072호Korean Patent No. 104407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놀이시설물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놀이과정을 통해 모험심과 용기를 적극적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놀이시설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lay facilit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induce curiosity of children, but also to actively cultivate adventure and courage through a play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 facility that can be installed easily.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1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1테두리(12), 제1테두리(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전면부위을 보호하는 제1보호네트(13)가 마련되는 제1구조체(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2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22), 제2테두리(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를 보호하는 제2보호네트(23)가 마련되어 제1구조체(11)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조체(21); 제1구조체(11)와 제2구조체(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지지네트(41)의 일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1출입구(42);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3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3테두리(32), 제3테두리(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 그리고 상면부위를 보호하는 제3보호네트(33)가 마련되어 제2구조체(21) 상부에 설치되는 제3구조체(31); 제2구조체(21)와 제3구조체(31) 사이에 마련되는 제2지지네트(43)의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2출입구(44);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1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4테두리(17), 제4테두리(1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전면부위을 보호하는 제4보호네트(18)가 마련되어 제1구조체(11)의 일측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제4구조체(1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2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5테두리(27), 제5테두리(2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를 보호하는 제5보호네트(28)가 마련되어 제4구조체(16) 상부에 설치되는 제5구조체(26); 제4구조체(16)와 제5구조체(26) 사이에 마련되는 제3지지네트(45)의 일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3출입구(4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3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6테두리(37), 제6테두리(3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 그리고 상면부위를 보호하는 제6보호네트(38)가 마련되어 제5구조체(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6구조체(36); 제5구조체(26)와 제6구조체(36) 사이에 마련되는 제4지지네트(47)의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4출입구(48);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구조체(1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출입계단(50);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3구조체(3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미끄럼틀(60); 제1, 2, 3구조체(11, 21, 31)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3, 4, 5구조체(16, 26, 3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통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1
And a first protection net (13) for protecting a side surface portion,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rim (12) Structure (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2
And a second protective net 23 for protect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rim 22 and the second rim 2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tructure 11 A second structure 2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21; (42)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net (41)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1) and the second structure (2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03
And a third protective net 33 which protects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frame 32 and the third frame 3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third structure 31 provided on the structure 21; A second entrance 44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net 43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ructure 21 and the third structure 3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1
And a fourth protective net 18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ourth rim 17 and the fourth rim 1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 fourth structure 16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2
And a fifth protective net 28 for protect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fth rim 27 and the fifth rim 2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urth structure 16 A fifth structure (26)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A third entrance 46 formed at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net 45 provided between the fourth structure 16 and the fifth structure 2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3
And a sixth protective net 38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ixth rim 37 and the sixth rim 3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 sixth structure 36 installed on top of the structure 26; A fourth entry / exit port 48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upport net 47 provided between the fifth structure 26 and the sixth structure 36; (50),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11); A slider (60)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third structure (31); (70) connecting at least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21, 31)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fourth, fifth structures (16, 26, 36) As a technical feature thereof.

삭제delete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을 물방울 구조로 형성하되 이들 공간을 지그재그로 중첩된 복층으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어린이들이 미로와 같은 구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험심과 용기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 in which a child can play with a water droplet structure, and by dividing these spaces into a zigzag overlapped layer, it is possible to set up very easily even if the space is narrow, It allows you to cultivate adventure and courage in the process of moving to.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으로 설치 공간을 확장하지 않더라도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는 놀이시설물을 상호 연계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린이들의 놀이과정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the play process of the children in that the play facilities having a large-scale structure can be freely mov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even if the installation space is not enlarged in a large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놀이시설물에 있어 구조체 상호 간의 출입구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5는 도 4에 개시된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6은 도 4에 개시된 놀이시설물에 있어 구조체 상호 간의 출입구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물에 있어 테두리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8은 종래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9는 종래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la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play facilities disclosed in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entrances and exits between structures in the play facilities disclosed in FIG. 1. FIG.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la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play facility disclosed in Fig. 4;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entrances between structures in the play facilities disclosed in Fig. 4. Fig.
FIG. 7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rim of a pla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lay facility; FIG.
Fig. 9 is another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amusement facility; Fig.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서의 놀이시설물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 3구조체(11, 21, 31), 출입계단(50), 미끄럼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la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play facility disclosed in FIG. The play facilities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21 and 31, an entrance step 50 and a slide 60, as shown in the respective figures. Hereinafter,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구조체(11)는 제1테두리(12) 및 제1보호네트(13)로 이루어진다. 제1테두리(12)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물방울을 수평으로 누인 형태인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7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은 제1테두리(12)의 하부 양측 각각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단으로서, 각 끝단은 지면에 고정된다.The first structure 11 comprises a first rim 12 and a first protective net 13. The first rim 12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7
Shap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installation end protruding downward from each of both lower sides of the first rim 12, and each end is fixed to the ground.

제1보호네트(13)는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제1테두리(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며, 제1테두리(12)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하면부위, 그리고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된다. The first protective net 13 is a means for protecting children. The first protective net 13 separates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rim 12 from the outside and has both side portions and bottom port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rim 12, It is installed around the front part which forms a certain curvature.

제2구조체(21)는 제1구조체(11) 상부에 설치되며, 제2테두리(22) 및 제2보호네트(23)로 이루어진다. 제2테두리(22)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물방울을 수평으로 누인 형태인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8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tructure 21 is installed on the first structure 11 and includes a second rim 22 and a second protective net 23. The second rims 22 are form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8
Shape.

제2보호네트(23)는 제2테두리(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켜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제2테두리(22)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및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된다.The second protective net 23 is a means for protecting the children by separating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rim 22 from the outside. The second protective net 23 is provid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rim 22, It is installed around the site.

또한, 도 3과 같이 제1구조체(11)와 제2구조체(21) 사이에는 제1지지네트(41)가 마련되어, 제1지지체(11)의 내부 공간과 제2지지체(21)의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다. 제1지지체(11)의 내부 공간과 제2지지체(21)의 내부 공간 각각은 제1지지네트(41)의 일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1출입구(42)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 사이에는 자유로운 출입이 보장된다.3, a first support net 4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1 and the second structure 21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11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11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entrance 42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net 41. Thus, free entry and exit are ensur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제3구조체(31)는 제2구조체(21) 상부에 설치되며, 제3테두리(32) 및 제3보호네트(33)로 이루어진다. 제3테두리(32)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제1테두리(12)와 동일한 형태인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9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structure 31 is installed on the second structure 21 and includes a third rim 32 and a third protective net 33. The third frame 32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third frames 32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rame 12
Figure 112016087655338-pat00009
Shape.

제3보호네트(33)는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3테두리(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및 상면부위, 그리고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된다. The third protective net 33 is a means for protecting children, and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and upper surfac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rim 32 and a front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curvature.

본 발명이 이처럼, 제1, 2, 3테두리(12, 22, 32) 각각을 동일한 물방울 모양으로 하되 그 누인 방향을 지그 재그로 배치한 이유는, 서로 분리된 공간 구조를 가지는 제1, 2, 3구조체(11, 21, 31) 각각을 보다 작은 공간에 설치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2, 22, and 32 are formed in the same droplet shape and the squeezing direction is arranged in a jiggle shape is that the first, second, 3 structures 11, 21 and 31 in a smaller space.

제2구조체(21)와 제3구조체(31) 사이에는 제2지지네트(43)가 마련되어, 제2지지체(21)의 내부 공간과 제3지지체(31)의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다. 제2지지체(21)의 내부 공간과 제3지지체(31)의 내부 공간 각각은 제2지지네트(43)의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2출입구(44)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지지체와 제3지지체 사이에는 자유로운 출입이 보장된다.A second support net 4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ructure 21 and the third structure 31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21 and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21 and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31 are connected by a second entrance 44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net 43. Thus, free entry and exit are ensur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출입계단(50)은 외부로부터 제1구조체(11)로 들어가거나, 제1구조체(11)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수단으로, 그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1구조체(1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된다. 출입계단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달리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ntrance step 50 is a means for entering or exiting the first structure 11 from the outside or for exiting out of the first structure 11. The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11 11). The entry and exit stairs can be of various structures, unlike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미끄럼틀(60)은 제3구조체(31)로부터 슬라이딩하며 외부로 빠져나오는 수단으로, 그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3구조체(31)의 측면 부위와 연결된다. 도면부호 6, 7 각각은 구조체 내부에 설치되는 놀이기구이다.The slider 60 slides out of the third structure 31 and is pushed out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slider 60 is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side portion of the third structure 31. Reference numerals 6 and 7 denote rides provided inside th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은 제1, 2, 3테두리(12, 22, 32)를 구성함에 있어,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설치단(1)이 제1테두리(12)의 좌우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제1, 2, 3테두리(12, 22, 32) 각각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물론, 도 7과 같이 제1, 2, 3테두리(12, 22, 32) 및 설치단(2) 각각이 서로 별개로 마련되어 설치단(1) 상부에 제1, 2, 3테두리(12, 22, 32)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2, in order to form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2, 22, and 32, the mounting end 1 is projected down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edge 12,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2, 22, and 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2, 22,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2, 22, and 32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tage 1, respectively.

이때, 제1, 2, 3테두리(12, 22, 32) 및 설치단(2) 각각은 별도의 체결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2, 3테두리 및 설치단 각각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질지 여부는 제1, 2, 3구조체 각각의 크기 및 작업의 용이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ims 12, 22, 32 and the installation end 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eparate fastening bo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and the installation steps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and the ease of operation.

또한, 제1, 2, 3테두리 각각에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지지바(도면부호 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지지바는 물방울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각 테두리의 형상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각 테두리에 지지바가 마련되면 놀이시설물은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bars (not show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ing bar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shape of each rim formed of water droplets. When the supporting bars are provided on each rim, the play facilities have a more stable structure.

한편, 도 1 및 도 2 각각에는 제1, 2, 3구조체가 상호 적층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로서 본 발명은 제3구조체 상부에 제4구조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구조체가 더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4구조체는 제2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로 제5구조체는 제1구조체(또는 제3구조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자명하며, 각 구조체 사이에 별도의 출입구가 마련되어야 함도 물론이다.1 and 2 each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are laminated to each other.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ctures including a fourth structure above the third structure are further installed It is not excluded.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fourth structur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fifth structur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tructure (or the third structure), an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entrance between the structures .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및 측면구성도이다. 이 예는 전술한 구성의 놀이시설물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보조 놀이시설물이 결합된 구조를 보여준다. 보조 놀이시설물은 제4, 5, 6구조체(16, 26, 36) 및 연결통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and 5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la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xample shows a structure in which auxiliary play facilities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play facilitie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mbined. The auxiliary play facilities include the fourth, fifth, and sixth structures 16, 26, 36 and the connecting passage 70.

제4구조체(16)는 제1구조체(11)의 일측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제4테두리(17) 및 제4보호네트(18)로 이루어진다. 제4테두리(17)는 제1테두리(12)와 동일하게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0
모양의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제4보호네트(18)는 제2보호네트(13)와 동일하게, 제4테두리(1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일정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을 감싸며 설치된다. 도면부호 3은 보조설치단이다.The fourth structure 16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structure 11 and comprises a fourth rim 17 and a fourth protective net 18. The fourth rim 17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im 12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0
Shaped left and right pairs. Like the second protective net 13, the fourth protective net 18 surrounds a side surface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ourth rim 17 and a front surf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n auxiliary installation stage.

제5구조체(26)는 제4구조체(16) 상부에 설치되며, 제5테두리(27) 및 제5보호네트(28)로 이루어진다. 제5테두리(27)는 제2테두리(22)와 동일하게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1
모양의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제5보호네트(28)는 제2보호네트(23)와 동일하게 제5테두리(2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및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된다.The fifth structure 26 is installed on the fourth structure 16 and comprises a fifth rim 27 and a fifth protective net 28. The fifth rim 27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rim 22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1
Shaped left and right pairs. The fifth protective net 28 surrounds both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fth rim 27 and the front portion having a constant curvature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protective net 23.

제6구조체(36)는 제5구조체(26)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6테두리(37) 및 제6보호네트(38)로 이루어진다. 제6테두리(37)는 제1테두리(12)와 동일하게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2
모양의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제6보호네트(38)는 제6테두리(3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및 상면부위, 그리고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된다.The sixth structure 36 is installed on the fifth structure 26 and includes a sixth rim 37 and a sixth protective net 38. The sixth rim 37 is identical to the first rim 12
Figure 112016087655338-pat00012
Shaped left and right pairs. The sixth protective net 38 surrounds both side portions and top surfac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ixth rim 37 and a front surface portion having a constant curvature.

도 4 및 도 5 각각에는 보조 놀이시설물의 일례로서 4개의 적층된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6구조체(36)의 제6보호네트(38)는 제6테두리(3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양 측면부위 및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전면부위를 감싸며 설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보조 놀이시설물은 도 1 및 도 2 각각에 개시된 놀이시설물과 같이 3개의 적층된 구조체 이상으로 이루어지기만 하면 무방하기 때문에, 도 4 및 도 5 각각에서 도면부호 80으로 기재된 제7구조체에 나타나 있는 보호네트 구성이 제6구조체의 제6보호네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Each of Figs. 4 and 5 discloses four stacked structures as an example of an auxiliary play facility, so that the sixth protective net 38 of the sixth structure 36 is formed by the sixth rim 37 A cas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and a front portion forming a certain curvature are installed so as to be enclosed. However, since the auxiliary play facilities need onl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stacked structures like the play facilities disclosed in each of Figs. 1 and 2, they are shown in the seventh structure described at 80 in each of Figs. 4 and 5 The protective net construction may also consist of a sixth protective net construction of the sixth structure.

또한, 도 6과 같이, 제4구조체(16)와 제5구조체(26) 사이에는 제3지지네트(45)가 마련되되 제3지지네트(45)의 일측 부위에는 제3출입구(46)가 형성되며, 제5구조체(26)와 제6구조체(36) 사이에는 제4지지네트(47)가 마련되되 제4지지네트(47)의 타측 부위에는 제4출입구(48)가 형성된다. 도면부호 49는 제5출입구이다.6, a third support net 45 is provided between the fourth structure 16 and the fifth structure 26 and a third entrance 4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net 45 A fourth support net 47 is provided between the fifth structure 26 and the sixth structure 36 and a fourth entrance 48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upport net 47. Reference numeral 49 denotes a fifth doorway.

연결통로(70)는 제1, 2, 3구조체(11, 21, 31) 중의 어느 하나와 제3, 4, 5구조체(16, 26, 36) 중의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도면에는 제2구조체(21)와 제5구조체(26), 그리고 제3구조체(31)와 제6구조체(36)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부호 62는 보조미끄럼틀로서, 도면에는 제7구조체(80)에 보조미끄럼틀(62)이 연결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6구조체(36)에 보조미끄럼틀(62)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necting passage 70 is a means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21 and 31 to any one of the third, fourth and fifth structures 16, 26 and 36. In the figure, a structure of a connecting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structure 21 and the fifth structure 26 and the third structure 31 and the sixth structure 36 is disclosed. Reference numeral 62 denotes a sub-slide, in which a sub-assembly 62 is connected to a seventh sub-assembly 80. Alternatively, the auxiliary sub-assembly 62 may be connected to the sixth sub- Of course.

이와 같이 보조 놀이시설물이 부가되어 연계 설치되면, 놀이시설물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은 이들 사이를 연결통로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놀이과정에서 모험심과 자신감을 더욱 배양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auxiliary play facilities are added and installed in this way, children using the play facilities can freely move through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m and enjoy the play, so that the adventure and confidence can be further cultivated in the play process.

또한, 보조 놀이시설물의 제4, 5, 6구조체(16, 26, 36) 각각을 이루는 제4, 5, 6테두리(17, 27, 37) 역시 도 7과 같이 각기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설치단(3) 역시 도 7에 개시된 설치단(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The fourth, fifth, and sixth edges 17, 27, and 37 of the fourth, fifth, and sixth structures 16, 26, and 36 of the auxiliary play facilities are also separately provided as shown in FIG. 7 and sequentially stacked .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uxiliary installation stage 3 should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installation stage 1 disclosed in FI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added features.

11, 21, 31 ; 제1, 2, 3구조체 12, 22, 32 : 제1, 2, 3테두리
13, 23, 33 : 제1, 2, 3보호네트 16, 26, 36 : 제3, 4, 5구조체
17, 27, 37 : 제3, 4, 5테두리 18, 28, 38 : 제3, 4, 5보호네트
41, 43, 45, 47 : 제1, 2, 3, 4지지네트 42, 44, 46, 48 : 제1, 2, 3, 4출입구
50 : 출입계단 60 : 미끄럼틀
70 : 연결통로
11, 21, 31;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2, 22 and 32: first, second and third edges
13, 23, 33: first, second and third protection nets 16, 26, 36: third, fourth,
17, 27, 37: Third, 4, 5 Borders 18, 28, 38: Third, 4, 5 Protective net
41, 43, 45, 47: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nets 42, 44, 46, 48: first, second,
50: Entrance stairs 60: Slide
70: connecting passage

Claims (2)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3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1테두리(12), 제1테두리(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전면부위을 보호하는 제1보호네트(13)가 마련되는 제1구조체(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4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22), 제2테두리(2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를 보호하는 제2보호네트(23)가 마련되어 제1구조체(11)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조체(21);
제1구조체(11)와 제2구조체(21) 사이에 마련되는 제1지지네트(41)의 일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1출입구(42);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5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3테두리(32), 제3테두리(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 그리고 상면부위를 보호하는 제3보호네트(33)가 마련되어 제2구조체(21) 상부에 설치되는 제3구조체(31);
제2구조체(21)와 제3구조체(31) 사이에 마련되는 제2지지네트(43)의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2출입구(44);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4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4테두리(17), 제4테두리(1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하면부위 그리고 전면부위을 보호하는 제4보호네트(18)가 마련되어 제1구조체(11)의 일측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제4구조체(1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5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5테두리(27), 제5테두리(2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를 보호하는 제5보호네트(28)가 마련되어 제4구조체(16) 상부에 설치되는 제5구조체(26);
제4구조체(16)와 제5구조체(26) 사이에 마련되는 제3지지네트(45)의 일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3출입구(4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6
모양으로 이루어져 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제6테두리(37), 제6테두리(3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측면부위 및 전면부위 그리고 상면부위를 보호하는 제6보호네트(38)가 마련되어 제5구조체(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6구조체(36);
제5구조체(26)와 제6구조체(36) 사이에 마련되는 제4지지네트(47)의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제4출입구(48);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구조체(1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출입계단(50);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3구조체(31)의 일측면 부위와 연결되는 미끄럼틀(60);
제1, 2, 3구조체(11, 21, 31)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3, 4, 5구조체(16, 26, 3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통로(70);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3
And a first protection net (13) for protecting a side surface portion,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rim (12) Structure (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4
And a second protective net 23 for protect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cond rim 22 and the second rim 2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tructure 11 A second structure 2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21;
(42)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net (41)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1) and the second structure (2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15
And a third protective net 33 which protects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hird frame 32 and the third frame 3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third structure 31 provided on the structure 21;
A second entrance 44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net 43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ructure 21 and the third structure 3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4
And a fourth protective net 18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ourth rim 17 and the fourth rim 1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 fourth structure 16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5
And a fifth protective net 28 for protecting the front and side portions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fth rim 27 and the fifth rim 2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urth structure 16 A fifth structure (26)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A third entrance 46 formed at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net 45 provided between the fourth structure 16 and the fifth structure 26;
Figure 112017027178580-pat00036
And a sixth protective net 38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ixth rim 37 and the sixth rim 37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 sixth structure 36 installed on top of the structure 26;
A fourth entry / exit port 48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upport net 47 provided between the fifth structure 26 and the sixth structure 36;
(50),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11);
A slider (60)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third structure (31);
A connecting passage 70 connecting at least any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21 and 31 with at least one of the third, fourth and fifth structures 16, 26 and 36;
A play facility of a zigzag laminated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160115444A 2016-09-08 2016-09-08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KR101743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44A KR101743082B1 (en) 2016-09-08 2016-09-08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44A KR101743082B1 (en) 2016-09-08 2016-09-08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082B1 true KR101743082B1 (en) 2017-06-02

Family

ID=5922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444A KR101743082B1 (en) 2016-09-08 2016-09-08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08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42A (en)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칼라우즈 A playing facility for education using quiz
KR102203936B1 (en) * 2020-09-18 2021-01-18 (주)신흥이앤지 cylindrical closed loop multi-layer ride
KR102219002B1 (en) * 2020-08-24 2021-02-23 (주)신흥이앤지 tunnel-type adventure play facility
KR102221934B1 (en) * 2020-07-20 2021-03-04 (주)신흥이앤지 Eco Friendly Floating Playground Facilities for Green Space
KR20220142261A (en) 2021-04-14 2022-10-21 윤치영 Passage Assembly for Play Equipment with Rotating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886B1 (en) * 2015-08-24 2016-05-19 표옥근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886B1 (en) * 2015-08-24 2016-05-19 표옥근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42A (en)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칼라우즈 A playing facility for education using quiz
KR102505925B1 (en) 2018-07-06 2023-03-06 주식회사 칼라우즈 A playing facility for education using quiz
KR102221934B1 (en) * 2020-07-20 2021-03-04 (주)신흥이앤지 Eco Friendly Floating Playground Facilities for Green Space
KR102219002B1 (en) * 2020-08-24 2021-02-23 (주)신흥이앤지 tunnel-type adventure play facility
KR102203936B1 (en) * 2020-09-18 2021-01-18 (주)신흥이앤지 cylindrical closed loop multi-layer ride
KR20220142261A (en) 2021-04-14 2022-10-21 윤치영 Passage Assembly for Play Equipment with Rotat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82B1 (en)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KR101232775B1 (en) A complex recreation facilities
KR101393650B1 (en) A complex amusement facilities
CN203507505U (en) Novel outdoor children's slide
KR101603122B1 (en)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CN201524396U (en) Sports ground combined with jumping bed
KR101278084B1 (en) Playing facility with flexible shape
JP2004208844A (en) Plaything using air sheet mat
KR102221934B1 (en) Eco Friendly Floating Playground Facilities for Green Space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CN105817042A (en) Nine-grid intelligence labyrinth for kids
CN211328131U (en) Double-tower recreation facility
KR20120121461A (en) Wave play
KR102219002B1 (en) tunnel-type adventure play facility
CN209019898U (en) Pass through barrier device
CN212466936U (en) High-safety inflatable trampoline
CN106807033B (en) Amusement facility
CN208244088U (en) A kind of amusement slide
CN212176723U (en) Apple room of travelling
KR102376316B1 (en) Complex play facilities with separatopn distance
CN215781459U (en) Combined slide for rescue theme
KR20200053086A (en) Game system uisng drone
KR101842563B1 (en) Children play facilities having feature of crescent-shaped
CN219662846U (en) Recreation facility with water drop aircraft structure
CN219225762U (en) Outdoor take-up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