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097B1 -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097B1
KR101877097B1 KR1020147002200A KR20147002200A KR101877097B1 KR 101877097 B1 KR101877097 B1 KR 101877097B1 KR 1020147002200 A KR1020147002200 A KR 1020147002200A KR 20147002200 A KR20147002200 A KR 20147002200A KR 101877097 B1 KR101877097 B1 KR 10187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laser
terminal
puls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447A (ko
Inventor
타마스 코박스
페터 내기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4004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섬유(16)와 다수의 섬유(16) 주위의 절연 피복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단자(10)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방법으로서, 케이블의 단부 섹션(17)으로부터 절연 피복을 제거하는 단계, 다수의 섬유(16)를 프레싱 기구(20)로 단자(10)에 가압하는 단계,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레이저(26)의 적어도 하나의 펄스를 적용함으로써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용접 연결부(28)를 형성하는 단계, 및 프레싱 기구(2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 방법이다.

Description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METHOD FOR WELDING A CABLE TO A TERMINAL AND THE TERMINAL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레이저의 적어도 하나의 펄스에 의해 케이블을 단자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섬유를 갖춘 케이블이 몇 가지 용접 기술, 예컨대 압밀 용접(compaction welding)에 의해 단자에 용접될 수 있다. 레이저 기술의 개발에 의해, 단자에 대한 케이블 또는 와이어의 레이저 용접을 위한 몇몇 해법이 개발되었으며, 이하에서 이에 대해 논의한다.
US 4,774,394에는, 단일 금속성 전도체가 레이저를 사용하여 U자형 금속성 고정물에 용접되는 레이저 용접 기술이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 단일 와이어의 단부 섹션이 고정물 내에 배치되고, 레이저 빔을 와이어의 단부로 지향시킴으로써 고정물에 용접된다.
US 5,541,365 및 JP 59-107786 A에는, 단일 와이어가 레이저 빔에 의해 U자형 단자에 용접되는 레이저 용접 방법이 개시된다.
US 6,531,676 B2에는, 단일 와이어가 구리로 제조된 U자형 캐리어 또는 단자에 용접되는 레이저 용접 방법이 개시된다.
US 7,128,620 B2에는, 단자에 대한 다수의 섬유의 케이블의 레이저 용접 방법이 개시된다. 다수의 섬유는 단자의 슬롯 내로 삽입되기 전에 압밀되고 형상화된다.
US 4,966,565 및 US 7,705,265 B2에는, 케이블의 다수의 섬유가 단자에 용접되기 전에 섬유가 단자에 크림핑되는 레이저 용접 방법이 개시된다. 레이저 빔의 목표점은 두 문헌에서 상이하게 선택된다.
위의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 단일 와이어의 가장 간단한 경우에도 레이저 용접을 위해 홈 또는 요홈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섬유 각각을 함께 모아두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압밀 또는 크림핑 후에만 다수의 섬유의 케이블이 레이저-용접된다.
위의 문헌들에 개시된 알려진 방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의 크림핑도 섬유의 다른 형상화 또는 압밀도 필요하지 않은, 단자에 대한 다수의 섬유의 케이블의 레이저 용접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해법의 단점이 없는 레이저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한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에 사용되는 제1 유형의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처리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용접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5는 용접된 상태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6은 이러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추가의 용접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에 의해 얻어진 용접된 상태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에 사용되는 제2 유형의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평면 B-B를 따라 취해진 도 8에 따른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단자를 갖춘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처리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용접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13은 용접된 상태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14는 이러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추가의 용접 단계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계에 의해 얻어진 용접된 상태를 예시한 3차원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에 사용되는 일련의 제1 유형의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에 사용되는 일련의 제2 유형의 단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구리로 제조되는 단자용으로 그리고 다수의 섬유를 갖춘 구리 케이블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당업자는 이러한 방법이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단자와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단자와 케이블은 선택적으로 주석 도금될 수 있다. 단자의 목적은 케이블로부터 단자의 헤드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부로 전류를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레이저는 펄스 모드로 작동된다. 펄스 모드에서는 용융된 재료의 수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축은 표면 장력의 존재의 결과일 수 있다. 케이블의 섬유의 단부에 구형 팽창부가 생성되는 것도 또한 용접 방법에서 레이저를 연속 모드로 사용한 결과일 수 있고, 용접 연결부의 제조 방법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자 그 자체의 재료와의 어떠한 크림핑도 용접될 케이블의 다수의 섬유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크림핑 대신에, 일시적 프레싱만이 프레싱 기구에 의해 다수의 섬유에 적용되며, 이러한 프레싱 기구는 용접 연결부가 생성된 후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용접 연결부는 한편으로는 다수의 섬유의 용융된 재료와 다른 한편으로는 단자 그 자체의 어느 정도 용융된 재료를 포함하지만,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의 재료의 과도한 용융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단자(10)를 도시한다. 단자(10)는 평평한 용접 표면(12)과 단자 헤드(14)를 구비한다. 평평한 용접 표면(12)을 갖춘 단자(10)의 유용성은 본 발명의 방법이 많은 종류의 기존 단자에 쉽게 일반화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단자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는 제한적인 특징이 없다.
도 2는 용접 표면(12)을 갖춘 단자(10)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용접 방법의 일 실시예의 제1 단계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케이블(15)이 단자(10) 상에, 특히 단자(10)의 용접 표면(12) 상에 위치된다. 케이블(15)은 다수의 섬유(16)와 다수의 섬유(16) 주위의 절연 피복(18)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예시된 단계 전에, 절연 피복(18)이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단부 섹션(17)만이 용접 표면(12)에 위치된다.
도 3은 이러한 예시적인 레이저 용접 방법의 프레싱 단계를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다수의 섬유(16)가 프레싱 기구(20)로 용접 표면(12)에 가압된다. 프레싱 기구(20)에 의해, 다수의 섬유(16)가 용접 표면(12) 상에 정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느슨해진 섬유들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떠한 크림핑 메커니즘도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지 않는 것, 즉 다수의 섬유(16)가 단자 그 자체의 재료에 의해 함께 가압되지 않는 것이 강조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방법이 종래 기술의 해법에 비해 간단해짐과 동시에, 본 발명의 방법으로부터 크림핑 또는 압밀 단계가 생략된다. 어떤 유형의 프레싱 기구가 본 발명의 실시예 모두에 사용된다. 프레싱 기구(20)는 용접 표면(12) 상에 놓인 다수의 섬유(16)를 정돈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만곡된 프레싱 표면을 구비한다.
도 4는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다수의 섬유(16)를 용융시키기 위해 레이저(26)의 제1 펄스를 인가하는 이러한 바람직한 방법의 용접 단계를 도시한다. 레이저(26)의 펄스는 도 4에 레이점 빔(24)으로 예시된다. 레이저 빔(24)은 다수의 섬유(16) 상에 그리고 단자(10)의 인근 부분 상에 조사 영역(impact area)(22)을 구비한다.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의 직경은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다. 이 경우에, 다수의 섬유(16) 모두가 용융되는 것이 보장된다.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은 다수의 섬유(16)가 프레싱 기구 없이 가압될 때 더욱 크다. 조사 영역(22)의 직경의 크기를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게 조절하는 것은 또한 용접이 완료된 후 느슨해진 섬유들(16)의 출현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이 케이블(15)의 단부를 커버하며, 이도 또한 느슨해진 섬유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느슨해진 섬유가 케이블(15)의 단부에 생길 가능성이 가장 높은데, 그 이유는 그러한 단부가 프레싱 기구(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케이블(15)의 부분이기 때문이다. 조사 영역(22)이 케이블(15)의 단부를 커버하고, 또한 조사 영역의 직경이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면, 결국 느슨해진 섬유들이 레이저 빔(24)에 의해 용융되어 용접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할 것이다.
도 5는 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레이저(26)의 펄스를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인가함으로써, 레이저 빔(24)이 케이블(15)에 인가된 후 다수의 섬유(16)의 재료와 단자(10)의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된다. 용융된 재료가 다시 고화될 때, 즉 냉각될 때,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에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된다. 용접 연결부(28)가 어떠한 느슨해진 섬유 없이 다수의 섬유(16) 모두를 단자(10)에 연결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요건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레이저(26)의 펄스의 조사 영역(22)이 케이블(15)의 단부를 커버하고, 조사 영역(22)의 직경이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폭보다 클 때 충족될 수 있다.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된 후, 프레싱 기구(20)가 제거된다.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 사이에 생성된 용접 연결부(2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에 제2 용접 연결부(28')를 형성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용접부(28')는 도 2 내지 도 5의 단계 후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2개의 추가 단계의 적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레이저(26)의 제2 펄스가 바람직하게는 절연 피복(18)이 제거된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적용되는 추가 용접 단계를 도시한다. 레이저(26)의 제2 펄스는 도 6에 레이저 빔(24')으로 예시된다. 레이저 빔(24')은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의 인근 부분 상에 조사 영역(22')을 구비하며, 이러한 조사 영역의 직경은 조사 영역(22)과 유사하게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다. 제2 레이저 빔(24')의 적용에 있어 2가지 옵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옵션의 경우에,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은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과 중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별개의 용접 연결부가 케이블(15)과 단자(10) 사이에 생성된다. 이 경우에 느슨해진 섬유가 유리하게도 방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1 용접 연결부의 생성으로 인해 느슨해진 섬유가 발생할 때, 이러한 섬유가 제2 용접 연결부의 생성에 의해 용접 연결부에 용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옵션의 경우에, 조사 영역(22')은 조사 영역(22)과 중첩된다. 다수의 섬유(16)의 재료의 용융의 결과로서, 그 반사율이 전보다 높을 것이다. 레이저 빔(24)의 조사 영역(22)과 레이저 빔(24')의 조사 영역(22')이 중첩될 때, 이전에 생성된 용접 연결부(28)의 보다 높은 반사 특성은 제2 레이저 펄스가 용접 연결부(28)의 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게 할 수 있다. 높은 반사율의 기존 용접 연결부(28)에 의해 반사되는 출력을 보상하기 위해,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출력보다 크다. 중첩의 경우에, 제1 옵션에 의해서보다 작은 전체 용접 연결부가 부분 사이에 생성될 수 있으며, 즉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의 보다 작은 부분이 단단해진다. 단자(10)의 단면의 50%를 초과하여 용융시키는 것이 방지되도록 의도되며; 제1 및 제2 레이저 펄스의 출력이 상응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 모두에서, 레이저(26)의 제1 및 제2 펄스 모두가 그러한 출력으로 인가되고,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다수의 섬유(16) 모두와 단자(10)의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은 단자(10)의 단면의 50% 초과가 용융되었고 다시 고화되었으면, 단자(10)가 단단해졌고 쉽게 파단될 수 있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되면, 단자(1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허용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7은 제2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에 제2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되는 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다수의 섬유(16)는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단계와 유사하게 프레싱 기구(20)에 의해 눌려지며; 프레싱 기구(20)는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된 후 제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단자(10')를 도시한다. 단자(10')는 용접 표면(12')과 단자 헤드(14')를 구비한다. 도 9는 평면 B-B 상에서 취해진 용접 표면(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용접 표면(12')이 B-B 평면 내에서 U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U자형 단면의 용접 표면(12')을 갖춘 단자(10')를 적용함으로써, 느슨해진 섬유의 출현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단자(10')는 또한 다수의 섬유(16)가 단자(10')의 재료에 의해 더욱 많이 둘러싸이는 이점을 가져, 더욱 소형의 용접 조인트와 더욱 우수한 느슨해진 섬유의 방지 효율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단자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유형으로, 즉 평평한 용접 표면을 갖춘 단자와 U자형 용접 표면을 갖춘 단자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단자(10')를 사용하는 레이저 용접 방법의 제1 단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자(10')는 U자형 단면의 용접 표면(12')을 구비한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 단계에서,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이 단자(10')의 용접 표면(12')에 위치된다. 단자(10')의 적용은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다수의 섬유(16)가 용접 표면(1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이점을 갖는다. U자형 단면의 용접 표면(12')의 위로 만곡된 부분은 벽으로 불리운다. U자형 단면의 용접 표면(12')을 적용함으로써, 느슨해진 출현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11은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의 다수의 섬유(16)가 프레싱 기구(20')에 의해 단자(10')에 그 용접 표면(12') 내로 가압되어, 다수의 섬유(16)를 수용하는 홈-유사 형체를 형성하는 이 실시예의 프레싱 단계를 도시한다.
도 12는 케이블의 단부 섹션(17)을 용융시키기 위해 레이저(26)의 제1 펄스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용접 단계를 도시한다. 레이저(26)의 펄스는 레이저 빔(24")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레이저 빔은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의 인근 부분 상에 조사 영역(22")을 구비한다.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의 직경은 용접 표면(12')의 폭에 의해 제한되는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다.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은 케이블(15)의 단부를 커버한다.
도 13은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에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된 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용접 표면(12')의 폭보다 큰 조사 영역(22")의 레이저 빔(24")을 인가함으로써, 용접 표면(12')의 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될 것이다. 용접 표면(12')의 용융된 벽은 벽의 재료가 다시 고화될 때 용접 연결부(28")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용접 표면(12')의 벽의 용융이 바람직하지만, 케이블(15)의 다수의 섬유(16) 모두와 단자(10')의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될 정도의 출력의 레이저 펄스가 인가되어야 하는 것이 강조된다. 벽, 즉 단자의 재료가 그 단면의 50%를 초과하여 용융되면, 단단하고 이에 따라 불안정한 용접 연결부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용접 연결부(28"')를 형성함으로써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의 용접 연결부(28")가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 제2 용접 연결부(28"')는 도 10 내지 도 13의 단계 후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2개의 추가 단계의 적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4는 레이저(26)의 제2 펄스가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적용되는 용접 단계를 도시한다. 레이저(26)의 제2 펄스는 조사 영역(22"')을 갖는 레이저 빔(24"')으로 예시된다. 조사 영역(22"')은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의 인근 부분 상에 있다.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의 직경은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크다.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은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과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중첩의 경우에,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출력은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출력보다 커야 한다.
도 15는 단자(10)와 다수의 섬유(16) 사이에 제2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되는 용접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5에 예시된 단계에서, 다수의 섬유(16)는 프레싱 기구(20')에 의해 눌려지며, 이러한 프레싱 기구는 용접 연결부(28"')가 생성된 후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레이저(26)가 단지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어떤 (점 같은) 위치에서 다수의 섬유(16)를 용융시키고, 섬유의 용융된 재료가 섬유(16)와 용접 표면(12, 12') 사이의 용접 연결부(28, 28', 28", 28"')를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위의 상세한 실시예의 프레싱 기구(20, 20')는 절연 피복(18)이 제거된 케이블의 전체 섹션을 가압하도록 그리고 레이저 빔 또는 빔들의 인가를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각각의 용접 연결부(28, 28', 28", 28"')는 레이저(26)의 하나의 펄스에 의해 생성된다. 프레싱 기구(20, 20')는 레이저(26)의 적절한 펄스가 인가되기 전에 다수의 섬유(16)에 적용되고, 용접 연결부(28, 28', 28", 28"')가 생성된 후 제거된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적재 리본(30, 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단자(10, 10')를 그 제조된 상태로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이 적용되기 전에, 도 1 및 도 8에 예시된 단자(10, 10')를 얻기 적재 리본(30, 30')의 연결 부분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실현이 이하의 상세한 치수로 적용될 수 있다. 0.1 내지 0.8 ㎟의 단면적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용접 표면의 두께는 0.1 내지 0.4 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용접 표면의 폭은 임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레이저 빔의 조사 영역의 직경은 가압된 다수의 섬유의 전체 폭보다 대체로 큰 0.7 내지 2.5 m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레이저 빔의 조사 영역의 직경에 알맞은 값을 선택함으로써, 레이저 빔의 열이 다수의 섬유와 단자에 도달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직경의 적절한 조절에 의해, 어떠한 구멍도 생기지 않고, 용융 표면의 전체 폭에서 그 어떠한 부분도 용융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것들은 전도도에 유해할 것이고, 내구성이 덜한 용접 연결부를 초래할 수 있다.
이들 치수에 의해,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레이저의 피크 출력이 1200 내지 5400 W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평균 출력은 2000 W이다. 섬유의 주석 커버링의 선택적 존재 여부에 따라 8 내지 40 ms의 주기의 레이저 펄스로 펄스 모드로 작동하는 1064 nm의 파장을 갖는 Nd:YAG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레이저 빔은, 빔의 중심이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0 내지 3 mm의 거리 내에서 선택될 수 있도록 인가된다. 어느 경우든 케이블의 단부가 커버되도록 이러한 범위로부터 특정 값이 선택된다. 바람직한 경우에, 제1 레이저 빔의 조사 영역의 70%가 섬유 상에 있고, 그 30%가 용접 표면상에 있다. 제2 펄스의 레이저 빔의 중심은 제1 레이저 빔의 중심으로부터 1 내지 4 mm만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의 과정에서, 어떤 불활성 기체, 바람직하게는 아르곤이 단자와 다수의 섬유 주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기체의 적용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연결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산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물론 위의 상세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추가의 변형, 변경 및 추가의 개발이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3)

  1. 다수의 섬유(16)를 포함하는 케이블(15)을 단자(10, 10')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방법으로서, 다수의 섬유(16)를 프레싱 기구(20, 20')로 단자(10, 10')에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 방법에 있어서,
    -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레이저(26)의 적어도 하나의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다수의 섬유(16)와 단자(10, 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용접 연결부(28, 28', 28", 28"')를 형성하는 단계; 및
    - 프레싱 기구(20, 20')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섬유(16)는 단자를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크림핑되지 않고,
    프레싱 기구(20, 20')는 단자(10, 10') 상의 다수의 섬유(16)를 정돈하기 위해 만곡된 프레싱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1 펄스가 인가되고,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 22")의 직경은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큰 용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 22")은 케이블(15)의 단부를 커버하는 용접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1 펄스는,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다수의 섬유(16) 모두와 단자(10, 10')의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될 정도의 출력으로 인가되는 용접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에 레이저(26)의 제2 펄스가 인가되고,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 22"')의 직경은 가압된 다수의 섬유(16)의 전체 폭보다 큰 용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 22"')은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 22")과 중첩되지 않는 용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조사 영역(22', 22"')은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조사 영역(22, 22")과 중첩되는 용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2 펄스의 출력은 레이저(26)의 제1 펄스의 출력보다 큰 용접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레이저(26)의 제2 펄스는, 케이블(15)의 단부 섹션(17) 내의 다수의 섬유(16) 모두와 단자(10, 10')의 단면의 최대 50%가 용융될 정도의 출력으로 인가되는 용접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평한 용접 표면을 갖춘 단자(10)가 적용되는 용접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자형 단면의 용접 표면을 갖춘 단자(10')가 적용되는 용접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10, 10') 및/또는 다수의 섬유(16) 모두는 구리로 제조되는 용접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 중, 불활성 기체가 단자(10, 10')와 다수의 섬유(16) 주위에 적용되는 용접 방법.
KR1020147002200A 2011-07-01 2012-06-29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 KR101877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B2011001858 2011-07-01
IBPCT/IB2011/001858 2011-07-01
PCT/EP2012/062777 WO2013023830A1 (en) 2011-07-01 2012-06-29 Method for welding a cable to a terminal and the terminal obtain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447A KR20140046447A (ko) 2014-04-18
KR101877097B1 true KR101877097B1 (ko) 2018-07-10

Family

ID=4639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200A KR101877097B1 (ko) 2011-07-01 2012-06-29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28927B2 (ko)
EP (1) EP2727195B1 (ko)
JP (1) JP6046132B2 (ko)
KR (1) KR101877097B1 (ko)
CN (1) CN103718394B (ko)
BR (1) BR112014004007A2 (ko)
WO (1) WO2013023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6646B2 (ja) * 2013-02-22 2016-05-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製造方法
AU2015204999A1 (en) * 2014-01-07 2016-07-21 Minipumps, Llc Welding washers for microwire welding
DE102014109604B4 (de) * 2014-07-09 2023-12-07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ierung eines Litzenleiters
DE102015210458A1 (de) * 2015-06-08 2016-12-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in unedles Metall aufweisenden Leiters mit einem Kupfer aufweisenden Anschlusselement mittels Verschweißen sowie eine dadurch hergestellte Anschlussanordnung
EP3109944B1 (de) * 2015-06-23 2021-12-08 Nexan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wirksamen kontaktstelle am ende eines elektrischen leiters
CN107123867B (zh) * 2017-06-05 2019-05-10 吉林省中赢高科技有限公司 一种铜端子与铝导线的接头及其磁感应焊接方法
CN107342466B (zh) * 2017-06-05 2019-07-16 吉林省中赢高科技有限公司 一种铜端子与铝导线的接头及其超声波焊接方法
DE102017112947A1 (de) * 2017-06-13 2018-12-1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Hochstrom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Hochstromverbinders
DE102017123864B3 (de) * 2017-10-13 2019-04-04 Lisa Dräxlmaier GmbH Elektrische Leitungsanordnung mit Direktkontaktier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8111853A1 (de) * 2018-03-21 2019-09-26 Auto-Kabel Managem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ischen Anschluss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bordnetz und einem Kabel des Kraftfahrzeugbordnetzes
CN113002371A (zh) * 2019-12-19 2021-06-22 中国铁建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吊弦预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113A (ja) * 1998-01-28 1999-08-06 Miyachi Technos Corp 端子部材に電線を溶接するためのレーザ溶接方法
JP2004192948A (ja) * 2002-12-11 2004-07-08 Yazaki Corp 電線と接続端子と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2007305314A (ja) * 2006-05-08 2007-11-22 Hitachi Cable Ltd 接続端子付き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端子とケーブルとの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超音波溶接機
JP2007326140A (ja) * 2006-06-09 2007-12-20 Phoeton Corp レーザ溶接方法
KR20090104801A (ko) * 2008-03-17 2009-10-06 페톤 가부시끼가이샤 레이저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7786A (ja) 1982-12-13 1984-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細線の接合方法
US4774394A (en) 1987-09-02 1988-09-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ser welding method
JP2511123B2 (ja) * 1988-10-13 1996-06-2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DE4015956A1 (de) * 1990-05-18 1991-11-21 Sauerwein Isotopen 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r metallischen kapsel und zum verschweissen mit einem metallkabel
US5269056A (en) * 1992-09-16 1993-12-14 Oea, Inc. Laser welding of wire strands to an electrode pin
JP3048485B2 (ja) 1993-03-15 2000-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電線のビーム溶接方法
JP2921643B2 (ja) * 1994-06-28 1999-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溶接用線材固定具
US6061595A (en) * 1999-01-04 2000-05-09 Pacesetter, Inc. Laser spot weld winding to connector joint
DE10002703B4 (de) 2000-01-22 2006-12-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mittels Laserstrahlung
ITMI20020789A1 (it) 2002-04-12 2003-10-13 Abb Service Srl Elemento di connessione di un conduttore flessibile e metodo per connettere un conduttore flessibile ad un terminale di collegamento
NO317716B1 (no) * 2002-11-29 2004-12-06 Nexans Fremgangsmate for ledende sammenkopling av to elektriske ledere
JP2005319497A (ja) * 2004-05-11 2005-11-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8000793A (ja) * 2006-06-22 2008-01-10 Phoeton Corp レーザ溶接装置及びレーザ溶接方法
US8147280B2 (en) * 2007-06-04 2012-04-03 Lear Corporation Battery post connector
WO2009099002A1 (en) * 2008-02-04 2009-08-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113A (ja) * 1998-01-28 1999-08-06 Miyachi Technos Corp 端子部材に電線を溶接するためのレーザ溶接方法
JP2004192948A (ja) * 2002-12-11 2004-07-08 Yazaki Corp 電線と接続端子と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2007305314A (ja) * 2006-05-08 2007-11-22 Hitachi Cable Ltd 接続端子付き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端子とケーブルとの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超音波溶接機
JP2007326140A (ja) * 2006-06-09 2007-12-20 Phoeton Corp レーザ溶接方法
KR20090104801A (ko) * 2008-03-17 2009-10-06 페톤 가부시끼가이샤 레이저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25120A (ja) 2014-09-25
CN103718394B (zh) 2016-05-25
US9728927B2 (en) 2017-08-08
JP6046132B2 (ja) 2016-12-14
EP2727195B1 (en) 2016-09-28
US20140182127A1 (en) 2014-07-03
EP2727195A1 (en) 2014-05-07
BR112014004007A2 (pt) 2017-06-13
WO2013023830A1 (en) 2013-02-21
CN103718394A (zh) 2014-04-09
KR20140046447A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097B1 (ko) 케이블을 단자 단부에 용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단자
CN114761173B (zh) 用于具有射束成形的汇流条激光焊接的方法和汇流条布置
CN110893517B (zh) 线圈线的激光焊接方法
JP5598888B1 (ja)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10892671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pper components and joining processes therefor
JP2009032462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8088189A1 (ja) 素線接合部を有する導電部材の製造方法及び素線接合部を有する導電部材
JP2001229985A (ja) レーザ放射によって導電性の接続を生ぜしめる方法
JP6699539B2 (ja) 導電部材の製造方法及び導電部材
JP5794843B2 (ja) 電線導体部の溶接方法
US5191701A (en) Method for the automated manufacture of wound electrical components by contacting thin insulated wires to terminal elements on the basis of laser welding
JP3438809B2 (ja) 端子部材に電線を溶接するためのレーザ溶接方法
JP5823162B2 (ja) 電線導体部の溶接方法
CN115427186B (zh) 激光焊接方法和使用了该激光焊接方法的旋转电机的制造方法
JPWO2020170413A1 (ja) 銅を含む部材の溶接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WO2021261565A1 (ja) バスバーおよ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6998813B2 (ja) 端子、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端子の製造方法
JP2001321973A (ja) レーザ溶接接合構造
JP2005118805A (ja) 溶接された金属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23740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513586A (ja) 開始段階と終了段階における強度の再分配を伴う、曲げられた金属含有バー型導体をレーザ溶接する方法、対応するバー型導体の配置、そのようなバー型導体の配置の使用
JP7234188B2 (ja) 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製造装置
JP7225166B2 (ja) 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製造装置
JPH08150488A (ja) 線材の溶接方法および溶接用成形治具
JP2001015242A (ja) レーザ照射による絶縁心線とコネクタ端子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